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1381B1 - 다자간 데스크탑 영상회의를 위한 멀티미디어 보드 - Google Patents

다자간 데스크탑 영상회의를 위한 멀티미디어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1381B1
KR0171381B1 KR1019950045015A KR19950045015A KR0171381B1 KR 0171381 B1 KR0171381 B1 KR 0171381B1 KR 1019950045015 A KR1019950045015 A KR 1019950045015A KR 19950045015 A KR19950045015 A KR 19950045015A KR 0171381 B1 KR0171381 B1 KR 0171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data
video data
output
de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5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2094A (ko
Inventor
이전우
이진
하정현
임영환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50045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1381B1/ko
Publication of KR970032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2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1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13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04N7/152Multipoint control unit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2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characterised by memory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다자간 데스크탑 영상회의를 위한 멀티미디어 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은 주변장치들과 컴퓨터 사이에서 비디오 신호와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다자간 데스크탑 영상회의를 가능하게 하는 멀티미디어 보드에 있어서,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시키는 비디오 신호 입력부와 상기 비디오 신호 입력부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압축하여 상기 컴퓨터에 넘겨주면서 다른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로 부터 넘겨 받아서 복원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데이터 압축 및 복원부와 상기 비디오 신호 입력부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 열과 상기 비디오 데이터 압축 및 복원부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 열을 입력받고 그래픽스 보드에서 출력되는 그래픽스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그래픽스 데이터에 오버레이시켜 모니터에 출력하는 비디오 오버레이 및 출력부와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화한 후 소정의 방법으로 코딩하여 상기 컴퓨터에 전달하는 오디오 신호 입력부와 상기 오디오 신호 입력부에서 소정의 방식으로 코딩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로부터 전달받아 디코딩한 후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바꾸어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출력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 보드와 상기 컴퓨터 사이의 통신을 위하여 정합하는 정합부를 포함하는 데에 있으므로, 그 효과는 표준 동화상 압축 및 복원방법인 H.261 방법을 사용하면서 두개의 다른 참석자 동화상을 PC의 데이타 처리 부담없이 동시에 처리하여 동화상의 움직임도 자연스럽고 자신을 포함한 세사람의 동화상을 동시에 모니터 상에 출력할 수 있으며 화면의 크기도 조절할 수 있다는 데에 있다.

Description

다자간 데스크탑 영상회의를 멀티미디어보드(Multimedea board for multiparty desktop vedio conferencing)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보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2도는 세 사람이 영상회의를 할 경우의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보드의 동작을 나타내는 데이터 흐름도.
본 발명은 다자간 데스크탑 영상회의를 위한 멀티미디어 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자간 데스크탑 영상회의를 위한 멀티미디어 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회의는 멀리 떨어져 있는 회의실 사이를 영상과 음성으로 연결하여 모니터 화면을 통해 같은 회의실에 있는 것 같은 분위기로 회의를 할 수 있는 방식을 말한다.
이는 화면의 영상신호를 사용자의 가입자 선로에서 4MHz의 아날로그 신호로, 중계회선에서는 6.3MHz의 디지털 신호로 전송되는데, 프레임간의 부호화로 부호량을 줄이고 대역 압축을 수행한 것이다.
이 부호화 방법은 매초 30매씩 보내는 화면들 중에서 하나의 화면을 예측 부호화로 부호화를 줄이는 것과 함께 인접 화면과의 상관에서 변화하는 부분만을 부호화하는 방법이다.
음성은 전화통신에서 3.4KHz까지만 보내는 데에 반해 영상회의에서는 7KHz까지 보냄으로써 육성에 가까와지며 배경음도 원음과 비슷해 임장감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데스크탑 영상회의 시스템이란 영상회의를 위하여 다른 장소로 이동할 필요가 없이 책상 위에 두고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로 회의를 하고자 하는 상대방을 호출하여 상대방의 모습을 모니터 화면상에 동화상으로 보면서 회의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는 또한 컴퓨터에 접속되어 있는 카메라와 마이크로폰으로 자신의 모습과 음성을 입력하여 컴퓨터에서 디지털화한 후 일반 전화망이나 근거리 통신망 (Local Area Network, 이하 LAN 이라 약칭함)을 통하여 상대방에게 전달한다.
움직이는 동화상을 디지털화하여 통신망으로 교환할 경우 많은 양의 데이터를 보내야 하므로 현실성이 없어서 데스크탑 영상회의 시스템에서는 비디오 데이터 입출력 가능과 함께 비디오 데이터의 압축 및 복원 기능이 필수적이다.
종래의 데스크탑 영상회의용 멀티미디어 보드는 대부분 데이터의 압축 및 복원 성능이 제한되어 1개의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 열만 복원할 수 있었다.
따라서 다자간 영상회의를 위해서는 PC가 프로그램으로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 열을 제어해야 되고, 그 결과 비디오영상의 프레임율이 떨어져 출력 동화상이 거의 정지화상에 가깝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되는 압축 및 복원 방법도 H.261과 같은 표준 동화상 압축 및 복원방법이 아닌 정지화상 압축 및 복원방법에 기초를 둔 독자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
비디오 데이터를 모니터에 표시함에 있어서도 여러 참석자중 한 참석자의 동화상만 출력되거나 화면크기가 작고, 출력되는 비디오의 프레임율도 낮아 충분한 동화상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준 동화상 압축 및 복원방법인 H.261 방법을 사용하면서 두개의 다른 참석자 동화상을 동시에 하드웨어로 실시간 복원하여 화면에 표시해 주고, 화면의 크기도 조절할 수 있는 다자간 데스크탑 영상회의를 위한 멀티미디어 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주변장치들과 컴퓨터 사이에서 비디오 신호와 음성신호를 처리히여 다자간 데스트탑 영상회의를 가능하게 하는 멀티미디어 보드에 있어서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시키는 비디오 신호 입력부와 상기 비디오 신호 입력부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압축하여 상기 컴퓨터에 넘겨 주면서 다른 압축된 비디오 데이트를 상기 컴퓨터로 부터 넘겨 받아서 복원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데이터 압축 및 복원부와 상기 비디오 신호 입력부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 열과 상기 비디오 데이터 압축 및 복원부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 열을 입력받고 그래픽스 보드에서 그래픽스 테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그래픽스 데이터에 오버레이시켜 모니터에 출력하는 비디오 오버레이 및 출력부와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화한 후 소정의 방법으로 코딩하여 상기 컴퓨터에 전달하는 오디오 신호 입력부와 상기 오디오 신호 입력부에서 소정의 방식으로 코딩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로부터 전달받아 디코딩한 후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바꾸어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출력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 보드와 상기 컴퓨터 사이의 통신을 위하여 정합하는 정합부를 포함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보드는 여러 사람이 회의에 참석하는 다자간 데스크탑 영상회의를 지원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보드이다.
디자간 데스크탑 영상회의 지원을 위한 특징적 기능은 카메라를 통하여 입력되는 NTSC (National Telivision Standard Committee) 비디오 신호의 실시간 입력과 압축, 2개의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 열 실시간 동시 복원 및 입력 및 복원된 3가지 비디오 데이터의 모니터상의 동시 출력이다.
이와 함께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입력 및 부호화, 부호화 되어있는 음성 데이터의 복보화, 마이크로폰 입력 음성신호와 복호화된 음성신호의 혼합 출력도 동시에 수행한다.
이 보드는 IBM PC 호환기종에 장착되며, 보드상의 비디오 입력단에서 카메라로부터 NTSC 방식의 아날로그 복합 비디오 신호를 받아 디지털화하고, 디지털화된 비디오 데이터를 ITU-TS (구 CCITT) H.261 표준에 따라 압축하여 직접 메모리 접근 (Direct Momory Access, 이하 DMA 라고 약칭함)로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이하 PC라 약칭함)의 주 기억장치에 넘겨준다.
이와함께 마이크로폰으로 입력된 음성 데이터는 ADPCM (Adaptive DeHa Pulse Code Modulation) 방식으로 부호화되어 역시 DMA (Direct Memory Access)로 PC (Personal Computer)의 주 기억 장치에 전달된다.
또한, PC의 주 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2개의 압축된 H.261 비디오 데이터 열과 2개의 음성이 한 개의 음성 데이터로 혼합되어 있는 ADPCM 데이터를 PC로 부터 DMA로 넘겨받아 실시간으로 동시에 복원한다.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비디오 데이터와 복원된 두 개의 비디오 데이터는 그래픽스 보드의 그래픽 데이터에 오버레이 (overlay) 되어 3개의 비디오 동화상이 모니터 상에 동시에 출력되고, 마이크로폰으로 입력된 음성 데이터와 복원된 음성 데이터는 다시 하나의 음성신호로 혼합되어 스피커로 출력된다.
본 발명에서는 비디오 데이터 압축 및 복원부내에 처리기를 병렬로 이중화시킴으로써 압축 및 복원 성능을 배가시켜 1개의 비디오 데이터를 압축하면서 2개의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 열을 동시에 복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압축 및 복원 방법도 ITU-TS H.261 표준을 따름으로써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 열의 호환성을 높였다.
또한 카메라로 입력된 자신의 비디오 데이터와 복원된 2개의 비디오 데이터를 모두 동시에 모니터에 동화상으로 출력해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보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제1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보드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보드의 회로는 비디오 신호 입력 (10), 비디오 오버레이 및 출력부 (20), 비디오 데이터 압축 및 복원부 (30), 오디오 신호 입력부 (40), 오디오 신호 출력부 (50) 및 PC 정합부 (60)로 구성되어 있다.
비디오 신호 입력부 (10)는 카메라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복합 비디오 신호 (National Telivision Standard Committee의 비디오 신호, 이하 NTSC 비디오 신호라고 약칭함)를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시킨다.
입력된 NTSC 신호는 A/D 컨버터 (Analog to Digital Converter, 이하 VADC라고 약칭함)(11)를 거쳐 디지털화되고, 디지털 다중표준 디코더에서 하나의 밝기성분 (Y:Luminance)과 두개의 색상 성분(UV:Chrominance)으로 구성되는 YUV 4:2:2 포맷 비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의 처리에 필요한 수평 및 수직 등기신호로 변환된다.
NTSC 신호로부터 YUV 4 : 2 : 2 포맷 비디오 데이타와 수평 및 수직동기 신호를 만들어내는데에 기준이 되는 클럭은 클럭 발생기(13)에서 제공한다.
비디오 오버레이 및 출력부(20)는 비디오 신호 입력부(10)로 입력되는 로컬 카메라의 비디오 데이터열과 비디오 데이터 압축 및 복원부(30)에서 입력되는 2개의 복원된 상대측 비디오 데이타 열을 포함하는 3개의 YUV 4 : 2 : 2 포맷 비디오 데이터 열을 피쳐컨넥터(24)를 통하여 그래픽스 보드(도면에서는 생략함)로부터 입력되는 그래픽스 데이터에 오버레이시킨다.
또한 비디오 오버레이 및 출력부(20)는 비디오 데이터 포맷 변환, 화면 크기의 스케일링(scaling)등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디지털 비디오 프로세서(21),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레임 버퍼(22), 그리고 비디오 데이터와 그래픽 데이터의 오버레이를 수행하는 미디어 D/A 컨버터(Digital to Analog Converter, 이하 VDAC라고 약칭함)(23)를 포함한다.
디지털 비디오 프로세서(21)는 YUV 4:2:2 포맷의 비디오 데이터를 그래픽스 보드(도면에서는 생략함)에서 출력되는 그래픽스 데이터와 동일한 포맷인 RGB 데이터로 바꾸어 준다.
또한, PC에서 세팅하는 내부 레지스터 값에 따라 모니터에 표시되는 동화상 비디오의 화면 크기를 확대 및 축소시키거나 비디오 화면의 위치를 조정해 준다.
디지털 비디오 프로세서(21)는 두개의 비디오 데이타 입력 포트를 가지고 있어서 두 개의 비디오 데이터 열을 동시에 받아서 처리할 수 있으며, 하나의 비디오 입력 포트로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 열도 수직 동기 신호에 맞추어 최대 4개의 별개의 비디오 데이터 열로 분리 처리할 수 있다.
즉, 한개의 비디오 데이터 열을 입력받아서 1, 5, 9, 13....번째 프레임만 모아서 한개의 비디오 데이터 열로 만들고, 2, 6, 10, 14...번째 프레임만으로 구성되는 또 한개의 비디오 데이터열, 3, 7, 11, 15...번째 프레임, 4, 8, 12, 16...번째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각각의 비디오 데이터 열을 만들수 있다.
본 발명에서 두 개의 비디오 입력 포트 중 하나는 카메라에서 입력되어 처리된 비디오 데이터 열을 입력받으며, 다른 하나는 비디오 데이터 압축 및 복원부(3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 열을 입력한다.
비디오 데이터 압축 및 복원부(3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 열은 2개의 별개 비디오 데이터 열이 멀티플렉싱되어 있는 것으로서 매 홀수번째 프레임과 매 짝수번째 프레임은 별개의 비디오 데이터 열이며 디지털 비디오 프로세서(21)는 이를 분리하여 내부적으로는 3개의 비디오 데이터 열을 처리하게 된다.
또한 VRAM(Video RAM)으로 구성되는 프레임 버퍼(22)를 관리할 수 있는 메모리 관리 유니트를 내장하고 있다.
VDAC(23)은 해상도와 색상 표현 방식이 다른 두 개의 모니터 주사선 신호를 섞어서 하나의 주사선으로 만들어 모니터로 출력하는 비디오 오버레이 및 출력 기능을 수행한다.
이 두 개의 모니터 주사선 중 하나는 그래픽스 보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이고, 다른 하나는 디지털 비디오 프로세서(21)의 프레임 버퍼(22)로 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이다.
그래픽스 보드로부터 그래픽스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하여 피처 커텍터(24)가 있다.
비디오 데이터 압축 및 복원부(30)는 비디오 신호 입력부(10)에서 출력되는 YUV 4:2:2 포맷이 비디오 데이터를 압축하여 PC로 넘겨주면서 다른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를 PC로부터 넘겨 받아서 복원하여 디지털 비디오 프로세서(21)로 출력한다.
압축 및 복원 알고리듬을 수행하는 비디오 이미지 프로세서(31,32)압축 및 복원 알고리듬을 저장하기 위한 SRAM(Static RAM) 코드 메모리(33,34) 그리고 알고리듬 수행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메모리(35,36)를 포함하며, 병렬처리를 위해 모든 구성요소는 이중화되어 있다.
비디오 이미지 프로세서 (31,32)는 입력 비디오 데이터 버스와 출력 비디오 데이터 버스를 따로 사용한다.
동일한 비디오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2개의 비디오 이미지 프로세서 (31,32)가 입력 비디오 데이터 버스를 공유한다.
출력 비디오 데이터 버스는 멀티플렉서(Multiplexer, 이하 MUX라고 약칭함)(37)를 거쳐 디지털 비디오 프로세서(21)에 연결되어 있어서 2개의 비디오 이미지 프로세서(31,32)에서 출력되는 2개의 비디오 데이터 열은 MUX(37)에서 프레임 단위로 하나의 비디오 데이터 열로 멀티플렉싱되어 디지털 비디오 프로세서(21)로 출력된다.
출력 비디오 데이터를 멀티플렉싱 시키는 이유는 디지털 비디오 프로세서(21)가 두 개의 비디오 데이터 입력 포트만 가지므로 카메라 입력 비디오 데이터 열과 두 개의 복원 비디오 데이터 열을 모두 동시에 디지털 비디오 프로세서(21)에 입력시키기 위함이다.
오디오 신호 입력부(40)는 마이크로폰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AADC(42)에서 디지털화한 후, 적응 델타 펄스 코드 변조 부호화기 (Adaptive Delta Pulse Code Modulation Coder, 이하 ADPCMC이라고 약칭함)(41)에서 적응 델타 펄스 코드 변조 (Adaptive Delta Pulse Code Modulation, 이하 ADPCM 이라고 약칭함)방식으로 코드화하여 DMA로 PC에 넘겨준다.
오디오 신호 출력부(50)는 적용 델타 펄스 코드 복조 복호화기(Adaptive Deite Pulse Code Demodulation Decoder, 이하 ADPCDD이라고 약칭함)(51)에서 ADPCM 방식으로 코드화된 음성 데이터를 PC로부터 DMA로 넘겨받아 적응 델타 펄스 코드 복조(Adaptive Deite Pulse Code Demodulation, 이하 ADPCD이라고 약칭함) 복호화한 후, ADAC(52)에서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바꾸어 스피커로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 신호 출력부(50)에는 마이크로폰으로 입력되는 음성신호가 스피커로 출력될 수 있도록 오디오 신호 입력부(40)로부터 디지털화된 음성신호를 받아서 ADPCD로 복호화된 디지털 음성신호와 합쳐주는 믹서(mixer)(53)도 포함되어 있다.
PC 정합부(60)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보드와 PC 간의 통신을 위한 정합부로서 멀티미디오 보드에서 처리되는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 열과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들을 DMA로 PC와 교환될 수 있도록 해주며, 로직 게이트들로 구성된다.
제2도는 세 사람이 영상회의를 할 경우의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보드의 동작을 나타내는 데이터 흐름도이다.
제2도를 참조하여 세 사람이 영상회의를 할 경우의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보드에서의 비디오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각각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이크로폰으로 입력된 음성신호는 AADC(42), ADPCMC(41)를 거쳐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로 변환되고, 변환된 음성 데이터는 DMA로 PC의 메인 메모리에 저장된다.
메인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데이타는 LAN을 통하여 다른 두 시스템에 전송된다.
3자 회의를 위해 다른 두 시스템에서 각각 부호화된 두 개의 음성 데이터는 LAN을 통하여 각각 수신된 후 PC의 CPU에서 하나로 혼합되어 메인 메모리에 저장되었다가, DMA로 멀티미디오 보드에 입력되며, ADPCDD(51)에서 복호화된 후, 마이크로폰으로 입력되어 AADC(42)에서 디지털화된 음성신호와 믹서(53)에서 혼합되어 ADAC(52)를 거쳐 스피커로 출력된다.
따라서, 스피커에는 로컬 마이크 입력과 리모트 마이크 입력 2개가 합쳐져서 세사람의 음성이 모두 동시 출력된다.
카메라로 입력된 비디오 신호는 VADC(11)와 디지털 다중 표준 디코더(11)를 거쳐 YUV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지털 비디오 프로세서(21)와 제1비디오 이미지 프로세서(31)와 제2비디오 이미지 프로세서(32)의 세 곳에 동시에 입력된다.
디지털 비디오 프로세서(21)에 입력된 비디오 데이터는 프레임 버퍼(22), VDAC(23)를 거쳐 모니터에 출력된다.
이와 함께 제1비디오 이미지 프로세서(31)과 제2비디오 이미지 프로세서(32)에 입력된 비디오 데이터는 프로그램 콘트롤에 의해 선택된 비디오 이미지 프로세서(31,32)에서 H.261 알고리듬에 따라 압축되어 DMA로 PC의 메인 메모리에 저장된다.
메인 메모리에 저장된 압축된 비디오 데이타는 LAN을 통하여 다른 두 시스템에 전송된다.
다른 두 시스템중 제1시스템에서 압축된 제1비디오 데이터 열은 LAN을 통하여 수신된 후 PC의 메인 메모리에서 DMA로 입력되어 제1비디오 이미지 프로세서(31)에서 H.261 알고리듬에 따라 복원되어, MUX(37)에서 제2비디오 이미지 프로세서(32)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와 프레임 단위로 멀티플렉싱되어 디지털 비디오 프로세서(21)에 입력되며, 프레임 버퍼(22), VDAC(23)을 거쳐 모니터에 출력된다.
다른 두 시스템 중 제2시스템에서 압축된 제2비디오 데이터 열도 LAN을 통하여 수신된 후 PC의 메인 메모리에서 DMA로 입력되어 제2비디오 이미지 프로세서(32)에서 복원되며, MUX(37)에서 멀티플렉싱되어 디지털 비디오 프로세서(21)로 입력되어, 프레임 버퍼(22), VDAC(23)을 거쳐 모니터에 출력된다.
그래픽스 보드에서 출력되는 그래픽스 테이터는 그래픽 보드와 멀티 미디어 보드를 연결하는 피처 커넥터 (24)를 통하여 본 보드에 입력되어 VDAC(23)을 통하여 비디오 데이터와 함께 모니터에 출력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회의에 참석한 세사람의 동화상을 PC의 데이타 처리부담이 없이 동시에 표준 동화상 압축 및 복원방법으로 처리하여 동화상이 움직임도 자연스럽고, 세사람의 동화상을 동시에 모니터 상에 출력할 수 있으며 화면의 크기도 조절할 수 있다는 데에 있다.

Claims (18)

  1. 주변장치들과 컴퓨터 사이에서 비디오 신호와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다자간 데스크탑 영상회의를 가능하게 하는 멀티미디어 보드에 있어서,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시키는 비디오 신호 입력부와; 상기 비디오 신호 입력부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압축하여 상기 컴퓨터에 넘겨 주면서 다른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로부터 넘겨 받아서 복원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데이터 압축 및 복원부와; 상기 비디오 신호 입력부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 열과 상기 비디오 데이터 압축 및 복원부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 열을 입력받고 그래픽스 보드에서 출력되는 그래픽스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그래픽스 데이터에 오버레이시켜 모니터에 출력하는 비디오 오버레이 및 출력부와;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화한 후 소정의 방법으로 코딩하여 상기 컴퓨터에 전달하는 오디오 신호 입력부와; 상기 오디오 신호 입력부에서 소정의 방식으로 코딩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로부터 전달받아 디코딩한 후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바꾸어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출력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 보드와 상기 컴퓨터 사이의 통신을 위하여 정합하는 정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신호 입력부가, 입력된 아날로그 비디오 신화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1변환 수단과; 상기 제1변환 수단으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한 개의 밝기 성분과 두 개의 색상 성분으로 구성되는 포맷 비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고 또한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처리에 필요한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로도 변환하는 제2변환수단과; 상기 제1변환 수단과 상기 제2변환 수단이 신호를 변환하는 데에 기준이 되는 클럭을 발생시키는 클럭 발생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 압축 및 복원부가, 비디오 데이터를 압축 및 복원하는 제1비디오 이미지 압축 및 복원 수단과; 비디오 데이터를 압축 및 복원하는 제2비디오 이미지 압축 및 복원 수단과 ; 상기 제1비디오 이미지 압축 및 복원 수단을 위하여 압축 및 복원 알고리듬을 저장하는 제1압축 및 복원 알고리듬 저장 수단과; 상기 제2비디오 이미지 압축 및 복원 수단을 위하여 압축 및 복원 알고리듬을 저장하는 제2압축 및 복원 알고리듬 저장 수단과; 상기 제1비디오 이미지 압축 및 복원 수단이 상기 제1압축 및 복원 알고리듬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압축 및 복원 알고리듬을 수행할 때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1데이터 저장 수단과; 상기 제2비디오 이미지 압축 및 복원 수단이 상기 제2압축 및 복원 알고리듬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압축 및 복원 알고리듬을 수행할 때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2데이터 저장 수단; 및 상기 제1비디오 이미지 압축 및 복원 수단과 상기 제2비디오 이미지 압축 및 복원 수단에서 출력되는 2개의 비디오 데이터 열을 입력받아 하나의 비디오 데이터 열로 멀티플렉싱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오 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비디오 이미지 압축 및 복원 수단과 상기 제2비디오 이미지 압축 및 복원 수단이 입력 비디오 데이터 버스와 출력 비디오 데이터 버스를 따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비디오 데이터 버스가 동일한 비디오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제1비디오 이미지 압축 및 복원 수단과 상기 제2비디오 이미지 압축 및 복원 수단이 공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보드.
  6. 제1항에 있어서, 비디오 오버레이 및 출력부가, 상기 비디오 신호 입력부와 상기 비디오 이미지 압축 및 복원부에서 비디오 데이터 열을 입력받고 그래픽 데이터를 입력받아 비디오 데이터의 포맷을 그래픽 데이터의 포맷과 동일한 포맷으로 변환하고, 화면 크기의 스케일링을 위하여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처리수단과; 상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처리수단으로 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프레임 임시저장 수단과; 상기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각각 입력받아 오버레이하여 모니터로 출력하는 오버레이 수단; 및 상기 그래픽스 보드로부터 그래픽스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그래픽스 데이터를 상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처리수단의 입력단과 오버레이 수단의 입력단에 각각 출력하는 그래픽스 데이터 정합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보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처리수단이 상기 컴퓨터에서 세팅하는 내부 레지스터 값에 따라 모니터에 표시되는 동화상 비디오의 화면 크기를 확대 및 축소시키거나 비디오 화면의 위치를 조정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보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처리수단이 하나의 비디오 입력 포트로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 열도 수직 동기 신호에 맞추어 4개의 별개의 데이터 군으로 분리 처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보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처리수단이 상기 비디오 신호 입력부에서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 열과 상기 비디오 이미지 압축 및 복원부에서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 열을 입력받아 상기 비디오 이미지 압축 및 복원부에서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 열을 분리하여 내부적으로는 총 3개의 비디오 데이터 열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보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처리수단이 상기 프레임 임시저장 수단을 관리할 수 있는 메모리 관리 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보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수단이 해상도와 색상 표현 방식이 서로 다른 두 개의 모니터 주사선 신호를 섞어서 하나의 주사선으로 만들어 모니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보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두 개의 모니터 주사선 중의 하나는 상기 그래픽스 보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이고; 상기 서로 다른 두 개의 모니터 주사선 중의 다른 하는 상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처리수단에 의해 프레임 버퍼로 부터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보드.
  13. 제1항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 입력부가, 마이크로폰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4변환수단; 및 상기 제4변환수단으로 부터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의 방법으로 코딩하여 상기 컴퓨터에 전달하는 코딩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보드.
  14. 제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입력부 또는 상기 코딩 수단이 적응 델타 펄스 코드 변조 방식으로 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보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출력부가 음성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로 부터 전달받아 소정의 방법으로 디코딩하는 디코딩 수단과;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오디오 신호 입력부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화된 음성신호를 받아서 상기 디코딩 수단에 의해 디코딩된 디지털 음성신호와 합쳐서 출력하는 신호 혼합 수단; 및 상기 신호 혼합 수단으로 부터 입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5변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보드.
  16. 제1항과 제13항과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입력부와 상기 오디오 신호 출력부와 상기 코딩 수단과 상기 디코딩 수단이 직접 메모리 접근 방식으로 상기 컴퓨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보드.
  17. 제1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출력부 또는 상기 디코딩 수단이 적응 델타 펄스 코드 변조 방식의 역으로 디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보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부가 논리 게이트들로 구성되어 상기 멀티미디어 보드에서 처리되는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 열과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들을 직접 메모리 접근 방식으로 상기 컴퓨터와 송수신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보드.
KR1019950045015A 1995-11-29 1995-11-29 다자간 데스크탑 영상회의를 위한 멀티미디어 보드 KR0171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5015A KR0171381B1 (ko) 1995-11-29 1995-11-29 다자간 데스크탑 영상회의를 위한 멀티미디어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5015A KR0171381B1 (ko) 1995-11-29 1995-11-29 다자간 데스크탑 영상회의를 위한 멀티미디어 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094A KR970032094A (ko) 1997-06-26
KR0171381B1 true KR0171381B1 (ko) 1999-03-20

Family

ID=19436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5015A KR0171381B1 (ko) 1995-11-29 1995-11-29 다자간 데스크탑 영상회의를 위한 멀티미디어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13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693B1 (ko) * 1997-06-04 2005-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및영상다중전송시스템
KR100708080B1 (ko) * 2000-05-09 2007-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데이터 정합장치
KR20010114129A (ko) * 2000-06-20 2001-12-29 김건우 영상 압축/해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094A (ko) 199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3651B1 (ko) 고속 로컬버스용 통합 멀티미디어 보드회로
US5611038A (en) Audio/video transceiver provided with a device for reconfiguration of incompatibly received or transmitted video and audio information
US5970233A (en) Multiple codecs for video encoding format compatibility
KR100316639B1 (ko) 다지점 영상회의 시스템 및 그에 따른 구현방법
US7039675B1 (en) Data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dapted to control distribution of data corresponding to various types of a plurality of terminals
US20060259552A1 (en) Live video icons for signal selection in a videoconferencing system
EP1721462B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generating continuous presence images
JPH1042261A (ja) マルチメディア通信システム向け圧縮領域映像へのテキストオーバーレイ
KR0171381B1 (ko) 다자간 데스크탑 영상회의를 위한 멀티미디어 보드
US5854892A (en) Video conferencing decoder engine with direct signaling to encoder engine for relaying of decoded data
JPS62200883A (ja) 電子会議システムにおける図形表示装置
KR0176091B1 (ko) 다자간 데스크탑 영상회의를 위한 멀티미디어 보드에서의 비디오스트림 처리방법
JP3178871B2 (ja) 画像通信装置
JP2988686B2 (ja) 放射受信システム
JP2592983B2 (ja) テレビ会議方式
KR100238134B1 (ko) 화상전화기의 화면처리회로
JP2515174B2 (ja) 多元テレビ会議システム
KR970003792B1 (ko) 표준 압축/복원 지원용 비디오 오버레이 장치
KR100240650B1 (ko) 통합 멀티미디어 데이터 입출력 장치의 구조 및 그 구동 방법
JPH0564184A (ja) Tv会議システムの画面構成方式
Crouch et al. Screen-based multimedia telephony
JPH0222986A (ja) 画像伝送装置
JPH0340585A (ja) テレビ電話装置
JP3475541B2 (ja) 画像通信端末装置
KR970000769B1 (ko) 원격 화상회의 시스템의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타의 압축/복원 처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