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3717B1 - 2개의 동기식 다위상 에이씨 네트워크를 상호접속하는 서셉턴스에 인가된 전압을 위상편이하는 위상편이 방법 및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 - Google Patents

2개의 동기식 다위상 에이씨 네트워크를 상호접속하는 서셉턴스에 인가된 전압을 위상편이하는 위상편이 방법 및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3717B1
KR0173717B1 KR1019950705065A KR19950705065A KR0173717B1 KR 0173717 B1 KR0173717 B1 KR 0173717B1 KR 1019950705065 A KR1019950705065 A KR 1019950705065A KR 19950705065 A KR19950705065 A KR 19950705065A KR 0173717 B1 KR0173717 B1 KR 0173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transformer
voltage
series
wind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5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2691A (ko
Inventor
삐에르 뺄레띠에
쟈끄 브로슈
프랑소와 보르가르
가스똥 모렝
Original Assignee
쟝-기 삐노
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쟝-기 삐노, 시테크 filed Critical 쟝-기 삐노
Publication of KR960702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2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3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37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46Controlling of the sharing of output between th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connecting networks of the same frequency but supplied from different sources
    • H02J3/06Controlling transfer of power between connected networks; Controlling sharing of load between connected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c-Ac Conversion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Power Conver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제1의 다위상 AC 네트워크의 위상라인을 제2의 다위상 AC 네트워크의 대응하는 위상라인과 상호접속하는 서셉턴스에 인가된 전압을 위상편이하는 방법으로서, 위의 2개의 AC 네트워크는 동기식이며, 2차 권선을 또한 가지며, 변압기의 1차 권선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서셉턴스와 직렬로 접속하는 접속단계, 상기 AC 네트워크로부터, 제1 AC 네트워크의 상기 위상라인에 의하여 제공된 위상전압에 대하여 위상각을 가지는 여자전압을 유도해내는 유도단계 및, 상기 2차권선의 적어도 일부분에 상기 여자전압을 인가하는 인가단계로 구성된다. 이로써 여자전압은 변압기를 통해 서셉턴스에 인가된 전압을 위상편이하도록 위상전압과 조합한다. 이 방법은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로서 실행되는 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는 용량성 및 유도성 서셉턴스와 직렬인 1차권선 및, 제1 AC 네트워크의 위상전압으로부터 유도된 여자전압을 수용하는 1차권선을 가지는 직렬 변압기 배열을 포함한다. 직렬 변압기 배열에 의해 발생된 위상편이 각은 서셉턴스와 직렬로 접속된 1차권선의 부분을 변경하거나 또는 여자전압의 진폭을 변조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Description

2개의 동기식 다위상 에이씨 네트워크를 상호접속하는 서셉턴스에 인가된 전압을 위상편이하는 위상편이 방법 및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
제1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상호접속장치 작업의 원리를 예시한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구적법(球積法)에서의 전압의 단사(injection)에 의해 발생된 위상편이(phase-shifting)를 도시한 위상도.
제3도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에서의 전력흐름(power flow)를 도시한 개략도.
제4도는 구적법에서의 전압의 단사를 위한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의 회로지선(circuit branch)을 도시한 개략도.
제5도는 제4도에 따른 전압 벡터를 도시한 위상도.
제6도는 120°의 위상각을 가지는 전압의 단사를 위한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의 회로 지선을 도시한 개략도.
제7도는 제6도에 따른 전압 벡터를 도시한 위상도.
제8도는 여자 변압기 배열(excitation transformer arrangements)을 사용하는 구적법에서의 전압의 단사를 위한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를 도시한 회로도.
제9도는 제8도에 따른 전압 벡터를 도시한 위상도.
제10도는 여자 변압기 배열을 사용하는 ±120°의 위상각을 가지는 전압의 단사를 위한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를 도시한 회로도.
제11도는 제10도에 따른 전압 벡터를 도시한 위상도.
제12도는 여자 변압기 배열을 사용하는 구적법에서의 전압의 독립적인 단사를 위한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를 도시한 회로도.
제13도는 제12도에 따른 전압 벡터를 도시한 위상도.
제14도는 여자 변압기 배열이 없는 구적법에서의 전압의 단사를 위한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를 도시한 회로도.
제15도는 제14도에 따른 전압 벡터를 도시한 위상도.
제16도는 여자 변압기 배열이 없는 ±120°의 위상각을 가지는 전압의 단사를 위한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를 도시한 회로도.
제17도는 제16도에 따른 전압 벡터를 도시한 위상도.
제18도는 상호접속 회로지선당 단일 전압의 단사를 위한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를 도시한 회로도.
제19도는 제18도에 따른 전압 벡터를 도시한 위상도.
제20도와 제21도는 단일 전압의 단사를 위한,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의 회로 지선을 도시한 개략도.
제22도는 스쿼시드 델타(squashed delta) 구성에서의 위상편이 변압기 배열을 가지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를 도시한 회로도.
제23도는 제22도에 따른 전압 벡터를 도시한 위상도.
제24도는 제22도에 도시한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를 위한 전력반전 스위치회로를 도시한 개략도.
제25도는 Mersereau 구성에서의 위상편이 변압기 배열을 가지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를 도시한 회로도.
제26도는 제25도에 따른 전압 벡터를 도시한 위상도.
제27도, 제28도 및 제29도는 6위상(hexaphase) AC 네트워크를 위한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의 3개의 동작모드에 대한 전압 벡터를 도시한 위상도.
제30도는 6 위상 AC 네트워크를 위한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제31도는 제30도에 도시한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를 위한 직렬 변압기 배열을 도시한 회로도.
제32도는 제30도에 도시한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를 위한 여자 변압기 배열을 도시한 회로도.
제33도는 제30도에 도시한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를 위한 모드선택 스위치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제34도는 제30도에 도시한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의 각각의 동작모드에 대한 특성을 도시한 표.
제35도는 6 위상 네트워크를 위한 스쿼시드 델타 구성에서의 위상편이 변압기 배열을 가지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를 도시한 회로도.
제36도, 제37도 및 제38도는 2개의 동일한 부분으로 나뉘어진 서셉턴스(susceptance)를 가지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의 회로 지선을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17, 30, 32, 34, 42, 44, 46, 54, 56, 58, 66, 68, 70, 134, 136 : 1 차권선
6 : 변압기 8, 10 : 지선지점
12, 14 : 서셉턴스 16, F.31 : 직렬 변압기 배열
18, F.32 : 여자 변압기 배열
19, 22, 36, 38, 40, 48, 50, 52, 72, 74, 76, 146, 148, 150, 152 : 2차권선
24, 26, 128, 130 : 탭 변경기 25, 78, 158 : 탭단자
26 : 전력반전 스위치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서셉턴스를 사용하는 에이씨(이하, AC 라 칭함) 네트워크 상호접속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와 같은 서셉턴스에 인가된 전압을 위상편이하는 위상편이 방법 및 2개의 동기식 다위상 AC 네트워크사이에서의 전력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종래 AC 네트워크 상호접속장치의 서셉턴스에 인가된 위상편이된 전압은 위상 전위장치 및/또는 변압기 권선(捲線)(예를 들면, Y-y, Y-d1, Y-y6 등 - 접속권선의 조합)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발생되었다. 따라서, 완전한 360°범위 주위에서 30°단계씩 전압 위상편이의 배수 각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방법은 상호접속장치에 의해 전송된 전체 전력의 순환을 유지하기 위하여 변압기가 특정한 크기어야하는 결점이 있다.
더욱이, 360°주위에서 위상편이각의 연속(continuum)이 종래의 상호 접속장치를 위한 변압기 권선의 부분적인 지그재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더라도, 위와 같은 토포그래피(topography)는 효율성 때문에 사실상 고려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목적은 2개의 동기식 AC 네트워크를 상호접속하는데 사용되는 서셉턴스에 인가된 전압을 위상편이하는 위상편이 방법을 제공하고, 종래기술의 방법 및 상호접속장치의 앞서 언급한 결점을 극복하는, 2개의 동기식 다위상 AC 네트워크사이에서 전력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기술의 상호접속장치에 의해 요구되는 변압기에 비하여 MVA 정격과 뚜렷하게 감소된 크기의 변압기를 사용하는 위와 같은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용가능한 위상편이 각의 연속체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제1의 다위상 AC 네트워크의 위상라인을 제2의 다위상 AC 네트워크의 대응하는 위상라인과 상호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셉턴스에 인가된 전압을 위상편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2개의 AC 네트워크는 동기식이며, 이 방법은,
2차 권선을 또한 가지며, 변압기의 1차 권선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서셉턴스와 직렬로 접속하는 접속단계,
상기 AC 네트워크로부터, 제1 AC 네트워크의 상기 위상라인에 의해 제공된 위상전압에 대하여 위상각을 가지는 여자전압(excitation voltage)을 유도하는 유도단계 및,
상기 2차권선의 적어도 일부분에 상기 여자전압을 인가하는 인가단계로 구성되며, 이로써, 상기 여자전압은 상기 변압기를 통해 상기 위상전압과 조합하여 상기 서셉턴스에 인가된 상기 전압의 위상편이를 일으킨다.
본 방법은 상기 변압기에 의해 발생된 위상편이의 각을 변경하는 부가적인 변경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단계는 상기 위상편이를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서셉턴스와 직렬로 접속된 1차 권선의 상기 적어도 일부분을 조정하거나 또는, 상기 여자전압의 진폭을 변조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제1 및 제2 동기식 다위상 AC 네트워크 각각의 위상라인을 상호접속하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는 상호접속이 된 각각의 위상라인의 각 쌍에 대하여,
제1 및 제2 공통 지선지점을 갖춘, 상기 지선지점을 개별적으로 상기 각각의 위상라인에 접속하기 위하여 접속수단이 제공된 병렬의 회로 지선쌍 및,
상기 서셉턴스중 적어도 하나의 서셉턴스에 인가된 전압을 위상편이하는 직렬 변압기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로 지선은 각각 유도성 및 용량성 서셉턴스를 포함하며,
상기 직렬 변압기수단은 일부분이 상기 서셉턴스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셉턴스와 직렬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1차 권선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AC 네트워크에서 유도된 여자전압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2차 권선을 포함하며, 상기 여자전압은 상기 각각의 위상라인중 한 위상라인에 의해 제공된 위상전압에 대하여 위상 각을 가지며, 이로써, 동작시, 상기 여자전압은 상기 변압기를 통하여 상기 위상전압과 조합하여 상기 서셉턴스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셉턴스에 인가된 전압을 위상편이한다.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는 상기 직렬 변압기수단 각각에 의해 발생된 위상편이의 각을 변경시키는 변경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변경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1 차권선 각각과 연결된 탭 변경기(tap changer)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서셉턴스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셉턴스와 직렬로 접속된 1 차권선의 적어도 일부분을 조정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변경수단은 상기 여자전압 각각을 변조하는 여자 변압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여자 변압기수단은
상기 제1 AC 네트워크의 위상전압을 수용하기 위하여 개별적으로 배열된 1 차권선 및 제1 AC 네트워크의 위상전압과 동조하여 개별적으로 조정가능한 전압을 발생하기 위하여, 탭 변경기 또는 조정기가 제공된 2차권선을 가지며, 상기 여자전압 각각은 상기 조정가능한 전압중 적어도 대응하는 한 전압으로부터 유도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구현되는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의 완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후속하는 설명과 도면에 있어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분 또는 부합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제1도에는, 제1의 3 위상 AC 네트워크(S)(소오스(Source)의 경우)와 제2의 3 위상 AC 네트워크(R)(수신기(Receiver)의 경우) 사이에서 전력 상태를 제어하는 종래기술의 상호접속장치 작업의 원리를 예시한 개략도를 도시하였다. 상호접속장치의 서셉턴스(B1, B2, …Bn)에 인가된 위상편이 전압(이 값은 통상 어드미턴스(admittance)의 허수부분과 등가이지만 개략적인 회로도에서 단일 캐패시터 또는 단일 인덕터로 표시될 수 있는 리액티브 그룹을 지정함으로써 이하 더 넓은 의미를 취한다)은 박스(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적당한 위상 전위장치 및/또는 Y, Δ 및/또는 지그재그(ZZ) - 접속권선을 갖춘 변압기에 의해 발생된다. 위와 같은 상호접속장치에 있어서, 화살표(P)로 나타낸 바와 같이, AC 네트워크(S)에서 AC 네트워크(R)까지 전송된, 전체 전력은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일정한 크기이어야만 하는 위상 전위장치 및/또는 변압기(2)를 통해 흐른다.
제2도와 제3도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서셉턴스(B1, B2, …Bn)에 의해 필요해진 위상편이(ψ)를 발생하기 위한 위상편이 구조를 필요로 한다. 특히, 본 방은 전압(VS)의 계수와는 대략 동일하지만 위상이 서로 다른 계수를 가지는 결과적인 전압(VS)을 구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AC 네트워크에서 유도된 전압(VS)에 바람직하게 구적법에서의 비교적 적은 전압(VQ)을 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실상, 적은 전압(VQ)은 비교적 적은 변압기(6)의 1 차권선(4)에 AC 네트워크(S)의 위상전압의 위상편이 단편(fraction)을 포함함으로써 발생된다. 1 차권선(4)은 고찰중인 서셉턴스(B1, B2, …Bn)와 직렬로 접속되어있다. 따라서, 서셉턴스(B1, B2, …Bn)로부터 상방의 (서셉턴스에 대하여 AC 네트워크(S)의 측부상에) 전압(VS1)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 차권선(4)에서의 위상전압(VS)과 전압(VQ)의 벡터합으로부터 발생하고, 위상편이 특성을 나타낸다. 상호접속장치는 보통 서로 다른 위상에서 나온 많은 전압으로서 인가된 복수개의 서셉턴스(B1, B2, …Bn)(용량성 및 유도성형태로 구성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정의 전압을 발생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1 차권선(4)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차권선(4)은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위상과 연결되어있다.)
위와 같은 토포그래피의 장점은 변압기(6)의 뚜렷한 크기감소와 그 MVA 정격에 있다. 왜냐하면, 상호접속장치에 의해 전송되는 전력(P)의 단편(P')만이 변압기(6)로 흐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장점은 적은 각도의 위상편이(ψ)일 경우 특히 유리하다. 위상편이(ψ)의 이용가능한 각도가 30°의 배수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또한 다른 장점이다. 사실상, 적은 전압벡터(VQ)의 계수는 변압기 비율을 다소 가변시킴으로써 변형되어, 위상편이 효과를 변경시킨다. 따라서, 위상편이(ψ)의 연속각이 이용가능하다.
제4도, 제5도, 제6도 및 제7도를 보면, 적은 전압(VQ)이 반드시 위상전압(VS)으로부터 (구적법에서의) 90°에 있어야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거의 90°와 동일한 전압 단사(일반적으로 비슷한 계수를 가지지만 위상이 서로 다른 새로운 전압을 발생하기 위하여 3 위상 AC 네트워크의 위상전압에 적은 전압을 더하는 것)의 각도에 의해 최대 효율을 얻게되더라도, 사실상 다른 각도가 더욱 적절할 가능성도 있다. 3 위상 시스템에서 있는 다른 위상으로 이루어진 전압으로부터 최대 효율을 쉽게 구해질 수 있기 때문에 120°의 경우 언급할 가치가 있다. 120°에서의 단사는 큰 값의 ψ로 동작하는 경우 전압(VS1)의 계수 증가량을 제한하는 장점이 있다. 90°에서의 단사는 일부분의 경우 2개의 다른 위상의 라인-라인 전압((VSB,VSC와 같은)으로부터 구해진다.
위상편이(ψ)에, 구적법에서의 또는 어떤 다른 각도에서의 적은 전압(VQ)을 더한다는 사실은, 하방(서셉턴스에 대하여 AC 네트워크(R)의 측부상에) 전압의 적은 변형을 발생한다. 전압(VS1)은 전압(VS)과 상이한 계수를 가진다. 종래의 위상편이 장치에 있어서, 차이점이 네트워크의 필요성과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방 및 하방전압의 계수에서의 위와 같은 차이점은 바람직하지 않은 전류흐름을 발생한다. 사실상, 위상편이 장치가 2개의 전력 네트워크를 상호접속하는 경우, 그 낮은 누출 임피던스만이 이러한 전류흐름을 제한한다. 같은 방식에 있어서, 위상편이(ψ)의 부적당한 조정은 위와 같은 전류를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전류를 제한하기 위하여, 종래의 위상편이 장치는 각도의 변동량에 대하여 그리고 심지어는 계수의 변동량에 대하여 계속해서 반응을 나타내어야만 한다. 몇몇 경우에 있어서, 2가지 정도의 자유(freedom)(계수 및 각도)를 가지는 위상편이 장치가 이러한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하다.
상호접속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서셉턴스는 위상편이 장치와 직렬로 삽입된다. 그 특성은 AC 네트워크의 전압, 계수 및 각 변동량에 대하여 버퍼와 같이 동작하며, 이러한 변동량에 그다지 민감하지 않은 액티브 및 리액티브 전력의 전송을 하는데 있다. 이와 유사하게, 설계하는 동안 서셉턴스의 값을 어느 정도 재조정함으로써 그 효과가 완전하게 보상될 수 있다하더라도, VS와 VS1사이에서 적은 계수의 차이는 전력 전송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따라서, 무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내용에 있어서, 제1 다위상 AC 네트워크(S)의 위상라인을 제2 다위상 AC 네트워크(R)의 대응하는 위상라인과 상호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셉턴스(B)에 인가된 전압(예를 들면, VSA1)을 위상편이하는 위상편이 방법으로서, 2개의 AC 네트워크는 동기식이며, 이 방법은,
변압기의 1 차권선(17)의 적어도 일부분을 서셉턴스(B)와 직렬로 접속하는 접속단계,
AC 네트워크로부터, 제1 AC 네트워크(S)의 위상라인에 의해 제공된 위상전압(예를 들면 VSA)에 대하여 편이된 위상을 가지는 여자전압(VSBVSC)을 유도하는 유도단계 및,
변압기의 2차권선(19)의 적어도 일부분에 여자전압을 인가하는 인가단계로 구성되며, 이로써, 여자전압은 변압기를 통해 위상전압과 조합하여 서셉턴스(B)에 인가된 전압의 위상편이를 일으킨다.
본 방법은 변압기에 의해 발생된 위상편이의 각을 변경하는 부가적인 변경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는 위상편이를 변경하기 위하여, 예컨대, 서셉턴스와 직렬로 접속된 1 차권선의 일부분을 조정하거나, 또는 여자전압의 진폭을 변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방법이 인가되어지는 방식은 이하 공지되어질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의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여자전압은 적절한 방식을 선택하여 위상전압에 대하여 예컨대, ±90°또는 ±120°의 위상각도를 가짐으로써 AC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된 위상전압을 사용한다. 여러 다른 위상각이 이러한 위상전압 또는 그로부터 유도된 다른 전압에 의해 또한 이용가능하다.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AC 네트워크(S)와 (R)의 동작조건과 그 사이에서 소정의 전력 전송의 동작 상태에 따라 모두 유리한 여러 토폴로지를 취한다.
일반적인 내용에 있어서,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는 제1 및 제2 동기식 다위상 AC 네트워크(S, R)의 각각의 위상라인(예를 들면, 위상(A-A, B-B) 등등)을 상호접속한다. 본 장치는 상호접속이 된 각각의 위상라인의 각 쌍에 대하여, 지선 지점(8, 10) 각각을 각각의 위상라인에 연결하는 코넥터가 제공된 제1 및 제2 공통 지선 지점(8, 10)을 가지는, 병렬형태의 한쌍의 회로 지선을 포함한다. 이러한 회로 지선은 유도성 및 용량성 서셉턴스(12, 14)를 각각 포함한다. 본 장치는 또한 서셉턴스(12, 14)중 적어도 하나의 서셉턴스에 인가된 전압을 위상편이하는 직렬 변압기 배열을 포함한다. 이러한 직렬 변압기 배열은 적어도 일부분이 서셉턴스(12, 14)중 적어도 하나의 서셉턴스에 직렬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1 차권선(17) 및, 적어도 일부분이 AC 네트워크로부터 유도된 여자전압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2차권선(19)을 포함하여, 각각의 위상라인중 한 라인에 의해 제공된 위상전압에 대하여 위상각을 가진다. 동작시, 여자전압은 변압기를 통해 위상전압과 조합하여 서셉턴스(12, 14)에 인가된 전압의 위상편이를 일으킨다.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는 또한 직렬 변압기 배열에 의해 발생되는 위상편이의 각을 변경하는 변경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변경구조는 서셉턴스(12, 14)와 직렬로 접속된 일부분을 조정하기 위하여 1 차권선(30, 32, 34)과 연결된 탭 변경기(78)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변경구조는 각각의 여자전압을 변형하기 위하여 여자 변압기 배열(18)에 의해 또한 성취될 수 있다. 여자 변압기 배열(18)은 제1 AC 네트워크(S)의 위상전압과 동조하여 각각의 조정가능한 전압을 발생하기 위하여, 제1 AC 네트워크(S)의 위상전압을 각각 수신하는 1 차권선(20) 및, 탭 변경기 즉, 비율 조정기(24)에 제공된 2차권선을 구비한다. 각각의 여자전압은 조정가능한 전압중 적어도 대응하는 전압으로부터 유도된다. 따라서, 위상편이 효과는 탭 변경기 또는 비율 조정기(24)에 의해 조정가능한 전압의 진폭을 변조함으로써 조정가능하다.
제8도에는, 3 위상 AC 네트워크를 상호접속하기 위하여, 직렬 변압기 배열(16)과 여자 변압기 배열(18)을 각각 제공하는 제1 및 제2의 3 위상 변압기를 포함하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제1의 3 위상 변압기는 Δ-접속 2차권선(36, 38, 40)과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3쌍의 1 차권선(30, 32, 34)을 구비하며, 제2의 3 위상 변압기는 접지된 저전압 탭 변경기(26)를 갖춘 3개의 2차권선(48, 50, 52)과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3개의 1 차권선(42, 44, 46)을 구비한다. 제2의 3 위상 변압기의 1 차권선(42, 44, 46) 각각은 그라운드와 제1 지선 지점(8)의 대응하는 한 지점사이에서 접속되고, 제2의 3 위상 변압기의 2차권선(48, 50, 52) 각각은 제1의 3 위상 변압기의 Δ-접속 2차권선(36, 38, 40)의 대응하는 상호접속지점에 접속된다.
여자 변압기 배열(18)의 사용은 탭 변경기(24)(또는 비율 조정기 또는 다른 어떤 적절한 장치)에 의해 단사된 전압의 변조를 허용한다. 따라서, 위상편이(ψ)와 그로부터의 액티브 및/또는 리액티브의 전력 전송이 변동한다. 전력흐름(PSR)(전력흐름(PRS)에 대한)의 전도는 각각의 2차권선(48, 50, 52)의 2개의 권선 단자접속부 사이에서 스위칭하기 위하여, 제1의 3 위상 변압기의 2차권선(36, 38, 40) 및, 제2의 3 위상 변압기(18)의 2차권선(48, 50, 52) 사이에서 접속된 전력반전 스위치(26)에 의해 저전압에서 성취될 수 있다. 탭 변경기(24)와 관련하여, 위상편이(ψ)의 부호는 변경된다.
제1의 3 위상 변압기의 1 차권선(30, 32, 34)의 감기비율(nSE1, nSE2)(turns ratio)은 위상편이 인터페이즈(interphase) 전력 제어기를 구성하는 동안 서로 다른 값으로 선택될 수 있음으로써 유도성 및 용량성 서셉턴스(12, 14)에 대하여 비대칭인 위상편이(ψ)를 구한다. 그러나, 동작시, 위상편이(ψ)는 1 차권선(30, 32, 34)의 각 쌍이 부호(●, ◆, ▲)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대응하는 공통 2차권선(36, 38, 40)과 결합하기 때문에 서로 변할 수 있다.
제9도에는, 위상전압(VSA,VCA)이 동조하는 경우 제8도에 도시한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의 위상(A)에 대하여 상방 및 하방전압(VSA,VRA)(위상전압), 위상편이된 전압(VSA1,VSA2) 및, 서셉턴스 전압(VLA,VCA)의 위상도를 도시하였다.
제10도에는, 단사가 구적법대신에 60°에서 수행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한,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위의 2개의 실시예의 차이점은 직렬 변압기 배열(16)을 접속하기위한 방식이다. 1 차권선(17)의 감기비율(nSE1, nSE2)은 위와 같은 경우 이러한 토포그래피로서 구해지는 새로운 여자전압을 채택하도록 개정되어야 하고, 서셉턴스(12, 14)의 값은 제11도의 대응하는 위상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상편이된 전압(VSA1,VSA2)의 계수에서의 변경을 고려하기 위하여 또한 조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직렬 변압기 배열(16)을 제공하는 제1의 3 위상 변압기는 3개의 그라운드-접속 2차권선(36, 38, 40)과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된 3쌍의 1 차권선(30, 32, 34)을 가진다. 여자 변압기 배열(18)을 제공하는 제2의 3 위상 변압기는 접지된 탭 변경기(24)를 갖춘 3개의 2차권선(48, 50, 52)과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된 3개의 1 차권선(42, 44, 46)을 가진다. 제2의 3 위상 변압기의 1 차권선(42, 44, 46) 각각은 그라운드와 제1 지선지점(8)중 대응하는 한 지선지점 사이에서 접속되고, 제2의 3 위상 변압기의 2차권선(48, 50, 52) 각각은 제1의 3 위상 변압기의 그라운드 접속 2차권선(36, 38, 40)중 대응하는 한 2차권선에 접속된다.
제12도에는, 제13도의 위상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도성 및 용량성 인덕턴스(12, 14)에 대한 위상편이(ψ)가 따로 따로 조정가능하다는 차이점을 가지는 제1 실시예와 또한 유사한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제1 및 제2, 3 위상 변압기는 직렬 변압기 배열(16)을 제공하고, 그 각각은 3개의 Δ-접속 2차권선(60, 62, 64)과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된 3개의 1 차권선(54, 56, 58)을 가진다. 제3의 3 위상 변압기는 접지된 탭 변경기(24)를 갖춘 3쌍의 2차권선(72, 74, 76)과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된 3개의 1 차권선(66, 68, 70)을 가지는, 여자 변압기 배열(18)을 제공한다. 제3의 3 위상 변압기의 1 차권선(66, 68, 70) 각각은 그라운드와 제1 지선지점(8)중 대응하는 한 지점사이에서 접속되고, 반면에, 제3의 3 위상 변압기의 2차권선(72, 74, 76)의 쌍 각각은 제1 및 제2의 3 위상 변압기의 Δ-접속 2차권선(60, 62, 64)의 대응하는 상호접속 지점에 각각 접속된다.
제14도에는, 어떠한 여자 변압기 배열도 가지지 않으며,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위상편이 특성을 나타내는 ,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토포그래피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가 그 직렬 변압기 배열(16)의 정확한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기본으로 한다. 여러 동작지점이 위상편이(ψ)의 방편에 의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여자 변압기 배열(18)(제8도에 도시)은 그 탭 변경기(24)가 소용없게 되어 제거될 수 있다. 그러면, 직렬 변압기 배열(16)의 2차권선은 제1 AC 네트워크(S)의 상방전압(VSA,VSB, VSC)(위상전압)으로부터 직접 전력을 공급받게 되어, MVA 변압의 정도를 줄인다. 여자 변압기 배열의 부재와 전력반전 스위치의 재배치를 제외하고,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의 이러한 토폴로지는 제1 실시예와 또한 비슷하다. 전력 동작지점의 행이 바람직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상호접속장치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적절한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선택가능한 개별적인 서셉턴스의 그룹을 제공하는 것이 여전히 가능하다.
직렬 변압기 배열을 제공하는 3 위상 변압기는 3개의 Δ-접속 2차권선(36, 38, 40)과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된 3쌍의 1차권선(30, 32, 34)을 가진다. 제1 지선지점(8) 각각은 3 위상 변압기의 Δ-접속 2차권선(36, 38, 40)의 대응하는 상호접속 지점에 접속된다. 전력반전 스위치(26)는 1 차권선(17)에 대하여 서셉턴스(12, 14)의 위치를 스위칭하기 위하여, 1 차권선(17)과 서셉턴스(12, 14) 사이에서 접속된다.
제16도에는, 어떠한 여자 변압기 배열도 또한 없으며,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위상편이 특성을 나타내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그러므로, 이러한 토포그래피는 제10도와 제14도에 도시한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의 성질 및 특성을 조합한다.
직렬 변압기 배열(18)을 제공하는 3 위상 변압기는 3개의 그라운드-접속 2차권선(36, 38, 40)과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된 3쌍의 1 차권선(30, 32, 34)을 가진다. 제1 지선지점(8) 각각은 3 위상 변압기의 그라운드-접속 2차권선(36, 38, 40)중 대응하는 한 2차권선에 접속된다.
제18도에는, 어떠한 여자 변압기 배열도 또한 없으며,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위상편이 특성을 나타내는, 위상편이 인터페이즈 전력 제어기의 제6실시예를 도시하였다. 그러므로, 이러한 토포그래피는 단지 하나의 위상편이가 2개의 서셉턴스(12, 14)중 단지 하나의 서셉턴스에 대해서만 발생된다는 차이점을 가지는, 제16도의 실시예와 비슷하다.
제20도와 제21도에는, 유도성이나 또는 용량성 서셉턴스에 인가된 단일 전압을 위상편이하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의 회로 지선의 개략도를 도시하였다. 제20도의 장치에 의해 전송되는 3 위상 전력은 다음에 의해 주어진다.
여기서,
제21도 장치의 경우, 3 위상 전력 전송은 다음에 의해 주어진다.
여기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전력이 순환하는 경우, ψ10 ψ2이다. 전력, 전압 및 서셉턴스 값은 각각 와트, 볼트 및 모(mhos)이다. VS와 VR은 AC 네트워크(S 와 R)의 위상-그라운드 전압을 각각 나타낸다.
제22도에는, 스쿼시드 델타 구성에서의 위상편이 변압기 배열을 가지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구성은 네트워크 특성과 일치하는 것이 유리하고, 제23도에 있는 위상도에 의해 도시된 위상편이 특성을 제공한다. 이는 다음에 의해 주어진다.
직렬 변압기 배열은 모두 3개의 2차권선(36, 38, 40)과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된 3개의 1 차권선(30, 32, 34)을 가지는 3 위상 변압기에 의해 제공된다. 1 차권선(30, 32, 34) 각각에는 서셉턴스(12, 14)중 대응하는 서셉턴스에 접속된 탭단자(78)가 제공된다. 2차권선(36, 38, 40) 각각에는 제1 지선지점(8)중 대응하는 한 지선지점과 탭단자(78)중 한 탭단자 사이에서 접속된다.
제24도에는, 제22도에 도시한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에 특히 적합한 전력반전 스위치회로를 도시하였다. 스위치회로는 1 차권선(30, 32, 34)의 직렬접속을 간단히 교체하여 전력흐름을 반전시킨다.
제25도에는, Mersereau구성에서의 위상편이 변압기 배열을 가지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를 도시하였다. 직렬 변압기 배열(16)은 모두 3개의 Δ-접속 2차권선(36, 38, 40)과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된 3개의 1 차권선(30, 32, 34)을 가지는 제1의 3 위상 변압기에 의해 제공된다. 여자 변압기 배열(18)은 모두 접지된 탭 변경기(24)를 갖춘 3개의 2차권선(48, 50, 52)과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된 3개의 1 차권선(42, 44, 45)을 가지는 제2의 3 위상 변압기에 의해 제공된다. 제1의 3 위상 변압기의 1 차권선(30, 32, 34) 각각에는 탭단자(25)가 제공된다. 제2의 3 위상 변압기의 1 차권선(42, 44, 46) 각각은 그라운드와 탭단자(25)중 대응하는 한 탭단자 사이에서 접속된다. 제2의 3 위상 변압기의 2차권선(48, 50, 52) 각각은 제1의 3위상 변압기의 Δ-접속 2차권선(36, 38, 40)의 대응하는 상호접속 지점에 접속된다. 이러한 상호접속장치의 위상편이 특성을 제26도에 도시하였다. 직렬 변압기 배열(16)의 직렬권선(30, 32, 34)과 여자 변압기 배열(18)의 1 차권선(42, 44, 46) 사이에서 회전의 전체적인 비율(즉, 제1 및 제2의 3 위상 변압기의 조합비율)은 다음에 의해 주어진다.
제27도, 제8도 및 제29도에는, 6 위상 AC 네트워크를 위한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의 3개의 동작모드에 대한 전압벡터의 위상도를 도시하였다. 3개의 동작모드는 즉, M30 모드 여기서, VSA,는 VRA에 대하여 -30°주위에서 위상각을 가지며, Centered 모드 여기서, VSA,는 VRA에 대하여 0°주위에서 위상각을 가지며, P30 모드 여기서, VSA,는 VRA에 대하여 +30°주위에서 위상각을 가진다.
제30도에는, 6 위상 AC 네트워크를 위한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서셉턴스(12, 14)에 인가된 전압을 위상편이하는데 필요한 원리는 상호접속을 하기 위한 위상라인의 수가 2배인 것을 제외하고, 3 위상 AC 네트워크의 경우와 동일하다. 본 장치의 경우 직렬 변압기 배열(F.31)과 여자 변압기 배열(F.32)의 예가 제31도와 제32도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모든 직렬 변압기 배열(F.31)은 3개의 Δ-접속 2차권선(92, 94, 96 및, 98, 100, 102)과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된 3쌍의 1 차권선(80, 82, 84 및, 86, 88, 90)을 가지는 제1 및 제2의 3 위상 변압기에 의해 제공된다. 모든 여자 변압기 배열(F.32)은 접지된 탭 변경기(128, 130)를 갖춘 3개의 2차권선(116, 118, 120 및, 122, 124, 126)과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된 3개의 1 차권선(104, 106, 108 및, 110, 112, 114)을 가지는 제3 및 제4의 3 위상 변압기에 의해 제공된다. 제3 및 제4의 3 위상 변압기의 1 차권선(104, 106, 108 및 110, 112, 114) 각각은 그라운드와 제1 지선지점(8)중 대응하는 한 지선지점 사이에서 접속된다.
제3 및 제4의 3위상 변압기의 2차권선(116, 118, 120 및, 122, 124, 126) 각각은 Δ-접속 2차권선(92, 94, 96 및, 98, 100, 102)의 대응하는 상호 접속 지점에 접속된다.
본 장치의 3개의 동작모드는 직렬 변압기 배열(F.31)과 여자전압기 배열(F.32) 사이에서 접속된 다른 스위치(132)와 조합하여, 직렬 변압기 배열(F.31) 및 제3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서셉턴스(12, 14) 사이에서 접속된 모드 선택 스위치회로에 의해 선택된다. 동작모드 각각에 속하는 특성은 6 위상 AC 네트워크의 위상(A)의 경우, 제34도의 표에 나타나있다. 다른 위상에 대한 특성은 주기적인 순열(A → B → C → D → E → F → A)에 의해 문자를 교체함으로써 구해진다.
제35도는 스쿼시드 델타 구성에서의 직렬 변압기 배열(16)을 가지는, 6 위상 AC 네트워크를 위한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모든 직렬 변압기수단 3개의 2차권선(146, 148, 150 및 152, 154, 156)과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된 3개의 1 차권선(134, 136, 138 및, 140, 142, 144)을 가지는 제1 및 제2의 3 위상 변압기에 의해 제공된다. 1차권선(134, 136, 138 및, 140, 142, 144) 각각에는 서셉턴스(12, 14)중 대응하는 한 서셉턴스에 접속된 탭단자(158)가 제공된다. 2차권선(146, 148, 150 및, 152, 154, 156)에는 제1 지선지점중 대응하는 한 지선지점과 탭단자(158)중 한 탭단자사이에서 접속된다.
제36도, 제37도 및 제38도에서,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의 서셉턴스는 높은 누전에 대하여 위상편이 장치(들)를 보호하는 2개의 동일한 부분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상호접속장치의 전력 특성은 동일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가지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내에서, 많은 변형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많은 변형물은 본 발명의 본질 및 범위를 변경하거나 또는 개정하려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밝혀둔다.

Claims (28)

  1. 제1 다위상 AC 네트워크의 위상라인을 제2 다위상 AC 네트워크의 대응하는 위상라인과 상호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셉턴스에 인가되는 전압을 위상편이하는 위상편이 방법으로서, 상기 2개의 AC 네트워크는 동기식이며, 상기 방법은, 2차 권선을 또한 가지며, 변압기의 1차 권선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서셉턴스와 직렬로 접속하는 접속단계, 상기 AC 네트워크로부터, 제1 AC 네트워크의 상기 위상라인에 의하여 제공된 위상전압에 대하여 위상각을 가지는 여자전압을 유도해내는 유도단계 및, 상기 2차권선의 적어도 일부분에 상기 여자전압을 인가하는 인가 단계로 구성되고, 이로써, 상기 여자전압은 상기 변압기를 통해 상기 서셉턴스에 인가된 상기 전압의 위상편이를 일으키도록 상기 위상전압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편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편이 방법은 상기 변압기에 의해 발생된 위상편이 각을 변경시키는 부가적인 변경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편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단계는 상기 위상편이를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여자전압의 진폭을 변조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편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단계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서셉턴스와 직렬로 접속된 1 차권선을 조정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편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 차권선의 상기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변압기의 감기비율을 가변함으로써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편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자전압과 상기 위상전압사이의 상기 위상각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편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자전압과 상기 위상전압사이의 상기 위상각은 ±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편이 방법.
  8. 제1 및 제2 동기식 다위상 AC 네트워크 각각의 위상라인을 상호 접속하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로서, 상기 상호접속장치는 상호접속된 각각의 위상라인의 각 쌍에 대하여, 제1 및 제2 공통 지선지점을 갖춘, 상기 지선지점을 개별적으로 상기 각각의 위상라인에 접속하기 위하여 접속수단이 제공된 병렬의 회로 지선쌍 및, 상기 서셉턴스중 적어도 하나의 서셉턴스에 인가된 전압을 위상편이하는 직렬 변압기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로 지선은 각각 유도성 및 용량성 서셉턴스를 포함하며, 상기 직렬 변압기수단은 일부분이 상기 서셉턴스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셉턴스와 직렬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1차 권선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AC 네트워크에서 유도된 여자전압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2차 권선을 포함하며, 상기 여자전압은 상기 각각의 위상라인중 한 위상라인에 의해 제공된 위상전압에 대하여 위상각을 가지며, 이로써, 동작시, 상기 여자전압은 상기 변압기를 통하여 상기 위상전압과 조합하여 상기 서셉턴스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셉턴스에 인가된 전압을 위상편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는 상기 직렬 변압기수단 각각에 의해 발생되는 위상편이 각을 변경하는 변경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1 차권선 각각과 연결된 탭 변경기를 포함하여, 상기 서셉턴스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셉턴스와 직렬로 접속된 그 상기 적어도 일부분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수단은 상기 여자전압 각각을 변조하기 위한 여자 변압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여자 변압기수단은 상기 제1 AC 네트워크의 위상전압과 동조하여 각각 조정가능한 전압을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제1 AC 네트워크의 위상전압을 수용하기 위하여 각각 배치된 1 차권선 및, 탭 변경기 또는 조정기가 제공된 2차권선을 가지며, 상기 여자전압 각각은 상기 조정가능한 전압중 적어도 대응하는 전압으로부터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변압기수단 각각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서셉턴스중 대응하는 서셉턴스와 직렬로 접속된 2개의 1 차권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변압기수단 각각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서셉턴스중 대응하는 서셉턴스와 직렬로 접속된 2개의 1 차권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성 서셉턴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캐패시터를 포함하며, 상기 유도성 서셉턴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는 상기 서셉턴스와 상기 직렬 변압기수단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된 다수의 전기적인 선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서셉턴스와 상기 직렬 변압기 수단 사이에서 접속된 전력반전 스위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는 상기 직렬 변압기수단과 상기 여자 변압기수단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된 다수의 전기적인 선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직렬 변압기수단과 상기 여자 변압기수단 사이에서 접속된 전력반전 스위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위상 AC 네트워크는 모두 3 위상 AC 네트워크이며, 상기 직렬 변압기수단은 모두 3개의 Δ-접속 2차권선과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된 3쌍의 1 차권선을 가지는 제1의 3 위상 변압기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여자 변압기수단은 모두 접지된 탭 변경기를 갖춘 3개의 2차권선과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된 3개의 1 차권선을 가지는 제2의 3 위상 변압기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제2의 3 위상 변압기의 1 차권선 각각은 그라운드와 상기 제1 지선지점중 대응하는 한 지선지점 사이에서 접속되며, 상기 제2의 3 위상 변압기의 상기 2차권선 각각은 상기 제1의 3 위상 변압기의 상기 Δ-접속 2차권선의 대응하는 상호접속 지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위상 AC 네트워트는 모두 3 위상 AC 네트워크이며, 상기 직렬 변압기수단은 모두 3개의 그라운드-접속 2차권선과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된 3쌍의 1 차권선을 가지는 제1의 3 위상 변압기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여자 변압기수단은 모두 접지된 탭 변경기를 갖춘 3개의 2차권선과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된 3개의 1 차권선을 가지는 제2의 3 위상 변압기에 의해 제공괴고, 상기 제2의 3 위상 변압기의 상기 1 차권선 각각은 그라운드와 상기 제1 지선지점중 대응하는 한 지선지점 사이에서 접속되며, 상기 제2의 3 위상 변압기의 상기 2차권선 각각은 상기 제1의 3 위상 변압기의 상기 그라운드-접속 2차권선중 대응하는 2차권선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위상 AC 네트워크는 모두 3 위상 AC 네트워크이며, 상기 직렬 변압기수단은 모두 3개의 Δ-접속 2차권선과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된 3개의 1 차권선을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의 3 위상 변압기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여자 변압기수단은 모두 접지된 탭 변경기를 갖춘 3쌍의 2차권선과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된 3개의 1 차권선을 가지는 제3의 3 위상 변압기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제3의 3 위상 변압기의 상기 1 차권선 각각은 그라운드와 상기 제1 지선지점중 대응하는 한 지선지점 사이에서 접속되며, 상기 제3의 3 위상 변압기의 상기 2차권선의 상기 쌍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의 3 위상 변압기 각각의 상기 Δ-접속 2차권선의 대응하는 상호접속 지점에 접속되며, 상기 제1의 3 위상 변압기는 상기 유도성 서셉턴스와 결합하고, 상기 제2의 3 위상 변압기는 상기 용량성 서셉턴스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다위상 AC 네트워크는 모두 3 위상 AC 네트워크이며, 상기 직렬 변압기수단은 모두 3개의 Δ-접속 2차권선과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된 3쌍의 1 차권선을 가지는 3 위상 변압기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제1의 지선지점 각각은 상기 3 위상 변압기의 상기 Δ-접속 2차권선의 대응하는 상호접속 지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
  21. 제12항에 있어서, 다위상 AC 네트워크는 모두 3 위상 AC 네트워크이며, 상기 직렬 변압기수단은 모두 3개의 그라운드-접속 2차권선과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된 3쌍의 1 차권선을 가지는 3 위상 변압기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제1의 지선지점 각각은 상기 3 위상 변압기의 상기 그라운드-접속 2차권선의 대응하는 2차권선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
  22. 제8항에 있어서, 다위상 AC 네트워크는 모두 3 위상 AC 네트워크이며, 상기 직렬 변압기수단은 모두 3개의 그라운드-접속 2차권선과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된 3개의 1 차권선을 가지는 3 위상 변압기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제1의 지선지점 각각은 상기 3 위상 변압기의 상기 그라운드-접속 2차권선의 대응하는 2차권선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
  23. 제8항에 있어서, 다위상 AC 네트워크는 모두 3 위상 AC 네트워크이며, 상기 직렬 변압기수단은 모두 3개의 2차권선과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된 3개의 1 차권선을 가지는 3 위상 변압기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1 차권선 각각에는 상기 서셉턴스중 대응하는 한 서셉턴스에 접속된 탭단자가 제공되고, 상기 2차권선 각각은 상기 제1 지선지점 중 대응하는 한 지선지점과 상기 탭단자중 한 탭단자 사이에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
  24. 제8항에 있어서, 다위상 AC 네트워크는 모두 3 위상 AC 네트워크이며, 상기 직렬 변압기수단은 모두 3개의 Δ-접속 2차권선과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된 3개의 1 차권선을 가지는 제1의 3 위상 변압기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여자 변압기수단은 모두 접지된 탭 변경기를 갖춘 3개의 2차권선과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된 3개의 1 차권선을 가지는 제2의 3 위상 변압기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제1의 3 위상 변압기의 상기 1 차권선 각각에는 탭단자가 제공되고, 상기 제2의 3 위상 변압기의 상기 1 차권선 각각은 그라운드와 상기 탭단자중 대응하는 한 탭단자 사이에서 접속되고, 상기 제2의 3 위상 변압기의 상기 2차권선 각각은 제1의 3 위상 변압기의 상기 Δ-접속 2차권선의 대응하는 상호접속 지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
  25. 제13항에 있어서, 다위상 AC 네트워크는 모두 6 위상 AC 네트워크이며, 상기 직렬 변압기수단은 모두 3개의 Δ-접속 2차권선과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된 3쌍의 1 차권선을 가지는 제1 및 제2의 3 위상 변압기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여자 변압기수단은 모두 접지된 탭 변경기를 갖춘 3개의 2차권선과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된 3개의 1 차권선을 가지는 제3 및 제4의 3 위상 변압기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제3 및 제4의 3 위상 변압기의 상기 1 차권선 각각은 그라운드와 상기 제1 지선지점중 대응하는 한 지선지점 사이에서 접속되고, 상기 제3 및 제4의 3 위상 변압기의 상기 2차권선 각각은 상기 Δ-접속 2차권선의 대응하는 상호접속 지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는 상기 서셉턴스와 상기 직렬 변압기수단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된 다수의 전기적인 선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서셉턴스와 상기 직렬 변압기 수단 사이에서 접속된 모드 스위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
  2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위상 AC 네트워크는 모두 6 위상 AC 네트워크이며, 상기 직렬 변압기수단은 모두 3개의 2차권선과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된 3개의 1 차권선을 가지는 제1 및 제2의 3 위상 변압기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1 차권선 각각에는 상기 서셉턴스중 대응하는 한 서셉턴스에 접속된 탭단자가 제공되고, 상기 2차권선 각각은 상기 제1 지선지점중 대응하는 한 지선지점과 상기 탭단자중 한 탭단자 사이에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
  2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셉턴스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셉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1 차권선의 상기 적어도 일부분의 양측부에서 2개의 동일한 부분으로 나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
KR1019950705065A 1993-05-14 1994-05-09 2개의 동기식 다위상 에이씨 네트워크를 상호접속하는 서셉턴스에 인가된 전압을 위상편이하는 위상편이 방법 및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 KR01737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151293A 1993-05-14 1993-05-14
US061,512 1993-05-14
PCT/CA1994/000259 WO1994027351A1 (en) 1993-05-14 1994-05-09 Method of phase-shifting voltages applied to susceptances interconnecting two synchronous polyphase ac networks and a phase-shifting interconnecting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2691A KR960702691A (ko) 1996-04-27
KR0173717B1 true KR0173717B1 (ko) 1999-05-01

Family

ID=22036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5065A KR0173717B1 (ko) 1993-05-14 1994-05-09 2개의 동기식 다위상 에이씨 네트워크를 상호접속하는 서셉턴스에 인가된 전압을 위상편이하는 위상편이 방법 및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619119A (ko)
EP (1) EP0698309B1 (ko)
JP (1) JPH08511152A (ko)
KR (1) KR0173717B1 (ko)
CN (1) CN1123066A (ko)
AU (1) AU676561B2 (ko)
BR (1) BR9406688A (ko)
CA (1) CA2161244C (ko)
DE (1) DE69402544T2 (ko)
DK (1) DK0698309T3 (ko)
ES (1) ES2103129T3 (ko)
NO (1) NO311156B1 (ko)
NZ (1) NZ265913A (ko)
WO (1) WO19940273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422902D0 (en) * 1994-11-14 1995-01-04 Citeq Methods of enhancing the transfer capacity of a transformer station and of power flow regulation using parallel arrangements of a phase-shifting transformer w
DE19612744C1 (de) * 1996-03-29 1997-11-13 Siemens Ag Transformatoranordnung
US6011368A (en) * 1999-03-30 2000-01-04 Dana Corporation Sensorless detection of a locked rotor in a switched reluctance motor
US9605591B2 (en) * 2000-10-09 2017-03-28 Energy Transfer Group, L.L.C. Arbitrage control system for two or more available power sources
US6636784B1 (en) 2000-10-09 2003-10-21 Energy Transfer Group, L.L.C. Electricity transfer station
TWI285571B (en) * 2004-12-15 2007-08-21 Univ Nat Cheng Kung Power conversion apparatus for pulse current
RU2393608C2 (ru) * 2006-03-28 2010-06-27 Абб Рисёч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отоком мощности в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US9634490B2 (en) * 2011-02-08 2017-04-25 General Electric Company Dynamic voltage restoration system and method
CN102508132B (zh) * 2011-11-10 2013-07-17 保定天威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于双芯移相变压器的操作冲击试验方法
CN102801381B (zh) * 2012-08-15 2014-10-29 上海交通大学 电压幅值与相角独立控制的可控变压器装置及其控制方法
WO2014053989A2 (en) * 2012-10-01 2014-04-10 Abb Technology Ltd. A method and a system for a fast bus transfer in an electrical power system
CN106053921B (zh) * 2016-08-02 2019-08-27 中国电力科学研究院 一种对称双芯移相变压器负载条件下的级电压计算方法
PL3336650T3 (pl) * 2016-12-19 2023-07-03 Hitachi Energy Switzerland Ag Regulator do wzdłużnej regulacji napięcia
EP3392996B1 (en) * 2017-04-21 2019-08-07 ABB Schweiz AG Longitudinal voltage regulation at the line terminals of a phase shifting transformer
CN107492891B (zh) * 2017-08-25 2023-04-28 国网安徽省电力公司安庆供电公司 移动式智能合环装置及其使用方法
RU195977U1 (ru) * 2019-11-06 2020-02-12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энергетики и электрификации «Сахалинэнерго» Трансформатор для плавки гололёда на воздушных линиях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94934A (en) * 1933-03-07 1933-07-06 Gen Electric Improvements in means for regulating by transformers the distribution of wattless and load currents in ring mains
JPS4731541B1 (ko) * 1968-08-14 1972-08-14
US4156174A (en) * 1977-12-30 1979-05-22 Westinghouse Electric Corp. Phase-angle regulator
CA1193351A (fr) * 1983-06-14 1985-09-10 Gerald Roberge Methode et systeme d'interconnexion de reseaux triphases syncrones au asynchrones au moyen d'impedances reactives variables
EP0152002B1 (de) * 1984-02-10 1988-11-17 BBC Brown Boveri AG Phasenschieber
DE3624854A1 (de) * 1986-07-23 1988-01-28 Thomson Brandt Gmbh Schaltungsanordnung zum verschieben der phase eines signals
CA1292512C (fr) * 1988-08-04 1991-11-26 Hydro-Quebec Methode et systeme d'interconnexion en quadrature de deux reseaux triphases synchrones ou asynchrones
US5124904A (en) * 1990-08-17 1992-06-23 Westinghouse Electric Corp. Optimized 18-pulse type AC/DC, or DC/AC, converter system
US5461300A (en) * 1993-03-30 1995-10-24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Inc. Phase angle regulating transformer with a single core per ph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98309A1 (en) 1996-02-28
KR960702691A (ko) 1996-04-27
CA2161244C (en) 1999-01-12
EP0698309B1 (en) 1997-04-09
JPH08511152A (ja) 1996-11-19
AU6643594A (en) 1994-12-12
CA2161244A1 (en) 1994-11-24
ES2103129T3 (es) 1997-08-16
BR9406688A (pt) 1996-02-06
NO954222L (no) 1995-10-23
AU676561B2 (en) 1997-03-13
DK0698309T3 (da) 1997-08-25
WO1994027351A1 (en) 1994-11-24
NO311156B1 (no) 2001-10-15
DE69402544D1 (de) 1997-05-15
CN1123066A (zh) 1996-05-22
NZ265913A (en) 1996-09-25
DE69402544T2 (de) 1997-12-04
NO954222D0 (no) 1995-10-23
US5619119A (en) 1997-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3717B1 (ko) 2개의 동기식 다위상 에이씨 네트워크를 상호접속하는 서셉턴스에 인가된 전압을 위상편이하는 위상편이 방법 및 위상편이 상호접속장치
US5455759A (en) Symmetrical, phase-shifting, fork transformer
US5461300A (en) Phase angle regulating transformer with a single core per phase
CN1062684C (zh) 具有不同的输电相位角提前和延迟的输电线路功率潮流控制器
US5515264A (en) Optimized high power voltage sourced inverter system
US4674024A (en) High voltage modular inverter and control system thereof
WO1996014686A1 (en) Multilevel convertor
US4493016A (en) Rectifier transformer
US4336488A (en) Transformer for the controllable shifting of the phase angle of output voltages in relation to the phase angles of input voltages
US3909697A (en) Arrangement for supplying direct current to a consumer from an alternating current source with interposed transformer and rectifier establishing periodic rapid changes in transformation ratio
US4750098A (en) Unrestricted frequency changer with current source output
GB2383477A (en) 12-pulse ac to dc converter with improved total harmonic distortion
US4236108A (en) Variable phase-shifting transformer network
US5731971A (en)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phase-shifted power outputs
JP2000125473A (ja) 電力調整装置及びその装置の制御方法
US4127805A (en) Device for connecting tuned power transmission line to a.c. network
SU103558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гулировани трехфазного напр жени
SU1432704A1 (ru)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SU89261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гулировани @ -фазного переменного напр жени
JP2001045663A (ja) 直列補償装置
US1959162A (e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JP2867171B2 (ja) 電力制御装置
GB2383695A (en) 12-pulse ac to dc converter with automatic minimisation of total harmonic distortion
SU148001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гулировани реактивной мощности М.В.Агунова
SU93621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ъединени двух энергосисте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