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0562B1 - 텍스트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텍스트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0562B1
KR0170562B1 KR1019950004680A KR19950004680A KR0170562B1 KR 0170562 B1 KR0170562 B1 KR 0170562B1 KR 1019950004680 A KR1019950004680 A KR 1019950004680A KR 19950004680 A KR19950004680 A KR 19950004680A KR 0170562 B1 KR0170562 B1 KR 0170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line
word
scree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4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가드 리차드
Original Assignee
윌리암 티. 엘리스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리암 티. 엘리스,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윌리암 티. 엘리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0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05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성이 향상된 텍스트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화일에서의 상이한 라인들로 구성된 화면(302)으로부터, 이들 상이한 라인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라인과 화일내에서 이 선택된 라인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텍스트 라인을이 상기 선택된 라인의 상측 및 하측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새로운 화면으로 변경될 때, 사용자는 선택된 라인의 관심 대상인 워드에서 시선이 벗어날 염려는 없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위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면, 화일에서의 주위 라인이 선택된 라인 주위로 채워졌다고 하는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키고, 관심 대상의 텍스트는 물리적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이동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시선은 관심 대상의 텍스트를 이동하여 재배치될 필요가 없다.

Description

텍스트 디스플레이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계들의 흐름도.
제2도는 제1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단계내의 여러 단계들의 흐름도.
제3도는 레코드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될 때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스크린을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소스 문맥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때,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스크린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2 : 디스플레이 스크린 304, 306 . . 318, 320 : 화일 명칭
305, 307 . . 319, 321 : 레코드 330 : 선택된 워드
402 : 다음 화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스크린(display screen)상에 텍스트(text)를 그의 전후 문맥(context)과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텍스트의 라인을 그의 전후 문맥과 함께 도시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변경될 때, 그 텍스트의 라인으로 향하는 사용자의 시선(eye contact)을 유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로 어셈블러 소스 코드(assembler source code), 코볼 소스 코드(cobol source code) 또는 C 소스 코드 등의 컴퓨터 언어 소스 코드의 데이타이거나 텍스트 화일(text files)과 같은 비코드형 데이타(non-code data)일 수 있는 입력 데이타를 탐색하는데 상호참조 툴(cross reference tool)이 사용된다. 입력 데이타는 단일 화일 혹은 다수의 화일일 수 있으며, 그 입력 데이타내에 존재하는 하나의 워드(word)에 대하여 탐색되고, 그 워드를 포함하는 입력 데이타내의 모든 문자 라인이 그의 화일 명칭과 함께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그 워드를 포함하는 특정의 문자 라인을 선택하여 그 문자 라인이 그의 전후 문맥(context)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즉, 그 라인의 바로 직전의 텍스트 및 바로 직후의 텍스트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살 수 있다. 사용자는 그 워드를 포함하는 입력 데이타의 모든 문자 라인의 디스플레이로 복귀할 수 있고, 그 워드를 포함하는 다른 라인을 선택하여 그 라인이 그의 전후 문맥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입력 데이타의 선택 및 탐색될 워드의 지정(specification)은 제1스크린(screen) 혹은 제1윈도우(window)에서 수행된다. 해당 워드를 포함하는 입력 데이타의 문자 라인은 그 입력 데이타의 라인을 포함하는 화일의 명칭과 함께 제2스크린 혹은 제2윈도우상에서 디스플레이된다. 특정의 문자 라인이 선택되면, 그 라인은 그의 전후 문맥과 더불어 제3스크린 혹은 제3윈도우상에서 디스플레이된다. 이런 방식으로, 사용자는 탐색할 워드를 지정하는 스크린 또는 윈도우로부터 그 워드를 포함하는 특정 라인과 그 특정 라인의 전후 문맥을 나타내는 스크린 또는 윈도우로 그 스크린 혹은 윈도우들을 통해 이동한다.
사용자가 스크린간의 이동 혹은 윈도우간의 이동을 통하여 선택한 입력 데이타의 특정 라인을 용이하게 식별하려면 그 특정 라인이 그의 전후 문맥과 더불어 디스플레이될 때 그 위치의 장소를 구별되게 강조하여야 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위치 장소의 강조는 특정 라인을 하이라이트(highlight)로 하거나 혹은 특정 라인을 구별하기 위해 색상(color)을 이용함으로써 달성되었다. 그 후, 사용자는 하이라이트된 라인을 찾거나 혹은 특정 라인을 표시하는데 사용된 색상을 찾음으로써 스크린상에서 혹은 윈도우내에서 특정 라인의 위치를 알아낼 수 있었다.
상호참조 툴을 사용하는 동안 선택된 워드를 포함하는 특정 라인을 보는 일이 여러번 반복된다. 상이한 화면을 볼 때마다 특정 라인의 위치를 찾는 것은 사용자에게는 피곤한 일이며, 사용자의 사고 과정(thought process)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워드가 그의 전후 문맥과 더불어 디스플레이될 때 그 워드 발생의 위치를 찾는 것이 종종 어려울 수도 있다.
따라서, 사고 과정의 혼란과, 특정 라인의 위치를 찾아야 함에 따른 사용자 육안의 피로와, 하나의 스크린상에서 하나의 워드를 찾아야 하는 필요성에 기인한 저 생산성을 피할 수만 있다면 효과적일 것이다.
선택된 라인(309)의 텍스트는 물리적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서 물리적 위치, 즉 수평 및 수직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이들 단점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서 텍스트의 물리적 위치를 유지하고 선택된 텍스트의 상측 및 하측에 주위의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극복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주위의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면 화일에서의 주위 라인이 선택된 라인 주위로 채워졌다(fill-in)는 착각을 일으키고, 텍스트는 스크린상에서 이동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시선은 관심 대상의 텍스트로 이동하여 재배치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물리적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 텍스트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데이타 화일로부터의 다수의 문자 라인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다수의 라인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되는 라인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데이타 화일에서 선택된 라인에 선행하는 바로 직전의 라인을 그 선택된 라인의 상측의 물리적 위치에 디스플레이라는 단계와, 데이타 화일에서 선택된 라인에 후속하는 바로 직후의 라인을 그 선택된 라인의 하측의 물리적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그 선택된 라인의 텍스트는 물리적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서 물리적 위치, 즉 수평 및 수직 위치를 유지한다. 착각을 일으키게 지원하기 위해서는, 선택된 라인은 또한 색상(color) 및 하이라이트(highlight)와 같은 디스플레이 속성(display attributes)을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입력 데이타를 탐색 및 조사하기 위해 상호참조 툴이 사용된다. 입력 데이타는 코볼, C 또는 어셈블러와 같은 언어로 기록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 코드일 수 있다. 또한, 입력 데이타는 서류 작성시 사용되는 텍스트 혹은 테이블일 수 있다.
크루즈(CRUSE)라 지칭되는 상호참조 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이 매우 용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고성능 툴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제1도에는 크루즈 툴에서의 2가지 주요 단계가 예시되어 있다. 인덱스 생성 단계(index creation step)(102)에서는 중간 인덱스(intermediate index)를 구축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단계(user interface step)(104)에서는 사용자로 하여금 그가 원하는 동작을 상호참조 툴에 지정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결과적인 출력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있다.
[인덱스 생성 단계]
인덱스 생성 단계(102)에서는 입력으로서 입력 데이타를 받아서, 입력 데이타내의 각 워드 및 입력 데이타내 해당 워드의 매 출현이 발견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중간 인덱스(intermediate index)를 구축한다. 상기 단계(102)는 상호참조가 가능하게 되기 위해 필요한 만큼 각각의 입력 데이타 화일에 대하여 반복된다. 이 처리는 통상적으로 상호참조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시스템상에 예비 용량이 남아있는 동안 수행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예비 용량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인덱스 생성 단계(102)의 코스트가 감소될 수 있다.
인덱스되는 각각의 상이한 유형의 입력 화일의 경우, 인덱스할 워드를 선택하기 위해 상이한 인덱스 생성 단계(102)가 수행된다. 이것은 특정 컴퓨터 언어와 관련된 기지(旣知)의 구문(syntax)을 이용하도록 인덱스 생성 단계(102)를 최적화시킨다. 모든 유형의 화일에 대하여, 가령 두개의 언어(language)가 유사한 경우, 선택사양적으로(optionally) 동일한 인덱스 생성 단계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단계(104)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배제 리스트(exclusion list)가 유지된다. 사용자가 화일간에 상호참조하길 원치 않으므로 인덱스할 필요가 없는 다수의 워드가 있다. 입력 화일이 소스 코드일 경우, Do 및 End와 같은 언어의 구문중 일부인 워드는 사용자에 의해 참조될 필요가 없을 것이며, 통상적으로 인덱스되지 않는다. 입력 화일이 텍스트 데이타일 경우, the 및 and와 같은 일반적인 워드는 인덱스가 필요없을 것이다. 상이한 컴퓨터 언어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각종의 상이한 인덱스 생성 단계(102)의 각각에 대해 상이한 리스트가 유지된다. 선택사양적으로, 둘 이상의 상이한 생성 단계(102)가 하나의 리스트를 공유할 수 있다. 배제된 워드들이 카운트됨에 따라, 텍스트 화일에서 예를 들어 and 워드의 위치를 개별적으로 찾아낼 수는 없지만, 워드 and의 발생 횟수를 판정할 수는 있다.
중간 인덱스는 그후 인덱스가 차지할 디스크 용량이 감소되도록 압축되고, 그에 따라 생성된 인덱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단계(104)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이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인덱스 데이타는 (비록 압축된 포맷이지만) 원래의 데이타 레코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단계(104)는 압축되지 않은 데이타 화일을 참조할 필요가 없다. 인덱스 데이타가 원래의 데이타 레코드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단계(104)는 원래의 압축되지 않은 데이타 화일을 참조해야만 한다.
[사용자 인테페이스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 단계(104)에서, 사용자는 탐색할 입력 화일을 선택한다.
선택사양적으로, 상호참조 툴에 대해 이용가능한 모든 입력 데이타 화일을 사용할 수 있다. 그후, 사용자는 탐색할 워드를 선택한다. 탐색이 완료되고, 그 결과가 디스플레이된다. 이제, 전술한 단계의 동작을, 사용자가 요구(request)할 수 있는 워드의 출현에 대한 전형적인 탐색을 일예로 하여 기술할 것이다. 제2도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단계내의 여러 단계들이 예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요구는 단일 워드의 출현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것은 단순히 그 워드를 타이핑하고 엔터키(Enter key)를 누름으로써 (혹은 마우스 버튼을 누름으로써), 혹은 이미 디스플레이된 경우에는 그 워드로 커서(Cursor)를 위치시켜 엔터키를 누름으로써 (혹은 마우스 버튼을 누름으로써) 달성된다. 탐색 결과는 모든 입력 데이타 화일의 인덱스에서 발견되며 사용자나 요구한 워드와 일치하는 워드의 리스트로서 디스플레이된다(202). 이들 워드는 각각의 인스탄스(intances)의 수와 함께 표시된다. 예를 들면, 워드 FRED를 탐색하면 다음의 발생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다.
이것은 키 리스트(Key List)로 지칭된다. 키 리스트에서 발견된 워드들 보다 상세하게 표시하기 위해 어떠한 라인이라도 선택될 수 있다(204). 이러한 선택(204)은 (디스플레이 커서 제어키 혹은 마우스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커서를 위치시키고, 엔터키를 누름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 디스플레이 커서가 FRDEA에 대한 라인으로 이동되는 경우 다음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다(206).
이것은 레코드 리스트로 지칭된다. 선택된 워드(330)를 포함하는 레코드(305, 307. . 319, 321)는 디스플레이 스크린(302)상에 디스플레이되며, 각 레코드 앞에는 그 레코드를 포함하는 화일 명칭(304, 306. . 318, 320)이 덧붙여진다. 레코드 리스트는 상이한 데이타 요소에 대하여 몇몇 색상들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된다(206). 예를 들면, 이 레코드가 인덱스되도록 워드(330)는 노란색(yellow)이고, 그 라인의 나머지 워드들은 녹색(green)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음, 사용자가 레코드 리스트에 디스플레이될(206) 데이타의 타당성 여부를 확인하였다면 그 리스트내에 존재하는 출현 중 하나가 그 워드를 포함하는 화일내에서의 그의 전후 문맥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하나의 워드(330)가, 스크린(302)상에서 그 워드를 포함하는 라인(309)으로 디스플레이 커서를 이동시키고 엔터키를 누름으로써 선택된다(208). 이 경우, 라인(309)을 포함하는 실제 화일이 스크린(410)상에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브라우즈(browse)할 수 있다.
레코드 리스트에서 선택된 라인(309)의 도시된 위치(Lsourc)는 물리적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관련하여 결정된다. 선택된 라인(309)에 대응하는 소스 레코드의 위치는 선택된 라인을 포함하는 화일내에서의 레코드 번호(record number)로서 결정된다. 다음 화면(view)(402)의 스크린상에서 소스 레코드 상측으로 이용가능한 라인의 수(Lpre)가 결정되며, 상기 다음 화면(40)의 스크린상에서 소스 레코드 하측으로 이용가능한 라인의 수(Lpost)가 결정된다. 이것은 스크린의 나머지 공간에서 사용가능하거나 혹은 윈도우가 생성될 수 있는 라인의 수일 것이다. 라인(LsoURc-Lpre)에 대응하는 레코드로부터 시작하여, 라인(LsoURc+Lpost)에 대응하는 레코드까지의 물리적 화일로부터 이들 라인에 대응하는 총(Lpost+Lpre+1)의 레코드가 판독된다. 그후, 이들 레코드는, 레코드 리스트의 선택된 라인(309)의 문자들이 전체 화일의 새로운 화면(이하 소스 문맥 화면으로 기술됨)에서의 동일 라인에서의 동일한 문자와 정확하게 겹쳐(overlay)지도록 디스플레이된다. (LsoURc-Lpre)에서 (LsoURc-1)까지의 라인에 대한 레코드는 이전에 선택된 라인(309)의 상측(410)에 디스플레이되고 (LsoURc+1)에서 (LsoURc+Lpre+1)까지의 라인에 대한 레코드는 이전에 선택된 라인(309)의 하측(412)에 디스플레이된다.
전술한 예에 있어서, 화일 GIRAFFE ASSEMBLE로부터 리스트되는 제1엔트리가 선택된 경우에는 다음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다.
이것은 소스 문맥 화면(Source context View)으로 지칭된다. 레코드 리스트로부터 소스 문맥 화면으로 데이타를 확장하는 것은 화일내의 다른 라인이 선택된 라인(309) 주위로 채웠졌다고 하는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키게 하고, 텍스트는 스크린상에서 이동하지 않으므로, (이때 관심대상 라인을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선은 관심 대상의 텍스트로 이동하여 재배치될 필요가 없다. 또한, 소스 문맥 화면은 이전의 색상을 유지하는 이전의 레코드 리스트로부터 확장되었던 레코드(309)를 제외하고는 스크린내의 모든 레코드에 대하여 동일한 색상, 예을 들면 적색(red)을 사용한다. 즉, 이 레코드가 인덱스되도록 워드(330)는 노란색으로, 라인의 나머지 부분은 녹색으로 유지된다. 이것은 선택사양적인 특징이며, 관찰되고 있는 레코드(309)가 이동하지 않았다는 인상을 강하게 한다. 주위 레코드는, 마치 이전에 존재했었지만 화면으로부터는 숨겨져 왔던 것처럼, 갑자기 노출되어 나타난다.
선택된 레코드가 동일한 위치로 유지되고 동일한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된 결과, 하나의 디스플레이된 라인이 그의 전후 문맥과 함께 가능한한 시각적으로 연결부분이 없는(visually seamless) 화면으로 확장될 수 있다.
사용자가 화일의 소스 문맥 화면을 원치 않을 경우, (에스케이프키(Escap key), 프로그램 기능키(Program Function key) 혹은 이와 유사한 키일 수 있는) 취소키(Cancel key)를 누름으로써 소스 문맥 화면을 닫고(Close), 이전의 레코드 리스트를 재디스플레이한다. 이번에도, 텍스트는 스크린상에서 이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문제의 라인을 탐색하고 있는) 사용자의 시선은 관심 대상의 텍스트로 이동하여 재배치될 필요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레코드 리스트 화면으로 복귀하는 대신, 소스 문맥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다른 워드가 탐색 대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새로운 일련의 화면(키 리스트, 레코드 리스트, 소스 문맥)이 생성된다. 이러한 처리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만큼 여러번 반복될 수 있다.
기술된 특정 실시예에서는 데이타가 기록되는 물리적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사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윈도우 영역내에서 에뮬레이트(emulate)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적용될 수도 있다.

Claims (5)

  1.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데이타 화일로부터의 다수의 문자 라인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물리적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 상기 다수의 문자 라인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b)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라인들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c) 상기 동일한 데이타 화일에서 상기 선택된 라인의 바로 직전 및 바로 직후의 텍스트 라인들을 상기 선택된 라인의 상측 및 하측의 물리적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라인의 텍스트의 물리적 위치는 상기 물리적 디스플레이 스크린상에서 부평 및 수직 방향으로 유지되는 텍스트 디스플레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 (a)와 (c)에 앞서, 상기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데이타 화일에서 탐색될 워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워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라인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텍스트 디스플레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화일은 상기 사전 선택된 워드의 출현의 위치를 신속하게 알아내도록 인덱스되는 텍스트 디스플레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라인은 또한 그 디스플레이 속성을 보유하는 텍스트 디스플레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속성은 상기 텍스트의 디스플레이 색상을 포함하는 텍스트 디스플레이 방법.
KR1019950004680A 1994-03-10 1995-03-08 텍스트 디스플레이 방법 KR01705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404647A GB2287386A (en) 1994-03-10 1994-03-10 Method of displaying text having improved useability
GB9404647.1 1994-03-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70562B1 true KR0170562B1 (ko) 1999-03-30

Family

ID=10751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4680A KR0170562B1 (ko) 1994-03-10 1995-03-08 텍스트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52108A (ko)
EP (1) EP0671695A2 (ko)
JP (1) JP3137169B2 (ko)
KR (1) KR0170562B1 (ko)
GB (1) GB228738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N520495A0 (en) * 1995-09-04 1995-09-28 Charon Holdings Pty Ltd Reading aid
JP2000042869A (ja) * 1998-07-27 2000-02-15 Mori Seiki Co Ltd Nc工作機械
US7383206B2 (en) * 1999-02-19 2008-06-03 Arib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variable bidding in an online auction
US7249085B1 (en) * 1999-03-31 2007-07-24 Ariba,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electronic auctions with multi-parameter price equalization bidding
US6968332B1 (en) * 2000-05-25 2005-11-22 Microsoft Corporation Facility for highlighting documents accessed through search or browsing
US7747611B1 (en) 2000-05-25 2010-06-29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search query results
US20040064399A1 (en) * 2000-07-01 2004-04-01 Gologorsky Steven Phillip Multi-variable computer-based auctions
US20040186805A1 (en) * 2000-07-01 2004-09-23 Gologorsky Steven Phillip Sealed-bid auction comprising staged bid publication
US7299207B1 (en) * 2000-08-23 2007-11-20 Demont & Breyer, Llc Data processing system that provides an auction with programmable proxy bids
US7634439B1 (en) 2000-11-14 2009-12-15 Ariba, Inc. Method and apparatus to perform buy versus leasing transformational bidding
US6810402B2 (en) 2001-05-15 2004-10-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lor coding search results
EP1952756A1 (de) * 2007-01-31 2008-08-06 F.Hoffmann-La Roche Ag Datenverarbeitungsvorrichtung zur Verarbeitung von Messwerten von einem Blutzuckermessgerä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2475A (en) * 1984-12-26 1990-10-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generating a document utilizing a plurality of windows associated with different data objects
US4922448A (en) * 1985-07-10 1990-05-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Word processing system having small-sized and large-sized displays for simultaneous display and automatic power shut-off circuit
US4794386A (en) * 1986-04-11 1988-12-27 Profit Technology, Inc. Data integrator for video display including windows
JPS63201766A (ja) * 1987-02-17 1988-08-19 Sharp Corp 文章処理装置
JPS6435594A (en) * 1987-07-31 1989-02-06 Sharp Kk Document generator
US5157763A (en) * 1987-10-15 1992-10-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sually assisted method for transfer of data within an application or from a source application to a receiving application
JPH01159759A (ja) * 1987-12-16 1989-06-22 Hitachi Ltd 文書を検索・表示する方法
EP0380239A3 (en) * 1989-01-18 1992-04-15 Lotus Development Corporation Search and retrieval system
US5038138A (en) * 1989-04-17 1991-08-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 with enhanced scrolling capabilities
US5339391A (en) * 1990-05-14 1994-08-16 Microelectronics And Computer Technology Corporation Computer display unit with attribute enhanced scroll bar
JPH04148370A (ja) * 1990-10-11 1992-05-21 Canon Inc 文書処理装置
US5204947A (en) * 1990-10-31 1993-04-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lication independent (open) hypermedia enablement services
US5297249A (en) * 1990-10-31 1994-03-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ypermedia link marker abstract and search services
JPH05324645A (ja) * 1992-05-19 1993-12-07 Just Syst Corp 文書処理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261961A (ja) 1995-10-13
JP3137169B2 (ja) 2001-02-19
GB9404647D0 (en) 1994-04-27
GB2287386A (en) 1995-09-13
US6052108A (en) 2000-04-18
EP0671695A2 (en) 1995-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9318B2 (en) Filter and sort by format
KR0143357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향상된 데이타베이스 검색 시스템
US6003034A (en) Linking of multiple icons to data units
US57874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base filter generation by display selection
CA2036859C (en)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a structured document to modify emphasis characteristics
US55726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tructures and relationships of a relational database
US8386919B2 (en) System for displaying an annotated programming file
KR0170562B1 (ko) 텍스트 디스플레이 방법
KR20030094215A (ko) 동적인 언어 선택 기능을 갖는 다언어 시스템
US20060224998A1 (en) Multi-dimensional systems and controls
JPH01501262A (ja) 表示駆動式データベースサーチシステムおよび可変サーチ項表示システム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0201477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base table definition
EP0650129A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formatting of user selected text
US7030889B2 (en) Data display system, data display method, computer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EP1447758A2 (en) Context-based display technique
US7080086B2 (en) Interaction with query data
EP0483040A2 (en) Method for displaying multiple entry data fields on a video screen in an object oriented software program
JP2001134586A (ja) コンピュータによるデータベース検索処理方法とシステム
KR0165510B1 (ko) 데이타 베이스 관리시스템의 테이블 생성방법
US11550805B2 (en) Compact display of matching results
Palinski Using wizards in an Oracle developer 6i form
Palinski Using Oracle’s Developer 6i to Create a Record Directory
JPH11154129A (ja) データ抽出装置
JPH07230475A (ja) 検索装置
Fox et al. Themes and Templ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