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3636B1 - 자동차 도어록 버튼의 소음방지용 스프링 클립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록 버튼의 소음방지용 스프링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3636B1
KR0173636B1 KR1019950057549A KR19950057549A KR0173636B1 KR 0173636 B1 KR0173636 B1 KR 0173636B1 KR 1019950057549 A KR1019950057549 A KR 1019950057549A KR 19950057549 A KR19950057549 A KR 19950057549A KR 0173636 B1 KR0173636 B1 KR 0173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lip
knob
frame
hole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7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3776A (ko
Inventor
황종렬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57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3636B1/ko
Publication of KR970043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3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3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36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6Noise prevention; Anti-rattling mean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록 버튼의 소음방지용 스프링 클립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노브와 부직포가 서로 부딪히게 되므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의 도어트림(110)에는 삽지공(112)을 형성하고, 그 삽지공(112)에 끼워져 고정되게 한 프레임(120)에는 출입공(122)을 형성하고, 그 출입공(122)으로 상하 승강되는 노브(130)를 설치하게 된 것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20)의 출입공(122)에는 단턱부(124)를 형성하고, 그 단턱부(124)에는 서로 대향되게 한 삽지홈(126)을 형성하고, 그 삽지홈(126)에는 탄지력을 갖는 스프링 클립(140)을 각각 삽입 설치하되 그 스프링 클립(140)의 상부에는 상기 삽지홈(126)에 끼워져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제1돌출부(142)를 형성하면서 하부에는 상기 노브(130)의 주연에 접촉되도록 제2돌출부(144)를 형성하여 된 것으로, 프레임에 설치된 각각의 스프링 클립에 의해 노브가 프레임의 출입공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록 버튼의 소음방지용 스프링 클립
제1도는 종래 스프링 클립이 설치된 상태의 요부 측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 스프링 클립이 설치된 상태의 요부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도어 트림 112 : 삽지공
120 : 프레임 122 : 출입공
124 : 단턱부 126 : 삽지홈
130 : 노브 140 : 스프링 클립
142, 144 : 제1, 2돌출부
본 발명은 도어 트림의 삽지공에 끼워져 노브가 출입되게 한 노브에 스프링 클립을 설치함으로써 노브의 외주연이 프레임 출입공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소음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되는 도어록 버튼의 소음방지용 스프링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록(Door lock)은 주행 중 도어 개폐의 필요는 전혀 없으므로 도어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구를 말한다. 통상은 실내의 노브를 두고, 잠근 상태로 함으로써 록 되지만 리어 도어와 같이 노브를 누른 채로 문을 닫았을 때 록되는 것을 셀프록, 프런트 도어와 같이 실내 노브를 누르고 문을 잠가되 셀프록 되지 않는 것을 셀프 캔슬이라고 한다.
상기 도어 록의 노브를 도어 트림에 설치함에 있어, 종래에는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어트림(10)에는 삽지공(12)을 형성하고, 그 삽지공(12)에 끼워져 고정되게 한 프레임(20)에는 출입공(22)을 형성하고, 그 출입공(22)의 내벽에는 마모방지용 부직포(40)를 부착하고, 상기 출입공(22)에는 상하 승강되는 노브(30)를 설치하게 되어 있었다.
이렇게 구성된 상태에서, 그 설치 구조는 상기 도어트림(10)에 형성한 삽지공(12)에는 프레임(20)을 끼워 고정하고, 상기 프레임(20)에 형성한 출입공(22)에는 노브(30)가 상하로 출입될수 있게 하였다.
즉, 주행중에는 도어를 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노브(30)를 눌러 도어가 열리지 않게 하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노브(30)를 출입공(22)에서 하강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면 도어록 장치는 닫음 상태로 도어 손잡이를 잡고 도어를 열더라도 열리지 않도록 하였다.
이렇게 노브(30)가 승하강되면서 상기 출입공(22)을 마모시키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 상기와 같이 별도로 부직포(40)를 구비하여 출입공(22) 내벽에 부착토록 한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상태에서는 노브(30)와 부직포(40)가 서로 부딪히게 되므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오록 장치의 노브가 도어 트립에 형성한 삽지공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음을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 자동차 도오록 버튼의 소음 방지용 스프링 클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의 출입공에는 단턱부를 형성하고, 그 단턱부에는 서로 대향되게 한 삽지홈을 형성하고, 그 삽지홈에는 탄지력을 갖는 스프링 클립을 각각 삽입 설치하되 그 스프링 클립의 상부에는 상기 삽지홈에 끼워져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제1돌출부를 형성하면서 하부에는 상기 노브의 주연에 접촉되도록 제2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 자동차 도오록 버튼의 소음방지용 스프링 클립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자세하게 기술한다.
첨부도면 제2도는 본 발명 스프링 클립이 설치된 상태의 요부 측단면도인데,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트림(110)에 삽지공(112)을 형성하고, 그 삽지공(112)에 끼워져 고정되게 한 프레임(120)에는 출입공(122)을 형성하고, 그 출입공(122)으로 상하 승강되는 노브(130)를 설치하게 된 것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20)의 출입공(122)에는 단턱부(124)를 형성하고, 그 단턱부(124)에는 서로 대향되게 한 삽지홈(126)을 형성하고, 그 삽지홈(126)에는 탄지력을 갖는 스프링 클립(140)을 각각 삽입 설치하되 그 스프링 클립(140)의 상부에는 상기 삽지홈(126)에 끼워져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제1돌출부(142)를 형성하면서 하부에는 상기 노브(130)의 주연에 접촉되도록 제2 돌출부(144)를 형성하여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자동차의 도어트림(110)에 형성된 삽지공(112)에는 프레임(120)을 끼워 고정하게 되는 데, 그 프레임(120)의 출입공(122)에는 상기 노브(130)가 상하로 승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출입공(122) 하부에는 단턱부(124)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 단턱부(124)에는 삽지홈(126)이 각각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 삽지홈(126)에는 본 발명에서 구비된 스프링 클립(140)을 끼워 설치하는 것이다. 즉, 그 스프링 클립(140)에 형성한 제1돌출부(142)에 의해 상기 삽지홈(126)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제1돌출부(142)가 삽지홈(126)의 벽면에 완전히 끼워져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프링 클립(140)의 하부에 형성된 제2돌출부(144)는 상기 노브(130)의 외주연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노브가 상기 프레임(120)의 내벽으로 직접 접촉되지 않고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상태로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노브(130)가 프레임(120)의 출입공(122)과 접촉함에 따라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 자동차 도어록 버튼의 소음방지용 스프링 클립에 따르면, 프레임에 설치된 각각의 스프링 클립에의해 노브가 프레임의 출입공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발명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도어트림(110)에는 삽지공(112)을 형성하고, 그 삽지공(112)에 끼워져 고정되게 한 프레임(120)에는 출입공(122)을 형성하고, 그 출입공(122)으로 상하 승강되는 노브(130)를 설치하게 된 것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20)의 출입공(122)에는 단턱부(124)를 형성하고, 그 단턱부(124)에는 서로 대향되게 한 삽지홈(126)을 형성하고, 그 삽지홈(126)에는 탄지력을 갖는 스프링 클립(140)을 각각 삽입 설치하되 그 스프링 클립(140)의 상부에는 상기 삽지홈(126)에 끼워져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제1돌출부(142)를 형성하면서 하부에는 상기 노브(130)의 주연에 접촉되도록 제2돌출부(144)를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록 버튼의 소음방지용 스프링 클립.
KR1019950057549A 1995-12-27 1995-12-27 자동차 도어록 버튼의 소음방지용 스프링 클립 KR0173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7549A KR0173636B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 도어록 버튼의 소음방지용 스프링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7549A KR0173636B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 도어록 버튼의 소음방지용 스프링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776A KR970043776A (ko) 1997-07-26
KR0173636B1 true KR0173636B1 (ko) 1999-04-01

Family

ID=19444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7549A KR0173636B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 도어록 버튼의 소음방지용 스프링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36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446B1 (ko) * 2013-08-29 2014-08-0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세이프티 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776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3636B1 (ko) 자동차 도어록 버튼의 소음방지용 스프링 클립
KR0140266Y1 (ko) 자동차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결합구조
JP2001339824A (ja) 電気接続箱
KR200170697Y1 (ko) 자동차의 벨트 가이드 설치 구조
JP4184717B2 (ja) ガーニッシュ取付け構造
JPH09219245A (ja) コネクタのカバー固定構造
KR0125684Y1 (ko) 도난방지용 차량도어록 장치
JP3676452B2 (ja) ドアウェザーストリップのずれ防止構造
JPH0626416Y2 (ja) 車両のモールディング取付構造
KR0115887Y1 (ko) 자동차용 도어의 배수장치
KR0136925Y1 (ko) 차량용 퓨즈 박스의 커버 잠금장치
KR0115801Y1 (ko) 차량트렁크 잠금장치의 도난방지구조
KR100252294B1 (ko) 후드의 개폐장치
KR970006757Y1 (ko) 도어 몰딩의 앤드 캡 구조
KR100280677B1 (ko) 자동차용 발판
JPH0524769Y2 (ko)
KR100203176B1 (ko) 자동차 도어의 록 노브구조
KR960003526Y1 (ko) 자동차 트렁크리드의 토션바 지지브라켓
KR0138673Y1 (ko) 자동차 도어록 버튼의 프레임 취부구조
JP2737081B2 (ja) ガーニッシュの取付構造
KR19980060505U (ko) 차량 도난방지를 위한 도어장치
KR19980036157A (ko) 차량용 도어 풀 핸들
KR19980056501A (ko) 자동차의 도어 트림
KR19990021230U (ko) 자동차용 도어 아웃터채널의 고정구조
KR19980042233U (ko) 자동차의 도어 트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