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8012B1 - 사설교환 시스템에서 국선그룹 통화의 발신제한 방법 - Google Patents

사설교환 시스템에서 국선그룹 통화의 발신제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8012B1
KR0168012B1 KR1019960003917A KR19960003917A KR0168012B1 KR 0168012 B1 KR0168012 B1 KR 0168012B1 KR 1019960003917 A KR1019960003917 A KR 1019960003917A KR 19960003917 A KR19960003917 A KR 19960003917A KR 0168012 B1 KR0168012 B1 KR 0168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line group
private exchange
line
trunk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3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4297A (ko
Inventor
유춘호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03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8012B1/ko
Publication of KR970064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4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8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80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64Distributing or queueing
    • H04Q3/66Traffic distribu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64Distributing or queueing
    • H04Q3/68Grouping or interlacing selector groups or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2PB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사설교환시스템에서 시간대별로 발생하는 입중계 또는, 출중계호의 통화량에 따른 국선그룹을 지정하여 국선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사설교환장치는 통화량에 따른 국선번호를 지정하는 기능이 없었기 때문에 상기 사설교환기를 통해 외부로 연결되는 국선라인이 모두 비지상태 일 시 외부로부터 중요한 전화가 걸려왔을때 통화를 놓친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사설교환기에 연결된 모든 국선번호의 시간대에 따른 통화량을 체크하여 시간대에 따른 다수의 국선그룹을 지정하여 발신호를 제한다는 방법을 제공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사설교환시스템에서 국선그룹 통화의 발신제한 방법.

Description

사설교화시스템에서 국선그룹 통화의 발신제한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인 사설교환기의 블럭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국선그룹 지정된 발신호를 제한하는 제어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국선그룹 테이블.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간대별 제한호수를 나타내는 테이블.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통화회로 4 : 메모리부
6 : 통화회로부 8 : 국선부
10 : DTMF송신기 12 : DTMF수신기
14 : 내선회로 16 : 링발생부
18 : 톤공급부
본 발명은 사설교환시스템에서 시간대별로 발생하는 입중계호 또는, 출중계호의 통화량에 따른 국선그룹을 지정하여 국선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즘 사용되는 사설교환장치는 사용자가 외부라인을 이용하여 통화를 시도하고자 할 시 상기 사설교환기에 연결되어진 모든 국선 번호중에 지정된 다른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은 라인을 신속하게 체크하여 연결하여 주었다. 하지만, 상기 사설교환장치는 통화량에 따라 국선번호를 제한하는 기능이 없었기 때문에 상기 사설교환기를 통해 외부로 연결되는 국선라인이 모두 비지상태 일 시 외부로부터 중요한 전화가 걸려왔을때 통화를 놓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설교환기에 연결된 모든 국선번호의 시간대에 따른 통화량을 체크하여 시간대에 따른 다수의 국선그룹을 지정하여 발신호를 제한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내선가입자로부터 미리 지정된 국선그룹을 다이얼링한 후 상기 선택된 국선블럭이 시간대별로 통화 호 수의 제한이 설정되었는가를 검출하는 제1검출과정과, 상기 제1검출과정에서 통화호 수의 제한이 설정되었을 시 상기 선택된 국선그룹의 지정된 호수를 읽어내어 시간대별 제한된 호수보다 큰 지를 검출하는 제2검출과정과, 상기 제2검출과정에서 제한된 호수보다 작을시 선택된 국선그룹중 사용중이 아닌 번호를 연결하여 통화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반적인 사설교환기의 블럭구성도로서,
사설교화시스템의 교환기능 및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중앙처리부(2)와, 상기 사설교환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제어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으며,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타를 일시 저장하는 메모리부(4)와, 내선가입자에 음성대역의 통화전류를 공급하는 동시에 사설교환시스템간의 인터페이싱(interfacing)을 행하는 내선가입자회로(14)와, 상기 중앙처리부(2)의 제어하에 각종톤(tone)및 음성데이타(speech data)를 스위칭하는 통화회로부(6)와, 상기 중앙처리부(2)의 제어하에 각종 톤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통화회로부(6)로 출력하는 톤공급부(18)와, 가입자선로에 공급하기 위한 링신호를 발생하는 링발생회로(16)와, 상기 중앙처리부(2)의 제어하에 국선을 시져(seizure)하여 국선루우푸를 형성하며 국선으로부터의 인컴잉(incoming)되는 신호를 인터페이싱 하는 국선회로부(8)와, 상기 내선가입자로부터 발생되는 DTMF신호를 분석하여 해당디지트 데이타를 상기 중앙처리부(2)에 인가하는 DTMF수신부(12)와, 상기 중앙처리부(2)의 제어하에 DTMF신호를 출력하는 DTMF송신부(10)으로 구성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국선그룹 지정된 발신호를 제한하는 제어흐름도로서,
내선가입자로부터 미리 지정된 국선그룹을 다이얼링한 후 상기 선택된 국선 블럭이 시간대별 통화 호 수의 제한이 설정되었는가를 검출하는 제1검출과정과, 상기 제1검출과정에서 통화 호 수의 제한이 설정되었을 시 상기 선택된 국선그룹의 지정된 호수를 읽어내서 시간대별 제한된 호수보다 큰 지를 검출하는 제2검출과정과, 상기 제2검출과정에서 제한된 호 수보다 작을시 선택된 국선그룹중 사용중이 아닌 번호를 연결하여 통화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국선그룹 테이블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간대별 제한호수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되는 제1도의 블럭구성도를 참조하여 제2도의 흐름도와 제3-제4도의 테이블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하루의 통화량을 시간대별로 체크하여 각 국선그룹별 발신 호수를 시간대별로 제한설정하여 메모리부(4)에 저장한다. 그런후, 210단계에서 내선사용자로부터 상기 설정된 국선그룹중 어느 한 그룹이 다이얼링될 시 중앙처리부(2)에서는 이를 검출한다. 그런후, 212단계에서 상기 중앙처리부(2)는 상기 입력된 국선그룹을 감지하여 상기 메모리부(4)를 통해 상기 선택된 국선그룹이 시간대별 호수제한이 설정되었는가를 검출한다. 이때, 상기 선택된 국선그룹이 시간대별 호수제한이 설정되지 않았을시 220단계에서 상기 중앙처리부(2)는 사설교환시스템에 할당된 모든 국선라인중 사용중이 아닌 번호와 통화 연결하여 통화를 수행한다. 하지만, 상기 212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국선그룹이 시간대별 호수제한이 설정되었을 시 214단계에서 상기 중앙처리부(2)는 상기 메모리부(4)를 통해 상기 선택된 국선그룹의 테이블에서 그룹지정된 호수를 읽어낸다. 이때, 상기 국선그룹 지정한 테이블은 제3도와 같다. 그런후, 216단계에서 상기 중앙처리부(2)는 상기 선택된 국선그룹의 지정 호수가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대별 제한호수보다 큰지를 검출한다. 이때, 상기 설정된 제한호수 보다 클 시 222단계에서 상기 중앙처리부(2)는 에러처리 메세지를 발신자에게 메세지를 전달한 후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하지만, 상기 설정된 제한호수 보다 작을 시 218단계에서 상기 중앙처리부(2)는 상기 선택된 국선그룹중 사용중이 아닌 번호로 통화연결하여 통화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설교환기에 연결된 모든 국선번호의 시간대에 따른 통화량을 체크하고 시간대에 따른 다수의 국선그룹을 지정하여 발신호를 제한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서, 통화량이 많은 시간대에도 어느정도의 착신호를 확보 할 수 있어 업무의 효율을 높이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1. 사설교환시스템에서 국선그룹 통화의 발신제한 방법에 있어서, 내선가입자로부터 미리 지정된 국선그룹을 다이얼링한 후 상기 선택된 국선 블럭이 시간대별 통화 호 수의 제한이 설정되었는가를 검출하는 제1검출과정과, 상기 제1검출과정에서 통화 호 수의 제한이 설정되었을 시 상기 선택된 국선그룹의 지정된 호수를 읽어내어 시간대별 제한된 호수보다 큰지를 검출하는 제2검출과정과, 상기 제2검출과정에서 제한된 호 수보다 작을시 선택된 국선그룹중 사용중이 아닌 번호를 연결하여 통화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시스템에서 국선그룹 통화의 발신제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검출과정에서 상기 선택된 국선 블럭이 시간대별 통화 호수의 제한이 설정되지 않았을 시 상기 선택된 국선블럭에 지정된 모든 국선번호중 사용하지 않는 전화번호와 통화 연결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시스템에서 국선그룹 통화의 발신제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검출과정에서 상기 선택된 국선그룹의 지정된 호 수가 시간대별 제한된 호 수보다 작을 시 에러메세지를 발생하고 에러처리 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시스템에서 국선그룹 통화의 발신제한 방법.
KR1019960003917A 1996-02-16 1996-02-16 사설교환 시스템에서 국선그룹 통화의 발신제한 방법 KR0168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3917A KR0168012B1 (ko) 1996-02-16 1996-02-16 사설교환 시스템에서 국선그룹 통화의 발신제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3917A KR0168012B1 (ko) 1996-02-16 1996-02-16 사설교환 시스템에서 국선그룹 통화의 발신제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297A KR970064297A (ko) 1997-09-12
KR0168012B1 true KR0168012B1 (ko) 1999-02-01

Family

ID=19451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3917A KR0168012B1 (ko) 1996-02-16 1996-02-16 사설교환 시스템에서 국선그룹 통화의 발신제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801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297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2865B1 (ko) 교환시스템의 자동 리다이알 방법
KR0168012B1 (ko) 사설교환 시스템에서 국선그룹 통화의 발신제한 방법
KR0184503B1 (ko) 키폰시스템에서 호 착신시 음악원 송출방법
KR19980082968A (ko) 자동 연속 호출 방법
JPH01188151A (ja) 通信端末装置
KR100469742B1 (ko) 사설 교환시스템에서 디아디 기능을 이용한 디자 전용 국선설정 방법
KR0138180B1 (ko) 부재중 안내서비스방법
KR19980015966A (ko) 교환시스템의 가입자 그룹별 링 서비스 방법
KR100207823B1 (ko) 사설교환기에서 자동안내기능을 이용한 발신자정보 처리방법
KR0164403B1 (ko) 교환시스템에서 내선번호 번역에 의한 통화방법
KR930004034B1 (ko) 사설교환 시스템의 내선 재다이알 방법
KR0162841B1 (ko) 사설교환 시스템에서 국선라인 사용통제방법
KR100206304B1 (ko) 내부 호 처리가 가능한 원격가입자 수용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00004470B1 (ko) 간이 및 사설교환기의 국선 발신 블록킹 방법
KR910004271B1 (ko) 교환시스템에서 동일 그룹의 내선 호서비스방법
JPH02185155A (ja) 空き回線待ち自動発呼装置
KR19980034173A (ko) 키폰시스템에서 팩스 및 일반전화의 호 자동 분배 방법
KR910001678B1 (ko) 사설교환기에 있어서 한번호로의 다중 호출방법
KR100487186B1 (ko) 간이교환시스템에서내선가입자별링서비스방법
JPS6363253A (ja) 加入者交換機のパスワ−ド入力による交換方式
KR19980074379A (ko) 호 전환 자동 다이얼 방법
KR19980027085A (ko) 키폰시스템에서 강제 착신링 지정벙법
JPH05219213A (ja) 内線呼出し中のステップコール
KR20000044521A (ko) 전송 시스템에서 링신호 출력방법
KR930011562A (ko) 사설교환기의 가입자 부재중 통화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