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8967B1 - 무전원시 고주파 신호 전달 특성을 가진 고주파 부스터단 회로 - Google Patents

무전원시 고주파 신호 전달 특성을 가진 고주파 부스터단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8967B1
KR0168967B1 KR1019950012059A KR19950012059A KR0168967B1 KR 0168967 B1 KR0168967 B1 KR 0168967B1 KR 1019950012059 A KR1019950012059 A KR 1019950012059A KR 19950012059 A KR19950012059 A KR 19950012059A KR 0168967 B1 KR0168967 B1 KR 0168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frequency
frequency signal
amplifier
power
tele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2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3477A (ko
Inventor
이종진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50012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8967B1/ko
Publication of KR960043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3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8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89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6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polarisation voltage or current, e.g. gliding Class 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로 부터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고주파 변조기(RF Modulator)의 부스터단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전원시 안테나로 부터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텔레비젼(이하) TV의 튜너부로 전달되도록 스위칭부를 구성하여 TV를 제외한 수신기기의 전원이 완전히 오프된 상태에서도 TV 시청이 가능한 무전원시 고주파 신호 전달특성을 가진 고주파 부스터단 회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전원시 고주파 신호 전달 특성을 가진 고주파 부스터단 회로
제1도는 종래의 고주파 부스터단 회로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무전원시 고주파 신호 전달특성을 가진 고주파 부스터단 회로의 블록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고주파 제1증폭부 22 : 분배기
23 : 고주파 제2증폭부 24 : 텔레비젼 튜너부
25 : 스위칭부
본 발명은 안테나로부터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고주파 변조기(RF Modulator)의 부스터단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전원시 안테나로부터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텔레비젼(이하 TV)의 튜너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스위칭부를 구성하여, 텔레비젼을 제외한 수신기기의 전원이 완전히 오프된 상태에서도 TV 시청이 가능한 무전원시 고주파 신호 전달특성을 가진 고주파 부스터단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주파 변조기는 고주파 부스터단과 고주파 변조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고주파 변조기에는 고주파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는데, 상기 고주파 스위칭 회로는 고주파 부스터단에서 출력되는 공중채널의 고주파 신호와 고주파 변조단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의 고주파 신호 상호간에 발생되는 간섭현상을 제거시키기 위하여 고주파 부스터단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스위칭한다.
여기서 본 발명과 관련이 있는 고주파 부스터단은 안테나(Antenna)의 입력단자를 통하여 들어오는 공중 채널의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여 VTR(Video tape recorder)의 튜너부 및 텔레비젼의 튜너부로 출력한다.
종래의 대표적인 고주파 변조기의 부스터단 회로가 제1도에 도시된다. 안테나의 입력단자를 통하여 들어오는 공중채널의 고주파 신호는 제1증폭부(11)에서 그 감도를 보충하기 위해 증폭되고, 분배기(12)의 입력단자로 입력된다. 증폭된 고주파 신호를 입력받은 분배기(12)는 VTR의 튜너부(14)에 연결된 입력단자로 그 신호를 전송하고, 또한 제2증폭부(13)의 입력단자로 전송한다.
제2증폭부(13)는 입력된 고주파 신호에 대해 제1증폭부(11)와 같이 고주파 신호의 감도를 보충하기 위해 그 신호를 증폭하여 텔레비젼의 튜너부(14)로 전송한다.
제1증폭부(11) 및 제2증폭부(13)는 트랜지스터 또는 증폭 IC 등을 사용하여,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기 때문에 반드시 그 내부에 전원이 공급되어야 동작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즉 안테나의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는 텔레비젼의 튜너부(14)로 전달되어, 그 텔레비젼을 사용자가 시청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제1증폭부(11) 및 제2증폭부(13)의 전압 전원단(도시생략)에 전원을 인가하여, 그 증폭부들이 작동가능한 상태가 되어야 한다.
이와같이 종래의 고주파 부스터단 회로는 제1증폭부(11) 및 제2증폭부(13)의 전압 전원단(도시생략)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텔레비젼의 시청이 불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텔레비젼 이외의 방송수신기에 전원이 완전히 차단된 상태에서도 그 텔레비젼을 시청할 수 있는 무전원시 고주파 신호 전달특성을 가진 고주파 부스터단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안테나로 수신된 신호를 수신기기 및 텔레비젼튜너부로 인가되는 무전원시 고주파 신호 전달특성을 가진 고주파 부스터단 회로에 있어서, 안테나로부터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고주파 제1증폭부와, 상기 고주파 제1증폭부로부터 증폭된 고주파 신호를 출력단에 연결되는 수신기기 및 텔레비젼튜너부로 분배출력하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와 텔레비젼의 튜너부사이에 구비되어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고주파 제2증폭부와, 고주파부스터단으로 동작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때 상기 안테나로부터 입력된 고주파 신호가 상기 텔레비젼 튜너부로 출력되도록 안테나단과 텔레비젼튜너부사이에서 단속동작하는 스위칭부를 구비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무전원시 고주파 신호전달특성을 가진 고주파 부스터단 회로의 블록 구성도이다.
고주파 입력단은 안테나(ANTENNA)에 접속되는 공중채널의 고주파 신호의 입력단자이며, 고주파 제1증폭부(21)는 트랜지스터(Tr)이나 증폭 IC 칩으로 구성하여 입력된 고주파 신호에서, 그 감도를 증폭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고주파 제1증폭부(21)에서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본 발명이 적용되는 수신기기로, 그 신호를 분배하는 분배기(22)는 저항회로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고, 고주파 제2증폭부(23)는 입력된 고주파 신호에서 그 신호의 감도를 증폭하기 위해 사용하며, 상기 고주파 제1증폭부(21)와 같이 트랜지스터(Tr)나 증폭 IC 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텔레비젼 튜너부(24)는 고주파 증폭, 혼합, 국부발진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희망 주파수를 선택함과 동시에 증폭하여 감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고, 스위칭부(25)는 일실시에로 그 내부에 제1, 제2증폭부(21, 23)의 전원인가에 따라 동작하는 전자식 릴레이나 수동스위칭등으로 구성하여 고주파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상기 텔레비젼 튜너부(24)로 전달 또는 단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주파 부스터단 회로의 전압전원단(도시생략)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회로의 동작이 가능하게 하고, 그 전원단과 직렬로 연결된 고주파 제1증폭부(21) 및 고주파 제2증폭부(23)에도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증폭부들의 작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회로에 전원이 공급되면 안테나(ANTENNA)에 접속되어 있는 고주파 입력단으로 고주파 신호가 입력되어 고주파 제1증폭부(21)에서 그 감도를 보충하기 위해 증폭되고, 분배기(22)의 입력단으로 입력된다.
상기 분배기(22)는 상기 고주파 제1증폭부(21)에서 입력된 고주파 신호를 녹화용으로 VTR(Video Tape recorder)의 튜너부로 출력하거나 시청용으로 텔레비젼 튜너부에 연결된 고주파 제2증폭부(23)로 출력한다.
상기 고주파 제2증폭부(23)는 상기 분배기(22)로부터 입력된 고주파 신호를 상기 텔레비변 튜너부에서 영상은 45.75MHz, 음성은 41.25MHz의 중간 주파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음성반송파(191.75MHz) 및 영상반송파(187.25MHz)로 증폭하여 상기 텔레비젼 튜너부(24)의 입력단으로 출력한다. 즉, 상기 부스터단 회로는 공중파 주파수대역을 47MHz-860MHz까지 증록하여 3-6dB의 이득을 얻어 플레이트한 대역을 통해 텔레비젼 튜너부(24)로 보내진다.
이때, 상기 부스터단 회로에 전원이 공급되면 분배기(22)는 그 내부의 릴레이에 상기 전원이 공급되고, 그 전원이 제어전원으로 사용되어 접점을 연결시키지 않게 하고('B' 접점 연결), 또는 수동스위치를 사용할 경우는 그 연결점을 차단하여, 고주파 신호가 상기 텔레비젼의 튜너부(24)로 그 신호의 전송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스위칭 동작을 한다.
그리고 상기 부스터단 회로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면, 그 전원단자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고주파 제1증폭부(21) 및 고주파 제2증폭부(23)에도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그 증폭부들의 동작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분배기(22)로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는 VTR의 튜너부(TU-out) 및 텔레비젼의 튜너부(24)로 전달되지 못한다.
그러나, 상기 전원공급이 차단되면 스위칭부(25)의 릴레이 접점('B' 접범)은, 그 제어전원의 차단으로 인하여 연결되고, 또한 수동스위치에 의한 그 접점을 연결하여, 고주파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에서 최소한의 손실이득(Gain)(2-3dB)을 포함하여 상기 텔레비젼의 튜너부(24)로 전달한다.
이와같이 상기 부스터단 회로에 전원이 공급되면 고주파 제1증록부(21) 및 고주파 제2증폭부(23)가 동작하기 때문에 플레이트한 이득(Gain)을 얻어 텔레비젼의 튜너부로 그 신호가 전달이 되고, 전원공급이 차단되면 스위칭부(25)를 통해서 그 신호가 텔레비젼의 튜너부(24)로 전달되는데, 이때는 증폭없이 최소한의 손실(예를 들어, -2dB~-3dB)을 포함하여 상기 텔레비젼의 튜너부(24)로 전달된다. 여기에서, 상기 안테나로 수신된 신호가 최소한의 손실을 포함하여 텔레비젼의 튜너부(24)로 입력되더라도 텔레비젼 시청시 화질 등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텔레비젼(TV), VTR(Video Tape Recorder), SVR(Sattlite Video Recorder), 게임기등이 복합적으로 연결되는 일반가정에서 텔레비젼(TV)을 제외한 VTR(Video Tape recorder), SVR(sattlite video recorder) 등의 전원이 완전히 오프된 상태에서도 텔레비젼의 시청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무전원시 고주파 신호 전달특성을 가진 고주파 부스터단 회로에 있어서, 안테나로부터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고주파 제1증폭부(21)와, 상기 고주파 제1증폭부(21)로부터 증폭된 고주파 신호를 출력단에 연결되는 수신기기들로 분배출력하는 분배기(22)와, 상기 분배기(22)로부터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고주파 제2증폭부(23)와, 상기 고주파 제2증폭부(23)로부터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받아 처리하는 텔레비젼 튜너부(24)와, 고주파부스터단으로 동작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때 상기 안테나로부터 입력된 고주파 신호가 상기 텔레비젼 튜너부(24)로 출력되도록 안테나단과 텔레비젼튜너부(24) 사이에서 단속동작하는 스위칭부(25)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시 고주파 신호전달 특성을 가진 고주파 부스터단 회로.
KR1019950012059A 1995-05-16 1995-05-16 무전원시 고주파 신호 전달 특성을 가진 고주파 부스터단 회로 KR0168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2059A KR0168967B1 (ko) 1995-05-16 1995-05-16 무전원시 고주파 신호 전달 특성을 가진 고주파 부스터단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2059A KR0168967B1 (ko) 1995-05-16 1995-05-16 무전원시 고주파 신호 전달 특성을 가진 고주파 부스터단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3477A KR960043477A (ko) 1996-12-23
KR0168967B1 true KR0168967B1 (ko) 1999-03-20

Family

ID=19414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2059A KR0168967B1 (ko) 1995-05-16 1995-05-16 무전원시 고주파 신호 전달 특성을 가진 고주파 부스터단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896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3477A (ko) 1996-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8967B1 (ko) 무전원시 고주파 신호 전달 특성을 가진 고주파 부스터단 회로
US5003620A (en) Tuner circuit and receiving band change-over circuit with a push-pull amplifier
KR100206371B1 (ko) 팔방식용 고주파 변조기의 전원 스위칭회로
JP3481388B2 (ja) アンテナブースタミキサ回路
KR20010094929A (ko) 케이블 셋탑박스용 고주파 모듈의 스위칭회로
KR0158599B1 (ko) 고주파 변조기의 부스터단 회로
KR20020084926A (ko) 두 입력을 갖는 고주파 변조기 및 디지털 시에이티브이셋탑박스
KR100286814B1 (ko) 고주파 변조장치
KR950010373Y1 (ko) Vcr 시스템
KR940008100Y1 (ko) 채널의 혼신방지가 가능한 무선주파수변조장치
KR20040016592A (ko) 멀티미디어 장치의 텔레비전 신호 분배장치
JP2596482Y2 (ja) Rf信号切換装置
KR100444227B1 (ko) 두 입력을 갖는 고주파 모듈레이터
KR20090111265A (ko) 방송수신용 프론트엔드 모듈
KR200194843Y1 (ko) 텔레비젼에서의 신호 증폭 장치
KR200174785Y1 (ko) 부스터방식의 고주파수신장치
KR880003151Y1 (ko) Pal방식 텔레비젼의 음성 절환회로
KR970004909Y1 (ko) 브이씨알의 알에프(rf)출력 티브이(tv)수신장치
JPH0810990Y2 (ja) テレビチューナ
JPH0129888Y2 (ko)
KR0183943B1 (ko) 다중방송방식용 알에프 변조기의 음성 방송 방식 제어장치
KR950002559Y1 (ko) 고주파변조기의 부우스터단 출력신호 스위칭회로
KR970002891Y1 (ko) 고주파(rf)신호 출력회로
KR940004393Y1 (ko) 위성방송 튜너의 듀얼채널 수신장치
KR100391918B1 (ko) 케이블 셋탑박스용 튜너의 루프쓰루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