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5731B1 - 광가입자 전송 시스팀 타합 장치 - Google Patents

광가입자 전송 시스팀 타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5731B1
KR0175731B1 KR1019950023943A KR19950023943A KR0175731B1 KR 0175731 B1 KR0175731 B1 KR 0175731B1 KR 1019950023943 A KR1019950023943 A KR 1019950023943A KR 19950023943 A KR19950023943 A KR 19950023943A KR 0175731 B1 KR0175731 B1 KR 0175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transmission system
pstn
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3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3896A (ko
Inventor
김진희
임현민
권순철
Original Assignee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준
Priority to KR1019950023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5731B1/ko
Publication of KR970013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3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5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57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7Arrangements for net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가입자전송시스팀 타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동기식신호의 오버헤드 채널인 E1, E2를 이용하여 각 시스팀간의 타합기능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운용자간의 다양한 정보교환 및 운용자 부재시에도 운용유지보수의 중단이 없이 장비를 운용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전송장비가 점대점이 아닌 선형, 링형, 허브형등으로 운용시에도 타합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광가입자전송시스팀 타합장치
본 발명은 점대점, 허빙, 선형 및 링구조를 갖고 가입자망에 설치 운용될 광가입자전송시스팀의 타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기식 신호상의 오버헤드 채널인 E1,E2 두 채널을 이용하여 시스팀간 운용자 채널을 확보하고, 또한 시스팀 운용자와 일반 외부 가입자간의 신속한 정보교환과 유지보수기능을 향상시킨 PSTN접속기능을 제공하는 타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기존 국간 전송장비에서 사용되고 있는 타합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타합장치는 타합전화기반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어 단국 또는 중계국을 선별호출 및 통화를 가능하게 하여 운용자의 장비점검을 용이하게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 기본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운용자 키패드(11)를 누르면 특정장비 혹은 전체장비를 선택하는 DTMF신호가 발생하여 증폭/믹서부(12)를 통해 신호가 증폭되어 부호화/역부호화 모듈(13)의 코딩과정을 거쳐 디지틀 신호로 RS422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출되어 특정국과 패스가 연결되고 핸드셋을 이용하여 운용자간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기존의 단국이나 중계국에서 사용되었던 타합장치는 운용자 키패드(11)로 특정국을 선택하면 발신측과 수신측의 통화로가 구성되는 일종의 점대점(Point-to-Point)접속만 가능하고 같은 종류의 장비간에만 접속이 가능하였다. 이런 제한은 운용자간의 다양한 정보교환을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장비운용자가 부재시 운용유지보수가 중단될 수도 있다.
또한, 국간전송만을 주도해 왔던 기존 전송장비는 가입자의 서비스요구가 기존 음성서비스에서 탈피하여 더욱 다양하고 고속의 광대역 서비스로 변화됨에 따라 새로운 개념의 전송장비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 장비는 가입자망에 놓이게 됨으로서 가입자를 수용시 수용구역제한을 극복할 수 있는 형태(선형, 링형, 허브형)의 장비 및 운용방식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은 종래 요구사항을 감안하여, 운용자간의 다양한 정보교환, 운용자 부재시에도 운용유지보수의 중단이 없는 장비 운용, 그리고 전송장비가 점대점이 아닌 선형, 링형, 허브형등으로 운용시에도 타합기능을 할 수 있는 광가입자전송시스팀(이하 FLC)의 타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 국간장치 타합반의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광가입자전송시스팀 및 타합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광가입자전송시스팀내에서의 상호접속을 도시한 블럭도.
제4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타합장치의 블럭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광가입자전송시스팀 타합장치의 전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키패드 12 : 증폭/믹서 회로부
13 : 부호부/역부호화 모듈 21 : 모국장치부
22 : 자국장치부 31 : 제어부
32 : A/D 변환 모듈 33 : PSTN 구동부
34 : 톤발생/ 신호처리 모듈 35 : 주제어부
36 : 광송수신 모듈 37 : 광송수신 모듈
38 : 광송수신 모듈 39 : 제어 모듈
41 : A/D 변환 모듈 42 : PSTN 구동부
43 : 아날로그신호 처리부 44 : 전화기 구동부
45 : 톤 발생기 46 : DTMF 신호처리부
47 : 식별자 선택부 48 : 제어부
49 : 스피커 구동부 51 : 폰(phone)
52 : 스위치 100 : 타합장치부
200 : 운용부 300 : 공통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광가입자전송시스팀 타합 장치는 FLC내에 운용부를, 상기 운용부내에 타합장치를 각각 둔 모국장치부와 자국장치부가 국사 및 가입자측에 각각 분리 배치되어 동기식신호의 오버헤드 채널인 E1, E2를 통해 각각 PCM코딩신호로 변환된 정보를 전송하고, 이 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시켜 운용자에게 출력, 또는 그 역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및 특징들,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광가입자 전송시스팀 및 타합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로서, FLC(Fiber Loop Carrier)는 국사에 위치하는 모국장치(21)(COT : Central Office Terminal)와 가입자측에 위치하는 자국장치(22)(RT : Remote Terminal)로 분리 배치되어 운용부내 타합장치(23)를 각각 두고 동기식신호의 유지보수 채널인 E1, E2를 통해 각각 64kbps PCM 코팅신호로 변환된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타합장치는 PCM코딩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시켜 운용자에게 출력하며 또한, 그 역기능을 수행하여 제2도처럼 FLC가 선형(B), 링형(D) 그리고 허브형(C)으로 운용시에도 각종 비상호출을 할 수 있으며 또한, PSTN 접속이 가능토록 운용부 후면판에 접속단자를 마련하여 시스팀 운용자간 혹은 일반 외부 가입자간의 신속한 유지보수 기능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전국 어느 곳(일반전화, FLC 장치가 있는 곳)에서든지 각종 비상호출을 가능케 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광가입자전송시스팀내에서의 상호 접속을 도시한 블럭도로서, FLC 공통부(300), 운용부(200) 및 타합장치(100)로 구성된다.
상기 FLC 타합장치(100)는 크게 제어부(31), A/D변환모듈 (32), PSTN구동부(33), 톤발생/신호처리 모듈(34)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공통부(300)의 주제어부(35)와 운용부(200)내의 제어모듈(39)간에 IPC 통신으로 타합장치의 탈장경보를 비롯한 상태정보에 대한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며 장치의 고유한 SITE ID는 제어부(31)에 저장된다. 타합장치가 고유의 SITE ID와 일치하는 ID를 수신하면 PSTN연결, CALL제어, 톤 발생등의 타합기능을 제공하며, 타 ID를 수신시 OW1, OW2, OW3 포트를 통해 타 SITE의 타합장치로 보낸다.
상기 제2도처럼 다양한 형태의 FSL 운용구조를 위해 한개의 타합장치는 공통부(300)의 광송수신모듈(36 ~ 38)을 3개까지 연결할 수 있도록 타합장치의 후면판에 3개의 포트를 두어 각 방향(EAST, WEST, NORTH)으로 타합접속이 가능하다. 또한, 운용부(200) 후면판에 2W(T,R)접속단자를 마련하여 PSTN접속이 가능토록 하였다. 이 단자를 통해 링신호, 호출음, 링백음 그리고 DTMF 등의 신호처리가 가능하다.
제4도는 제3도에서 사용된 타합장치의 블럭도이다.
A/D변환모듈(41)은 PCM CODEC과 클럭 송수신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FLC가 제2도에서처럼 다양한 토플로지(선형, 링형, 허브형)의 망구조에 적용될 때 각 방향으로의 연결을 위해 FLC공통부(300)와 타합장치의 후면판(100)에 각각 3개의 포트(OW1, OW2, OW3)가 취부되어 있다.
이들 포트는 RS422전기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FLC공통부의 광송수신 모듈(36, 37, 38)의 E1, E2신호를 전달한다. A/D변환모듈(41)은 E1, E2의 64kbps데이타와 클럭을 수신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신호는 PCM64kbps로 변환하여 RS422을 통해 광송수신모듈로 전달한다.
PSTN구동부(42)는 PSTN망에서 타합장치를 호출시, 타합장치에서 PSTN망을 호출시 구동하는 회로부로서 PSTN에서 발생되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부로 보내 PSTN연결동작이 가능토록 한다.
아날로그 신호처리부(43)는 3개의 PCM CODEC으로 부터의 아날로그신호를 핸드셋이나 PSTN으로 송출한다. 또한 핸드셋과 PSTN으로 부터 수신된 아날로그신호를 A/D변환모듈(41), DTMF신호처리부(46) 그리고 스피커 구동부(49)로 보낸다.
전화기 구동부(44)는 전화기와 타합장치를 접속하여 전화기에 통화전류공급, 전화기상태 검출, DTMF 신호 신호전달기능을 담당한다.
톤발생부(45)는 제어부의 명령하에 특정 타합장치가 호출되고 있음을 발신측으로 알리는 링백톤(440Hz + 480Hz)과 호출시 사용하는 1kHz톤을 발생시킨다.
DTMF신호처리부(46)는 아날로그신호처리부(43)에서 오는 DTMF신호를 증폭하여 디지틀 데이타로 변환하여 제어부(48)로 연결하고 또한, 제어부에서 송출한 디지틀 데이타를 DTMF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신호처리부로 보내면 각 방향으로 전송하게 된다.
식별자 선택부(47)는 스위치로 이루어져 고유한 SITE ID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48)는 식별자 선택부(47)에서 설정한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PSTN발신, PSTN수신, 개별호출, 그룹호출 그리고 전체호출을 판별 및 제어하고 그 결과를 LED 및 음성신호로 표현하도록 제어한다.
스피커구동부(49)는 증폭회로로 구성되어 호출음의 크기를 항상 일정 레벨 이상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타합장치에서 사용된 E1, E2 채널에 대해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E1, E2 채널의 정의 내려보면, E1, E2채널은 동기식 신호의 오버헤드 부분에 존재하는 채널로서 ITU-T(International Telocommunication Union Standardization Sector : 국제전기통신연합 표준화 분야 기구)에서 타합(orderwire)용 채널로 사용하도록 권고되어 있는 채널이다.
따라서 이미 공지된 채널을 이용하는 것이며, E1, E2 채널을 본 발명에서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 하기에서 기술한다.
본 발명에서는 광가입자전송시스템(FLC)을 이용하여 상기 제2(a),(b),(c),(d) 처럼 다양한 형태의 망구성이 가능한데, 이는 155Mbps 동기식 신호(도면에서 COT와 RT간)상의 오버헤드에 E1, E2채널이 존재하며, 이 채널을 COT 와 RT간에 상호 연결시켰기 때문이다.
E1, E2 채널은 일반적인 음성채널과 동일한 방법, 그리고 동일한 전송속도인 64Kbps로 운용된다.
즉, 일반전화를 사용하듯 본 발명의 장치인 제2도의 타합반에 핸드-셋(Handset)을 연결하여 (a),(b),(c),(d) 구성도의 특정 사이트(site)를 호출하고, 이 호출신호는 타합반내의 PCM codec에서 64Kbps 디지탈 신호로 처리되어 제3도의 공통부내 광전송모듈(36)로 전달이 되어 E1이나 E2채널에 실려 광신호로 선택한 사이트(COT 혹은 RT)에 전송된다.
각 사이트에서는 상기와 같은 E1이나 E2채널을 확인하여 자신의 ID와 일치하는 호출일때 타합반의 스피커를 통해 호출음을 구동하여 운용자를 호출하면 발신자와 수신자간 통화로가 구성되고, 통화내용은 다시 E1, E2 채널을 통해 서로 전달된다.
이처럼 E1, E2 채널을 통해 발신자와 수신자간의 ID및 통화내용을 전달하며, 이러한 전달기능은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E1, E2 채널이 타합용 채널로 이미 권고된 것이고 이를 그대로 이용한 것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합장치의 전면도이다.
FLC장비간호출을 위해 먼저 PHONE(51)으로 명명된 모듈러잭에 운용자의 핸드셋을 연결하여 스위치(52)를 TALK위치에 두고 통화를 원하는 수신측 SITE ID(3자리 혹은 4자리)를 핸드셋으로 선택하면 해당 SITE의 타합장치에서 이를 인식하여 호출음(1kHz, 1초속 2초단)을 발생하여 스피커와 LED를 구동시키며 발신측으로는 정상적인 호출을 하고 있음을 알리기 위해 링백톤을 송출한다.
이때 수신측 운용자가 핸드셋을 (51)에 연결하여 스위치(52)를 TALK위치에 두면 통화로가 구성된다. 통화가 종료되어 HOOK ON시에는 '#*' 버튼을 입력한다. 발신측은 개별, 그룹, 전체호출도 시도할 수 있으며 각 호출에 일치하는 LED가 구동된다. 모국(COT)이나 자국(RT)에서 PSTN 호출을 시도하는 경우, #77에 이어 PSTN포트가 있는 SITE ID를 입력하면 PSTN포트가 있는 시스팀의 타합장치에서 이를 인식하여 PSTN패스를 구성하고 발신측으로는 일반전화처럼 다이얼톤을 들려주어 전화번호 입력이 가능토록 한다. 통화 종료시에는 '#*' 버튼을 입력한다.
역으로, PSTN망의 운용자가 FLC시스팀(COT, RT)의 운용자를 호출하는 경우, PSTN망의 운용자는 FLC시스팀에 할당된 PSTN번호를 지정하면 FLC에서 링신호를 검출하여 통화로 패스를 구성하고 동시에 발신측에 1kHz톤을 2초동안 송출하여 특정 SITE가 호출신호를 수신할 준비가 되었음을 알린다.
발신측은 톤을 감지한 후 특정 SITE(COT나 RT)를 선택하면 해당 SITE의 타합장치에서 벨을 구동시키고 다시 발신측으로 링백톤을 송출한다. PSTN망에서도 개별호출, 그룹호출, 전체호출 모두 가능하고 통화가 종료되어 HOOK ON을 하기 위해 '#*' 버튼을 입력한 후 종료시킨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가입자전송시스팀 타합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운용자간의 다양한 정보교환 및 운용자 부재시에도 운용유지보수의 중단이 없이 장비를 운용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전송장비가 점대점이 아닌 선형, 링형, 허브형등으로 운용시에도 타합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광가입자전송시스팀의 타합장치에 있어서, 광가입자전송시스팀내에 운용부를, 상기 운용부내에 타합장치를 각각 둔 모국장치부와 자국장치부가 국사 및 가입자측에 각각 분리 배치되어 동기식신호의 오버헤드 채널인 E1, E2를 통해 각각 PCM 코딩신호로 변환된 정보를 전송하고, 이 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시켜 운용자에게 출력, 또는 그 역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전송시스팀의 타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부는 PSTN 접속이 가능하도록 그 후면판에 접속단자를 둔 것을 특징을 하는 광가입자전송시스팀의 타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국장치부가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고, 그 공통부가 서로 일대일 대응으로 동기식신호의 오버헤드 채널로 연결되어 시스팀간 타합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전송시스팀의 타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국장치부가 적어도 세개 이상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공통부에 적어도 두개 이상의 공통부가 동기식신호의 오버헤드 채널로 연결되어 시스팀간 타합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전송시스팀의 타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국장치부가 적어도 두개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모국장치부의 공통부와 서로 링형의 구조로 동기식신호의 오버헤드 채널로 연결되어 시스팀간 타합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전송시스팀의 타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M 코딩신호는 64kb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전송시스팀의 타합장치.
  7. 운용자간 다양한 정보교환과 유지보수 기능 향상을 위하여, 동기식신호의 오버헤드 채널인 E1, E2신호와 클럭을 수신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이 신호를 다시 PCM데이타로 변환하여 광송수신 모듈에 전달하기 위한 A/D 변환모듈부와, PSTN에서 발생되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부로 보내 PSTN 연결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PSTN구동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PCM CODEC으로 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핸드셋이나 PSTN으로 송출하고, 또한 핸드셋과 PSTN으로 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A/D 변환모듈부, DTMF 신호처리부, 그리고 스피커구동부로 전송하기 위한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와, 전화기와 타합장치를 접속하여 전화기에 통화전류공급, 전화기상태검출, DTMF신호 신호전달기능을 하기 위한 전화기 구동부와, 제어부의 명령하에 특정 타합장치가 호출되고 있음을 발신측으로 알리는 제1톤과 호출시 사용하는 제2톤을 발생시키기 위한 톤 발생부와, 상기 아날로그신호처리부에서 오는 DTMF신호를 증폭하여 디지틀데이타로 변환하여 제어부로 연결하고 또한, 제어부에서 송출한 디지틀 데이타를 DTMF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로 전송하는 DTMF 신호 처리부와, 스위치로 이루어져 고유한 SITE ID를 설정하는 식별자 선택부와, 상기 식별자 선택부에서 설정한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PSTN발신, PSTN 수신, 개별호출, 그룹호출 그리고 전체호출을 판별 및 제어하고 그 결과를 LED 및 음성신호로 표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증폭회로로 구성되어 호출음의 크기를 항상 일정 레벨 이상 유지시키는 스피커 구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전송시스팀 타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D 변환모듈은 PCM 신호처리부가 3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전송시스팀 타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PCM신호처리부는 3개의 광송수신모듈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전송시스팀 타합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톤 발생부의 제1톤 및 제2톤은 각각 440Hz + 480Hz톤과 1kHz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전송시스팀 타합장치.
KR1019950023943A 1995-08-03 1995-08-03 광가입자 전송 시스팀 타합 장치 KR0175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3943A KR0175731B1 (ko) 1995-08-03 1995-08-03 광가입자 전송 시스팀 타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3943A KR0175731B1 (ko) 1995-08-03 1995-08-03 광가입자 전송 시스팀 타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896A KR970013896A (ko) 1997-03-29
KR0175731B1 true KR0175731B1 (ko) 1999-05-15

Family

ID=19422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3943A KR0175731B1 (ko) 1995-08-03 1995-08-03 광가입자 전송 시스팀 타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573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896A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78805B2 (ja) Atm交換機
US5913176A (en) System for virtual connection to dedicated PSTN lines
US4740955A (en)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voice and digital data capability and employing a plurality of voice and data buses in main service unit and serial packetized transmission to and from telephones
US5426692A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SE460166B (sv) Foerfarande och kopplingssystem foer oeverflyttning av dataanrop fraan en telefon till en digital terminal
US5327483A (en) Cordless phone and cordless phone system using such cordless phone
KR0175731B1 (ko) 광가입자 전송 시스팀 타합 장치
US6978000B2 (en) Key telephone system and interface unit for key telephone
KR950008118B1 (ko) 전화선로 배가 시스템
JPH0756533Y2 (ja) Isdn端末装置
JPS6277745A (ja) 音声デ−タ統合交換システム
JPS61203762A (ja) 切替通信方法
KR100402677B1 (ko)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아날로그가입자용 접속장치
KR870001098B1 (ko) 키텔레폰 시스템
JP2648128B2 (ja) Mca用交換機接続装置
JPH05167555A (ja) 時分割多重化装置
JPH0654081A (ja) 総合サービスディジタル網通信装置
JPH05122329A (ja) 電話交換システム
JPH02198264A (ja) オーダワイヤ装置
JPH01209846A (ja) 可聴音送出機能付きディジタル電話機
Hayashi et al. The present state of telephone development in Japan
JP2000138737A (ja) Isdn用電話装置
EP0683590A1 (en) Telephone exchange system
JPH09153956A (ja) Isdn用の通信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S63196137A (ja) 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