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0104B1 - 에어백 충격량 표시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백 충격량 표시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0104B1
KR0170104B1 KR1019950039909A KR19950039909A KR0170104B1 KR 0170104 B1 KR0170104 B1 KR 0170104B1 KR 1019950039909 A KR1019950039909 A KR 1019950039909A KR 19950039909 A KR19950039909 A KR 19950039909A KR 0170104 B1 KR0170104 B1 KR 0170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vehicle
speed
collision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9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6552A (ko
Inventor
허창영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1019950039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0104B1/ko
Publication of KR970026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6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0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01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 B60R2021/0132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comprising variable thresholds, e.g. depending from other collision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가 큰 충격을 느끼는 속도임에도 불구하고 전개되지 않는 에어백에 대해 실제 차량충돌시점의 속도를 표시수단을 통해 알릴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어백 충격량 표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전방 충돌시의 감속도에만 응답하는 가속도센서(200)와, 차량 충돌을 감지하는 충돌감지센서(210)와, 충돌시점의 차속을 감지하기 위해 구비된 차속감지센서(220)와, 상기 가속도센서와 충돌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에어백의 전개여부를 판단하는 마이컴(230)과, 상기 마이컴의 판단에 의해 에어백을 전개시킬 필요가 없을 경우 차량 충돌시 충격량을 차속으로 표시하는 표시부(110)로 구비하여, 주행중 가속도센서와 충돌감지센서를 통해 충돌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충돌신호가 입력될 경우 현재차량의 속도와 설정된 기준속도를 비교하는 단계와, 차량속도가 기준속도 이상일 경우에는 에어백 전개수단을 통해 에어백을 전개시키고 기준속도 이하일 경우에는 현재차량의 속도를 표시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 시키는 단계를 수행하여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는 충돌시점의 차속을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어백 동작에 대한 의구심을 해소시키게 된다.

Description

에어백 충격량 표시장치 및 그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표시수단이 구비된 핸들을 보인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에어백 충격량 표시장치를 보인 블럭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표시부 200 : 가속도센서
210 : 충돌감시센서 220 : 차속감지센서
230 : 마이컴
본 발명은 자동차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충돌시 충격량이 미약하여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을 경우 그 충격량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백 충격량 표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 시스템은 충돌시의 충격을 차체에 설치된 센서로 검출하여 제어부에 입력하면 충격의 강도에 따라 에어백을 전개시킬 필요성이 있는가 또는 없는가를 판정한다. 전개가 필요한 경우에는 전기신호를 스티어링 휠 내에 설치된 인플레이터로 보내 가스발생제를 연소시켜서 에어백을 팽창시키게 된다.
즉, 에어백의 특성상 충돌이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충격의 강도가 약할 경우에는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는 실제로 에어백이 정확히 동작하는지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없게 된다.
다시 말해, 운전자는 충격량이 크다고 느낌에도 불구하고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게 되면 에어백 성능에 대해 의심할 수밖에 없고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에어백이 정확히 동작하는지에 대해 확인할 수 있는 확인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운전자가 큰 충격을 느끼는 속도임에도 불구하고 전개되지 않는 에어백에 대해 실제 차량충돌시점의 속도를 표시수단을 통해 알릴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어백 충격량 표시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 에어백 충격량 표시장치는 자동차 전방 충돌시의 감속도에만 응답하는 가속도센서와, 차량 충돌을 감지하는 충돌감지센서와, 충돌시점의 차속을 감지하기 위해 구비된 차속감지센서와, 상기 가속도센서와 충돌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에어백의 전개여부를 판단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판단에 의해 에어백을 전개시킬 필요가 없을 경우 차량 충돌시 충격량을 차속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차 에어백 충격량 표시방법은 주행중 가속도센서와 충돌감지센서를 통해 충돌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충돌신호가 입력될 경우 현재차량의 속도와 설정된 기준속도를 비교하는 단계와, 차량속도가 소정속도 이상일 경우에는 에어백 전개수단을 통해 에어백을 전개시키고 소정속도 이하일 경우에는 현재차량의 속도를 표시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 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 및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에어백 점화에 필요한 충격량 이하로 차량이 충돌할 경우 운전자에게 차량이 받은 충격량이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는 소정 속도 이하의 충격임을 암시하는 표시수단을 통해 전달함으로서 에어백 작동여부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량 표시수단이 구비된 자동차 핸들을 보인 것으로써, 도면중 부호 100은 핸들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핸들(10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충격량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110)가 에어백 모듈(120)과 함께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표시부(110)는 통상적으로 차량속도를 숫자로 표시할 수 있는 디지털 표시장치로서, 차량이 에어백 점화에 필요한 충격량 이하의 속도에서 충돌할 경우 충돌시점의 차량속도를 세그먼트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여 실제 차량이 충돌하여도 에어백 전개에 필요한 충격량 이하의 차속이었음을 운전자에게 알려 에어백 작동에 대한 의문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회로도로써, 자동차 전방 충돌시의 감속도에만 응답하는 가속도센서(200)와, 차량 충돌을 감지하는 충돌감지센서(210)와, 충돌시점의 차속을 감지하기 위해 구비된 차속감지센서(220)와, 상기 가속도센서와 충돌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에어백의 전개여부를 판단하는 마이컴(230)과, 상기 마이컴의 판단에 의해 에어백을 전개시킬 필요가 없을 경우 차량 충돌시 충격량을 차속으로 표시하는 표시부(110)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제3도의 플로우챠트도를 통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주행중 가속도센서(200)에 의해 감속도가 걸리면 상기 가속도감지센서는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실제로 전방에 충돌이 발생하여 충돌감지센서(210)로부터 충돌감지 신호가 마이컴(230)에 인가되면, 상기 마이컴은 에어백이 전개 기준속도인 25km/h인지를 차속감지센서(220)를 통해 현재의 충돌시점의 주행속도를 비교하여 에어백을 전개시킬지를 판단하게 된다.스탭(1-3)
이때 차량이 기준속도 이상에서 충돌할 경우 마이컴(230)에서는 연산처리하여 점화신호를 에어백 모듈에 인가하여 에어백을 전개시키고스탭(4), 만약 기준속도 이하 즉,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는 25km/h 이하일 경우에는 차속감지센서(220)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엔코딩시켜 표시부(110)의 세그먼트에 현재의 차량속도를 표시하게 된다.스탭(5)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에어백 전개 기준속도인 25km/h 이하의 속도에서 충돌할 경우에 표시부(110)에 충돌시점의 차속을 표시하여 충돌이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에어백이 동작하지 않음을 의심하게 되는 운전자에게 충돌시점의 차량속도가 기준속도 이하이기 때문에 에어백이 동작하지 않음을 인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백 시스템이 설치된 자동차가 주행중 에어백 전개속도 이하로 충돌할 경우 충돌시점의 차량속도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이 충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전개되지 않는 에어백의 동작에 대한 의구심을 해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 전방 충돌시의 감속도에만 응답하는 가속도센서와, 차량 충돌을 감지하는 충돌감지센서와, 충돌시점의 차속을 감지하기 위해 구비된 차속감지센서와, 상기 가속도센서와 충돌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에어백의 전개여부를 판단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판단에 의해 에어백을 전개시킬 필요가 없을 경우 차량 충돌시 충격량을 차속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충격량 표시장치.
  2. 자동차 에어백 충격량 표시방법에 있어서, 주행중 가속도센서와 충돌감지센서를 통해 충돌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충돌신호가 입력될 경우 현재차량의 속도와 설정된 기준속도를 비교하는 단계와, 차량속도가 기준속도 이상일 경우에는 에어백 전개수단을 통해 에어백을 전개시키고 소정속도 이하일 경우에는 현재차량의 속도를 표시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 시키는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충격량 표시장치.
KR1019950039909A 1995-11-06 1995-11-06 에어백 충격량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0170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9909A KR0170104B1 (ko) 1995-11-06 1995-11-06 에어백 충격량 표시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9909A KR0170104B1 (ko) 1995-11-06 1995-11-06 에어백 충격량 표시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552A KR970026552A (ko) 1997-06-24
KR0170104B1 true KR0170104B1 (ko) 1999-02-18

Family

ID=19433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9909A KR0170104B1 (ko) 1995-11-06 1995-11-06 에어백 충격량 표시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010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552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33813B2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US5158323A (en) Airbag restraint system for motor vehicle
JPH04361163A (ja) 車両衝突検知装置
JPH05278563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の衝突センサシステム
PL309383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intlating a vehicle passenger safety airbag
US20080172158A1 (en) Air-bag deployment system
JPH10287203A (ja) 乗員保護装置の制御装置
US58834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 impact on a vehicle
KR0170104B1 (ko) 에어백 충격량 표시장치 및 그 방법
US5916290A (en) Airbag device having combined fault diagnosis and type signaling indicator
JP3452014B2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KR100496338B1 (ko) 자동차 에어백 제어방법
JPH11157413A (ja) 乗員保護装置
JP3452012B2 (ja) 乗員保護装置の起動制御装置
KR100558407B1 (ko) 저속 충돌시 에어백의 전개 방지장치 및 그 방법
JPH0834310A (ja) 車両用エアバッグシステム
KR940011925B1 (ko) 3방향(3축) 감속 신호 및 그 합성치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 장치
JP2001151072A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KR970026554A (ko)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 제어 장치
KR20040094480A (ko) 자동차용 에어백의 전개 제어방법
KR200150021Y1 (ko) 조수석 무인탑승시 조수석 차단식 에어백 시스템
KR0118515Y1 (ko) 차량의 에어 백 구동장치
KR0117380Y1 (ko) 컴퓨터비젼을 이용한 에어백 시스템
KR100494850B1 (ko) 차량용 측면 충돌 감지 제어장치
KR100557774B1 (ko) 에어백 고장 상황별 알람 경보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