KR0179204B1 - 개인통신시스템용 기지국의 단말기 접속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통신시스템용 기지국의 단말기 접속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9204B1
KR0179204B1 KR1019950071064A KR19950071064A KR0179204B1 KR 0179204 B1 KR0179204 B1 KR 0179204B1 KR 1019950071064 A KR1019950071064 A KR 1019950071064A KR 19950071064 A KR19950071064 A KR 19950071064A KR 0179204 B1 KR0179204 B1 KR 0179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ion
base station
registered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71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6038A (ko
Inventor
곽재봉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50071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9204B1/ko
Publication of KR970056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6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9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92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통신시스템용 기지국의 단말기 접속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로부터 통화를 위한 접속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 접속 요구 메시지로부터 단말기 고유번호를 읽어 기 등록된 번호인가를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접속을 요구하는 단말기가 기 등록된 상태가 아니면 그 단말기의 고유번호와 접속 시간을 저장하고 상기 접속 요구를 한 단말기가 기 등록된 상태이면 이전에 접속된 시간을 읽어 현재 시간과 비교한 후, 그 접속 간격이 규정치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제2단계 및; 상기 기 등록된 단말기의 접속간격이 규정치 이상이거나 단말기 고유번호 및 접속시간을 저장한 후에는 접속을 처리하고, 상기 기 등록된 단말기의 접속간격이 규정치 이하이면 접속을 금지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필요이상으로 기지국 접속 요구가 잦은 이동 단말기의 접속을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인통신시스템용 기지국의 단말기 접속 제어 방법
제1도는 개인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개인통신용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개인통신시스템용 기지국의 단말기 접속 제어 처리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동 단말기 2 : 기지국
3 : 기지국 제어기 4 : 이동전화 교환기
5 : 인증 센터 6 : 공중교환전화망(PSTN)
21 : 디지타 분선 서브 시스템 22 : 타이밍 기능 서브 시스템
23 : 무선 송수신 서브 시스템 24 : 안테나 접속 서브 시스템
25 : 기지국 관리 서브 시스템 26 : 전원 공급 서브 시스템
본 발명은 셀룰라 이동전화 시스템에서의 통신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요 이상으로 기지국 접속 요구가 잦은 이동 단말기의 접속을 제한하기 위한 개인통신 시스템용 기지국의 단말기 접속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기술이 급속도로 발전되면서 개인이 임의의 장소에서 또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면서 다른 사람과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된 개인통신시스템이 개발되어 일반화되고 있다.
이러한 개인통신 시스템은 한정된 저파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주파수를 재사용하여 기지국의 수를 확장하는 셀룰라 기술과 주파수를 동시에 여러 가입자에 의해 사용하도록 하는 다중접속 기술이 있다.
여기서, 다중접속 기술의 종류에는 주파수분할 다중접속(FDMA :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분할 다중접속(TDMA :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부호분할 다중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으로 분할되어 있는 바, 여기서 TDMA 방식은 시스템의 안정성과 기술의 완성도가 높다는 이유로 전세계적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제1도는 셀룰라 이동전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로, 도면에서 참조번호 1은 개인이 휴대하게 되는 단말기이고, 2(21∼2n)는 다수의 이동 단말기(1)의 위치를 확인하여 이동 단말기(1)에 대한 무선신호의 송수신과 통신프로토콜의 변환 및 암호화/복호화 등을 실행하는 기지국, 3(31~3n)은 다수의 기지국(2 : 21~2n)을 관리하면서 각 단말기(1)에 대한 통신채널의 할당제어와 핸드오버(Hand Over)결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이다.
또한, 참조번호 4는 기지국 제어기(3)를 통해 여러 기지국(2)에서 요구하는 통화요구를 처리하여 연결하고 통화가 끝날때까지 신호를 계속 처리하는 것으로, 모든 기지국(2)을 총괄관리, 조정/통제하는 기능외에, 모든 이동 단말기(1)의 가입사항 관리, 요금 부과 기능, 이동 단말기가 어느 셀내에 있는가를 기록 유지하는 기능, 공중교환전하망(PSTN)(6)에 접속되어 일반 유선 단말기와 이동 단말기(1)를 연결하는 기능을 가지는 이동전화 교환기이고, 5는 수용되는 각 이동 단말기(1)에 대한 고유번호, 과금처리 기준 등을 저장하여 상기 이동전화 교환기(4)가 임의의 이동 단말기(1)에 대한 사용허가와 과금처리 등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증센터이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 제어기(3)와 기지국(2)은 LAPD 프로토콜, 기지국(2)과 이동 단말기(1)는 LAPDm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된 셀룰라 이동전화 시스템에 있어서는 임의의 이동 단말기(1)가 임의의 지역내에 있게 되면, 그 지역을 관할하는 기지국(2)은 해당 이동 단말기(1)의 존재를 확인하여 이를 기지국 제어기(3)로 보고하게 되고, 이동전화 교환기(4)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3)를 통해 통화를 요구하는 이동 단말기(1)의 등록상태를 인증센터(5)로부터 확인한 후 기지국(2)을 통해 통화에 필요한 암호코드 등을 할당함으로써 해당 이동 단말기(1)를 사용가능상태로 설정함과 더불어, 다른 이동 단말기(1)로부터의 호출 등을 해당 이동 단말기(1)로 연결시켜 주게 된다.
한편, 제2도는 상기 기지국(2)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 도면에서 참조번호 21은 기지국 제어기(3)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것으로, 트래픽 신호를 주고 받는 디지털 분산 서브 시스템이고, 22는 상기 디지털 분산 서브 시스템으로부터 기준 클럭을 제공받아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 기능 서브 시스템이고, 23은 상기 타이밍 신호에 따라 트래팩 신호를 주고 받으므로써, 기저대역 신호처리, 기저대역 변복조, 물리 계층의 제어, LAPDm/LAPL 기능 수행, 무선전원과 무선 송수신기의 관리 등을 수행하는 무선 송수신서브 시스템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24는 안테나와 무선 송수신 서브 시스템(23)의 사이에 접속되어 무선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것으로, RF(Radio Frequency) 캐리어 결합/분할, RF와 안테나 테스트 기능, 송수신 신호분리를 수행하는 안테나 접속 서브 시스템이고, 25는 기지국을 구성하고 있는 각 서브 시스템(21~26)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고 그 결과를 기지국 제어기(3)로 전송하도록 하며, 상기 기지국 제어기(3)의 명령을 받아 기지국(2)을 관리하는 기지국 관리 서브 시스템, 26은 상기 기지국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서브 시스템(21~25)으로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는 전원공급 서브 시스템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기존의 기지국은 기지국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어 주로 종속적인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기지국 제어기의 명령에 의해 무선 주파수 사용 환경을 설정한다.
그런데, 앞으로의 개인통신사업이 치열해짐과 무선 통신의 상황에 대해 잘 알고 있는 통신 회사 노조의 파업 등에 의해 단말기의 기능 변경을 통한 무선 자원에 대한 악용의 여지가 있다.
예를 들면, 통화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기지국의 접속 가능한 제어 채널을 반복적으로 점유하여 다른 단말기의 접속을 방해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필요이상으로 기지국 접속 요구가 잦은 이동 단말기의 접속을 제한하도록 한 개인통신시스템용 기지국의 단말기 접속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로부터 통화를 위한 접속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 접속 요구 메시지로부터 단말기 고유번호를 읽어 기 등록된 번호인가를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접속을 요구하는 단말기가 기 등록된 상태가 아니면 그 단말기의 고유번호와 접속 시간을 저장하고 상기 접속 요구를 한 단말기가 기 등록된 상태이면 이전에 접속된 시간을 읽어 현재 시간과 비교한 후 그 접속 간격이 규정치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제2단계 및; 상기 기 등록된 단말기의 접속간격이 규정치 이상이거나 단말기 고유번호 및 접속시간을 저장한 후에는 접속을 처리하고, 상기 기 등록된 단말기의 접속간격이 규정치 이하이면 접속을 금지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이상으로 기지국 접속 요구가 잦은 이동 단말기의 접속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개인통신시스템용 기지국의 단말기 접속제어 처리 흐름도로, 단말기로부터 통화를 위한 접속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ST 31 단계), 이 접속 요구 메시지로부터 단말기 고유번호를 읽어(ST 32 단계), 기 등록된 번호인가를 판단한다(ST 33 단계).
상기 판단결과, 접속 요구를 한 단말기가 기 등록된 상태이면 이전에 접속된 시간을 읽어(ST 34 단계), 현재 시간과 비교하면(ST 35 단계), 그 접속 간격이 규정치 이하인가를 판단한 후(ST 36 단계), 규정치 이하이면 접속을 금지시킨다(ST 37 단계).
반면, 상기 접속을 요구하는 단말기가 기 등록된 상태가 아니면(ST 33 단계), 그 단말기의 고유번호와 접속 시간을 저장하고 접속을 처리하며(ST 38,39 단계), 상기 기등록된 단말기의 접속간격이 규정치 이상이면(ST 36 단계), 접속을 처리한다(ST 39 단계).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필요이상으로 기지국 접속 요구가 잦은 이동 단말기의 접속을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단말기로부터 통화를 위한 접속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이 접속 요구 메시지로부터 단말기 고유번호를 읽어 기 등록된 번호인가를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접속을 요구하는 단말기가 기 등록된 상태가 아니면 그 단말기의 고유번호와 접속 시간을 저장하고 상기 접속 요구를 한 단말기가 기 등록된 상태이면 이전에 접속된 시간을 읽어 현재 시간과 비교한 후, 그 접속 간격이 규정치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제2단계 및; 상기 기 등록된 단말기의 접속간격이 규정치 이상이거나 단말기 고유번호 및 접속시간을 저장한 후에도 접속을 처리하고, 상기 기 등록된 단말기의 접속간격이 규정치 이하이면 접속을 금지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통신시스템용 기지국의 단말기 접속 제어방법.
KR1019950071064A 1995-12-31 1995-12-31 개인통신시스템용 기지국의 단말기 접속 제어 방법 KR0179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71064A KR0179204B1 (ko) 1995-12-31 1995-12-31 개인통신시스템용 기지국의 단말기 접속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71064A KR0179204B1 (ko) 1995-12-31 1995-12-31 개인통신시스템용 기지국의 단말기 접속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038A KR970056038A (ko) 1997-07-31
KR0179204B1 true KR0179204B1 (ko) 1999-05-15

Family

ID=19448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71064A KR0179204B1 (ko) 1995-12-31 1995-12-31 개인통신시스템용 기지국의 단말기 접속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92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7165A (ko) * 1997-09-29 1999-04-15 구자홍 네트워크 접속시간 제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038A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87736B1 (en) Spread spectrum wireless telephone system
US6615035B1 (en) Publi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patib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5946633A (en) Method and terminal for high bandwidth cellular data transmission
WO199501566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subscriber station in a radio system
JPH1024344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呼設定方法
US6041231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th roaming function
JP4652579B2 (ja) 無線通信網の移動局で遠隔通信チャネルへのアクセス権限を付与する方法および移動局
JP3057000B2 (ja) 無線チャネル共用方法および装置
US65101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acket data service in a communication system
US5329574A (en) Method for improving telephone resource access in a communication system network
US6275943B1 (en) Procedure for carrying out checking functions relating to safety management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or in a wireless local network
US6064891A (en) Device for connecting a telephone switch to a fixed telephone network via a plurality of fixed radiotelephone terminals of a radiotelephone network
JP3614823B2 (ja) 無線チャネル割当システム、制御局、移動局、移動局における無線チャネル割当方法、及び、無線チャネル割当制御プログラム
KR0179204B1 (ko) 개인통신시스템용 기지국의 단말기 접속 제어 방법
KR0179594B1 (ko) 개인통신시스템용 기지국에서 잦은 핸드오버시의 단말기 제어 방법
US6438113B1 (en) Method for sharing an associated control channel of mobile station us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0179597B1 (ko) 개인통신시스템용 기지국에서 급격한 신호레벨 변경시 단말기 제어 방법
US6952585B1 (en) Multi-channel communication system for wireless local loop communication
KR0179201B1 (ko) 개인통신시스템용 기지국에서 반복 페이징에 대한 응답 횟수 모니터링 방법
KR100198217B1 (ko) 이동전화 시스템의 예약접속 처리방법
JP3048883B2 (ja) 電話装置
US6892079B1 (en) Procedure for setting up a call in a wireless local loop
KR0179501B1 (ko) 다수개의 무선 단말기를 구비한 무선 전화시스템에서의 통화제어방법
JP2928109B2 (ja) 簡易型携帯電話システムにおける不正使用者の繰り返し発信によるネットワーク側への発信処理負荷を軽減する方法
KR0179206B1 (ko) 고유정보 저장 카드를 이용한 접속 제어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