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0678B1 - 움직임 추정방법 - Google Patents

움직임 추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0678B1
KR0170678B1 KR1019950021089A KR19950021089A KR0170678B1 KR 0170678 B1 KR0170678 B1 KR 0170678B1 KR 1019950021089 A KR1019950021089 A KR 1019950021089A KR 19950021089 A KR19950021089 A KR 19950021089A KR 0170678 B1 KR0170678 B1 KR 0170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motion estimation
reference screen
zoom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1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416A (ko
Inventor
박구만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21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0678B1/ko
Publication of KR970009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0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06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Analysi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줌인(zoom in)이나 줌아웃(zoom out) 동작에서 효율적으로 영상의 움직임을 추정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 추정방법은 움직임 추정의 대상이 되는 기준화면과 참고화면의 줌비율을 검출하는 과정; 검출된 줌비율에 상응하여 기준화면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과정; 및 상기 확대/축소과정에의해 결과된 화면에 근거하여 움직임을 추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 추정방법은 기준화면을 줌비율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시킨 후 움직임 추정을 수행함으로써 줌인 혹은 줌아웃된에서도 정확하게 움직임 추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움직임 추정방법
제1도는 종래의 움직임 추정방법을 보이는 도면이다.
제2a도 내지 제2b도는 본 발명의 움직임 추정방법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제3a도 내지 제3b도는 본 발명의 움직임 추정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제4도는 화면확대의 다른 예를 보이는 것이다.
제5도는 화면축소의 다른 예를 보이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동영상압축부호화에 필요한 움직임 추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줌인(zoom in)이나 줌아웃(zoom out) 동작에서 효율적으로 영상의 움직임을 추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MPEG 등과 같은 동영상부호화방법은 화면간의 중복된 정보를 제거함에 의해 높은 압축률을 달성한다. 이를 위해서 영상의 움직임벡터를 사용한다. 여기서, 움직임벡터란 두개의 화면에서 탐색된 가장 유사한 부영상들 사이의 변위를 말한다.
실제의 동영상부호화방법에 있어서는 기준화면과 현재화면 사이의 움직임벡터를 추정한 후, 기준화면에 움직임벡터를 적용하여 움직임보상을 실시하고, 결과된 영상과 현재 영상과의 차이값을 부호화하여 움직임벡터와 함께 전송한다.
특히, MPEG2(ISO/IEC 13818-2)는 0.5화소의 단위로 움직임을 평가하는 반화소평가법(half pel estimation)을 사용하여 비교적 정확한 물체의 이동을 추정한다.
하지만, 종래의 움직임 추정방법으로서는 카메라의 줌인 혹은 줌아웃동작에서와 같이 피사체의 모양은 비례형태로 유지되지만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에서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줌인(zoom in)이나 줌아웃(zoom out) 동작에서 효율적으로 영상의 움직임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 추정방법은 움직임 추정의 대상이 되는 기준화면과 참고화면의 줌비율을 검출하는 과정; 검출된 줌비율에 상응하여 기준화면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과정; 상기 확대/축소과정에의해 결과된 화면에 근거하여 움직임을 추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움직임추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수평축은 시간축이고, 수직축은 거리축이다. 여기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x축만을 도시하였지만, 실제로는 2차원 평면을 고려한다.
움직임 추정은 기준화면의 부영상과 가장 유사한 부영상을 참조화면에서 탐색하여, 두개의 부영상사이의 변위를 계산하는 것이다.
여기서, 참조화면이 과거의 화면이면 순방향 예측이라 하고, 미래의 화면이면 역방향 예측이라 하며, 참고화면이 과거와 미래의 화면들이면 양방향 예측이라 한다.
실제에 있어서 부영상은 16×16화소의 크기를 갖는 휘도신호의 매크로블럭이고, 탐색창의 크기는 ±7이며, 추정기준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의 화소끼리 절대값의 차를 구하고, 이를 합산한 값이 최소가 되는 것이다.
구체적인 탐색방법은 먼저, 탐색창 내에서 화면 i의 모든 매크로블럭에 대하여 정소화소완전탐색(full search)을 수행하고, 다음으로 탐색된 매크로블럭에 이웃하는 반화소위치의 매크로블럭에 대하여 움직임추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반화소위치의 매크로블럭은 이웃하는 화소들의 평균값에 의해 작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줌인되어 기준화면에 있는 움직이는 물체는 작고, 참조화면의 움직이는 물체는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기준화면의 화소를 여러 개의 화소로 확대시켜 움직임 추정을 행하고, 줌아웃되어 기준화면에 있는 움직이는 물체는 크고, 참조화면의 움직이는 물체는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는 기준화면의 여러 화소를 하나의 화소로 축소시켜 움직임추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1) 움직임 추정의 대상이 되는 기준화면과 참고화면의 줌비율을 검출한다.
여기서, 기준화면과 참고화면의 줌비율은 줌렌즈의 구동량을 비교하여 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화면과 참고화면에 있어서 줌렌즈 구동모터에 인가되는 구동전류의 비율에 의해 줌비율을 산출한다.
2) 검출된 줌비율에 상응하여 기준화면을 확대하거나 축소한다.
줌인 또는 줌아웃된 경우에 있어서 앞뒤화면의 내용은 유사하지만 크기가 달라지게 된다. 즉, 하나의 화소가 앞 또는 뒤화면의 여러 화소에 해당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기준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시켜 참조화면에 근사하게 매핑시킨다.
확대및 축소는 디지탈 화상처리에 있어서 공지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최근접법에 의해 화소를 매핑하고, 선형보간법에 의해 중간위치의 화소값을 결정한다.
3) 확대/축소과정에의해 결과된 화면에 근거하여 움직임을 추정한다.
제2a도 내지 제2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 추정방법의 예를 보이는 것으로서 2배로 줌인된 경우의 예를 보이는 것이다. 제2a도는 시간축상에서 기준화면과 참조화면을 보이는 것이고, 제2b도는 확대되기전의 기준화면(3×3크기)과 확대된 후의 기준화면(5×5크기)을 보이는 것이다.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된 후의 기준화면에 있어서 원래의 화소는 화소간 거리가 2배가 되도록 매핑되고, 매핑된 화소들 사이의 화소는 인접한 화소의 평균값을 갖는다.
제3a도 내지 제3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 추정방법의 예를 보이는 것으로서 2배로 줌아웃된 경우의 예를 보이는 것이다. 제3a도는 시간축상에서 기준화면과 참조화면을 보이는 것이고, 제3b도는 축소되기전의 기준화면(3×3크기)과 축소된 후의 기준화면(2×2크기)을 보이는 것이다.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소된 후의 기준화면에 있어서의 각 화소는 축소되기전의 기준화면에 있어서 인접된 4개의 화소의 평균값을 갖는다.
제4도는 화면확대의 또 다른 예를 보이는 것으로서 2×2크기의 화면이 4×4크기의 화면으로 확대되는 예를 보이는 것이다.
제4도는 화면축소의 또 다른 예를 보이는 것으로서 4×4크기의 화면이 2×2크기의 화면으로 축소되는 예를 보이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 추정방법은 기준화면을 줌비율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시킨 후 움직임 추정을 수행함으로써 줌인 혹은 줌아웃된 화면에서도 정확하게 움직임 추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카메라의 줌인 혹은 줌아웃동작에서와 같이 피사체의 모양은 비례형태로 유지되지만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에서의 움직임을 추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움직임 추정의 대상이 되는 기준화면과 참고화면의 줌비율을 검출하는 과정; 검출된 줌비율에 상응하여 기준화면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과정; 상기 확대/축소과정에의해 결과된 화면에 근거하여 움직임을 추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KR1019950021089A 1995-07-18 1995-07-18 움직임 추정방법 KR0170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1089A KR0170678B1 (ko) 1995-07-18 1995-07-18 움직임 추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1089A KR0170678B1 (ko) 1995-07-18 1995-07-18 움직임 추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416A KR970009416A (ko) 1997-02-24
KR0170678B1 true KR0170678B1 (ko) 1999-03-20

Family

ID=19420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1089A KR0170678B1 (ko) 1995-07-18 1995-07-18 움직임 추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06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8989B1 (ko) * 1998-03-27 2001-01-15 김영환 폐쇄회로모니터링장치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416A (ko) 1997-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2656B2 (ja) 動きベクトル予測方法及び動きベクトル予測装置
US7010039B2 (en) Motion estimator for reduced halos in MC up-conversion
US7221776B2 (en) Video stabilizer
JP4159606B2 (ja) 動き推定
US6618439B1 (en) Fast motion-compensated video frame interpolator
EP1639829B1 (en) Optical flow estimation method
KR100530223B1 (ko) 프레임 레이트 변환시의 프레임 보간 방법 및 그 장치
US9247250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tion compensated picture rate up-conversion of digital video using picture boundary processing
KR101445009B1 (ko) 공통 프로세싱 요소들에 기초하여 비디오 안정화를 수행하고 비디오 샷 경계를 검출하는 기법
WO2009087641A2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super-resolution
US8355442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turning off motion compensation when motion vectors are inaccurate
KR100474285B1 (ko) 모션벡터결정방법
JP4328000B2 (ja) 動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動画像の特殊効果シーン検出装置
Cho et al. Temporal frame interpolation based on multiframe feature trajectory
US20080144716A1 (en) Method For Motion Vector Determination
KR0170678B1 (ko) 움직임 추정방법
KR100265721B1 (ko) 2차원삼각형조각선격자모델을이용한동영상의움직임추정방법
WO2004082294A1 (en) Method for motion vector determination
KR0185841B1 (ko) 영상 부호기에서의 움직임 추정 장치
US7944504B2 (en) Apparatus for interpolating scanning lines
KR100208984B1 (ko) 물체의 윤곽선을 이용한 움직임 벡터 추정 장치
EP1094671A1 (en) Method of motion estimation for a digital input video signal
KR0180161B1 (ko) 움직임 벡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Servais et al. Affine motion compensation using a content-based mesh
JP4349542B2 (ja) 動画像内のテロップ領域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