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1274B1 -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그룹호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그룹호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1274B1
KR0171274B1 KR1019920027515A KR920027515A KR0171274B1 KR 0171274 B1 KR0171274 B1 KR 0171274B1 KR 1019920027515 A KR1019920027515 A KR 1019920027515A KR 920027515 A KR920027515 A KR 920027515A KR 0171274 B1 KR0171274 B1 KR 0171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group call
group
telephone system
wireless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7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7628A (ko
Inventor
이철
Original Assignee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장호
Priority to KR1019920027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1274B1/ko
Publication of KR940017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7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1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1274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그룹호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그룹호출시 미리 설정해 놓은 그룹 전체 호출시 생기는 불필요한 통화자의 호출을 방지하여 원하는 일부 통화자와 선택적으로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그룹호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그룹호출 제어 방법은 다수의 접속장치중 어느 하나의 접속장치를 통해 휴대장치의 위치를 제어장치에 등록하는 단계와, 휴대장치에서 그룹호출 기능키와 원하는 다수의 휴대장치 고유번호 메시지를 입력하는 단계와, 통화를 위한 링크를 형성하고 링크가 형성된 접속장치를 통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상기의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장치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에 따라 피호출 휴대장치가 위치 등록된 접속장치를 통해 피호출 휴대장치를 호출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그룹호출 제어 방법
본 발명은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그룹호출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룹호출 할 때 불필요한 통화자의 호출을 방지하고 원하는 일부 가입자만 선택적으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한 구내 무선 전화 시스템의 그룹호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전화 시스템은 휴대장치 사용자가 접속장치 구역내에서 무선으로 통화할 수 있는 휴대장치와, 이를 무선 통화 회선으로 연결하여 제어장치에 유선으로 연결된 다수의 접속장치, 그리고 유선 통화 회선 및 데이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제어장치와, 가입자 루프가 연결되어 스위칭 기능을 갖는 사설 교환기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1도는 일반적인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전체 블록도로서 휴대장치(1a∼1n)는 무선 통화 회선을 통해 접속장치(2a∼2n)와 연결되고, 상기 접속장치(2a∼2n)는 유선 통신 회선 및 데이터 네트워크(3)를 통해 제어장치(4)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장치(4)는 다수의 가입자 루프(5)와 연결되어 있는 사설 교환기(6)와 접속된다.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휴대장치(1a∼1n)에 대한 구체적인 블록도로서, 각 휴대장치(1a∼1n)는 접속장치(2a∼2n)와 무선 통화 회선을 구성하기 위하여 송신부(7)와 수신부(18)를 포함하며, 상기의 송신부(7)와 수신부(18)는, 듀플렉서(9)를 거쳐서 안테나(10)에 연결되고, 상기 송신부(7)와 수신부(18)는 시그널링 신호에 대한 채널 선택을 위해서 주파수 합성기(11,12)로부터 국부 발진 신호를 공급받는다.
제어부(13)는 접속장치(2a∼2n)와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하여 음성 데이터 및 DTMF 신호를 변·복조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변조기(14) 및 데이터 복조기(15)를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 변조기(14)와 데이터 복조기(15)는 각각 송·수신부(7,18)에 연결되며, 그룹 식별코드, 접속장치 식별코드 및 휴대장치 식별코드 등을 EEPROM(17)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도면 제3도는 제1도의 접속장치(2a∼2n)에 관한 구체적인 블록도로서, 각 접속장치(2a∼2n)는 제2도의 휴대장치에 대응하는 안테나(18), 송신부(19), 수신부(20), 듀플렉서(21), 주파수 합성기(22,23), 데이터 변조기(24), 데이터 복조기(25), EEPROM(26) 및 제어부(27)를 포함하는 다수의 고주파 유니트가 있으며 송·수신부(19,20)와 제어부(27)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28)는 하이브리드음성 및 DTMF신호, 인터페이스 데이터 신호를 유선 통화 회선의 데이터 네트워크(3)를 통해 제어장치(4)와 상호 교신하도록 한다.
도면 제4도는 제1도의 제어장치(4)를 보다 구체적인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제어장치(4)는 사설 교환기(6)의 접속장치(2a∼2n) 사이의 유선 통화 회선을 연결하는 스위치부(29)를 갖고 있으며, 스위치부(29)는 가입자 루프(5)를 통하여 사설 교환기(6)와 연결되며 유선 통화 회선 및 데이터 네트워크(3)를 통하여 접속장치(2a∼2n)와 연결된다.
제어부(30)는 접속장치(2a∼2n)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스위치부(29)를 하여 데이터 네트워크(3)와 연결되어 있고, 데이터 네트워크(3)를 통하여 접속장치(2a∼2n)와 연결된다.
또한, 제어부(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1)에 연결되어 시스템 제어 및 데이터 입출력 기능을 수행하며, 메모리(32)에는 그룹 식별 코드, 접속장치 식별코드, 휴대장치 위치 정보, 가입자의 번호 및 그 밖의 시스템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에서 한 휴대장치(1a∼1n)가 다수의 가입된 휴대장치(1a∼1n)를 동시에 호출하여 동시 통화를 하려고 할 때 휴대장치(1a∼1n)의 그룹호출 기능을 이용하여 정해진 그룹 내의 가입된 휴대장치(1a∼1n)를 호출하여 통화하는데, 이때 정해진 그룹내의 휴대장치(1a∼1n)를 모두 호출하게 된다.
또한, 그룹호출의 범위도 1,2,3.... 등의 그룹호출 군으로 나누어지며, 휴대장치(1a∼1n)의 호출 기능을 이용하여 접속장치(2a∼2n)와 휴대장치(1a∼1n) 사이에 무선 통화 링크가 설정되도로 한 후 (그룹호출 기능번호)+(그룹의 번호)를 차례로 눌러 그룹호출 기능을 수행한다.
휴대장치(1a∼1n)로부터 그룹호출 데이터를 수신 받은 접속장치는 데이터를 제어장치(4)로 유선통화 회선 및 데이터 네트워크(3)를 통해 보내면 제어장치(4)는 상기의 데이터를 다수의 가입자 루프(5)에 연결되어 있는 사설 교환기(6)로 보내고, 제어장치(4)는 접속장치(2a∼2n)를 통해 전달된 휴대장치(1a∼1n)의 그룹호출 데이터를 판별하여 입력된 상기의 그룹 호출군 번호 내의 수신 휴대장치(1a∼1n)를 호출하기 위하여 메모리(32)에 입력된 그룹 식별코드, 접속장치 식별코드, 휴대장치의 위치정보, 가입자 휴대장치의 고유번호 등을 검색하고, 호출된 휴대장치(1a∼1n)에 연결된 접속장치(2a∼2n)를 제어함으로서, 가입된 휴대장치(1a∼1n)를 호출한다.
이러한 종래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은 특허출원 제89-18613호로 1989년 12월 15일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되고, 특허 공개 번호 제91-13767호로 1991년 8월 8일 공개되었으며, 특히 공고 번호 제92-9152호로 1992년 10월 13일 공고된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에 좀더 자세하게 기술되어 있으며, 이러한 기술에 의한 그룹호출은 미리 설정해 놓은 호출 군내의 모든 휴대전화 가입자를 동시에 호출하여 실제로 원하는 휴대전화 가입자를 선별하여 통화를 할 수가 없고, 전체 호출로 인한 시스템의 그룹 호출 효율을 감소시키고, 호출군을 축소하더라도 그 호출 군내의 원하지 않는 휴대장치 가입자를 호출하게 되어 호출하고자 하는 휴대장치 가입자를 원하는 대로 선택할 수가 없으므로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전반적인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제1도는 일반적인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제2도는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휴대장치 블록도이고,
제3도는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접속장치 블록도이고,
제4도는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제어장치 블록도이고,
제5도는 종래의 휴대장치 호출(그룹, 일체) 기능 연결도이고,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장치 호출 기능 연결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n : 휴대장치 2a∼2n : 접속장치
3 : 데이터 네트워크 4 : 제어장치
5 : 가입자 루프 6 : 사설 교환기
7,19 : 듀플렉서 10,18 : 안테나
11,12,22,23 : 주파수 합성기 13,27 : 제어부
14,24 : 데이터 변조기 15,25,30 : 데이터 복조기
16,31 : 사용자 인터페이스 17,26 : EEPROM
28 : 인터페이스 29 : 스위치부
32 : 메모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특히 효율적인 그룹 호출을 하기 위한 것이다. 즉, 그룹호출 이외에도 특정하게 필요한 휴대장치만을 선별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그룹호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은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그룹호출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접속장치 중 어느 하나의 접속장치를 통해 휴대장치의 위치를 제어장치에 등록하는 단계와, 휴대장치에서 그룹호출 기능키와 원하는 다수의 휴대장치 고유번호 메시지를 입력하는 단계와, 통화를 위한 링크를 형성하고 링크가 형성된 접속장치를 통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상기의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장치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에 따라 피호출 휴대장치가 위치 등록된 접속장치를 통해 피호출 휴대장치를 호출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휴대장치의 통화를 위해 통화 링크를 설정한 후 호출하는 것이 아니라 통화를 원하는 휴대장치 가입자 번호를 휴대장치에 기억시킨 후 통화링크를 설정하는 것으로 통화링크 설정과 동시에 기억된 휴대장치 가입자 번호를 송신하므로서, 제어장치가 이를 수신 받아 해당 접속장치를 통해 호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룹 및 일제 호출시 정해진 그룹호출군 이외에 일부의 휴대장치를 선택하여 호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은 휴대장치(1a∼1n) 사용자가 임의의 장소에서 통화를 할 수 있는 휴대장치(1a∼1n)와, 상기 휴대장치(1a∼1n)와 무선으로 통화가 가능하도록 회선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접속장치(2a∼2n)와, 다수의 접속장치(2a∼2n)에 유선 통화 회선과 데이터 네트워크(3)를 통해 접속되며 스위치 기능을 갖는 제어장치(4)와, 상기 제어장치(4)에 다수의 가입자 루프(5)를 통해 접속되는 사설 교환기(6)로 구성되어 있다.
휴대장치(1a∼1n)는 제1도와 같이 무선통신 회선을 통해 접속장치(2a∼2n)와 연결되고, 상기 접속장치(2a∼2n)는 유선 통화 회선 및 데이터 네트워크(3)를 통해 제어장치(4)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장치(4)는 다수의 가입자, 루프(5)와 연결되어 있는 사설 교환기(6)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접속장치(2a∼2n)의 구체적인 설명은 제3도와 같이 휴대장치(1a∼1n)에 대응하는 안테나(18), 송신부(19), 듀플렉서(21), 주파수 합성기(22,23), 데이터 변조기(24), 데이터 복조기(25), EEPROM(26) 및 제어부(27)를 포함하는 다수의 고주파 유니트가 있으며, 송신부(19)의 입력과 수신부(20)의 출력(20)은 하이브리드와 연결되고, 제어부(27)의 제어에 의한 (2B+D) 하이브리드 음성 및 DTMF신호와, 인터페이스(28)의 데이터 신호는 유선 통화 회선의 데이터 네트워크(3)를 통해 제어장치(4)와 연결되어 상호 교신한다.
휴대장치(1a∼1n)의 구성은 도면 제2도와 같으며 상기의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일반적으로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에서 휴대장치 사용자는 그룹호출 및 일제호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즉, 일제호출은 시스템내의 모든 휴대장치를 호출하는 것이고, 그룹호출은 시스템내에 등록된 모든 휴대장치가 몇 개의 그룹(예 : 1,2,3,4그룹)으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기능키를 사용하여 호출하고자 하는 해당 그룹을 호출하는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장치(1a∼1n)로 일제 통화를 시도할 경우에는 휴대장치(1a∼1n)의 일제 호출 기능 키를 누르게 되고, 그룹호출을 시도하려고 하면 휴대장치(1a∼1n)의 (그룹호출기능)+(호출그룹 번호)키를 눌러 호출한다.
호출 휴대장치(1a∼1n)에서 파워 언(Power-On) 메시지를 보내면 도면 제1도에서와 같이 접속장치(2a∼2n)를 통해 제어장치(4)로 상기의 메시지를 보내고, 휴대장치(1a∼1n)의 파워 온(Power-On) 후 발생하는 위치 이동은 제어장치(4)가 일정시간마다 접속장치(2a∼2n)를 통해 휴대장치(1a∼1n)의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그후, 호출 휴대장치(1a∼1n)에서 그룹 및 일체 호출을 하게 되면 상기의 호출 메시지는 접속장치(2a∼2n)에서 수신되고, 접속장치(2a∼2n)는 제어장치(4)로 상기의 호출 메시지를 보내게 된다. 이때, 제어장치(4)는 도면 제4도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메모리(32)에 저장된 그룹 식별코드, 접속장치 식별코드, 휴대장치 위치 정보 및 가입자 휴대장치의 고유번호 등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의 수신 휴대장치(1a∼1n)가 현재의 위치를 등록한 접속장치(2a∼2n)를 통하여 수신 휴대장치(1a∼1n)를 호출하게 된다. 이때, 그룹을 세분화한 그룹호출을 해도 휴대장치 사용자가 그룹호출함에 있어서, 그 호출된 그룹의 일부 휴대장치(1a∼1n)만 선별하여 호출할 수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그룹호출을 위하여 그룹호출 외에도 원하는 휴대장치(1a∼1n)만을 선별하여 호출하는 선별적 그룹호출을 한다.
즉, 휴대장치(1a∼1n)의 통화를 위해 링크 형성한 후 수신 휴대장치(1a∼1n)를 호출하는 것이 아니고, 원하는 휴대장치(1a∼1n)의 가입자 번호를 각각의 모든 휴대장치(1a∼1n)에 기억시킨 후 링크 형성하는 것으로서, 링크 형성과 동시에 기억된 번호를 송신하면 제어장치(4)가 이를 수신 받아 행당 접속장치(2a∼2n)를 통해 수신 휴대장치(1a∼1n)를 호출하는 것이다.
도면 제6도를 참조하여 선별적 그룹호출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휴대장치(1a∼1n)의 파워 온 또는 시스템에 의하여 현재의 위치가 등록된 후 휴대장치(1a∼1n)가 선별적인 그룹호출을 할 경우 휴대장치(1a∼1n)에서 (그룹호출 기능버튼)+?+(휴대장치 번호)+?+(휴대장치 번호)+?+(휴대장치 번호)+?+(...)의 순서로 다이얼링하고, 통화를 위하여 링크를 형성하면 링크 형성과 동시에 위 메시지는 링크가 형성된 접속장치(2a∼2n)를 통하여 제어장치(4)에 전달되고, 상기 제어장치(4)는 접속장치(2a∼2n)로부터 인가받는 메시지를 확인한 후 휴대장치(1a∼1n)를 호출하게 된다.
좀더 구체적인 예를 들면, 고유번호 7824,7249,7250,7258을 갖는 휴대장치(1a∼1n)를 호출하는 경우, 휴대장치(1a∼1n)에서 (그룹호출 기능 버튼)+#+7284+#+7249+#+7250+#+7258을 차례로 누른 후 링크를 형성하면 된다.
이는 그룹호출시 생기는 원하지 않는 휴대장치(1a∼1n) 가입자의 호출을 방지하고 원하는 통화자만을 선택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은 효율적인 그룹호출을 하기 위하여 일체호출 및 그룹호출 외에도 선별적 그룹호출을 하므로서 그룹호출에 따른 채널 효율, 통화 품질 및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그룹호출 제어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접속장치 중 어느 하나의 접속장치를 통해 휴대장치의 위치를 제어장치에 등록하는 단계와, 휴대장치에서 그룹호출 기능키와 원하는 다수의 휴대장치 고유번호 메시지를 입력하는 단계와, 통화를 위한 링크를 형성하고 링크가 형성된 접속장치를 통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상기의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장치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에 따라 피호출 휴대장치가 위치 등록된 접속장치를 통해 피호출 휴대장치를 호출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그룹호출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휴대장치의 가입자 번호를 입력하기 전에 가입자 번호의 시작을 알리는 기능키를 누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의 그룹호출 제어 방법.
KR1019920027515A 1992-12-31 1992-12-31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그룹호출 제어방법 KR0171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7515A KR0171274B1 (ko) 1992-12-31 1992-12-31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그룹호출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7515A KR0171274B1 (ko) 1992-12-31 1992-12-31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그룹호출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628A KR940017628A (ko) 1994-07-27
KR0171274B1 true KR0171274B1 (ko) 1999-03-30

Family

ID=19348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7515A KR0171274B1 (ko) 1992-12-31 1992-12-31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그룹호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12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015B1 (ko) * 1999-09-30 2006-11-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그룹 동시 문자호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628A (ko) 1994-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8218A (en) Radio key telephone system having a common signaling channel
US5953407A (en) Distinctive ringing and distinctive call-waiting tones in an ISDN
US4802206A (en) Calling system for enabling speech transmission from a caller to a called busy party in a telephone system
US6138038A (en) System for establishing an outgoing connection from terminal equipment to a data transmission system
KR0171274B1 (ko)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그룹호출 제어방법
KR920009152B1 (ko)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AU727365B2 (en) Establishing a telecommunication connection
EP0932968B1 (en) Establishing a telecommunication connection
JPH0234047A (ja) 無線電話装置
WO1998020662A9 (en) Establishing a telecommunication connection
KR19990069674A (ko) 간이교환 시스템에서의 선택 수신 방법
KR100232791B1 (ko) 키폰시스템에서 링착신방법
KR100454614B1 (ko)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통화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239175B1 (ko) 전화기에서 착신 정보를 등록된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US64872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ge communication
KR0167378B1 (ko)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KR100389833B1 (ko) 디지탈 무선 전화기의 다이얼 디지트 저장 제어 방법
JPH0918963A (ja) Phs移動体通信方式
JP2912296B2 (ja) 多方向多重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端局内接続方式
KR100222658B1 (ko) 무선통신망에서 순방향 제어채널을 이용한 발신자 전화번호 송수신 방법
KR100498913B1 (ko) 키폰시스템에서 다이얼톤 안내 방법
KR0178810B1 (ko) 주파수 공용 시스템의 단말기 호출방법
JPS58151765A (ja) デイジタル電話機
JPS6324725A (ja) 選択呼出し可能なコ−ドレステレホンシステム
JPS6338355A (ja) 複数選択信号連続発信機能付多機能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