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8098B1 - 주행도로의 가혹도 평가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주행도로의 가혹도 평가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8098B1
KR0168098B1 KR1019930020505A KR930020505A KR0168098B1 KR 0168098 B1 KR0168098 B1 KR 0168098B1 KR 1019930020505 A KR1019930020505 A KR 1019930020505A KR 930020505 A KR930020505 A KR 930020505A KR 0168098 B1 KR0168098 B1 KR 0168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test
road
damage
driving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0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2261A (ko
Inventor
정원욱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30020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8098B1/ko
Publication of KR950012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8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80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주행도로를 주행한 자동차의 설정 부분에 대해 예측된 수명치의 결과를 이용하여 시험 주행도로의 가혹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주행도로의 가혹도 평가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정도에 따라 가변되는 상태변화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상태변화 감지수단과; 해당부품이나 장치의 수명을 예측할 수 있도록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마다 해당부품이나 장치가 파손되기까지의 빈도수를 나타내는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 파손 데이타 저장수단과; 상기 상태변화 감지수단과 파손 데이타 저장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인가되고, 가혹도를 판정하기 위한 시험 주행도로를 판정하고 시험 주행도로를 주행할 때 파손도를 측정하기 위한 자동차의 부분을 설정하고, 시험 주행도로를 주행할 때 출력되는 상태변화 신호를 판독하고 상기 파손 데이타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이론적인 파손 데이타를 판독하여 설정된 시험 주행도로를 주행할 때 설정 부분이 손상되는 파손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파손도를 이용하여 해당 부분의 수명을 예측하여 시험 주행도로의 가혹도를 평가하는 주행도로의 상태평가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주행속도의 가혹도 평가장치 및 그 방법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도로의 가혹도 평가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도로의 가혹도 평가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이 발명은 주행도로의 가혹도 평가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행도로를 주행한 자동차의 수명을 예측하여 주행도로의 가혹도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주행도로의 가혹도 평가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주행도로의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각각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하중의 크기가 각각 가변되어 자동차의 손상정도가 서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새로 개발된 자동차의 성능이나 내구성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측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시험 주행도로에서 시험용 자동차의 성능을 시험할 경우 어느 조건의 주행도로에서 자동차의 성능을 시험해야 하는지를 우선 판단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각 시험 주행도로의 가혹도 정도가 어느정도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고, 시험 조건에 알맞은 정도의 가혹도를 갖는 시험 주행도로가 정확하게 설계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없다.
그러므로 정확한 시험 주행도로의 가혹도를 산출할 수 없으므로 자동차의 내구성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고, 필요 이상으로 가혹한 조건에서 자동차의 성능을 시험할 경우엔 자동차의 불필요한 손상을 초래하고 시험자의 위험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행도로를 주행한 자동차의 설정 부분에 대해 예측된 수명치의 결과를 이용하여 시험 주행도로의 가혹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주행도로의 가혹도 평가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성은,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정도에 따라 가변되는 상태변화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상태변화 감지수단과; 해당부품이나 장치의 수명을 예측할 수 있도록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마다 해당부품이나 장치가 파손되기까지의 빈도수를 나타내는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 파손 데이타 저장수단과; 상기 상태변화 감지수단과 파손 데이타 저장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인가되고, 가혹도를 판정하기 위한 시험 주행도로를 판정하고 시험 주행도로를 주행할 때 파손도를 측정하기 위한 자동차의 부분을 설정하고, 시험 주행도로를 주행할 때 출력되는 상태변화 신호를 판독하고 상기 파손 데이타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이론적인 파손 데이타를 판독하여 설정된 시험 주행도로를 주행할 때 설정 부분이 손상되는 파손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파손도를 이용하여 해당 부분의 수명을 예측하여 시험 주행도로의 가혹도를 평가하는 주행도로의 상태평가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또다른 구성은, 가혹도를 판정하기 위한 시험 주행도로를 판정하고 시험 주행도로를 주행할 때 파손도를 측정하기 위한 자동차의 부분을 설정하는 단계와; 시험 주행도로를 주행할 때 출력되는 상태변화 신호를 판독하고 상기 파손 데이타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이론적인 파손 데이타를 판독하여 설정된 시험 주행도로를 주행할 때 설정 부분이 손상되는 파손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파손도를 이용하여 해당 부분의 수명을 예측하여 시험 주행도로의 가혹도를 평가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도로의 가혹도 평가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도로의 가혹도 평가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제1도를 참고로 하여 이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하중의 정도에 따라 가변되는 상태변화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상태변화 감지부(1)와, 상기 상태변화 감지부(1)와 연결되어 상태변화 감지부(2)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소정의 크기만큼 증폭하는 증폭부(2)와, 해당부품이나 장치의 수명을 예측할 수 있도록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마다 해당부품이나 장치가 파손되기까지의 빈도수를 나타내는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 파손 데이타 저장부(3)와, 상기 파손 데이타 저장부(3)와 연결되어 실제로 동작될 때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변화에 따라 각 변형되는 변형율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와 파손 데이타 저장부(3)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동작에 따른 파손정도와 수명을 예측하여 각 시험 주행도로의 가혹도를 산출하는 주행도로의 상태평가 제어부(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이 발명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필요한 전원이 인가되어 동작이 시작되면(10) 주행도로의 상태평가 제어부(4)는 가혹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시험 주행도로를 판정하고(20), 시험 주행도로의 가혹도를 판정하기 위해 수명예측을 실행하는 자동차의 부위를 설정한다.(30)
그리고 시험용 자동차가 시험 주행도로를 주행할 때, 설정된 자동차의 부위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변화 감지부(1)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판독한다.(30)
상기 상태변화 감지부(1)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하중의 크기 및 구성요소의 물리적인 특성 등에 따라 가변되는 상태변화량을 감지하여 해당하는 전압을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상태변화 감지부(1)에서 출력되는 미소 전압을 증폭부(2)에서 소정의 크기만큼 증폭하여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소정의 크기만큼 증폭되어 인가되는 상태변화 감지부(1)의 출력신호는 시험 주행도로를 주행하는 도중에 시험용 자동차의 해당 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하중의 크기에 따라 해당 부위가 변형되는 정도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시험 주행도로를 주행하는 시험용 자동차에 부착된 상태변화 감지부(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면, 주행도로의 상태평가 제어부(4)는 파손 데이타 저장부(3)에 저장되어 있는 이론적인 파손 데이타를 판독한다.(50)
상기 파손 데이타 저장부(3)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타는 해당하는 부분에 여러 종류의 충격이나 하중이 가해질 경우, 해당 부분이 파손되기까지 얼마만큼 계속 가해져야 하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각 하중의 크기에 따라 파손되기까지의 빈도수에 해당하는 데이타이다.
그러므로 파손 데이타 저장부(3)에서 저장되어 있는 이론적인 파손 데이타와 실제 자동차의 주행으로 출력되는 상태변화 감지부(1)의 신호가 판독되면, 주행도로의 상태평가 제어부(4)는 시험 주행도로를 주행할 경우에 자동차의 해당부분이 손상되는 정도인 파손도(D)를 계산한다(60).
상기 상태변화 감지부(1)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는 가해지는 모든 충격의 빈도수를 나타내므로, 동작중에 가해지는 모든 충격의 크기와 빈도수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현재 해당하는 부분의 파손도(D)를 산출하기 위해, 먼저, 주행도로의 상태평가 제어부(4)는 시험용 자동차가 설정된 거리를 주행할 때 출력되는 상태변화 감지부(1)의 신호에서, Y축, 즉, 각 인가되는 하중의 크기레벨에 따라 변형율을 각 설정된 크기의 레벨별로 구별한다.
그리고 상태변화 감지부(1)에서 출력되는 Y축의 각 구분된 변형율에 해당하는 X축의 값인 빈도수(ni)를 판단한다.
그리고 파손 데이타 저장부(3)에 이미 설정되어 있는 이론적인 파괴신호에서도 각 설정된 하중의 크기레벨에 해당하는 각 변형율에 해당하는 X축의 이론적인 빈도수의 크기(ni)를 판단한다.
상기 이론적인 파괴 데이타 저장부(3)의 신호는 Y축의 값인 해당 변형율이 가해지면 그에 대응하는 X축의 빈도수만에 해당하는 부품이 파손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각 설정되 변형율에 해당하는 실제의 빈도수의 크기(ni)와 이론적인 빈도수의 크기(ni)가 모두 산출되면 설정된 거리마다 발생하는 파손도(D)를 하기(1)식을 이용하여 산출한다.
그러므로 상기의 (1)식과 같이 각각의 하중이 가해질 때 그때의 파손정도를 모두 더하면 결과적으로 해당 부품에 대한 전체적인 파손정도가 되므로 주행하는 주행도로가 증가할 때마다 함께 증가하는 부품의 파손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파손도(D)가 산출되면, 주행도로의 상태평가 제어부(4)는 산출된 파손도(D)를 이용하여 해당부품의 예측수명(L)을 산출한다(70).
상기 파손도(D)가 1이 되면, 실제로 주행할 때 발생하는 파손정도인 변형도가 이론적인 변형도와 동일하게 되는 상태를 의미하여 해당 부품이 파손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파손도(D)의 역수인 수명정도(L)는 해당부품의 수명을 나타낸다.
즉, 산출된 거리만큼 자동차가 주행하면 비로소 해당하는 부품이 파손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해당하는 부품이나 각 자동차의 수명을 예측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시험 주행도로의 상태에 따라 가변되는 해당 부분의 수명(L)이 산출되면, 주행도로의 상태평가 제어부(4)는 여러개의 시험 주행도로를 주행한 후,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산출되는 각 해당 부분의 수명도(D)를 서로 비교하여 주행도로의 가혹도를 평가한다(80).
예를들면 A시험 주행도로를 주행한 자동차의 해당 부분의 수명이 1000㎞이고, B시험 주행도로를 주행한 자동차의 해당 부분의 수명이 10000㎞일 경우에, A시험 주행도로가 B시험 주행도로보다 10배 더 가혹한 조건에 있다고 판정한다.
따라서 여러개의 시험 주행도로의 가혹도를 서로 비교하고 가혹도의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와 같이 모두 동일한 조건에서 각 시험 주행도로를 주행한 자동차의 수명을 예측하고 각 예측된 자동차의 수명정도를 비교하여 어느 시험 주행도로가 얼마만큼 더 가혹한 상태의 시험 주행도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이 발명의 효과는 정확하게 각 시험 주행도로간의 가혹도 정도를 비교 판단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정도의 가혹도 조건하에서 자동차의 성능이나 내구성을 시험할 수 있고, 시험 주행도로의 가혹도 정도를 정확하게 판단하여 시험하므로 시험결과를 정확하게 분석하여 원하는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Claims (2)

  1.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정도에 따라 가변되는 상태변화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상태변화 감지수단과; 해당부품이나 장치의 수명을 예측할 수 있도록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마다 해당부품이나 장치가 파손되기까지의 빈도수를 나타내는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는 파손 데이타 저장수단과; 상기 상태변화 감지수단과 파손 데이타 저장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인가되고, 가혹도를 판정하기 위한 시험 주행도로를 판정하고 시험 주행도로를 주행할 때 파손도를 측정하기 위한 자동차의 부분을 설정하고, 시험 주행도로를 주행할 때 출력되는 상태변화 신호를 판독하고 상기 파손 데이타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이론적인 파손 데이타를 판독하여 설정된 시험 주행도로를 주행할 때 설정 부분이 손상되는 파손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파손도를 이용하여 해당 부분의 수명을 예측하여 시험 주행도로의 가혹도를 평가하는 주행도로의 상태평가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도로의 가혹도 평가장치.
  2. 가혹도를 판정하기 위한 시험 주행도로를 판정하고 시험 주행도로를 주행할 때 파손도를 측정하기 위한 자동차의 부분을 설정하는 단계와; 시험 주행도로를 주행할 때 출력되는 상태변화 신호를 판독하고 상기 파손 데이타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이론적인 파손 데이타를 판독하여 설정된 시험 주행도로를 주행할 때 설정 부분이 손상되는 파손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파손도를 이용하여 해당 부분의 수명을 예측하여 시험 주행도로의 가혹도를 비교 평가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도로의 가혹도 평가방법.
KR1019930020505A 1993-10-05 1993-10-05 주행도로의 가혹도 평가장치 및 그 방법 KR0168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0505A KR0168098B1 (ko) 1993-10-05 1993-10-05 주행도로의 가혹도 평가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0505A KR0168098B1 (ko) 1993-10-05 1993-10-05 주행도로의 가혹도 평가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261A KR950012261A (ko) 1995-05-16
KR0168098B1 true KR0168098B1 (ko) 1999-01-15

Family

ID=19365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0505A KR0168098B1 (ko) 1993-10-05 1993-10-05 주행도로의 가혹도 평가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80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71064A1 (fr) * 2017-09-14 2019-03-15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Methode d'evaluation de la fermete d'un sol
FR3088249B3 (fr) * 2018-11-14 2020-10-16 Michelin & Cie Procede de determination de la fermete d'un s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261A (ko) 199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1776B2 (ja) 軌条走行車両の走行特性を監視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060102581A (ko) 교량 및 노반의 상태평가를 위한 하중재하/측정 자동화시스템
CN109932033B (zh) 动态称重系统和利用其进行偏斜和存在测量的方法
KR100860394B1 (ko) 고속, 저속겸용 축중기 및 차량정보, 교통량검출장치
CN102574536B (zh) 用于在轨道车辆中监测部件状态的方法和电子装置
KR960004045A (ko) 자동 변속기의 고장예측장치 및 그 방법
KR0168098B1 (ko) 주행도로의 가혹도 평가장치 및 그 방법
JP5059519B2 (ja) 軸重計測装置
JP4709845B2 (ja) 温度にさらされている装置に関する情報の決定方法
KR20190089583A (ko) 지상 차량 부품 탐지 시스템
KR100188773B1 (ko) 자동차의 수명예측장치 및 그 방법
CN113567242B (zh) 一种检测钢筋混凝土或预应力混凝土梁抗力的方法
KR101860202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타이어 주행시험기 및 그 제어방법
JPH0727671A (ja) 物品の劣化状態判定方法および装置
CN113008492A (zh) 一种用于桥梁的长距离多参数同步检测系统
CN117033982B (zh) 一种基于车辆余振数据提取桥梁振动基频的方法和系统
US11841329B2 (en) Object damage inspecting device and inspecting method using the same
US20210366246A1 (en) Measuring device
KR20230094074A (ko) 중소 노후교량 내하성능 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JPH10185979A (ja) 電子機器の故障診断方法及び装置並びに電池の寿命診断方法及び装置並びに記憶媒体
KR20060041329A (ko) 타이어의 사이드 월 내충격력 측정장치
KR20020035267A (ko) 차량 내구성 검사방법
KR20050080968A (ko) 열전달을 이용한 엔진오일 열화 감지 센서
KR0149373B1 (ko) 수명예측을 위한 하중이력 측정신호의 보정방법
KR100820487B1 (ko) 자동차용 바디의 진동 시험/분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