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6606B1 - 배선용 바닥 재료 - Google Patents

배선용 바닥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6606B1
KR0166606B1 KR1019940033037A KR19940033037A KR0166606B1 KR 0166606 B1 KR0166606 B1 KR 0166606B1 KR 1019940033037 A KR1019940033037 A KR 1019940033037A KR 19940033037 A KR19940033037 A KR 19940033037A KR 0166606 B1 KR0166606 B1 KR 0166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intermediate layer
sheet
base material
dep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3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8810A (ko
Inventor
미노루 사토
이사오 나카시마
겐지 아베
히데오 마에야마
히로히코 이시와타리
Original Assignee
가네코 야스조
미쓰비시버링톤가부시키가이샤
히데오 마에야마
마에야마쓰신코교가부시키가이샤
히로히코 이시와타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29758A external-priority patent/JP281873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네코 야스조, 미쓰비시버링톤가부시키가이샤, 히데오 마에야마, 마에야마쓰신코교가부시키가이샤, 히로히코 이시와타리 filed Critical 가네코 야스조
Publication of KR950018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6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66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8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02G3/283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in fl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38Metal conta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322Composite web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322Composite web or sheet
    • Y10T428/24331Composite web or sheet including nonapertured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57Parallel ribs and/or groo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971Of carbohydrate
    • Y10T428/31989Of woo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971Of carbohydrate
    • Y10T428/31993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중간층의 상부 표면이 시트 기재재료(1)로부터 쉽게 박리될 수 있을 정도로 시트 기재 재료(1)에 약하게 접착된 시트 형태의 하나 이상의 중간층(2)이, 시트 기재 재료(1)에 형성된 배선 홈(6 및 7)의 바닥에 상응하는 시트 기재 재료내에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재료에 관한 것이다.
설정된 간격으로 상기 중간층(2)에 이르는 깊이로 바닥 재료의 절단 선(4 및 5)을 따라 절단한다. 배선 홈(6 및 7)은 홈(6 및 7)을 따라 배선할 수 있도록 절단 선 내의 시트 기재 재료(1)의 부분(1a 및 1b)을 박리시킴으로서 형성된다.

Description

배선용 바닥 재료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요지로 청구된 바와 같은 배선용 바닥재료 구조의 전형적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배선용 바닥 재료의 상면도이며,
제3도는 제1도에 나타낸 배선용 바닥 재료를 사용하여 배선 홈을 형성하는 경우의 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요지로 청구된 바와 같은 배선용 바닥 재료 구조의 또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제5도는 제1도에 나타낸 배선용 바닥 재료를 사용하여 수직 및 수평 교차점에서 굽은 배선 홈을 형성하는 예를 나타내는 배선용 바닥 재료의 상면도이고,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요지로 청구된 바와 같은 배선용 바닥재료를 사용하여 배선 홈을 형성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배선용 바닥 재료의 단면도이며,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요지로 청구된 바와 같은 배선용 바닥 재료를 사용하여 배선 홈을 형성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배선용 바닥 재료의 단면도이고,
제8도는 배선 홈에서 케이블을 보호하는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제9도는 본 발명의 제4요지로 청구된 바와 같은 배선용 바닥재료 구조의 전형적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4요지로 청구된 바와 같은 배선용 바닥 재료를 사용하여 배선 홈을 형성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배선용 바닥 재료의 단면도이며,
제11도는 상응하는 배선 홈의 교차점에서 케이블을 보호하는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제12도는 제11도에 나타낸 보호 커버의 투시도이다.
본 발명은 양탄자(carpet)의 바닥 표면 사이에 위치하고 케이블을 배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선된 배선용 바닥 재료에 관한 것이다.
선행 기술의 바닥 재료의 예는 일본국 미심사된 공개특허 공보 제4-281956호에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예시한 선행 기술의 바닥 재료는 케이블을 배선하기 위해 사용되고, 바닥 표면에 접착되는 이의 한쪽 면에는 수지 시트가 부착되어 있고 다른 면에는 쿠션 재료 위에 박리지가 접착층과 함께 적층되어 있다.
이러한 바닥 재료 위에 양탄자를 겹치면, 2개의 평행한 절단 선(cut line)이 박리지 표면으로부터 설정된 깊이에서 쿠션 물질내에 목적하는 폭으로 형성된다. 이들 절단 선 사이의 쿠션 사이의 물질을 제거하여 케이블을 배선하기 위한 홈(groove)을 형성한다.
그러나, 선행 기술의 배선용 바닥 재료의 전체 쿠션 물질이 동일한 물질(예: 폴리우레탄)이기 때문에, 2개의 평행한 절단 선 사이로부터 쿠션 물질을 제거하면, 심지어 절단 선을 따라 절단 홈의 깊이가 일정한 경우에도 제거되는 쿠션 물질의 두께를 조절할 수가 없어 길이 방향으로 이의 바닥 표면을 따라 깊이가 균일한 홈을 형성할 수가 없었다. 또한, 절단 선 사이로부터 제거된 쿠션 물질이 좁고 강도가 낮은 경우, 제기시 쉽게 인열되기 때문에, 선행 기술은 또한 이러한 홈 형성 작업이 매우 번거루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상술한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해 목적하는 폭과 깊이를 갖는 배선 홈을 매우 쉽고 정확하게 형성할수 있는 케이블 배선용 바닥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음의 수단을 사용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제1요지는 적어도 상부 표면이 시트 기재 재료로부터 쉽게 박리될 수 있을 정도로 약하게 접착된 시트 물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중간층이 시트 기재 재료에 형성된 배선 홈의 바닥에 상응하는 시트 기재 재료내에 삽입되고, 바람직하게는 시트 기재 재료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적어도 중간층의 상부 표면에 이르는 깊이로 다수의 절단 선이 수직 및 또는 수평 방향으로 미리 적합한 간격으로 제공된 배선용 바닥 재료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요지는 적어도 상부 표면이 시트 기재 재료로부터 쉽게 박리될 수 있을 정도로 약하게 접착되는 반면, 상부 표면이 하부 표면보다 더욱 강하게 시트 기재 재료에 접착된 시트 물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중간층이 시트 기재 재료에 형성된 배선 홈의 바닥에 상응하는 시트 기재 재료내에 삽입되고, 바람직하게는 시트 기재 재료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적어도 중간층의 하부 표면에 이르는 깊이로 다수의 절단 선이 수직 및 또는 수평 방향으로 미리 적합한 간격으로 제공된 배선용 바닥 재료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의 요지는 층들 사이로부터 쉽게 박리될수 있고 이의 상부 및 하부 표면이 적층된 시트 물질 층간 접착성보다 더 강하게 시트 기재 재료에 접착된 적층 시트 물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중간층이 시트 기재 재료에 형성된 배선 홈의 바닥에 상응하는 시트 기재 재료내에 삽입되고, 바람직하게는 시트 기재 재료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적어도 중간층의 층사이까지 이르는 깊이로 다수의 절단 선이 수직 및 또는 수평 방향으로 미리 적합한 간격으로 제공된 배선용 바닥 재료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요지는 시트 기재 재료가 시트 재료에 형성된 배선 홈의 바닥에 상응하는 시트 기재 재료의 위치에서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으로 분리되고, 상부 기재 재료부분과 하부 부분 기재 재료 부분이 서로로부터 쉽게 박리될수 있는 정도로 직접 약하게 접착되며, 바람직하게는 상부 기재 재료 부분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부 기재 재료 부분의 표면에 이르는 깊이로 다수의 절단 선이 수직 및 또는 수평 방향으로 미리 적합한 간격으로 제공된 배선용 바닥 재료에 있다.
본 발명의 조작 방식은 하기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요지로 청구된 바와 같은 배선용 바닥 재료의 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것의 상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참조 부호(1)은 시트 기재 재료를 나타내고, 참조 부호(2)는 시트 물질로 이루어진 중간층을 나타내며, 참조 부호(3)은 상기 기재 재료(1)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기재 재료(1)의 한쪽 표면 상에 적층된 중간층(2)과 유사한 물질을 갖는 지지체 물질을 나타낸다(그러나, 당해 지지체 재료가 필수적으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기재 재료(1)의 물질은 중간층의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에 대해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중간층의 상부 부분의 기재 재료가 홈의 절단부를 쉽게 형성할 수 있는 종류일지라도, 중간층의 하부 부분의 기재 재료는 홈의 절단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임의의 특정한 것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플라스틱, 고무, 목재, 금속 또는 각종 무기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합성 수지[예 :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폴리우레탄 및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각종 폐기물로부터 분리하고 재생된 이들 합성 수지의 재생품 뿐만 아니라 이들 수지의 발포체 형태를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 제직포, 편물, 페이퍼, 필름(박리제 또는 접착제를 적용시켜 형성한 필름 포함) 및 박막 시트는 중간층을 구성하는 시트 물질에 사용할 수 있다. 홈을 절단하는 동안 이의 하부 부분까지 재료를 절단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이러한 물질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아도 된다.
중간층(2)은 형성되는 배선 홈의 바닥에 상응하는 기재 재료(1)의 내부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이의 상부 표면은 기재재료(1)로부터 쉽게 박리될수 있는 정도로 약하게 접착된다. 다른 하부 표면은 상부 표면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재 재료(1)에 약하게 접착할 수 있거나 상부 표면 보다 더 강하게 접착될 수 있다.
중간층(2)에 사용된 시트 물질은 기재 재료(1)와 약하게 접착된다. 예를 들면, 기재 재료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로 구성되는 경우, 유리 섬유, 셀룰로스 섬유, 폴레에스테르 섬유, 폴리 올레핀 섬유 또는 폴리아미드 섬유를 단독으로 또는 2개 이상의 종류의 블렌드로서 제조한 섬유 직물(부직포, 제직포, 편물 등), 폴레에스테리,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아미드 등으로 제조한 필름 또는 공지된 박리지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간층에 미리 형성된 시트 물질을 사용하는 대신에, 하부 기재 재료의 상부 표면 상에 기재 재료에 대한 접착 강도가 낮은 박리제 또는 접착제를 적용하고, 상부 및 하부 기재 재료의 사이에 박리제 도는 접착제의 박막 필름으로 이루어진 중간층을 형성하기 위해 탑(top)에 상부 기재 또는 재료를 적층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술한 방법으로 구성된 바닥 재료를 사용하여 배선 홈을 형성하는 방법은 하기에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기재 재료(1)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중간층(2)의 상부 표면에 이르는 깊이로 4개의 평행한 절단 선(4 및 5)이 각각 설정된 간격으로 미리 수직 및 수평으로 절단된다. 제3도의 좌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절단 선(4)중 2개의 내부 절단 선(4) 사이에 위치한 기재 재료(1)의 부분(1a)를 박리시킴으로써 좁은 배선 홈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중간층(2)의 상부 표면이 기재 재료(1)로부터 쉽게 박리될 수 있는 정도로 약하게 접착되기 때문에, 기재 재료(1)의 박리 부분(1a)은 단지 약한 힘으로도 중간층(2)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쉽게 박리될수 있다. 따라서, 배선홈(6)은 목적하는 폭과 깊이로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중간층(2)의 하부 및 상부 표면 둘다가 유사하게 기재 재료(1)에 약하게 접착되는 경우에 있어서, 절단 선(4)가 중간층(2)의 하부 표면에 이르는 깊이로 절단되는 경우, 기재 재료(1)의 부분(1a)는 중간층(2)의 부분과 함께 상기 중간층(2)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 또한, 기재 재료(1)의 부분(1a)이 중간층(2)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박리되는 경우에, 절단 선(4)의 깊이를 중간층(2)의 상부 표면에 이르도록 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3도의 우측에 나타낸 4개의 절단 선(4)중 2개의 외부 절단 선(4) 사이에 위치한 기재 재료(1)의 부분(1b)를 중간층(2)의 상부 표면(또는 하부 표면)으로부터 박리 제거함으로써 넓은 배선 홈을 형성하는 경우에, 배선 홈(7)은 상술한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설정된 폭과 깊이를 갖도록 쉽게 정확하게 대칭적으로 형성될수 있다.
더욱이, 절단 선(4)의 수를 5개 이상으로 미리 제공함으로써, 홈 폭의 선택 범위를 추가로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2개의 중간 층(2) 및 (2')을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공하는 경우, 중간층(2)에 이르는 얕은 홈 또는 중간층(2')에 이르는 깊은 홈 사이에서 홈의 깊이를 적합하게 선택하여 배선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중간층의 수를 3개 이상 제공함으로써, 홈 깊이의 선택 범위를 추가로 확장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이한 색상을 다수의 중간층(2 및 2')의 위 및 아래에 기재 재료(1)에 사용하는 경우, 중간층의 위치와 수를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제5도의 상부 우측 모서리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직 및 수평 배선 홈이 교차하도록 제공된 경우, 케이블(8)은 배선시 교차되는 홈을 따라 굽힐수 있다. 이 경우에, 모서리 부분(9)이 수직 및 수평 홈의 교차점에서 경사 절단되고 상기 모서리 부분(9)의 삼각형 부분이 인취된 부분으로서 제거된 경우, 케이블(8)은 배선하는 동안 쉽게 굽힐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예에서, 배선 홈(6 및 7)을 형성하기 위해 가능한한 용이한 위치에서 절단 선(4 및 5)을 따라 미리 절단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미리 절단하는 대신에, 설정된 폭과 깊이의 배선 홈을, 절단 위치에서 적합한 절단기를 사용하여 절단선(4 및 5)을 따라 적어도 중간층의 상부 표면에 이르는 깊이로 적합하게 절단함으로써 자연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요지로 청구된 바와 같은 배선용 바닥 재료를 사용하여 배선 홈을 형성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배선용 바닥 재료의 단면도이다. 당해 도면에 나타낸 배선용 바닥 재료에 있어서, 절단 선(4)는 중간층(2)의 하부 표면에 이르는 깊이로 절단한다. 더구나, 중간층(2)의 하부 표면이 기재 재료(1)로부터 쉽게 박리될 수 있는 정도로 약하게 접착되고 중간층(2)의 상부 표면에 하부 표면보다 기재 재료(1)에 더욱 강하게 접착되기 때문에, 기재 재료(1)의 부분(1a 및 1b)을 박리 제거하는 경우, 기재 재료(1)의 박리 부분(1a 및 1b)이 기재 재료의 하부 표면에 여전히 접착된 중간층(2)의 부분과 함께 박리 제거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박리되는 기재 재료(1)의 부분(1a 및 1b)가 단지 약한 힘으로도 중간층(2)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박리될 수 있는 반면 중간층(2)의 부분에 의해 강화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기재 재료(1)의 박리 부분(1a 및 1b)가 좁고 강도가 낮은 경우 조차도, 이들은 박리시 인열되지 않기 때문에 배선 홈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형성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더욱이, 중간층(2)의 하부 표면이 기재 재료로부터 쉽게 박리될 수 있을 정도로 약하게 접착되고, 이의 상부 표면은 이의 하부 표면보다 더욱 강하게 기재 재료(1)에 접착된다. 다양한 종류의 방법들을 이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기재 재료(1)가, 예를들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로 구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섬유(예 :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아미드) 70%와 폴리비닐 알콜로 제조된 결합제 섬유 30%로 이루어진 혼합된 부직포를 사용하고, 부직포의 구조는 다량의 결합제 섬유가 부직포의 상부 표면에 불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제조된다. 또 다른 방법의 예로서는 상기된 섬유 100%로 이루어진 부직포가 사용되고, 단일 측면에 앰보싱되며 하부 표면에 평면 필름의 형태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부 표면은 불균일하게 제조된다. 기재 재료의 수지와 접착된 상부 표면의 표면 적은 앵커 효과(acchor effect)와 함께 증가되고, 박리제는 상기 섬유100%로 이루어진 부직포상에 뿐만 아니라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아미드로 제조된 필름 또는 박막 시트의 하부 표면 상에 적용하고, 또한 위에 박리제가 적용된 박리지를 이의 하부 표면에 사용한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요지로 청구된 바와 같은 배선용 바닥 재료를 사용하여 배선 홈을 형성하는 경우의 한 예를 나타내는 배선용 바닥 재료의 단면도이다. 당해 도면에 나타낸 배선용 바닥 재료에 있어서, 중간층(2)의 상부층(2a)와 하부층(2b)가 층들 사이에서 쉽게 박리될 수 있도록 적층된 시트 물질로 이루어진다. 더욱이, 이의 상부 및 하부 표면은 적층된 시트 물질의 중간 층간 접착성보다 기재 재료(1)에 더욱 강하게 접착되는데, 기재 재료(1)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중간층(2)의 층들 사이까지 이르는 깊이로 절단 선(4 및 5)를 따라 절단되기 때문에, 기재 재료(1)의 부분(1a 및 1b)을 박리할때, 이들 박리 부분(1a 및 1b)이 박리할 때, 이들 박리 부분(1a 및 1b)는 이들이 상부층(2a)의 부분에 의해 강화된 상태인 이의 하부 표면에 여전히 접착된 중간층(2)의 상부층(2a) 부분과 함께 상부층 및 하부층의 적층 표면으로부터 단지 약한 힘으로도 박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제6도에 나타낸 예와 유사하게, 부분(1a 및 1b)가 좁고 강도가 작은 경우 조차도, 이들은 박리시 인열되지 않기 때문에, 배선 홈이 신속하고 정착하게 형성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당해 경우에 적층된 섬유 부직포가 중간층(2)을 구성하는 적층된 시트 물질[여기서, 기재 재료(1)이, 예를 들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로 구성되는 경우 유리 섬우, 셀룰로스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또는 폴리아미드 섬유 단독으로 2종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섬유와, 폴리비닐 알콜로 이루어진 결합제 섬유와의 혼합된 부직포의 두 시트는 약하게 적층되고 부착된다]에 사용되는 경우, 적층된 섬유 부직포의 상부 및 하부 표면이 수지 함유 기재 재료(1)와의 혼화성이 우수한 폴리비닐 알콜 수지로 이루어진 결합체 섬유에 의해 기재 재료(1)에 강하게 부착될지라도, 적층된 섬유 부직포의 적층 표면이 기재 재료(1)를 구성하는 수지와 거의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이는 층들 사이로부터 쉽게 박리될수 있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접착력이 약한 접착제와 약하게 융합되거나 약하게 접착된 부직포, 제직포, 편물, 페이퍼, 필름 또는 박막시트의 두 시트를 사용하는 r것이 바람직하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제4요지로 청구된 바와 같은 배선용 바닥 재료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당해 도면에 나타낸 배선용 바닥 재료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요지에서 사용된 것과 유사한 중간층(2)은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에, 상부 기재 재료(1A)와 하부 기재 재료(1B)는 이들이 쉽게 박리될 수 있는 정도로 직접 적착된다. 더욱이, 절단 선(4)은 상부 기재 재료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하부 기재 재료의 상부 표면에 이르는 깊이로 제공되기 때문에, 기재 재료의 부분(1a 및 1b)를 제3도에 나타낸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박리하는 경우, 부분(1a 및 1b)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부 기재 재료(1A)와 하부 기재 재료(1B) 사이의 계면으로부터 단지 약한 힘으로도 쉽게 박리시킬 수 있다.
쉽게 박리시킬 수 있을 정도로 상부 기재 재료(1A)와 하부 기재 재료(1B)를 직접 약하게 접착시키는 방법의 특정한 예로서는 압출기로부터 압연된 직후의 수지 시트 물질 또는 칼렌더 롤러를 사용하여 고온 압연시킨 수지 시트 물질을 또다른 시트 물질상에 겹쳐 놓고 두 시트를 압착 룰을 사용하여 서로 압착시키는 방법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의 배선용 바닥 재료는 측면이 50㎝로 측정되는 정방형 형태 또는 넓고 긴 시트의 형태인 타일(tile) 양탄자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예를들면, 일본국 미심사국 특허공보 제61-273315호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자체-점착성 타일 양탄자를 본 발명의 배선용 바닥 재료의 상부 표면 위에 놓는 양탄자로 사용하는 경우, 배선 작업으로부터 타일 양탄자를 놓는 전체 작업 공정을 매우 쉽게 수행할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제조되고 양탄자 위로부터 작용하는 외력에 견딜수 있도록 강도가 충분한 케이블 보호용 커버를, 형성된 홈에 케이블을 위치시킨 후 바닥 재료 위에 위치시키는 경우, 양탄자 위로부터 작용하는 외력에 의한 케이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당해 경우에 커버의 형태는 전체 바닥 재료를 덮는 커버링 시트의 형태이거나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지 케이블(8)만을 덮는의 형상의 단면을 갖는 커버(10)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배선 홈이 교차되는 지역인 이들 부분에 대해, 커버(11)은 제11도 및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다리(12)를 갖는 8각형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상세한 설명은 다음의 실시예를 토대로 제공된다.
[실시예 1]
중량이 60g/㎡인 폴리에스테르 섬유 부직포를 상부 표면이 테플론(상품명) 피복된 유리 섬유 제직물로 구성된 컨베이어 벨트 상에 지지체 물질로서 공급한다. 하기된 조성을 갖는 제1비닐 클로라이드 졸을 이의 상부 표면 상에 2㎜의 두께로 피복한다. 상기 지지체 물질과 구조가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부직포는 중간층으로서 제1비닐 클로라이드 졸의 상부 표면 상에 공급한다. 또한, 하기된 조성을 갖는 제2비닐 클로라이드 졸을 상기 중간층의 상부 표면 상에 5㎜의 두께로 피복한다. 이어서, 이를 열처리 장치 속에서 200℃온도의 조건하에서 10분 동안 가열 겔화시킨다.
DOP는 디옥틸 프탈레이트를 나타낸다.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된 적층물을 측면이 50㎝로 특정되는 정방형으로 압형한다. 또한, 각각 4개의 절단은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수직 및 수평 홈을 형성하기 위해 절단선(4 및 5)(절단 선 사이의 간격 : 10㎜, 15㎜ 및 10㎜; 깊이 : 5㎜)를 따라 수행하여 본 발명의 제1요지로 청구된 바와 같은 배선용 바닥 재료를 제조한다.
기재 재료의 부분(1a 및 1b)가 배선 작업을 수행하는 위치에서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성된 배선용 바닥 재료로부터 박리되는 경우, 각각의 부분은 중간층(2)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단지 약한 힘으로 쉽게 박리될수 있고 배선홈(6 및 7)은 폭과 깊이가 균일하게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15㎜의 폭과 5㎜의 깊이 및 35㎜의 폭과 5㎜의 깊이로 형성된다.
[실시예 2]
배선용 바닥 재료는 중간층을 위해 실리콘 수지를 크라프트 페이퍼의 상부 표면에 피복시킨 박리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기재 재료의 부분(1a 및 1b)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 작업이 수행되는 위치에서 박리되는 경우, 각각의 부분은 중간층(2)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실시예 1의 경우에서보다 더 작은 힘으로 쉽게 박리할 수 있고 배선홈(6 및 7)은 폭과 깊이가 균일하게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15㎜의 폭과 5㎜의 깊이 및 35㎜의 폭과 5㎜의 깊이로 형성된다.
[실시예 3]
중량이 60g/㎡인 폴리에스테르 섬유 부직포를 상부 표면이 테플론 피복된 유리 섬유 제직물로 구성된 컨베이어 벨트 상에 지지체 물질로서 공급한다.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제1비닐 클로라이드 졸을 이의 상부 표면 상에 2㎜의 두께로 피복한다. 상부 표면을 예열기를 사용하여 가열함으로써 점착성이 되지 않을 정도로 졸을 겔화시킨후, 실리콘 수지를 상부 표면에 분무하여 중간층을 위한 박막 실리콘 수지 필름을 형성한다. 또한,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제2비닐 클로라이드을 상기 중간층의 상부 표면 상에 5㎜의 두께로 피복한다. 이어서, 이를 열처리 장치 속에서 200℃온도의 조건하에서 10분 동안 가열 겔화시킨다.
이어서,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된 적층물을 사용하여 배선용 바닥 재료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기재재료의 부분(1a 및 1b)가 배선 작업이 수행되는 위치에서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성된 배선용 바닥 재료로부터 박리되는 경우, 각각의 부분은 중간층(2)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실시예 2의 경우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단지 소정의 힘으로 쉽게 박리될수 있고 배선홈(6 및 7)은 폭과 깊이가 균일하게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15㎜의 폭과 5㎜의 깊이 및 35㎜의 폭과 5㎜의 깊이로 형성된다.
[실시예 4]
중량이 60g/㎡인 폴리에스테르 섬유 부직포를 상부 표면이 테플론 피복된 유리 섬유 제직물로 구성된 컨베이어 벨트 상에 지지체 물질로서 공급한다. 실시예 1에서와 조성이 동일한 제1비닐 클로라이드 졸을 이의 상부 표면 상에 2㎜의 두께로 피복한다. 폴리에스테르 섬유 70%와 폴리비닐 알콜 섬유 30%로 이루어지고 중량이 60g/㎡인 혼합물 부직포(여기서, 폴리비닐 알콜 섬유의 약 80%는 상부 표면 상에 불균일하게 분포된다)는 상기 제1비닐 클로라이드 졸의 상부 표면상에 중간층으로서 공급한다. 더욱이, 실시예 1에서와 조성이 동일한 제2비닐 클로라이드 졸을 상기 중간층의 상부 표면 상에 5㎜의 두께로 피복한다. 이어서, 이를 열처리 장치 속에서 200℃온도의 조건하에서 10분 동안 가열 겔화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된 적층물은 측면이 50㎝로 측정되는 정방형으로 압형한다. 또한, 각각 4개의 절단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홈을 형성하기 위한 절단 선(4 및 5)(절단 선 사이의 간격 : 10㎜, 15㎜ 및 10㎜)를 따라 수행하여 본 발명의 제2요지하에 청구된 바와 같은 배선용 바닥 재료를 제조한다.
기재 재료의 부분부분(1a 및 1b)가 배선 작업이 수행되는 위치에서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성된 배선용 바닥 재료로부터 박리되는 경우, 각각의 부분은 중간층(2)의 부분과 함께 단일 단위로 통합되고, 박리도중 파괴됨이 없이 단지 약한 힘으로도 쉽게 박리될수 있으며, 배선홈(6 및 7)은 폭과 깊이가 균일하게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15㎜의 폭과 5㎜의 깊이 및 35㎜의 폭과 5㎜의 깊이로 형성된다.
[실시예 5]
배선용 바닥 재료는 중간층을 위해 실리콘 수지가 크라프트 페이퍼의 하부 표면 상에 피복된 박리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기재 재료의 부분(1a 및 1b)가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리되는 경우, 각각의 부분은 중간층(2)의 부분과 함께 단일 단위로 통합되고, 박리도중 파괴됨이 없이 실시예 4의 경우보다 더 작은 힘으로 쉽게 박리되며, 배선홈(6 및 7)은 폭과 깊이가 균일하게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15㎜의 폭과 5㎜의 깊이 및 35㎜의 폭과 5㎜의 깊이로 형성된다.
[실시예 6]
중량이 60g/㎡인 폴리에스테르 섬유 부직포를 상부 표면이 테플론 피복된 유리 섬유 제직물로 구성된 컨베이어 벨트 상에 지지체 물질로서 공급한다. 실시예 1에서와 조성이 동일한 제1비닐 클로라이드 졸을 이의 상부 표면 상에 2㎜의 두께로 피복한다. 폴리에스테르 섬유 70%와 폴리비닐 알콜 섬유 30%로 이루어지고 중량이 60g/㎡인 혼합된 부직포의 두 시트를 적층한 적층된 부직포를 상기 제1비닐 클로라이드 졸의 상부 표면상에 중간층으로서 공급한다. 또한, 실시예 1에서와 조성이 동일한 제2비닐 클로라이드 졸을 상기 중간층의 상부 표면 상에 5㎜의 두께로 피복한다. 이어서, 이를 열처리 장치 속에서 200℃온도의 조건하에서 10분 동안 가열 겔화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된 적층물은 측면이 50㎝로 측정되는 정방형으로 압형한다. 또한, 각각 4개의 절단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홈을 형성하기 위한 절단 선(4 및 5)(절단 선 사이의 간격 : 10㎜, 15㎜ 및 10㎜)를 따라 수행하여 본 발명의 제3요지호에 청구된 바와 같은 배선용 바닥 재료를 제조한다.
기재 재료의 부분부분(1a 및 1b)가 배선 작업이 수행되는 위치에서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성된 배선용 바닥 재료로부터 박리되는 경우, 각각의 부분은 중간층(2)의 부분과 함께 단일 단위로 통합되고 박리도중 파괴됨이 없이 단지 약한 힘으로도 쉽게 박리될수 있으며, 배선홈(6 및 7)은 폭과 깊이가 균일하게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15㎜의 폭과 5㎜의 깊이 및 35㎜의 폭과 5㎜의 깊이로 형성된다.
[실시예 7]
하기된 물질로 구성된 조성물을 하기 혼합비로 가열 혼합한 후, 조성물을 칼렌더 롤로 고온 압연시킨 다음 냉각시켜 두께가 2㎜인 시트를 형성한다. 이어서, 두께가 2㎜인 앞서 제조된 시트를 칼렌더 롤을 사용하여 5㎜의 두께로 고온 압연시킨 조성이 동일한 또 다른 시트에 겹쳐 놓은 후, 시트를 압착롤을 사용하여 압착시킨다.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한 적층물을 측면이 50㎝로 측정되는 정방형으로 압형한다. 또한, 각각 4개의 절단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홈을 형성하기 위한 절단 선(4 및 5)(절단 선 사이의 간격 : 10㎜, 15㎜ 및 10㎜)를 따라 수행하여 본 발명의 제3요지로 청구된 바와 같은 배선용 바닥 재료를 제조한다.
기재 재료의 부분부분(1a 및 1b)가 배선 작업이 수행되는 위치에서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성된 배선용 바닥 재료로부터 박리되는 경우, 각각의 부분은 상부 기재 재료(1A)와 하부 기재 재료(1B)사이의 계면으로부터 단지 약한 힘으로도 쉽게 박리시킬 수 있고 배선홈(6 및 7)은 폭과 깊이가 균일하게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15㎜의 폭과 5㎜의 깊이 및 35㎜의 폭과 5㎜의 깊이로 형성된다.
[실시예 8]
하기된 물질로 구성된 조성물을 하기 혼합비로 가열 혼합한 후, 조성물을 압출기에 공급하고 실시예 7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두께가 2㎜인 시트에 5㎜의 두께로 압출시킨 시트를 겹쳐 놓은 후, 시트를 압착롤을 사용하여 압착시킨다.
배선용 바닥 재료는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한 적층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배선홈이 배선 작업을 수행하는 위치에서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되는 경우, 배선 홈(6 및 7)은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폭과 깊이가 균일하게 형성된다.
[실시예 9]
하기된 물질이 하기 혼합비로 구성된 조성물을 압출기에 공급하고 두께가 2㎜인 규산칼슘 시트에 5㎜의 두께로 압출시키고 표면을 재가열한 시트를 겹쳐 놓은 후, 이들 시트를 압착롤을 사용하여 압착시킨다.
배선용 바닥 재료는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한 적층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배선홈이 배선 작업을 수행하는 위치에서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되는 경우, 배선 홈(6 및 7)은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폭과 깊이가 균일하게 형성된다.
상술한 방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라, 본 발명은 특히 중간층을 기재 재료내에 간단히 삽입시키거나 중간층을 삽입시키지 않으며 상부 기재 재료와 하부 기재 재료를 약하게 부착시킴으로써 폭과 깊이가 균일한 배선 홈을 매우 쉽고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4)

  1. 시트 물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중간층이 시트 기재에 형성된 배선홈의 바닥에 상응하는 시트 기재 중간에 삽입되어 있으며, 이 중간층의 상부 표면은 시트 기재 재료로부터 쉽게 박리될 수 있을 정도로 약하게 접착되어 있고, 시트 기재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적어도 중간층의 상부 표면에 이르는 깊이로 다수의 절단 선이 가로 및 또는 세로 방향으로 적합한 간격으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바닥 재료.
  2. 시트 물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중간층이 시트 기재에 형성된 배선홈의 바닥에 상응하는 시트 기재 중간에 삽입되어 있으며, 이 중간층의 상부 표면은 시트 기재 재료로부터 쉽게 박리될 수 있을 정도로 약하게 접착되지만, 하부 표면보다는 시트 기재에 더 강하게 접착되어 있고, 시트 기재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적어도 중간층의 하부 표면에 이르는 깊이로 다수의 절단 선이 가로 및 또는 세로 방향으로 적합한 간격으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바닥 재료.
  3. 적층 시트물질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중간층이 시트 기재에 형성된 배선 홈의 바닥에 상응하는 시트 기재 중간에 삽입되어 있으며, 이 적층된 중간층은 상호 층간 박리가 용이하며, 이 중간층의 상부 및 하부 표면은 적층 시트 물질의 층간 접착력보다 더 강하게 시트 기재에 접착되고, 시트 기재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적어도 중간층간의 층내에 이르는 깊이로 다수의 절단 선이 가로 및 또는 세로 방향으로 적합한 간격으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바닥 재료.
  4. 시트 기재가 시트 기재에 형성된 배선 홈의 바닥에 상응하는 시트 기재의 위치에서 상부 및 하부으로 분리되고, 상부 기재 부분과 하부 기재 부분이 상호 쉽게 박리될 수 있을 정도로 직접 약하게 접착되어 있으며, 상부 기재 부분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부 기재 부분의 상부 표면에 이르는 깊이로 다수의 절단 선이 가로 및 또는 세로 방향으로 적합한 간격으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바닥 재료.
KR1019940033037A 1993-12-07 1994-12-07 배선용 바닥 재료 KR01666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620893 1993-12-07
JP93-306208 1993-12-07
JP32409593 1993-12-22
JP93-324095 1993-12-22
JP94-229758 1994-09-26
JP6229758A JP2818733B2 (ja) 1993-12-22 1994-09-26 配線用床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810A KR950018810A (ko) 1995-07-22
KR0166606B1 true KR0166606B1 (ko) 1999-04-15

Family

ID=27331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3037A KR0166606B1 (ko) 1993-12-07 1994-12-07 배선용 바닥 재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489458A (ko)
KR (1) KR01666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8679B2 (ja) * 1995-03-06 2005-04-13 オーエム機器株式会社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
CA2170573C (en) * 1996-02-28 1999-11-09 Gary D. Langeman Edge trimming tap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164026A (en) * 1997-09-25 2000-12-26 New Jersey Institute Of Technology Raised access floor
CH692945A5 (de) * 1998-03-26 2002-12-31 Rieter Automotive Int Ag Verkabeltes Verkleidungsteil,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und Teile dazu.
US20060236413A1 (en) * 2003-02-10 2006-10-19 Zoltan Ivics Transposon-based targeting system
US7490443B1 (en) * 2006-03-01 2009-02-17 Bike Track, Inc. Modular flooring system
US7394025B1 (en) 2006-08-30 2008-07-01 Wong Thomas K Apparatus for protecting cables or other elongated objects from traffic damage
DE102012106182A1 (de) * 2012-07-10 2014-01-16 Arsratio Holding Gmbh Bausatz für die Herstellung von Beläg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3438A (en) * 1989-02-27 1991-01-08 Moore Business Forms, Inc. Multi-ply form with attached labels and multiple form parts
JPH04223193A (ja) * 1990-12-26 1992-08-13 Lintec Corp 熱転写紙用原紙およびそれを用いた熱転写紙
JPH04281956A (ja) * 1991-03-11 1992-10-07 Yoshihiko Ishiwatari 配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89458A (en) 1996-02-06
KR950018810A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1020391A3 (de) Vinylfreies elastisches bodenbelagsproduk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5045389A (en) Carpet padding comprising cover film, and prime and rebond foam layers
US5030497A (en) Carpet tile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US4298647A (en) Cross-tearable decorative sheet material
US5693400A (en) Fusion-bonded carpet
EP0270605A1 (en) Surface covering product and process therefor
EP0788565B1 (en) Self-adhesive sheet with non-slip properties
KR0166606B1 (ko) 배선용 바닥 재료
US20160023430A1 (en) Perforated nonslip non-adhesive surface covering
GB2051673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lexible laminated material
US5854144A (en) Cushioned liner laminate
CA2170387A1 (en) Low-stretch and dimensionally stable floor covering
US20240035212A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nonwoven sheet material having an impermeable layer on one side and an anti-slip coating on the other side
US5712032A (en) Patterned heat welding rod for seaming resilient flooring
US5776295A (en) Method of fabricating a fluid impervious and non-slip fabric
JP2818733B2 (ja) 配線用床材
JP2008121249A (ja) 壁紙重ね合わせ切断用下敷きテープ
CA1252148A (en) Electrically conductive table or floor covering
JP2004084960A (ja) ホットカーペット
WO1991000804A1 (en) Surface covering material
JP4189542B2 (ja) 不織布
WO2002002310A1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flooring using recycled materials
KR100606594B1 (ko) 돗자리(깔판)
EP0793742B1 (en) Fusion-bonded carpet system and method of preparation
EP3587663A1 (en) Polymer-coated fabr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