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0426B1 - 전극과 이를 이용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 Google Patents

전극과 이를 이용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0426B1
KR0170426B1 KR1019930019802A KR930019802A KR0170426B1 KR 0170426 B1 KR0170426 B1 KR 0170426B1 KR 1019930019802 A KR1019930019802 A KR 1019930019802A KR 930019802 A KR930019802 A KR 930019802A KR 0170426 B1 KR0170426 B1 KR 0170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n beam
holes
electron gun
elect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9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9796A (ko
Inventor
김경주
Original Assignee
엄길용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길용,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엄길용
Priority to KR1019930019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0426B1/ko
Priority to US08/309,187 priority patent/US5521775A/en
Priority to JP6231382A priority patent/JPH07169146A/ja
Priority to CN94117871A priority patent/CN1068451C/zh
Publication of KR950009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0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04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00Details of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or of ion trap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3/02Electron gun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 Toy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총의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세 개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본체와 세 전자빔 통과공중 중앙의 전자빔 통과공의 수직 상하부 본체에 비이드 글라스가 진입되는 인입부가 형성되어 외측의 전자빔 통과공을 크게 형성할 수 있도록 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이는 한정된 공간내에서 전극의 양측에 형성되는 전자빔 통과공을 크게 형성하고 전극의 지지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전극과 이를 이용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제1도(a)는 종래 칼라 음극선관용 전극이 비이드 글라스에 고정되어 네크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1도(b)는 그 전극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전차총의 전극이 비이드 글라스에 고정되어 네크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그 전극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전극 21 : (전극의) 본체
22 : 인입부(recess) 23 : 전극고정부
23a,23b : 돌기 30 : 비이드 글라스(bead glass)
100 : (음극선관의) 네크(neck)
본 발명은 전극과 이를 이용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비이드 글라스(bead glaa)가 고정되는 고정부와 전자빔 통과공이 개량된 전극과 이를 이용한 인라인(in-line)형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인라인형 전차총은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장착되어 세 전자빔을 인라인 상으로 방출하는 것으로, 삼극부를 이루는 캐소오드, 제어전극 및 스크린전극과, 주렌즈를 이루는 복수개의 가속전극과, 이들 전극을 순차적으로 고정하는 비이드 글라스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인라인형 전자총은 캐소오드와 각각의 전극에 소정의 전위가 인가됨에 따라 캐소오드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각 전극사이에 형성되는 정전렌즈에 의해 집속 및 가속되어 음극선관의 형광막에 랜딩되게 된다. 그런데 전자총을 구성하는 각 전극에는 세 개의 전자빔 통과공이 인라인 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통과한 전자빔이 형광막의 주변부로 편향시 세 전자빔이 형광막의 한점에 집중되는 콘버어젼스 특성 때문에 형광막에 랜딩되는 양측 전자빔 스포트의 크기가 중앙의 전자빔의 비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된다.
이와같이 양측의 전자빔 스포트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제1도에 나타내 보인바와 같이 전극(10)에 형성된 양측의 전자빔 통과공(R)(B)을 중앙의 전자빔 통과공(G)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여 양측의 전자빔통과공(R)(B)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렌즈의 구면수차 및 비점수차를 줄이고 있다. 이와 같이 양측의 전자빔 통과공(R)(B)을 키우는 것은 그 크기가 한정된 전극(10)의 전자빔 통과평면 내에서 이루어 지므로 양측 전자빔 통과공(R)(B)을 크게 하는 대신 중앙의 전자빔 통과공(G)을 작게 형성하는 방식이 고려된 바 있다.
그러나 중앙의 전자빔 통과공(G)을 작게 형성하게 되면 이 전자빔 통과공(G)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렌즈의 배율이 커져 이 렌즈를 통과하는 전자빔이 많은 구면수차를 받게 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었다.
한편 이러한 전극(10)은 전자빔 제어공간의 확보를 위해 통(桶)형으로 구성되는데, 제1도(b)와 같이 세 전자빔 통과공(R,G,B)이 형성되는 전자빔 통과평면을 가지는 통형의 본체(11)와 그 둘레로 돌출되어 비이드 글라스(30)에 매립되는 매립부(13)를 가지는 플랜지(flange; 12)를 구비하는 분할체로 제조되어 두 분할체가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비이드 글라스(30)에 매립부(13)가 매립됨으로써 전극(10)을 구성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전극(10)은 본체(11)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12)로부터 다시 돌출하는 매립부(13)가 비이드 글라스(30)에 매립되어 고정되므로 비이드 글라스(30)에 대한 전극 (10)의 고정력이 약하여 전자총의 조립시 정확한 조립이 어렵고 작은 충격에도 쉽게 흔들리게 되는등 안정된 정전렌즈를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비이드 글라스(30)에 고정된 경우 전자빔 통과공(R,G,B)의 직경(d)에 비해 비이드 글라스(30) 외단간의 폭(D)이 상당히 커서 제1도(a)와 같이 이를 음극선관의 네크(neck; 100)내에 장착하는 경우 그 사이의 여유공간이 작아지게 된다. 이는 특히 최근 다단(多段)집속방식의 사용에 따른 리이드핀(lead pin)수의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분압(分壓)저항을 비이드 글라스(30)상에 설치하는 경우, 네크(100)와의 간격이 충분하지 못해 내압(耐壓)특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형광막에 랜딩되는 양측의 전자빔 단면이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면수차가 적은 정전렌즈를 형성할 수 있고, 음극선관의 네트내에 설치하였을 때 충분한 공간을 가져 내압특성이 우수한 전자총의 전극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전극을 이용하여 세 전자빔의 콘버어젼스 특성의 향상과 비점수차를 줄일 수 있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명은 세 개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전자빔 통과평면을 가지는 본체를 구비하는 전극에 있어서, 세 전자빔 통과공중 중앙의 전자빔 통과공의 상하부의 본체에 비이드 글라스에 진입되는 인입부(recess)가 형성되고 이 인입부의 내부에 전극 고정부가 형성되어, 외측의 전자빔 통과공을 크게 형성할 수 있도록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캐소오드와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전극을 구비하여 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전극이 세 개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전자빔 통과평면을 가지는 본체를 구비하며, 세 전자빔 통과공중 중앙의 전자빔 통과공의 상하부의 본체에 비이드 글라스가 진입되는 인입부가 형성되고 이 인입부 내부에 전극고정부가 형성되어 외측의 전자빔 통과공을 크게 형성할 수 있도록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이 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은 음극선관의 네크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캐소오드와 상호 소정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전극과, 이 전극들을 소정 간격으로 고정지지하는 비이드 글라스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전자총을 구성하는 전극(20)은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내보인바와 같이 본체(21)의 전자빔 통과평면(21a)에 세 전자빔 통과공(R),(G),(B)이 인라인 상으로 형성되고, 이 세 전자빔 통과공(R)(G)(B)중 중앙의 전자빔 통과공(G)의 상하부의 본체(21)에는 비이드 글라스(30)가 진입될 수 있는 인입부(22)가 형성된다. 본체(21)의 둘레에는 플랜지(24)가 형성되는데 이 플랜지(24)로부터 연장되어 비이드 글라스(30)에 매립됨으로써 전극(20)을 비이드 글라스(30)에 고정하는 전극 고정부(23)는 본 발명 특징에 따라 인입부(22)내에 형성된다.
이 전극 고정부(23)는 그 바닥면 또는 측면으로 돌출하는 돌기(23a,23b)를 구비하여 각 돌기(23a,23b)가 열융착에 의해 비이드 글라스(30)에 매립됨으로써 전극(20)을 고정하게 된다. 나머지 미설명 부호 100은 음극선관의 네크(neck)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및 전자총 전극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극선관용 전자총은 네크(100)의 한정된 공간내에 삽입되게 되므로 이 전자총을 구성하는 각 전극(20)의 전자빔 통과공(R,G,B), 특히 외측에 위치한 전자빔 통과공(R)(B)의 직경(d)을 키우는데 많은 제약을 맏게 되나, 본 발명에 따른 전자총의 전극(20)은 외측 전자빔 통과공(R)(B)을 한정된 공간내에서 최대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전자총의 전극(20)은 그 본체(21)의 상하에 비이드 글라스(30)가 진입되는 인입부(22)가 형성되고 이 인입부(22)내에 전극(20)을 지지하는 전극 고정부(2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비이드 글라스(30) 결합후의 그 외단간의 폭(D)이 크게 감소된다.
이에 따라 전극(20)의 양측에 형성되는 외측 전자빔 통과공(R)(B)을 한정된 공간내에서 최대한 크게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전극(20)의 양측 전자빔 통과공(R)(B)에 의해 형성되는 정전렌즈의 구경을 크게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정전렌즈의 구면수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극(20)의 비이드 글라스(30)에 대한 고정은 전극고정부(23)의 돌기(23a,23b)가 인입부(22)내에 진입된 비이드 글라스(30)에 매립 고정됨으로써 이루어지므로 전자총의 조립시 전극(20)의 정합이 용이할 뿐 아니라 조립상태에서 각 전극(2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네크(100)내에 설치한 상태에서 비이드 글라스(30)의 표면과 네크(100) 내면간의 거리가 충분히 이격되므로 분압저항의 내부설치등의 경우에 내압특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 전자총의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은 전극의 양측 전자빔 통과공을 제한된 영역내에서 최대한 크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형성된 정전렌즈의 배율과 구면수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3)

  1. 세 개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는 전자빔 통과평면을 가지는 통형의 본체를 구비하는 전자총의 전극에 있어서, 상기 세 전자빔 통과공중 중앙의 전자빔 통과공 상하부의 본체에 비이드 글라스가 진입되는 인입부가 형성되고 이 인입부내에 상기 전극을 상기 비이드 글라스에 고정하는 전극고정부가 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총의 전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고정부의 측면 또는 바닥면에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총의 전극.
  3. 캐소오드와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전극을 구비하여 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세 개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는 전자빔 통과평면을 가지는 통형의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세 전자빔 통과공중 중앙의 전자빔 통과공의 상하부의 본체에 비이드 글라스가 진입되는 인입부가 형성되고 이 인입부내에 상기 전극을 상기 비이드 글라스에 고정하는 전극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19930019802A 1993-09-27 1993-09-27 전극과 이를 이용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0170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9802A KR0170426B1 (ko) 1993-09-27 1993-09-27 전극과 이를 이용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US08/309,187 US5521775A (en) 1993-09-27 1994-09-20 Fast running mode conversion device for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6231382A JPH07169146A (ja) 1993-09-27 1994-09-27 磁気記録再生装置の早巻きモード変換装置
CN94117871A CN1068451C (zh) 1993-09-27 1994-09-27 磁带录放机的快速卷绕模式转换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9802A KR0170426B1 (ko) 1993-09-27 1993-09-27 전극과 이를 이용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796A KR950009796A (ko) 1995-04-24
KR0170426B1 true KR0170426B1 (ko) 1999-02-01

Family

ID=19364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9802A KR0170426B1 (ko) 1993-09-27 1993-09-27 전극과 이를 이용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21775A (ko)
JP (1) JPH07169146A (ko)
KR (1) KR0170426B1 (ko)
CN (1) CN106845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2934B1 (ko) * 1997-09-23 2000-04-15 구자홍 칼라음극선관용전자총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3639U (ja) * 1983-03-31 1984-10-15 有限会社 ゼロエンジニアリング カセツトテ−プ用録音・再生装置のロジツクコントロ−ル機構
US4796116A (en) * 1985-12-19 1989-01-03 Gold Star Co., Ltd. Compact cassette type video tape recorder having single actuating plate
JP2565203B2 (ja) * 1987-06-30 1996-12-18 ソニー株式会社 リバ−ス式記録再生装置のモ−ド切換機構
JPH0743862B2 (ja) * 1987-11-10 1995-05-15 ゴールドスター カンパニー,リミティド キャップスタンモーターを利用した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ーの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CA2015431C (en) * 1989-04-29 1995-06-20 Yoshikazu Sasaki Magnetic tape back tension device for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system
JP3273637B2 (ja) * 1992-07-10 2002-04-08 東北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用モード切換え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8451C (zh) 2001-07-11
CN1120221A (zh) 1996-04-10
US5521775A (en) 1996-05-28
KR950009796A (ko) 1995-04-24
JPH07169146A (ja) 1995-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0426B1 (ko) 전극과 이를 이용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0147541B1 (ko) 음극선관용 다단집속형 전자총
JPS6329377B2 (ko)
KR100297693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조립체
KR100238158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US6456018B1 (en)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US6710532B2 (en) Electron gun in color CRT
KR200363912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40006551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구조
KR100274898B1 (ko) 비점수차를 개선한 인라인 전자총_
KR950002739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0177134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US6635982B2 (en) Electron gun in CRT
KR100322079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60012415B1 (ko) 칼라 수상관용 전자총
KR200193990Y1 (ko) 칼라음극선관용 인라인형 전자총
KR940000848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30000336Y1 (ko) 칼라 브라운관의 전자총
KR100822191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147994Y1 (ko) 인라인형 전자총의 전극
KR940005499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KR200147990Y1 (ko) 인라인형 칼라전자총의 전극
KR940011643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50004398B1 (ko) 칼라브라운관용 전자총의 포커스(focus) 전극
KR93001179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