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1144B1 - 단계적 움직임 추정을 채용한 움직임벡터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단계적 움직임 추정을 채용한 움직임벡터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1144B1
KR0171144B1 KR1019950005856A KR19950005856A KR0171144B1 KR 0171144 B1 KR0171144 B1 KR 0171144B1 KR 1019950005856 A KR1019950005856 A KR 1019950005856A KR 19950005856 A KR19950005856 A KR 19950005856A KR 0171144 B1 KR0171144 B1 KR 0171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block
motion vector
hierarchical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5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6702A (ko
Inventor
정해묵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05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1144B1/ko
Publication of KR960036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6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1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11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3Multi-resolution motion estimation; Hierarchical motion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37Motion inside a coding unit, e.g. average field, frame or block difference
    • H04N19/139Analysis of motion vectors, e.g. their magnitude, direction, variance or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층적 움직임 추정 기법을 사용하여 두개의 연속 비디오 프레임으로부터 움직임 벡터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한 단계적 움직임 추정을 채용한 움직임벡터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현재 프레임 및 이전 프레임을 사용하는 계층적 움직임 추정(multi-tier hierarchical motion estimation)을 사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각 프로세싱 블럭에 대한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은, (a) 프로세싱 블럭의 각 계층적 탐색블럭들을 대응하는 계층적 탐색영역에 대해 움직임 추정하여 계층적 탐색블럭들에 대응하는 움직임 벡터들과 최소 에러함수들을 제공하며, 상기 각 움직임 벡터는 각각의 상기 계층적 탐색블럭과 대응하는 계층의 최소 에러함수를 생성하는 후보블럭 사이의 화소들의 변위를 나타내는 단계와; (b) 상기 최소 에러함수들을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c) 상기 계층적 탐색블럭들중에서 가장 작은 최소 에러함수를 갖는 탐색블럭을 결정하는 단계와; (d)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탐색블럭의 최소 에러함수가 상기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탐색블럭중에서 가장 높은 계층의 탐색블럭에 대응하는 움직임 벡터를 상기 프로세싱 블럭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하고, 만약 상기 최소 에러함수들중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은 것이 하나도 없으면 상기 단계 (c)에서 결정된 탐색블럭에 대응하는 움직임 벡터를 상기 프로세싱 블럭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계적 움직임 추정을 채용한 움직임벡터 검출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비디오신호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 사이의 움직임벡터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블럭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에러함수 발생기들중의 하나를 나타낸 상세 블럭구성도.
제3도는 계층적 탐색블럭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프로세싱블럭 10,12,14,16 : 탐색블럭
50 : 프레임 메모리 110,130,150,170 : 블럭형성기
210,230,250,270 : 에러함수 발생기 312,314,316 : 작은값 검출기
322,324,326,328 : 비교기 332,334,446 : 선택기
400 : 움직임 벡터 선택기
본 발명은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계층적 움직임 추정 기법을 사용하여 두개의 연속 비디오 프레임으로부터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기 위한 개선된 단계적 움직임 추정을 채용한 움직임벡터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선명 텔레비전 및 비디오 전화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전자/전기적 응용분야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디지탈 형태로 전송될 필요가 있다. 영상신호가 디지탈 형태로 표현될 때, 상당한 양의 디지탈 데이타가 발생된다. 그러나, 통상의 전송채널의 이용가능한 주파수 대역폭이 제한적이므로, 영상신호를 통상의 전송채널을 통해 전송하기 위해서는 전송데이타량을 압축하거나 줄여야 한다. 다양한 압축기법중에서, 움직임 보상 인터프레임 부호화 기법이 효과적인 압축기법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신호의 압축을 위해 두 인접 비디오 프레임 사이의 비디오 신호의 시간적 리던던시를 사용한다.
한편, 움직임 보상 인터 프레임 부호화 기법에 있어서, 현재 프레임 데이타는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 사이의 움직임 추정에 의거하여 이전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다. 이러한 추정된 움직임은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 사이의 화소들의 변위를 나타내는 2차원 움직임 벡터로 나타낼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에 제안되어 있는 움직임 벡터 추정 기법중의 하나는 블럭매칭 알고리즘이다(See, e.g., J.R. Jain et al., Displacement Measurement and Its Application in Interframe Image Coding, IEE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 COM-29, No.12(December 1981)).
다른한편, 블럭매칭 알고리즘에 따르면, 현재 프레임은 다수의 동일한 크기의 탐색블럭들로 분할되며, 이와같이 분할되는 탐색블럭들의 크기는 전형적으로 8×8과 32×32 화소 사이의 범위를 갖는다. 현재 프레임내의 탐색블럭에 대한 움직임벡터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현재 프레임의 탐색블럭과, 탐색블럭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다수의 각 후보블럭 사이에서 유사계산(similarity calculation)이 수행된다. 상기 후보블럭은 이전 프레임내의 탐색영역에 포함되며, 탐색영역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탐색블럭보다 더 크다. 절대평균에러(mean absolute error) 또는 제곱평균에러(mean square error)와 같은 에러함수가 현재 프레임의 탐색블럭과 탐색영역내 각 후보블럭 사이의 유사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움직임벡터는 정의에 의해 탐색블럭과 최적매칭블럭, 즉 최소 에러 또는 차이를 유발하는 후보블럭 사이의 변위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된 크기의 탐색블럭을 채용하는 종래의 블럭매칭 움직임 추정에서는, 탐색블럭이 비교적 클 경우, 동일하게 움직이지 않는 탐색블럭내의 모든 화소에 동일한 움직임 벡터가 할당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수신측에서 복원되는 전체 영상의 화질저하가 야기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계층적 움직임 추정 기법을 사용하여 두개의 연속 비디오 프레임으로부터 움직임 벡터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 개선된 단계적 움직임 추정을 채용한 움직임벡터 검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현재 프레임 및 이전 프레임을 사용하는 계층적 움직임 추정을 사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각 프로세싱 블럭에 대한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재 프레임은 동일한 크기를 갖는 다수의 프로세싱 블럭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상기 프로세싱 블럭은 1보다 큰 정수인 M개의 계층적 탐색블럭들을 가지며, 어떤 계층의 탐색블럭의 크기는 보다 낮은 계층의 탐색블럭보다 더 크며, 또한 상기 이전 프레임은 상기 계층적 탐색블럭에 대응하는 다수의 탐색영역으로 분할되고, 각 탐색영역은 다수의 후보블럭들을 가지며, 각각의 후보블럭들은 대응하는 계층적 탐색블럭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상기 방법은: (a) 프로세싱 블럭의 각 계층적 탐색블럭들을 대응하는 계층적 탐색영역에 대해 움직임 추정하여 계층적 탐색블럭들에 대응하는 움직임 벡터들과 최소 에러함수들을 제공하며, 상기 각 움직임 벡터는 각각의 상기 계층적 탐색블럭과 대응하는 계층의 최소 에러함수를 생성하는 후보블럭 사이의 화소들의 변위를 나타내는 단계와; (b) 상기 최소 에러함수들을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c) 상기 계층적 탐색블럭들중에서 가장 작은 최소 에러함수를 갖는 탐색블럭을 결정하는 단계와; (d)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탐색블럭의 최소 에러함수가 상기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탐색블럭중에서 가장 높은 계층의 탐색블럭에 대응하는 움직임 벡터를 상기 프로세싱 블럭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하고, 만약 상기 최소 에러함수들중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은 것이 하나도 없으면 상기 단계 (c)에서 결정된 탐색블럭에 대응하는 움직임 벡터를 상기 프로세싱 블럭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단계적 움직임 추정을 채용한 움직임벡터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과 결합하여 하기에 제공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므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계층적 움직임 추정 기법을 채용하므로써 현재 프레임의 다수의 각 프로세싱블럭에 대한 움직임벡터를 결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블럭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프로세싱블럭은 P×Q, 예를들면 2×2 화소들의 크기를 가지며, 현재 프레임내의 계층적 탐색블럭들을 갖는다.
먼저, 현재 프레임 데이타는 프레임 메모리(50)와 계층적 탐색블럭들을 발생시키는 블럭 형성부(100)에 입력 디지탈 비디오신호로서 인가된다. 블럭 형성부(100)는 각 프로세싱 블럭에 대한 계층적 탐색블럭들을 발생시키도록 작동하며, 각 프로세싱 블럭은 발생되는 탐색블럭들의 중심에 위치한다. 임의의 계층의 탐샘블럭은 보다 낮은 계층의 탐색블럭보다 수평 및 수직으로 2N 화소들만큼 더 크며, 여기서 N은 0보다 큰, 예를들어 1인 정수이다. 또한, 가장 낮은 계층의 탐색블럭은 프로세싱 블럭보다 더 크거나 동일하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 형성부(100)는 M개, 예를들어 4개의 블럭 형성기(110 내지 170)를 포함한다. 각각의 블럭 형성기(110,130,150,170)에서는 각 프로세싱 블럭에 대한 계층적 탐색블럭들이 발생되고, 이와같이 발생되는 탐색블럭들의 크기는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2N부터 2N(M-1)까지 2N-화소 단계로 변하며, 여기서 M은 1보다 큰 정수이다. 특히, 제1블럭 형성기(110)는 H×V 화소들의 크기를 갖는 가장 높은 계층의 탐색블럭들을 발생시키고, 제2블럭 형성기(130)는 (H-2N)×(V-2N), 예를들어 (H-2)×(V-2) 화소들의 크기를 갖는 보다 낮은 계층의 탐색블럭들을 발생시키며, 제3블럭 형성기(150)는 (H-4N)×(V-4N), 예를들어 (H-4)×(V-4) 화소들의 크기를 갖는 보다 더 낮은 계층의 탐색블럭들을 발생시키고, 마지막 블럭 형성기(170)는 (H-2N(M-1))×(V-2N(M-1)), 예를들어 (H-2(M-1)×(V-2(M-1)) 화소들의 크기를 갖는 가장 낮은 계층의 탐색블럭들을 발생시킨다.
제3도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되며, 각각의 블럭 형성기(110 내지 170)로부터 발생된 계층적 탐색블럭들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H 및 V는 현재 프레임내의 화소들의 각 탐색블럭들에 대해 동일한 수 16를 갖는 것으로 도시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 형성기(110)는 H×V, 즉 16×16 화소들의 크기를 갖는 탐색블럭 10을 형성하는데, 상기 탐색블럭 10은 프로세싱 블럭 5을 기준으로 사용하여 형성되고, 프로세싱블럭 5은 탐색블럭 10의 중심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프로세싱블럭 5을 기준으로 사용하여, 블럭 형성기(130)는 (H-2)×(V-2), 즉 14×14 화소들의 크기를 갖는 탐색블럭 12을 형성하며; 블럭 형성기(150)는 (H-4)×(V-4), 즉 12×12 화소들의 크기를 갖는 탐색블럭 14을 형성하고; 마지막 블럭 형성기(170)는 (H-8)×(V-8), 즉 8×8 화소들의 크기를 갖는 가장 낮은 계층의 탐색블럭의 가장작은 탐색블럭 16을 발생시키며, 프로세싱블럭 5은 각 탐색블럭 12, 14 및 16의 중심에 위치한다.
다시 제1도를 참조하면, 각각의 블럭 형성기(110 내지 170)로부터 발생된 계층적 탐색블럭들은 다수의 에러함수 발생기(210 내지 270)를 포함하는 움직임 추정 유니트(200)에 입력된다. 또한, 프레임 메모리(50)로부터의 이전 프레임 데이타도 움직임 추정 유니트(200)에 인가된다. 따라서, 움직임 추정 유니트(200)내에 포함된 각 에러함수 발생기(210 내지 270)에서는 프레임 메모리(50)로부터의 이전 프레임 데이타와 현재 프레임 데이타를 처리하여 현재 프레임의 탐색블럭과 최소 에러함수를 생성하는 후보블럭 사이의 변위를 나타내는 움직임 벡터를 추정한다.
여기에서, 각 에러함수 발생기(210,230,250,270)는 동일하게 동작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로 구성된다. 따라서, 각 에러함수 발생기(210,230,250,270)의 동작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이해의 증진과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에러함수 발생기(210)의 동작만을 제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제2도에는 에러함수 발생기(210)의 블럭구성도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에 도시된 프레임 메모리(50)로부터 제공된 이전 프레임 데이타는 탐색영역 형성부(211)로 제공된다. 여기에서, 탐색영역 형성부(211)는 동일한 크기를 갖는 이전 프레임의 탐색영역을 규정하는데, 각 탐색영역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탐색블럭보다 더 크다.
그런다음, 탐색영역 형성부(211)에서 탐색영역이 결정된 후, 탐색영역의 데이타는 다수의블럭 형성부, 예를들어 212 내지 214로 제공된다. 각 블럭 형성부(212 내지 214)에서는 H×V, 즉 16×16 화소들의 후보블럭이 탐색영역으로부터 발생되고, 현재 프레임의 탐색블럭 위치로부터의 상대적인 변위가 후보블럭들의 변위벡터, 예를들어 612 내지 614로서 출력된다. H×V 화소들의 크기를 갖는 모든 가능한 후보블럭들이 결정된 탐색영역내에서 형성되고, 각각의 후보블럭에 대응하는 변위벡터가 얻어진다.
각각의 후보블럭의 화소 데이타는 또한 각각의 블럭 형성부(212 내지 214)로부터 각각의 블럭 정합부(215 내지 217)로 출력된다. H×V 화소들의 크기를 갖는 탐색블럭 데이타도 또한 제1도에 도시된 블럭 형성기(110)로부터 각각의 블럭 정합부(215 내지 217)로 제공된다. 각각의 블럭 정합부에서는 블럭 형성기(110)로부터의 탐색 블럭과 각각의 블럭 형성부(212 내지 214)로부터의 후보블럭간의 에러함수가 계산된다. 여기에서 에러함수는, 예를들어 탐색블럭과 후보블럭내의 화소들간의 절대값 차의 평균에 대응하는 절대평균에러이다. 그런다음, 탐색블럭과 각 후보블럭내의 대응하는 화소들간의 루미넌스 비교에 의해 상기 각 후보블럭의 에러함수가 생성된다. 이러한 에러함수는 탐색블럭과 상기 각 후보블럭간의 유사성 정도를 나타낸다.
한편, 각 블럭 정합부들(215 내지 217)로부터의 모든 에러 함수는 최소값 검출기(218)로 공급된다. 여기에서, 최소값 검출기(218)는 에러 함수들을 비교하여 가장 작은값을 갖는 에러함수를 선택하도록 기능한다.
그런다음, 최소값 검출기(218)는 최소 에러함수에 대응하는 블럭을 나타내는 신호를 선택기(219)로 출력한다. 또한, 각각의 블럭 형성부(212 내지 214)로부터 얻어진 변위 벡터들(612 내지 614)도 선택기(219)로 제공된다. 그 결과 선택기(219)는 최소 에러함수에 대응하는 후보블럭의 변위 벡터를 H×V 화소들의 크기를 갖는 상기 탐색블럭에 대한 움직임 벡터로 선택한다. 여기에서 결정된 움직임 벡터는 제1계층 움직임 벡터 MV1로서 제1도에 도시된 움직임 벡터 선택기(400) 및 선택기(332)로 출력된다. 그리고, 최소값 검출기(218)에 의해 선택된 최소 에러함수는 제1계층 에러함수 E1로서 제1도에 도시된 작은값 검출기(312) 및 비교기(322)로 출력된다.
마찬가지로, 제1도에 도시된 각 에러함수 발생기들(230 내지 270)은 절대평균에러와 같은 에러함수를 사용하여 대응하는 탐색블럭을 이전 프레임의 대응하는 탐색영역에 포함된 각 후보블럭과 비교하고, 그 다음에 각 계층레벨의 각 탐색블럭에 대한 에러함수들을 발생시킨다. 이때, 각 계층레벨의 에러함수들은 각 계층의 각 탐색블럭에 대한 최소 에러함수를 생성하도록 처리되고; 상기 최소 에러함수에 대응하는 변위벡터는 상기 탐색블럭의 움직임 벡터로 선택된다.
따라서, 각각의 에러함수 발생기들(230 내지 270)로부터의 최소 에러함수들은 제2계층, 제3계층 및 마지막 계층 에러함수들 E2 내지 E4로서 작은값 검출기들(312 내지 316)로 각기 제공되고; 각 계층의 각 탐색블럭에 대한 각각의 움직임 벡터는 제2계층, 제3계층 및 마지막 계층 움직임 벡터들 MV2 내지 MV4로서 선택기들(332 내지 336)로 각기 제공된다.
한편, 작은값 검출기(312)는 그의 두 입력, 즉 제1 및 제2계층 에러함수들 E1, E2중에서 작은 에러함수를 비교기(324) 및 다음단의 작은값 검출기(314)로 출력하고, 상기 작은 에러함수에 대응하는 계층 움직임 벡터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선택기(332)로 발생시킨다. 또한, 다음단의 작은값 검출기(314)는 그의 두 입력, 즉 작은값 검출기(312)의 출력 및 제3계층 에러함수 E3중에서 작은 에러함수를 비교기(326) 및 다음단의 작은값 검출기(316)로 출력하고, 상기 작은 에러함수에 대응하는 계층 움직임 벡터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선택기(334)로 발생시킨다. 그리고, 마지막 작은값 검출기(316)는 그의 두 입력, 즉 바로 앞단의 작은값 검출기(316)의 출력 및 마지막 계층 에러함수 E4 중에서 작은 에러함수를 비교기(328)로 출력하고, 상기 작은 에러함수에 대응하는 계층 움직임 벡터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선택기(336)로 발생시킨다.
각각의 비교기들(322 내지 328)은 그의 두 입력, 즉 소정의 임계값 및 인가되는 계층 에러함수를 비교하여 로직 하이 또는 로직 로우 선택신호 S1 내지 S4를 움직임 벡터 선택기(400)로 발생시킨다. 즉, 각 비교기는 소정의 임계값이 각각의 계층 에러함수보다 더 크면 로직 하이 선택신호를, 그렇지 않으면, 로직 로우 선택신호를 움직임 벡터 선택기(400)로 발생시킨다.
즉, 비교기(322)는 소정의 임계값을 제1계층 에러함수 E1와 비교하여 소정의 임계값이 E1보다 더 크면 로직 하이 선택신호를, 그렇지 않으면, 로직 로우 선택신호를 움직임 벡터 선택기(400)로 발생시킨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비교기(324 내지 328)는 소정의 임계값을 대응하는 각 작은값 검출기(312 내지 316)의 출력과 비교하여 소정의 임계값이 상기 대응하는 각각의 작은값 검출기의 출력보다 크면 로직 하이 선택신호를, 그렇지 않으면, 로직 로우 선택신호를 움직임 벡터 선택기(400)로 각기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만약 S1이 로직 하이이면 선택신호 S2 내지 S4도 로직 하이가 된다. 만약 S1이 로직 로우이고, S2가 로직 하이이면 S3 내지 S4도 로직 하이가 된다. 즉, 만약 어떤 계층에 대응하는 선택신호가 로직 하이이면 보다 낮은 계층에 대응하는 선택신호도 로직 하이이다.
다음에, 각각의 선택기(332 내지 336)는 각각의 작은값 검출기(312 내지 316)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두개의 계층 움직임 벡터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즉, 선택기(332)는 작은값 검출기(312)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그의 두 입력, 즉 제1 및 제2계층 움직임 벡터들 MV1, MV2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기(334) 및 움직임 벡터 선택기(400)로 제공한다. 또한, 선택기(334)는 작은값 검출기(314)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그의 두 입력, 즉 선택기(332)로부터의 출력 및 제3계층 움직임 벡터 MV3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움직임 벡터 선택기(400) 및 다음단의 선택기(336)로 제공한다. 그리고, 마지막 선택기(336)는 작은값 검출기(316)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그의 두 입력, 즉 바로 앞단의 선택기(334)로부터의 출력 및 마지막 계층 움직임 벡터 MV4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움직임 벡터 선택기(400)로 제공한다.
한편, 움직임 벡터 선택기(400)는 선택신호 S1 내지 S4를 입력받아 인가되는 상기 움직임 벡터들중 하나를 상기 프로세싱 블럭에 대한 움직임 벡터로서 선택한다.
즉, 만약 S1이 로직 하이이면, 움직임 벡터 선택기(400)는 다른 선택신호에 상관없이 MV1을 상기 프로세싱 블럭에 대한 움직임 벡터로서 선택한다. 만약 S1이 로직 로우이고 S2가 로직 하이이면, 움직임 벡터 선택기(400)는 선택기(332)로부터 인가된 움직임 벡터를 상기 프로세싱 블럭에 대한 움직임 벡터로서 선택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움직임 벡터 선택기(400)는 인가되는 로직 하이 선택신호중에서 높은 계층의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움직임 벡터를 프로세싱 블럭의 움직임 벡터로서 선택한다. 만약, 모든 선택신호 S1 내지 S4가 로직 로우이면, 움직임 벡터 선택기(400)는 마지막 선택기(336)로부터 제공된 움직임 벡터를 상기 프로세싱 블럭에 대한 움직임 벡터로서 선택하며, 마지막 선택기(336)에 의해 선택된 움직임 벡터는 가장 작은값을 갖는 계층 에러함수에 대응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비디오 신호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 사이의 변위를 나타내는 움직임 벡터를 결정할때, 계층적 움직임 추정 기법을 사용하여 두개의 연속 비디오 프레임으로부터 움직임 벡터를 추정함으로서, 움직임 벡터를 보다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Claims (1)

  1. 현재 프레임 및 이전 프레임을 사용하는 계층적 움직임 추정(multi-tier hierarchical motion estimation)을 사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각 프로세싱 블럭에 대한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현재 프레임은 동일한 크기를 갖는 다수의 프로세싱 블럭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상기 프로세싱 블럭은 1보다 큰 정수인 M개의 계층적 탐색블럭들을 가지며, 어떤 계층의 탐색블럭의 크기는 보다 낮은 계층의 탐색블럭보다 더 크며, 또한 상기 이전 프레임은 상기 계층적 탐색블럭에 대응하는 다수의 탐색영역으로 분할되고, 각 탐색영역은 다수의 후보블럭들을 가지며, 각각의 후보블럭들은 대응하는 각 계층적 탐색블럭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상기 방법에 있어서, (a) 프로세싱 블럭의 각 계층적 탐색블럭들을 대응하는 계층적 탐색영역에 대해 움직임 추정하여 계층적 탐색블럭들에 대응하는 움직임 벡터들과 최소 에러함수들을 제공하며, 상기 각 움직임 벡터는 각각의 상기 계층적 탐색블럭과 대응하는 계층의 최소 에러함수를 생성하는 후보블럭 사이의 화소들의 변위를 나타내는 단계; (b) 상기 최소 에러함수들을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c) 상기 계층적 탐색블럭들중에서 가장 작은 최소 에러함수를 갖는 탐색블럭을 결정하는 단계; 및 (d)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탐색블럭의 최소 에러함수가 상기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탐색블럭중에서 가장 높은 계층의 탐색블럭에 대응하는 움직임 벡터를 상기 프로세싱 블럭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하고, 만약 상기 최소 에러함수들중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은 것이 하나도 없으면 상기 단계 (c)에서 결정된 탐색블럭에 대응하는 움직임 벡터를 상기 프로세싱 블럭의 움직임 벡터로 결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단계적 움직임 추정을 채용한 움직임벡터 검출방법.
KR1019950005856A 1995-03-20 1995-03-20 단계적 움직임 추정을 채용한 움직임벡터 검출방법 KR0171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5856A KR0171144B1 (ko) 1995-03-20 1995-03-20 단계적 움직임 추정을 채용한 움직임벡터 검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5856A KR0171144B1 (ko) 1995-03-20 1995-03-20 단계적 움직임 추정을 채용한 움직임벡터 검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702A KR960036702A (ko) 1996-10-28
KR0171144B1 true KR0171144B1 (ko) 1999-03-20

Family

ID=19410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5856A KR0171144B1 (ko) 1995-03-20 1995-03-20 단계적 움직임 추정을 채용한 움직임벡터 검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114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702A (ko) 1996-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64505B2 (ja) 階層的動き推定を採用した動きベクトル決定方法
JP4242656B2 (ja) 動きベクトル予測方法及び動きベクトル予測装置
US5539469A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motion vectors through the use of an adaptive median filtering technique
KR950009699B1 (ko) 움직임벡터 검출방법 및 장치
US5825423A (en) Apparatus for detecting motion vectors using moving object patterns
US20040114688A1 (en) Device for and method of estimating motion in video encoder
KR100242406B1 (ko) 디지탈 비디오 동화상의 움직임 보상 방법
KR100291493B1 (ko) 비디오 신호압축용 이동벡터 처리장치
KR100207390B1 (ko) 계층적인 움직임 추정기법을 이용하는 음직임 벡터 검출방법
KR20000076522A (ko) 직교 변환 영역의 블록 매칭을 사용한 모션 추정
JPH09179987A (ja) 動きベクトル検出方法及び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
US5596370A (en) Boundary matching motion estimation apparatus
US5510856A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motion vectors
KR100364789B1 (ko) 움직임 추정 방법 및 장치
US5689312A (en) Block matching motion estimation method
JPH06351001A (ja) 動きベクトル検出方法および動き補償予測方法並びにその装置
US5710603A (en) Method for detecting motion vectors
KR0171144B1 (ko) 단계적 움직임 추정을 채용한 움직임벡터 검출방법
KR970003107B1 (ko) 단계적인 영역분할을 통한 움직임벡터 검출방법 및 장치
KR0160901B1 (ko) 경계 매칭 움직임 추정장치
JPH07240927A (ja) 映像符号化装置
KR0174932B1 (ko) 움직임 벡터 검출장치
KR0174936B1 (ko) 적응적 메디안 필터링 기법을 사용한 움직임벡터 검출장치
KR0154948B1 (ko) 영상의 그래디언트 및 인텐시티의 유사성을 이용한 움직임 벡터 탐색장치
JP2765528B2 (ja) 半画素精度動きベクトル探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