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9648B1 - 철도차량의 지붕 도장방법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지붕 도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9648B1
KR0169648B1 KR1019950034852A KR19950034852A KR0169648B1 KR 0169648 B1 KR0169648 B1 KR 0169648B1 KR 1019950034852 A KR1019950034852 A KR 1019950034852A KR 19950034852 A KR19950034852 A KR 19950034852A KR 0169648 B1 KR0169648 B1 KR 0169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top coat
resin
roof
railwa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4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223A (ko
Inventor
송명화
Original Assignee
석진철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진철,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석진철
Priority to KR1019950034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9648B1/ko
Publication of KR970020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9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96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36Successively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e.g. without intermediate treatment
    • B05D1/38Successively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e.g. without intermediate treatment with intermediate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07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6Three layers or more
    • B05D7/57Three layers or more the last layer being a clear coat
    • B05D7/574Three layers or more the last layer being a clear coat at least some layers being let to dry at least partially before applying the next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503/00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504/00Epoxy polym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지붕 도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장 준비공정, 2액형 에폭시 변성수지 도료를 사용한 프라이머 도정공정, 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도료를 사용한 중도 도장공정, 2액형 무용제 폴리우레탄 수지 도료를 사용한 상도 도장공정; 직경 1-4㎜ 크기의 경질 폴리우레탄 칩을 사용한 미끄럼 방지 처리공정; 2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도료를 사용한 탑 코팅 공정으로 구성되어, 건조시간이 단축되고 도장횟수가 줄어 들어 전체적으로 작업성을 향상시켜 주고, 내구성, 내수성, 내자외선성 등 도막성능을 우수하게 해 주는 것이다.

Description

철도차량의 지붕 도장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장방법의 공정 순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접착강도 시험에서 사용한 시험편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밀착강도 시험에서 사용한 시험편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STS 플레이트(plate) 3 : 2액형 에폭시 수지 도료
4 : 2액형 무용제 폴리우레탄 수지 도료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지붕 도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조시간이 단축되고 도장횟수가 줄어 들어 전체적으로 작업성을 향상시켜 주는 한편, 내구성, 내수성, 내자외선성 등 도막성능을 우수하게 해 주는 철도차량의 지붕 도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장을 하는 목적은 방습, 방청 등과 같은 물체의 보호기능과 외관의 미적 장식효과를 부여해 주는 것이 대표적이지만, 도장의 대상물에 따라서 요구되는 성능과 그 정도가 달라져야 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도장의 목적은 철도차량의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되는 것이며, 특히 철도차량 지붕의 경우 햇볕, 비 등의 외부적 기후조건에 대한 물체의 보호성능과 그 내구성이 더욱 강화될 필요성이 있고, 전동차에 있어서는 도장에 의해 전기 절연성을 추가 부여해 주어여 하며, 또한 차체의 지붕에 사람이 직접 올라가 작업을 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미끄럼 방지효과를 부여해 줄 필요성이 있다.
이와 같은 특수성을 갖는 철도차량 지붕을 도장하는 방법이,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출원 제88-18019호 철도차량용 지붕의 도장방법으로 개시된 바가 있었는데, 동 발명의 방법은, 지붕표면을 수리하고 청소하는 등의 준비를 행하는 준비공정, 와쉬 프라이머(wash primer)를 도포하고 건조하는 전처리 도장공정, 폴리우레탄 수지 도료를 단계별로 도포 건조해 주는 1차 하도공정, 1차 상도공정, 2차 하도공정, 2차 상도공정, 지붕표면에 미끄럼 방지효과를 부여해 주기 위해 우레탄 수지와 규사(silica sand)를 혼합한 사상용 코팅재를 도포 건조해 주는 사상도 도장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발명에서는, 폴리우레탄 수지 도료가 지건형으로 되어 있어 건조시간이 길고, 또 도장공정이 1차 하도-1차 상도-2차 하도-2차 상도 등과 같이 복잡한 공정으로 되어 있어, 작업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도장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발명에서는, 와쉬 프라이머가 내수성이 취약하고 도막의 부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으며, 또한 하도용 및 상도용 폴리우레탄 수지 도료가 서로 물성이 다른 재질이 사용되어 차량의 외판에 잘 견딜 수 있게 단계별로 탄성을 갖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신장율이 높고 인장강도가 낮아 도막 자체가 유연한 상태를 이루고 있는데, 이에 따라 내구성, 내수성, 내자외선성 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도막상태가 고무상과 같은 유연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난연처리를 하여도 우수한 난연성을 얻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상기 발명에서는, 미끄럼 방지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첨가해 주는 규사가 폴리우레탄 수지 도료와 잘 섞이지 않고 부분적으로 뭉치게 되어 도막으로부터 쉽게 이탈 분리되기 때문에, 도막 표면을 파괴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켜, 도료의 원료로 속건형 수지를 사용하고 많은 도장횟수를 간단하게 표준화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작업성을 향상시켜 줌은 물론 도장시간은 단축시켜 주고, 유연한 도막 상태를 강하고 좀더 딱딱하게 해 줌으로써 내구성, 내수성 등의 도막성능을 높여 주며, 미끄럼 방지 효과 부여를 위해 도료와 부착성이 좋은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도막파손을 막아 주는 철도 차량의 지붕 도장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지붕 도장방법은, 철도차량의 지붕 표면을 처리하고, 유분, 먼지, 녹등의 이물질을 청소 또는 제거해 주는 도장 준비공정; 에폭시 변성수지 도료의 도포량을 70-230g/㎡으로 도포하여 건조해 주는 프라이머 도장공정;시멘트 파우더가 첨가된 폴리우레탄 수지도료의 도포량을 70-230g/㎡으로 도포하여 건조해 주는 중도 도장공정; 폴리우레탄 수지도료의 도포량을 0.8-2.0㎏/㎡으로 도포하여 건조해 주는 상도 도장공정; 상기 상도 도장공정중에 상도용 도료를 적어도 1회 도포한 후 이 도료가 건조되기 전에 경질 폴리우레탄 칩을 뿌려 주는 미끄럼 방지 처리공정; 폴리우레탄 수지도료를 도포하여 건조해 주는 탑 코팅(top coating) 공정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도 도장공정의 폴리우레탄 수지 도료는 2액형 무용제 도료로서 0.8-2.0㎏/㎡의 도포량으로 2액반응 전용 에어리스(airless) 스프레이기를 사용하여 도포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미끄럼 방지처리공정의 경질 폴리우레탄 칩은 직경 1-4㎜ 크기로 300-900g/㎡의 양만큼 뿌려주고, 상기 탑코팅 공정단계에서 폴리우레탄 수지 도료는 2액형으로 200-450g/㎡의 양으로 도포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미끄럼 방지 처리공정을 수행하고 상도 도장공정을 완료한 후, 그 도장면을 검사하여 결함부위가 있으면 그 결함부위를 샌드페이퍼(sand paper) 등으로 고르게 연마하고, 솔벤트 등을 이용하여 이 물질을 제거한 후 상기 상도용 도료를 추가 도포하여 보수해 주는 보수 도장공정을 해 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그 시험예와 함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공정단계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준비 공정, 프라이머 도장공정, 중도 도장공정, 상도 도장공정, 미끄럼 방지 처리공정, 보수 도장공정, 탑 코팅공정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도 도장공정은 1차 상도 도장공정과 2차 상도 도장공정으로 구분할 수 있는 바, 각 공정단계를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준비 공정단계는 바탕면에 도료의 부착을 잘 되게 하고 깨끗한 도막을 만들어 주기 위해 도료를 도포하기 전에 해 주는 일체의 준비작업을 말 하는 것으로, 지붕 표면을 그라인더, 디스크 샌더(disk sander) 등으로 문질러 표면을 처리하는 작업, 유분(油分)을 적당한 용제를 사용하여 제거하는 작업, 먼지, 녹 기타 오염물질을 브러쉬나 적당한 도구로 청소 또는 제거하는 작업, 통충기 등과 같은 미도장 부위에 마스킹(masking) 작업을 해 주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다음으로, 프라이머 도장 공정단계는, 2액형 에폭시 변성수지 도료를 스프레이(spray)나 롤러(roller)를 사용하여 70-230g/㎡(건조 도막두께 30-60㎛),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100-230g/㎡(건조도막두께 50-60㎛)의 도포량으로 도포하는 공정단계이다.
상기에서 프라이머는 STS, 철판 등의 바탕재와 상부 도막재와의 사이에서 온도의 변화에 따라 반복적으로 수축, 팽창을 반복하여야 하는 조건에 부합되어야 하는 바, 이를 고려하여 선택한 상기 2액형 에폭시 변성수지 도료는 에폭시 수지와 방청안료는 주성분으로 한 2액형 철재용 방청도료로서, 에폭시 변성 폴리올(polyol) 수지, 안료, 첨가제, 용제(방향족계, 에스테르계, 케톤계) 등의 주제와, 아민(amine) 변성수지의 경화제로 배합되어 있는데, 주제와 경화제의 중량 배합비는 4:1 정도이다.
이와 같은 에폭시 변성수지 도료는 STS, 철판 등에 폴리우레탄 수지를 접착시킬 때 우수한 접착력을 가지게 되고, 상대적으로 접착강도는 낮으나 단단하지 않고 덜 브리틀(brittle)함으로써 상부 도막재와의 유연성있는 접착관계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STS 바탕면과 프라이머 및 프라이머와 상부 도막재 사이에서 계속되는 차량의 진동, 충격,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 및 토오션(torsion) 등에 대해 충분한 완충 결합력을 유지하여 유연성과 기재 추종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프라이머는 건조성이 우수한데, 5℃에서 지촉시간이 4시간, 20℃에서는 2시간, 30℃에서는 1시간 정도이다.
한편, 상기 프라이머는 일반적으로 상부 도막재보다 강도가 월등히 우수하므로 STS 바탕면에 가능한 한 얇게 규정된 도막, 즉 건조 도막두께 30-60㎛,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50-60㎛ 정도로 골고루 도포해 주어야 하며, 만약 두껍게 도포할 경우 외부 응력에 대해 자신이 먼저 파괴되므로 소기의 역할을 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다음의 중도 도장 공정단계는, 상기한 에폭시 프라이머와 그 상부의 도막재가 원활한 접착력을 유지하도록 추가해 주는 공정으로, 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도료를 70-230g/㎡,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10-230g/㎡의 도포량으로 도포해 주는 공정이다. 이 중도용 도료는 저점도, 속경화형 타잎으로, 에폭시 프라이머의 단점인 브리틀(brittle)한 점과 취약한 내충격성을 보완해 줌과 동시에 상부 도막재와 층간 결합력을 유지해 주게 된다.
한편, 상기 중도용 도료는 그 접착력을 향상시켜 주기 위해 시멘트 파우더(cement powder)를 1:1 정도의 중량비로 첨가해 주면 접착력이 더욱 증대되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접착력이 증대되는 이유는, 첫째, 시멘트의 주성분(65% 이상이 CaO)의 전기적 특성에 의해 상도용 도료에 함유되어 있는 음이온 성분과 안정적인 라디칼(radical) 결합을 형성하고, 둘째, 시멘트자체가 염기성(PH 12이하)이기 때문에 상도용 도료와 반응성이 강하여 강력한 2차 결합력을 유지하게 되며, 셋째, 물리적 특성인 접착 표면적 증대 및 시멘트의 다공성으로 인해 중점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다음의 상도 도장 공정단계는, 2액형 무용제 폴리우레탄 수지 도료를 2액반응 전용 에어리스(airless) 스프레이기를 사용하여 도포해 주는 공정이다. 이때 도포량은 0.8-2.0㎏/㎡,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2-2.0㎏/㎡의 양으로 도포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2액형 무용제 폴리우레탄 수지 도료는 특수 변성 폴리올콤파운트(compound)의 주제와 변성 이소시안네이트(isocyanate) 수지의 경화제가 3:1로 배합되어 있는데, 여기서 주제는 예시적으로 다음과 같이 조성될 수 있다. 즉, 특수 변셩 폴리올 콤파운트(compound)는 PPG(분자량 2,000-3,000)와 PTMG(분자량 3,000-4,000) 폴리올 70-75%, 가교제(4.4-Methylene-bis-2-chloroaniline, aromatic diamine) 10-15%, 난연제(Tris(2-chloroethyl) phosphate) 10%, 안료 3%, 촉매(Acid계와 pb계 혼합) 0.2-0.3%, 소포제(Silicon게) 0.03%으로 조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도용 도료는 상온반응 속경화형으로 경화특성이 우수한데, 지촉건조시간이 5℃일 경우 1시간, 20℃일 경우 40분, 30℃일 경우 30분 정도이며, 따라서 재도표 가능시간은 온도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늦어도 1시간 이내로 할 수 있으며, 그외에도 내후성, 내마모성, 내구성 등이 뛰어나다.
그리고 철도차량의 경우 난연성이 필수적으로 확보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종래의 폴리우레탄계 도료에서는 난연제로 주로 인계 난연제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탄화 촉진 효과를 가지고 있어 발생 가스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만약 폴리우레탄 도료의 도포시 유해가스가 발생되면 도막의 표면이 불량해지는 치명적인 결함이 발생되므로, 난연제의 선택은 품질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서, 본 발명에서는 Tri-chloroethlene phosphate(TCEP)를 사용하였고, 이에 의해 우수한 난연성을 가지게 되었다.
다음의 미끄럼 방지 처리공정은, 상기한 상도 도장공정중에 이와 거의 동시에 수행해 주는 공정으로, 직경 1-4㎜ 크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직경 1-4㎜크기의 경질 폴리우레탄 칩을 상기 상도용 도료를 1회 또는 2회 도포한 후(1차 상도 도장공정), 늦어도 5분이내의 건조되기전에 0.3-0.9㎏/㎡,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45-0.9㎏/㎡ 양만큼 고르게 뿌려주고, 다시 24시간 이내에 상기한 상도용 도료를 도포(2차 상도 도장공정)하여 줌으로써, 상도 도막중에 미끄럼 방지 효과를 부여해 주는 공정이다.
이상과 같은 공정이 진행된 후에는 도장면을 검사하여 결함부위가 있으면 보수 도장을 해 주어야 하는데, 주로 발생되는 결함은, 층간 접착 불량에 따른 박리현상과, 도료의 과도포 혹은 흐름현상으로 인한 굴곡부위 발생이 있다. 이와 같은 결함이 있을 때 이를 보수해 주기 위한 보수 도장공정은, 박리된 결함일 경우 박리된 부분을 분리 제거하고, 샌드 페이퍼(sand paper)로 고르게 연마한 후, 솔벤트로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하여 상기 상도용 도료를 도포해 주면 되고, 흐름 부위일 경우는 샌드 페이퍼로 고르게 연마하고 솔벤트로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해 주면 되며, 두께 미달부위일 경우에는 다른 부위에 마스킹을 하고 상기한 상도용 도료를 추가 도장해 주면 된다.
상기 보수 도장공정이 끝나면 마지막으로 탑 코팅(top coating) 공정단계를 수행하는데, 이 탑 코팅 공정단계는 2액정 폴리우레탄 수지 도료를 스프레이나 롤러를 사용하여 0.2-0.45㎏/㎡,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3-0.45㎏/㎡의 양으로 도포해 주는 것으로, 표면의 변색 방지와 내구성 부여를 목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2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도료는 상온반응 경화형으로, 폴리올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프레폴리머와, 아크릴 변성폴리우레탄 수지를 1:1의 중량비로 배합한 것이다. 건조시간은 5-10℃의 경우 24시간, 20-30℃의 경우 12시간 정도이다. 이상과 같이 탑 코팅공정을 수행한 후 표면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시켜 완전히 경화되도록 하여 주면 도장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도장 방법과 관련하여 몇가지 물성 테스트를 해 보았는데, 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시험예 1]
[본 발명의 2액형 에폭시 프라이머의 접착 시험]
본 발명에서 프라이머로 사용하는 2액형 에폭시 수지와 상도용 도료인 2액형 무용제 폴리우레탄 수지와의 접착강도를 시험하여 보았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0×100㎜ 크기의 STS 플레이트 2개(1,2)를 2액형 에폭시 수지(3)와 2액형 무용제 폴리우레탄 수지(4)를 도포하여 25㎜만큼 겹치게 접착하여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시험편의 제작공정은, 플레이트를 그라인딩과 TCE로 탈지처리를 하여 프라이머를 56-60㎛를 코팅하고 24시간 건조시킨 후 상도용 도료를 도포시키고 플레이트를 접착하여 20℃에서 7일간 건조시켰다. 이와 같은 시험편으로 전단 접착시험을 해 본 결과는 다음의 표와 같다.
상기한 시험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프라이머는 접착강도는 상대적으로 낮으나 단단하지 않고 덜 브리틀(brittle)함으로써 상부 도막재와의 유연성있는 접착관계를 유지하게 되고, 접착파단 시함편의 상태는 STS 부분의 박리가 전혀 없었는데, 이는 STS 바탕면과 프라이머 및 프라이머와 상부 도막재 사이에서 계속되는 차량의 진동, 충격,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 팽창 및 토오션(torsion) 등에 대해 충분한 완충 결합력을 유지하여 유연성과 기재 추종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음을 말해 준다. 따라서 종래에 있어서 접착강도는 60㎏/㎠ 이상으로 높으나 대단히 브리틀한 구조로 그 상부의 플라스틱한 도막과 접착력이 강하여 온도의 변화에 따른 수축율이 낮아, 결국 프라이머 접착면이 이탈되어 박리되었던 문제가 해소되게 되는 것이다.
[시험예 2]
[본 발명의 2액형 에폭시 프라이머의 밀착 시험]
본 발명에서 프라이머로 사용하는 2액형 에폭시 수지와 상도용 도료인 2액형 폴리우레탄 수지와의 밀착강도를 시험하여 보았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0×100㎜ 크기의 STS 플레이트(1')를 그라인딩과 TCE로 탈지처리하고, 25㎜의 면적에 2액형 에폭시 수지(3')를 붓으로 50-60㎛ 두께로 도장하고, 24시간 건조후 상도용 도료인 2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도료(4')를 부어서 3㎜ 두께로 일체형으로 시공한 다음, 20℃에서 168시간동안 건조후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 성형하여 밀착강도(박리강도)를 측정하여 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의 표와 같았다.
상기 시험결과 본 발명의 프라이머는 소기의 밀착강도 5.0kgf/㎝이상으로 나타나 우수한 밀착성을 나타내며, 실제 프라이머층의 박리가 발생되지 않고, 상도재인 폴리우레탄 수지층이 파괴됨으로써 실제적으로는 프라이머층의 밀착강도는 더 높은 결과치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이 된다. 따라서 종래에 폴리우레탄 수지 도료와의 밀착강도가 2kgf/㎝ 이상인 점을 감안할 때 본 발명의 프라이머는 상대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갖는 재료로 판단된다.
[시험예 3]
[중도용 도료의 효과 시험]
프라이머와 상도용 도료 사이에 도포해 준 중도용 도료에 의한 접착력 효과를 시멘트 파우더를 첨가해 준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나누어 실험애 보았다. 본 발명의 중도용 도료를 50-60㎛ 두께로 성형한 시험편으로 박리실험을 하여 본 바, 그 결과는 다음의 표와 같다.
이상의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의 중도용 도료는 에폭시 프라이머의 단점인 브리틀한 점과 취약한 내충격성을 보완해 주고 상도 도막층과 충분한 층간 결합력을 유지해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또 중도용 도료에 시멘트를 첨가해 주는 것이 박리강도와 접착상태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4]
[난연성 효과 실험]
본 발명에서 난연제로 사용한 TCEP를 상도용 도료에 첨가하여 난연성을 시험해 보았는 바, 시험방법은, 시험편은 10㎜×10㎜×120㎜(길이)로 하고 화원으로 토치램프를 사용하여 시험조건 KSM 3015-92에 따랐다. 그 시험 조건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험결과, 난연제의 단계적 첨가에 따라 난연성 향상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다만 과도한 난연제 첨가는 도막의 물성에 치명적인 결함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난연제의 첨가량은 10%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도료를 속건형으로 교체하고, 복잡한 도막층 형성공정으로 간략하게 표준화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도장 작업성을 향상시켜 줌은 물론 도장시간을 단축시켜 줄 수 있고, 종래에 너무 유연했던 도막 상태를 상대적으로 강하고 좀더 딱딱하게 해 줌으로써 내구성, 내수성 등의 도막성능을 높여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장방법에서는, 차량의 진동, 충격, 온도변화에 따른 변형이나 왜곡 등에 대응할 수 있도록 프라이머로 특수 에폭시 변성 수지를 사용하고, 또 프라이머와 상도용 도료와의 층간 접착력 유지를 위해 중도용 도료를 사용하면서 여기에 도료와 반응성이 좋은 포틀랜드 시멘트를 혼합하여 코팅해 줌으로써, 전체적인 도막의 층간 결합력을 높여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미끄럼 방지효과를 부여해 주기 위해 뿌려 주는 칩으로 도료와 부착성이 양호한 폴리우레탄 고무칩을 사용함으로써, 도막의 표면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막아 주게 되며, 또한 변성 아크릴 계통의 탑코팅재에 의해 자외선 방지 효과가 향상되게 된다.

Claims (6)

  1. 철도차량의 지붕 표면을 처리하고, 유분, 먼지, 녹 등의 이물질을 청소 또는 제거해 주는 도장 준비공정; 에폭시 변성수지 도료의 도포량을 70-230g/㎡으로 도포하여 건조해 주는 프라이머 도장공정; 시멘트 파우더가 첨가된 폴리우레탄 수지도료의 도포량을 70-230g/㎡으로 도포하여 건조해 주는 중도 도장공정; 폴리우레탄 수지도료의 도포량을 0.8-2.0㎏/㎡으로 도포하여 건조해 주는 상도 도장공정; 상기 상도 도장공정중에 상도용 도료를 적어도 1회 도포한 후 이 도료가 건조되기 전에 경질 폴리우레탄 칩을 뿌려 주는 미끄럼 방지 처리공정; 폴리오레탄 수지도료를 도포하여 건조해 주는 탑 코팅(top coating) 공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철도차량의 지붕 도장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도장공정의 에폭시 변성수지 도료는, 에폭시 변성 폴리올(polyol) 수지, 안료, 첨가제 및 용제(방향족계, 에스테르계, 케톤계) 등으로 조성된 주제와, 아민(amine) 변성 수지의 경화제를 중량비 4:1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지붕 도장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도 도장공정의 폴리우레탄 수지도료는 특수 편성 폴리올 콤파운드의 주제와 변성 이소시안네이트 수지의 경화제가 배합된 무용제 2액형인 한편, 트리스 2-클로로에틸 포스페이트(Tris(2-chloroethyl) phosphate) 난연제가 상기 주제에 대해 1-10%로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지붕 도장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코팅 공정단계에서 폴리우레탄 수지도료의 도포량을 200-450g/㎡로 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지붕 도장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코팅 공정단계에서 사용하는 폴리우리탄 수지도료는, 상온반응 경화형으로 폴리올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프레폴리머와, 아크릴 변성폴리우레탄 수지를 1:1 정도의 중량비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지붕 도장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 처리공정을 수행하고 상도 도장공정을 완료한 후, 그 도장면을 검사하여 결함부위가 있으면 그 결함부위를 샌드 페이드(sand paper) 등으로 고르게 연마하고, 솔벤트 등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상기 상도용 도료를 추가 도포하여 보수해 주는 보수 도장공정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지붕 도장방법.
KR1019950034852A 1995-10-11 1995-10-11 철도차량의 지붕 도장방법 KR0169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4852A KR0169648B1 (ko) 1995-10-11 1995-10-11 철도차량의 지붕 도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4852A KR0169648B1 (ko) 1995-10-11 1995-10-11 철도차량의 지붕 도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223A KR970020223A (ko) 1997-05-28
KR0169648B1 true KR0169648B1 (ko) 1999-01-15

Family

ID=19429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4852A KR0169648B1 (ko) 1995-10-11 1995-10-11 철도차량의 지붕 도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964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841B1 (ko) * 2009-02-19 2010-05-12 (주)건설상사 구도막의 재도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장막
KR101696892B1 (ko) * 2015-09-17 2017-01-16 신동페인트공업(주) 지붕을 위한 논슬립형 탑코팅재의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023615A (ko) 2017-08-29 2019-03-08 유연상 철도차량 전장품 도장공법
KR102177416B1 (ko) * 2020-04-09 2020-11-11 김소중 노후 금속기와 표면의 논슬립 도장 코팅 보수 및 보호 공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841B1 (ko) * 2009-02-19 2010-05-12 (주)건설상사 구도막의 재도장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장막
KR101696892B1 (ko) * 2015-09-17 2017-01-16 신동페인트공업(주) 지붕을 위한 논슬립형 탑코팅재의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023615A (ko) 2017-08-29 2019-03-08 유연상 철도차량 전장품 도장공법
KR102177416B1 (ko) * 2020-04-09 2020-11-11 김소중 노후 금속기와 표면의 논슬립 도장 코팅 보수 및 보호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223A (ko)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5572B1 (ko) 연마시트 및 그 제조방법
EP3006525A1 (en) Asphalt-urethane composition
KR101251066B1 (ko) 내오염성 및 오염 방지성능이 우수한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643519B1 (ko) 슈퍼마이크로 섬유를 이용한 바탕조정재
KR100862048B1 (ko) 삼성분계 폴리우레탄 바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건축물의 복합바닥재의 시공방법
RU2192441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окрытий
KR101614073B1 (ko) 난연 폴리우레아 코팅 조성물
KR10117734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해 및 중성화방지용 도료조성물
KR102323152B1 (ko) 슁글지붕을 방수 시공하는 방법 및 이에 따라 형성된 슁글지붕용 방수 코팅 구조체
KR0169648B1 (ko) 철도차량의 지붕 도장방법
KR101888556B1 (ko) 친환경 탄성 폴리우레아 수지조성물
KR101643520B1 (ko) 슈퍼마이크로섬유 바탕조정재를 이용한 폴리우레아방수 코팅공법
US3723163A (en) Process for sealing a surface and resultant surface
KR102145949B1 (ko) 초속경화 수작업용 폴리우레아 코팅재 및 이를 사용한 도막 층 형성방법
AU714244B2 (en) Solventless two-component strippable lacquer for metal surfaces
KR20140036951A (ko) 폴리우레아 방수 공법
KR101876806B1 (ko) 초속경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JP7427782B2 (ja) シラン系添加剤を含み、改善された接着特性を有する水性ベースコート組成物および上記ベースコート組成物から生成される多層コーティング
JP4163334B2 (ja) 防滑舗装方法
EP0110019A1 (en) Contact adhesive and adhesive system for EPDM and related elastomers
JP3896441B2 (ja) 強化プラスチック成形品の補修用プライマー組成物および強化プラスチック成形品の補修方法
KR910000764B1 (ko) 철도 차량용 지붕의 도장방법
US20040146638A1 (en) Process for repairing coatings
KR102386765B1 (ko) 철강제품 표면 코팅용 보수재 및 이를 이용한 보수방법
KR102469909B1 (ko) 도장 작업성이 향상된 상온 경화형 폴리우레아 코팅재 및 이를 사용한 도막층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