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4057B1 - 디지탈 영상신호 혼합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 영상신호 혼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4057B1
KR0164057B1 KR1019950036346A KR19950036346A KR0164057B1 KR 0164057 B1 KR0164057 B1 KR 0164057B1 KR 1019950036346 A KR1019950036346 A KR 1019950036346A KR 19950036346 A KR19950036346 A KR 19950036346A KR 0164057 B1 KR0164057 B1 KR 0164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ing
video signal
sub
mixing rati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6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5215A (ko
Inventor
박판기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36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4057B1/ko
Publication of KR970025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5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4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40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1/00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11/06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44Colou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04N9/78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for separating the brightness signal or the chrominance signal from the colour television signal, e.g. using comb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디지탈 영상신호 처리장치에서 복수의 디지탈 영상신호를 하나의 디지탈 영상신호로 혼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복수의 디지탈 영상신호를 다양한 비율로 혼합할 수 있는 디지탈 영상신호 혼합장치를 제공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주영상신호와 부영상신호 각각의 연속적으로 다중화되어 있는 휘도데이타 및 제1, 제2색차데이타를 수평동기신호를 기준으로 화소클럭에 의해 각각 분리해내고, 주영상신호의 휘도데이타 및 제1, 제2색차데이타를 미리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주영상 및 부영상의 혼합비에 대응되게 부영상신호의 휘도데이타 및 제1, 제2색차데이타와 각각 혼합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복수의 디지탈 영상신호를 다양한 비율로 혼합하는데 이용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영상신호 혼합장치
제1도는 종래의 디지탈 영상신호 혼합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영상신호 혼합장치의 회로도.
제3도는 제2도의 각 부분의 동작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혼합구간 지정회로 22 : 혼합비 지정회로
24 : 분리회로 26 : 혼합회로
본 발명은 디지탈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디지탈 영상신호를 하나의 디지탈 영상신호로 혼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디지탈화된 영상신호가 각종 영상장치에 널리 사용되면서, 이용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형식(format)도 점차 다양해지고 복잡해지고 있다. 이와같이 다양한 형식의 디지탈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형식으로 다양한 효과를 내기 위해 하나의 영상신호 처리장치에서 여러가지 형식의 영상신호가 공존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이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영상신호를 하나의 영상신호로 혼합하여 처리해야 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디지탈 영상신호를 혼합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종래에는 하나의 영상신호 처리장치내에서 각기 다른 영상신호를 발생하는 복호기와 같은 영상신호원별로 영상신호 출력을 온/오프시킴으로써 단순히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시킴으로써 혼합 영상신호를 발생시켜 왔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영상신호를 혼합하기 위해 종래에 사용되어 왔었던 혼합장치의 예를 보이면 제1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다. 상기 제1도를 살펴보면, 제1, 제2복호기(10, 12)의 출력단자 V_Out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제1복호기(10)의 인에이블단자 EN에는 선택신호 SEL가 직접 인가되며, 제2복호기(12)의 인에이블단자 EN에는 인버터(14)를 통해 선택신호 SEL가 인가된다. 제1, 제2복호기(10, 12)는 각각 해당하는 형식의 영상신호를 복호화(decoding)하여 각기 다른 영상신호를 출력단자 V_Out를 통해 출력한다. 선택신호 SEL는 제1, 제2복호기(10, 12)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이며, 제1, 제2복호기(10, 12)는 선택신호 SEL의 논리상태에 따라 상호배타적으로 영상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므로 어느 한순간에는 한가지의 영상신호만이 출력되고 선택신호 SEL에 의해 제1, 제2복호기(10, 12)중 하나씩 선택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제1, 제2복호기(10, 12)의 출력 영상신호가 혼합되어 출력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다수의 영상신호원중에 단순히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시키는 것에 불과함으로써 점점 다양해지는 사용자의 요구와 각종 영상처리시스템의 사양을 충족시키기 곤란한 단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영상을 이용하는 페이드인(fade-in), 페이드아웃(fade-out)등과 같은 각종 특수효과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혼합하는 영상들간의 혼합비를 조정하거나 혼합구간을 선택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로서는 이러한 요구를 충족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디지탈 영상신호를 다양한 비율로 혼합할 수 있는 디지탈 영상신호 혼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디지탈 영상신호에 대한 혼합구간을 지정하여 다양한 비율로 혼합할 수 있는 디지탈 영상신호 혼합장치로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지탈 주영상신호와 부영상신호를 혼합하기 위한 디지탈 영상신호 혼합장치에 있어서, 미리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주영상 및 부영상의 혼합비를 제공하는 혼합비 지정회로와, 주영상신호와 부영상신호 각각의 연속적으로 다중화되어 있는 휘도데이타 및 제1, 제2색차데이타를 수평동기신호를 기준으로 화소클럭에 의해 각각 분리해내는 분리회로와, 주영상신호의 휘도데이타 및 제1, 제2색차데이타를 혼합비에 대응되게 부영상신호의 휘도데이타 및 제1, 제2색차데이타와 각각 혼합하는 혼합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화소클럭과 수평동기신호의 카운트에 의해 주영상내에 부영상을 혼합할 구간을 지정하는 혼합구간 지정회로를 구비하여 혼합구간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 구체적인 회로 소자, 혼합비의 단계수, 각종 값들 등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영상신호 혼합장치의 회로도를 보인 것으로, 하나의 디지탈 주영상신호 M_CVS에 다른 하나의 디지탈 부영상신호 S_CVS를 주영상신호 M_CVS의 미리 임의로 설정된 구간내에 미리 임의로 설정된 혼합비로서 혼합하는 구성을 보인 것이다. 우선 주영상신호 M_CVS와 부영상신호 S_CVS는 제3도와 같이 각각 휘도데이타 Y 및 제1, 제2색차데이타 Cr, Cb가 연속적으로 다중화되어 있는 디지탈 영상신호이다. 통상적으로 디지탈 영상신호는 하나의 화소에 대하여 휘도성분과 색차성분이 연속적으로 시분할 다중화되어 이루어진다. 즉, 두개의 화소마다 휘도데이타 Y와 색차데이타 Cb, Cr가 Cb→Y→Cr→Y의 순서로 다중화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디지탈 영상신호는 화소클럭 PCLK에 의해 동기되는데, 제3도와 같이 화소클럭 PCLK두개가 하나의 화소에 대응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화소카운터(28)와 라인카운터(36)와, 제1, 제2, 제3, 제4레지스터(30, 32, 38, 40)와 제1, 제2비교기(34, 42)와 앤드게이트(AND gate)로 구성하는 혼합구간 지정회로(20)는 화소클럭 PCLK과 수평동기신호 HS의 카운트에 의해 주영상내에 부영상을 혼합할 구간을 미리 설정된 혼합구간에 대응되게 지정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화소카운터(28)는 화소클럭 PCLK을 입력하여 화면상에서 수평방향으로의 화소 갯수를 카운트한다. 즉, 화소카운터(28)는 주영상의 수평크기에 대응되는 범위내의 초기값부터 최대값까지 반복적으로 증가 카운트하여 카운트값을 제3도와 같이 수평 위치값으로 출력한다. 이때 화소클럭 PCLK두개가 하나의 화소에 대응되므로, 예를들어 주영상화면의 1수평주사라인의 화소수가 720개라면 화소카운터(28)는 초기값 0부터 최대값 719까지 반복적으로 증가 카운트하게 된다. 그리고 제1레지스터(30)에는 혼합구간의 수평방향에 대한 수평 시작점값이 미리 선택적으로 저장되고, 제2레지스터(32)에는 혼합구간의 수평방향에 대한 수평 끝점값이 미리 선택적으로 저장된다. 상기 수평 시작점값과 수평 끝점값은 부영상신호가 주영상신호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어디에서부터 시작하여 어디까지 표시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화소카운터(28)와 제1, 제2레지스터(30, 32)와 접속되는 제1비교기(34)는 화소카운터(28)로부터 수평 위치값을 입력하고 제1, 제2레지스터(30, 32)로부터 수평 시작점값과 수평 끝점값을 각각 입력하여 비교한다. 이때 현재의 화소카운터(28)의 카운트값인 수평 위치값이 수평 시작점값보다 크고 수평 끝점값보다 작은 경우, 즉 두 값 사이에 있을 경우 논리 1을 혼합구간중 수평구간을 나타내는 신호로서 출력한다.
또한 라인카운터(36)는 수평동기신호 HS를 입력하여 화면상에서 수직방향으로의 수평주사라인의 갯수를 카운트한다. 즉, 라인카운터(36)는 주영상의 수직크기에 대응되는 범위내의 초기값부터 최대값까지 반복적으로 증가 카운트하여 카운트값을 수직 위치값으로 출력한다. 이때 예를들어 주영상화면의 수평주사라인의 갯수가 480개라면 라인카운터(36)는 초기값 0부터 최대값 479까지 반복적으로 증가 카운트하게 된다. 그리고 제3레지스터(36)에는 혼합구간의 수직방향에 대한 수직 시작점값이 미리 선택적으로 저장되고, 제4레지스터(40)에는 혼합구간의 수직방향에 대한 수직 끝점값이 미리 선택적으로 저장된다. 상기 수직 시작점값과 수직 끝점값은 부영상신호 S_CVS가 주영상신호 M_CVS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어디에서부터 시작하여 어디까지 표시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라인카운터(36)와 제3, 제4레지스터(38, 40)와 접속되는 제2비교기(42)는 라인카운터(36)로부터 수직 위치값을 입력하고 제3, 제4레지스터(38, 40)로부터 수직 시작점값과 수직 끝점값을 각각 입력하여 비교한다. 이때 현재의 라인카운터(36)의 카운트값인 수직 위치값이 수직 시작점값보다 크고 수직 끝점값보다 작은 경우, 즉 두 값 사이에 있을 경우 논리 1을 혼합구간중 수직구간을 나타내는 신호로서 출력한다.
상기 제1, 제2비교기(34, 42)의 출력단에 두 입력단자가 접속된 앤드게이트(44)는 제1, 제2비교기(34, 42)의 출력신호를 논리곱함으로써 주영상신호에 대해 혼합구간을 지정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앤드게이트(44)는 제1비교기(34)의 출력이 논리 1이고 제2비교기(42)의 출력이 논리 1일때만 논리 1을 출력하는데, 이의 의미는 임의의 비율로 혼합할 부영상의 영상크기안에 들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5레지스터(46)와 데이타 셀렉터(48)와 뺄셈기(50)로 구성하는 혼합비 지정회로(22)는 미리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주영상 및 부영상의 혼합비를 앤드게이트(44)에 의한 혼합구간 지정에 응답하여 출력한다. 우선 제5레지스터(46)는 미리 일정수의 단계중 어느 하나의 단계로 선택적으로 저장된 기준혼합비를 제공한다. 기준혼합비는 주영상신호 M_CVS와 부영상신호 S_CVS간의 혼합비를 지정하기 위한 값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혼합비의 전체 단계수를 16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예를들어 기준혼합비를 16단계중 3으로 설정한다면,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혼합 영상신호에서 주영상신호 M_CVS와 부영상신호 S_CVS의 구성비는 주영상신호 M_CVS가 3이고 부영상신호 S_CVS가 13이 된다. 이와달리 기준혼합비가 16으로 설정된다면, 화면에는 주영상만이 표시되게 된다. 이러한 기준혼합비는 데이타 셀렉터(48)의 입력단자(B)에 입력된다. 이때 데이타 셀렉터(48)의 또다른 입력단자(A)에서 혼합금지값이 인가되는데, 혼합금지값은 주영상에 부영상이 혼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값으로서 혼합비의 전체 단계수와 동일한 값으로 설정한다.
또한 데이타 셀렉터(48)의 선택단자(S)는 앤드게이트(44)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데이타 셀렉터(48)는 혼합금지값 16과 기준혼합비중 어느 하나를 앤드게이트(44)의 출력신호에 따라 선택하여 부영상에 대한 주영상 혼합비로서 출력한다. 만일 앤드게이트(44)의 출력이 논리 1일때는 주영상과 부영상을 임의의 비율로 혼합하여야 하므로, 데이타 셀렉터(48)는 제5레지스터(46)로부터 인가되는 기준혼합비를 주영상 혼합비로서 선택하여 출력한다. 이와달리 앤드게이트(44)의 출력이 논리 0일때는 주영상만을 표시하여야 하므로, 데이타 셀렉터(48)는 혼합금지값 16을 주영상 혼합비로서 선택하여 출력한다. 데이타 셀렉터(48)는 앤드게이트(44)의 출력이 논리 1로서 혼합구간임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기준혼합비를 주영상 혼합비로서 선택 출력하고, 앤드게이트(44)의 출력이 논리 0으로서 혼합구간이 아님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혼합금지값 16을 주영상 혼합비로서 선택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데이타 셀렉터(48)로부터 출력되는 주영상 혼합비는 뺄셈기(50)와 혼합회로(26)의 제1~제3곱셈기(66~70)에 공통으로 인가된다. 이때 뺄셈기(50)는 합비의 전체 단계수 16으로부터 주영상 혼합비를 빼서 주영상에 대한 부영상 혼합비로서 혼합회로(26)의 제4~제6곱셈기(72~76)에 공통으로 출력한다. 즉, 주영상 혼합비는 전체 단계수 16이내의 혼합비이므로 이 값을 전체 단계수 16으로부터 빼면 부영상 혼합비가 되는 것이다.
한편 래치클럭 발생회로(52)와 제1~제3래치회로(54~58)로 구성하는 분리회로(24)는 주영상신호 M_CVS와 부영상신호 S_CVS 각각의 연속적으로 다중화되어 있는 휘도데이타 M_Y, S_Y 및 제1, 제2색차데이타 M_Cr, S_Cr, M_Cb, S_Cb를 수평동기신호 HS를 기준으로 화소클럭 PCLK에 의해 각각 분리해낸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래치클럭 발생회로(52)는 제3도와 같이 주영상신호 M_CVS 및 부영상신호 S_CVS 각각의 휘도데이타 M_Y, S_Y 및 제1, 제2색차데이타 M_Cr, S_Cr, M_Cb, S_Cb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제1~제3래치클럭 Y_CLK, Cr_CLK, Cb_CLK를 수평동기신호 HS를 기준으로 화소클럭 PCLK으로부터 발생한다. 그러면 제1래치클럭 Y_CLK를 클럭으로 입력하는 제1래치회로(54)는 주영상신호 M_CVS의 휘도데이타 M_Y를 화소단위로 래치하여 제3도와 같이 출력하고, 제2래치클럭 Cr_CLK를 클럭으로 입력하는 제2래치회로(56)는 주영상신호 M_CVS의 제1색차데이타 M_Cr를 화소단위로 래치하여 제3도와 같이 출력하며, 제3래치클럭 Cb_CLK를 클럭으로 입력하는 제3래치회로(58)는 주영상신호 M_CVS의 제2색차데이타 M_Cb를 화소단위로 래치하여 제3도와 같이 출력한다. 또한 제1래치클럭 Y_CLK를 클럭으로 입력하는 제4래치회로(60)는 부영상신호 S_CVS의 휘도데이타 S_Y를 화소단위로 래치하여 제3도와 같이 출력하고, 제2래치클럭 Cr_CLK를 클럭으로 입력하는 제5래치회로(62)는 부영상신호 S_CVS의 제1색차데이타 S_Cr를 화소단위로 래치하여 제3도와 같이 출력하며, 제3래치클럭 Cb_CLK를 클럭으로 입력하는 제6래치회로(64)는 부영상신호 S_CVS의 제2색차데이타 S_Cb를 화소단위로 래치하여 제3도와 같이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제1~제6래치회로(54~64)의 출력은 제1~제6곱셈기(66~76)에 각각 하나씩 대응되게 인가된다.
그러면 제1~제6곱셈기(66~76)와 제1~제3덧셈기(78~82)로 구성하는 혼합회로(26)는 주영상신호 M_CVS의 휘도데이타 M_Y 및 제1, 제2색차데이타 M_Cr, M_Cb를 혼합비 지정회로(22)로부터 인가되는 주영상 혼합비 및 부영상 혼합비에 대응되게 부영상신호 S_CVS의 휘도데이타 S_Y 및 제1, 제2색차데이타 S_Cr, S_Cb와 각각 혼합함으로써 혼합 영상신호의 휘도데이타 Y_out 및 제1, 제2색차데이타 Cr_out, Cb_out를 출력한다. 먼저 제1~제3곱셈기(66~70)는 제1~제3래치회로(54~58)에 각각 래치되는 주영상신호 M_CVS의 휘도데이타 M_Y와 제1, 제2색차데이타 M_Cr, M_Cb를 주영상 혼합비와 곱하고 혼합비의 전체 단계수 16으로 나눈다. 그리고 제4~제6곱셈기(72~76)는 제4~제6래치회로(60~64)에 각각 래치되는 주영상신호 S_CVS의 휘도데이타 S_Y와 제1, 제2색차데이타 S_Cr, S_Cb를 부영상 혼합비와 곱하고 혼합비의 전체 단계수 16으로 나눈다. 이때 제1~제6곱셈기(66~76)에서의 나눗셈은 각 곱셈기의 출력단에서 4번의 쉬프트 라이트(shift right)에 의해 수행된다. 그리고 제1, 제4곱셈기(66, 72)의 출력단에 접속된 제1덧셈기(78)는 제1, 제4곱셈기(66, 72)의 출력을 합하여 혼합 디지탈 영상신호의 휘도데이타 Y_out로서 출력한다. 제2, 제5곱셈기(68, 74)의 출력단에 접속된 제2덧셈기(80)는 제2, 제5곱셈기(68, 74)의 출력을 합하여 혼합 디지탈 영상신호의 제1색차데이타 Cr_out로서 출력한다. 제3, 제6곱셈기(70, 76)의 출력단에 접속된 제3덧셈기(82)는 제3, 제6곱셈기(70, 76)의 출력을 합하여 디지탈 혼합영상신호의 제2색차데이타 Cb_out로서 출력한다.
따라서 기준혼합비를 선택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주영상신호 M_CVS와 부영상신호 S_CVS를 다양할 비율로 혼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혼합구간도 수평 시작점 및 수평 끝점과 수직 시작점 및 수직 끝점의 설정에 의해 선택적으로 지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제6곱셈기(66~76) 각각에서 혼합비와 곱한 값을 16으로 나누는 것은 원래의 주영상신호 M_CVS와 부영상신호 S_CVS를 각각 주, 부영상 혼합비와 곱하고 다시 합함에 따라 최종 출력인 혼합 영상신호의 값이 커지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나눗셈에 의해 제1~제6곱셈기(66~76) 각각의 출력신호의 크기는 해당 혼합비에 대응하는 크기가 됨으로써 혼합 영상신호인 휘도데이타 Y_out와 제1, 제2색차데이타 Cr_out, Cb_out는 원래의 주영상신호 M_CVS와 부영상신호 S_CVS의 크기와 동일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디지탈 영상신호를 다양한 비율로 혼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혼합구간도 선택적으로 지정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혼합비 뿐만 아니라 혼합구간도 임의로 지정할 수 있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혼합구간을 지정하는 기능은 생략하고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특허 청구의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Claims (13)

  1. 디지탈 주영상신호와 부영상신호를 혼합하기 위한 디지탈 영상신호 혼합장치에 있어서, 미리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상기 주영상 및 부영상의 혼합비를 제공하는 혼합비 지정수단과, 상기 주영상신호와 부영상신호 각각의 연속적으로 다중화되어 있는 휘도데이타 및 제1, 제2색차데이타를 수평동기신호를 기준으로 화소클럭에 의해 각각 분리해내는 분리수단과, 상기 주영상신호의 휘도데이타 및 제1, 제2색차데이타를 상기 혼합비에 대응되게 상기 부영상신호의 휘도데이타 및 제1, 제2색차데이타와 각각 혼합하는 혼합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영상신호 혼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비 설정수단이, 미리 일정수의 단계중 어느 하나의 단계로 선택적으로 저장된 기준혼합비를 상기 부영상에 대한 주영상 혼합비로서 출력하는 레지스터와, 상기 혼합비의 전체 단계수로부터 상기 주영상 혼합비를 빼서 상기 주영상에 대한 부영상 혼합비로서 출력하는 뺄셈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영상신호 혼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이, 상기 주영상신호 및 부영상신호 각각의 휘도데이타와 제1, 제2색차데이타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제1~제3래치클럭을 상기 수평동기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화소클럭으로부터 발생하는 래치클럭 발생회로와, 상기 주영상신호의 휘도데이타와 제1, 제2색차데이타를 상기 제1~제3래치클럭중 대응하는 하나의 래치클럭에 의해 각각 한 가지씩 화소단위로 래치하는 제1~제3래치회로와, 상기 부영상신호의 휘도데이타와 제1, 제2색차데이타를 상기 제1~제3래치클럭중 대응하는 하나의 래치클럭에 의해 각각 한 가지씩 화소단위로 래치하는 제4~제6래치회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영상신호 혼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수단이, 상기 제1~제3래치회로에 각각 래치되는 상기 주영상신호의 휘도데이타와 제1, 제2색차데이타를 상기 주영상 혼합비와 곱하고 상기 혼합비의 전체 단계수로 나누는 제1~제3곱셈기와, 상기 제4~제6래치회로에 각각 래치되는 상기 부영상신호의 휘도데이타와 제1, 제2색차데이타를 상기 부영상 혼합비와 곱하고 상기 혼합비의 전체 단계수로 나누는 제4~제6곱셈기와, 상기 제1, 제4곱셈기의 출력을 합하여 혼합 디지탈 영상신호의 휘도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제1덧셈기와, 상기 제2, 제5곱셈기의 출력을 합하여 혼합 디지탈 영상신호의 제1색차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제2덧셈기와, 상기 제3, 제6곱셈기의 출력을 합하여 혼합 디지탈 영상신호의 제2색차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제3덧셈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영상신호 혼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비의 전체 단계수를 16단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영상신호 혼합장치.
  6. 디지탈 주영상신호와 부영상신호를 혼합하기 위한 디지탈 영상신호 혼합장치에 있어서, 화소클럭과 수평동기신호의 카운트에 의해 상기 주영상내에 상기 부영상을 혼합할 구간을 미리 설정된 혼합구간에 대응되게 지정하는 혼합구간 지정수단과, 미리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상기 주영상 및 부영상의 혼합비를 상기 혼합구간 지정에 응답하여 출력하는 혼합비 지정수단과, 상기 주영상신호와 부영상신호 각각의 연속적으로 다중화되어 있는 휘도데이타 및 제1, 제2색차데이타를 상기 수평동기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화소클럭에 의해 각각 분리해내는 분리수단과, 상기 주영상신호의 휘도데이타 및 제1, 제2색차데이타를 상기 혼합비에 댕응되게 상기 부영상신호의 휘도데이타 및 제1, 제2색차데이타와 각각 혼합하는 혼합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영상신호 혼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구간 지정수단이, 상기 화소클럭을 상기 주영상의 수평크기에 대응되는 범위내의 초기값부터 최대값까지 반복적으로 증가 카운트하여 카운트값을 수평 위치값으로 출력하는 화소 카운터와, 상기 혼합구간의 수평방향에 대해 미리 선택적으로 저장된 수평 시작점값을 제공하는 제1레지스터와, 상기 혼합구간의 수평방향에 대해 미리 선택적으로 저장된 수평 끝점값을 제공하는 제2레지스터와, 상기 수평 위치값을 상기 수평 시작점값 및 수평 끝점값과 비교하여 상기 혼합구간중 수평구간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는 제1비교기와, 상기 수평동기신호를 상기 주영상의 수직크기에 대응되는 범위내의 초기값부터 최대값까지 반복적으로 증가 카운트하여 카운트값을 수직 위치값으로 출력하는 라인카운터와, 상기 혼합구간의 수직방향에 대해 미리 선택적으로 저장된 수직 시작점값을 제공하는 제3레지스터와, 상기 혼합구간의 수직방향에 대해 미리 선택적으로 저장된 수직 끝점값을 제공하는 제4레지스터와, 상기 수직 위치값을 상기 수직 시작점값 및 수직 끝점값과 비교하여 상기 혼합구간중 수직구간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는 제2비교기와, 상기 제1, 제2비교기의 출력신호를 논리곱하여 상기 주영상신호에 대해 상기 혼합구간을 지정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앤드게이트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영상신호 혼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비 설정수단이, 미리 일정수의 단계중 어느 하나의 단계로 선택적으로 저장된 기준혼합비를 제공하는 제5레지스터와, 상기 주영상에 상기 부영상이 혼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혼합금지값과 상기 기준혼합비중 어느 하나를 상기 앤드게이트의 출력신호에 따라 선택하여 상기 부영상에 대한 주영상 혼합비로서 출력하는 데이타 셀렉터와, 상기 혼합비의 전체 단계수로부터 상기 주영상 혼합비를 빼서 상기 주영상에 대한 부영상 혼합비로서 출력하는 뺄셈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영상신호 혼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셀렉터가, 상기 앤드게이트의 출력이 상기 혼합구간임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기준혼합비를 상기 주영상 혼합비로서 선택 출력하고, 상기 앤드게이트의 출력이 상기 혼합구간이 아님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혼합금지값을 상기 주영상 혼합비로서 선택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영상신호 혼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금지값이, 상기 전체 단계수와 동일한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영상신호 혼합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이, 상기 주영상신호 및 부영상신호 각각의 휘도데이타와 제1, 제2색차데이타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제1~제3래치클럭을 상기 수평동기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화소클럭으로부터 발생하는 래치클럭 발생회로와, 상기 주영상신호의 휘도데이타와 제1, 제2색차데이타를 상기 제1~제3래치클럭중 대응하는 하나의 래치클럭에 의해 각각 한 가지씩 화소단위로 래치하는 제1~제3래치회로와, 상기 부영상신호의 휘도데이타와 제1, 제2색차데이타를 상기 제1~제3래치클럭중 대응하는 하나의 래치클럭에 의해 각각 한 가지씩 화소단위로 래치하는 제4~제6래치회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영상신호 혼합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수단이, 상기 제1~제3래치회로에 각각 래치되는 상기 주영상신호의 휘도데이타와 제1, 제2색차데이타를 상기 주영상 혼합비로 곱하고 상기 혼합비의 전체 단계수로 나누는 제1~제3곱셈기와, 상기 제4~제6래치회로에 각각 래치되는 상기 부영상신호의 휘도데이타와 제1, 제2색차데이타를 상기 부영상 혼합비로 곱하고 상기 혼합비의 전체 단계수로 나누는 제4~제6곱셈기와, 상기 제1, 제4곱셈기의 출력을 합하여 혼합 디지탈 영상신호의 휘도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제1덧셈기와, 상기 제2, 제5곱셈기의 출력을 합하여 혼합 디지탈 영상신호의 제1색차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제2덧셈기와, 상기 제3, 제6곱셈기의 출력을 합하여 혼합 디지탈 영상신호의 제2색차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제3덧셈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영상신호 혼합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비의 전체 단계수를 16단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영상신호 혼합장치.
KR1019950036346A 1995-10-20 1995-10-20 디지탈 영상신호 혼합장치 KR0164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6346A KR0164057B1 (ko) 1995-10-20 1995-10-20 디지탈 영상신호 혼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6346A KR0164057B1 (ko) 1995-10-20 1995-10-20 디지탈 영상신호 혼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215A KR970025215A (ko) 1997-05-30
KR0164057B1 true KR0164057B1 (ko) 1999-01-15

Family

ID=19430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6346A KR0164057B1 (ko) 1995-10-20 1995-10-20 디지탈 영상신호 혼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40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979B1 (ko) * 2002-12-10 2005-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영상 오버레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979B1 (ko) * 2002-12-10 2005-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영상 오버레이 장치
US7911494B2 (en) 2002-12-10 2011-03-22 Lg Electronics Inc. Video overlay device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US8537194B2 (en) 2002-12-10 2013-09-17 Lg Electronics Inc. Video overlay device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215A (ko) 199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4970B1 (en)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on-screen display
US5119082A (en) Color television window expansion and overscan correction for high-resolution raster graphics displays
US5838381A (en)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personal computer signals and television signal by conversion into a signal of a higher number of pixels
KR101366200B1 (ko) 공유 메모리 멀티 비디오 채널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040033993A (ko) 알파 블렌딩 장치 및 그 방법
KR101366199B1 (ko) 공유 메모리 멀티 비디오 채널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20020047851A1 (en) Image data output device and receiving device
GB2390250A (en) Converting YUV data to RGB data using look up tables
US5231385A (en) Blending/comparing digital images from different display window on a per-pixel basis
KR100275700B1 (ko) 영상신호 규격 변환장치
KR0164057B1 (ko) 디지탈 영상신호 혼합장치
Seth-Smith et al. Flexible upconversion for high quality TV and multimedia displays
US20020024613A1 (en) Video production switcher with integrated aspect ratio converter
TWI288393B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output apparatus
KR20020014830A (ko) 다중 색도도 수상기용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위한 방법 및 장치
US5166796A (en) Special effect apparatus
CA2203735A1 (en) Up-converter and scanning line conversion method
JP3081346B2 (ja) ディジタルフェード回路
JP2006337732A (ja) 会議用画像表示システム
JP2944284B2 (ja) 多画面表示装置
JPH06225326A (ja) 多画面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224714B1 (ko)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0151522B1 (ko) 화면비 4:3 화면에 다양한 화면비의 영상을 표시할때 생기는 수직 공백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JPH01264376A (ja) 複数画面を表示可能とする信号処理回路
JPH04220693A (ja) 画素単位のディジタル画像混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