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3119B1 - 충치 및 치주질환에 유효한 구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충치 및 치주질환에 유효한 구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3119B1
KR0163119B1 KR1019960010675A KR19960010675A KR0163119B1 KR 0163119 B1 KR0163119 B1 KR 0163119B1 KR 1019960010675 A KR1019960010675 A KR 1019960010675A KR 19960010675 A KR19960010675 A KR 19960010675A KR 0163119 B1 KR0163119 B1 KR 0163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oral
oral composition
extract
composi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0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9021A (ko
Inventor
신재후
Original Assignee
신재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후 filed Critical 신재후
Priority to KR1019960010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3119B1/ko
Publication of KR970069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9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3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31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dental heal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약추출물 즉 부처꽃과의 배롱나무(紫薇), 털부처꽃(千屈葉)의 전초에서 얻은 식물 추출물은 배합한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충치 및 치주질환의 예방 및 증상완화를 위한 구강용 조성물 특히 치약, 구강세정제, 캔디 및 추잉껌 등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충치 및 치주질환에 유효한 구강용 조성물
본 발명은 생약추출물 즉 부처꽃과의 배롱나무(紫薇 :Lagerstroemia indica L), 털부처꽃(千屈葉 :Lythrum salicaria L)의 전초에서 얻은 식물 추출물을 배합한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충치 및 치주질환의 예방 및 증상완화를 위한 구강용 조성물 특히 치약, 구강세정제, 캔디 및 추잉껌등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충치 및 치주질환에 유효한 각종 생약제에 대한 살충, 향균 및 치태억제 효과에 대한 검증 및 풍치 충치로 인한 통증의 진통효과에 대하여 탐색한 결과 배롱나무의 추출물이 충치 및 풍치(치주질환)에 대한 항균작용 및 진통효과가 월등함을 검증하였으며, 털부처꽃의 전초에서 얻은 추출물이 살충 및 항균작용이 월등한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배롱나무와 털부처꽃은 식물분류상 같은과 식물이다. 배롱나무는 전극의 정원수 등에 많이 재배되고 있으며, 민간 구전으로 전래된 풍치 치료제이다. 털부처꽃은 전국의 습지에 자생하는 다년생 풀로 수렴, 양혈효능이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배롱나무와 털부처꽃은 식물사전에서 무독성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동물실험결과 안전성이 확인 되었으며, 인체에 대한 임상실험결과 50명의 실시에에서 전원이 이상이 없음이므로 안전성이 확인 되었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치약, 구강세정제, 캔디 및 추잉껌 등 각종 구강용 조성물에 배롱나무 뿌리 또는 가지에서 얻은 추출물과 털부처꽃 가지 및 뿌리에서 얻은 추출물을 각종 구강조성물에 배합하는 것이며, 충치 및 치주질환에 유효한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물들의 추출시 사용한 용매는 물, 알콜, 아세톤 등의 극성용매를 가하여 침적추출 또는 가열탕전한 후에 여과액을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식물추출물을 각종 형태의 구강용 제품에 응용하여 구강내에 적용하면 충치 및 치주질환 예방 및 증상완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 식물 추출물의 구강용조성물 즉 치약, 구강세적제, 캔디 및 추잉껌의 배합비율은 각각 전체의 0.001~10.0%(w/w) 특히 0.01~3.0%(w/w)로 하는 것이 좋으며 각종 구강용 조성물에 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각종 구각용조성물은 그 종류에 따라 적당한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하여야 하며 공지의 통상 사용되고 있는 각종 유효 성분의 첨가도 가능하다. 특히 치약, 구강세정제, 캔디 및 추잉껌 등의 제품도 그 제법에 따라 각종 성분을 적당히 배합하여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출물 제조실시예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용매를 물로 한 추출물 제조]
건조 생약제 배롱나무 가지 및 뿌리를 세절한 것 100g에 물 100㎖을 가하여 80℃~90℃에서 5시간 탕전한 후 그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추출물 2.8g을 얻었다.
상기의 추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탈부처꽃 추출물 농축액을 3.1g 얻었다.
[실시예 2]
[용매를 에탄올로 한 추출물의 제조]
건조 생약제 부처꽃 전초를 세절한 것 100g에 에탄올 500㎖을 가하여 실온에서 1주일간 침적 추출하여 여과한 후 감압증류하여 추출물 1.8g을 얻었다.
상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롱나무 추출물 1.6g을 얻었따.
본 발명의 조성물제의 실시예를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실시예 3]
[구강 세정제(마우스 워쉬) 제조]
[실시예 4]
[구중청량제(스프레이) 제조]
[실시예 5]
[구향제껌 제조]
[실시예 6]
[치약 제조]
[실시예 7]
[조성물의 효과실험]
조성물 제조실 예 3에서 제조한 구강세정제 조성물을 충치 또는 풍치(치주질환)로 인한 고통을 호소하는 50명의 환자에 세정제 조성물을 5~6일간 1일 2~3회 구강세정토록 실시한 결과 50명중 35명이 통증이 완화되었으며, 12개월 이상 통증의 재발이 없었다.
이러한 임상효과는 놀랄만한 것으로, 장기간 충치 또는 풍치로 인한 고통이 없는 것으로 보아 진통효과는 물론 항균, 살균효과가 월등한 것으로 확신할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량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증상의 정황에 따라 광범위학 적용할 수 있다. 즉, 원료물질 배롱나무와 천굴채는 인체에 대한 독성이 보고된바 없고(한국식물보감:한국 자원 식물 연구소, 약초의 성분과 이용:일월 서각), 발명 조성물이 복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투여 횟수는 진통효과와 치료 효과를 얻는데 어떤 용량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통증의 정도나 증상의 정도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을 완전히 진통의 효과 및 살균, 항균 효과가 충분히 나타날 때까지 수차 반복 작용시킬 수 있고 또한 치약, 구강세정제, 캔디 및 추잉껌 등에 배합하여 상시 사용함으로서 충치 및 치주질환의 예방에도 매우 유효한 것이다.

Claims (1)

  1. 배롱나무(紫薇)와 털부처꽃(千屈葉)의 뿌리 및 가지를 물, 알콜, 아세톤으로 추출하여 얻은 식물 추출물중 선택한 1종 또한 혼합물을 0.001~10.0%(w/w)의 양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치 및 치주질환에 유효한 구강용 조성물.
KR1019960010675A 1996-04-10 1996-04-10 충치 및 치주질환에 유효한 구강용 조성물 KR0163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0675A KR0163119B1 (ko) 1996-04-10 1996-04-10 충치 및 치주질환에 유효한 구강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0675A KR0163119B1 (ko) 1996-04-10 1996-04-10 충치 및 치주질환에 유효한 구강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021A KR970069021A (ko) 1997-11-07
KR0163119B1 true KR0163119B1 (ko) 1998-12-01

Family

ID=19455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0675A KR0163119B1 (ko) 1996-04-10 1996-04-10 충치 및 치주질환에 유효한 구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311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021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6736B2 (ja) 薬草の口腔歯科治療用の組成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
Ahmad et al. Salvadora persica L.(Meswak) in dental hygiene
KR101765832B1 (ko) 항균성 에센셜 오일
KR102058464B1 (ko)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Şener et al. Herbal extracts used in dental disorders
Ananthathavam et al. Treating periodontitis with the use of essential oil and herbs
Naveed et al. The use of neem in oral health
Chaguthi et al. An overview on therapeutic potential of Azadirachta indica
KR0163119B1 (ko) 충치 및 치주질환에 유효한 구강용 조성물
KR102160699B1 (ko) 두피 디톡스 개선 헤어젤 크림 조성물
KR102349599B1 (ko) 산초 및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JPH06298633A (ja) 口腔用組成物
KR20150006243A (ko)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KR101340021B1 (ko) 잇몸질환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잇몸질환 개선용 조성물
Daio et al. Use of medicinal plants in Piroás and Barra Nova, Redenção, Ceará, Brazil
RU97113011A (ru) Состав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редства "фитодент" для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пародонта
KR102622954B1 (ko)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또는 예방 효과가 있는 치약 조성물
Madhumita et al. Processing and potential health benefits of betel leaf (Piper betle L.)
Mahant et al. Home remedies for dental diseases in the Pandemic of COVID-19-A Systematic Review
WO2007072500A2 (en) Herbal composition for havan (yagna) tablet for combustion for medicinal and odoriferous treatment of humans, animals and plants
KR102610236B1 (ko) 구취 예방 또는 개선용 치약 조성물
Gavali et al. Benefits of phytotherapy in periodontics: a review
Hoor Slavadora Persica-Medicinal Properties
Beegum et al. Exquisite Herbal Bullets in Dentifrices-A Scientific Review
AT397613B (de) Zahntropf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