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3044B1 - 가요성 열간압연강판 - Google Patents

가요성 열간압연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3044B1
KR0163044B1 KR1019900005264A KR900005264A KR0163044B1 KR 0163044 B1 KR0163044 B1 KR 0163044B1 KR 1019900005264 A KR1019900005264 A KR 1019900005264A KR 900005264 A KR900005264 A KR 900005264A KR 0163044 B1 KR0163044 B1 KR 0163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d steel
hot rolled
steel sheet
less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5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568A (ko
Inventor
마사히꼬 모리따
고이찌 하시구찌
후사오 도가시
Original Assignee
야기 야스히로
가와사끼세이데쓰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기 야스히로, 가와사끼세이데쓰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야기 야스히로
Priority to KR1019900005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3044B1/ko
Publication of KR910018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3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3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요성 열간압연강판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강과 종래의 강 사이에 온도에 대한 페라이트(ferrite) 결정 입자 크기에 있어서의 차이를 보여주는 그래프.
제2도는 한계인발비의 측정에 사용된 커핑(cupping)을 보여주는 도표도.
제3도는 인장강도의 전연신률 사이의 관계와 본 발명에 따른 강과 종래의 강에 있어서의 인장강도와 한계인발비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p : 펀치의 직경 ρd : 다이의 쇼울더
ρp : 펀치의 쇼울더
본 발명은 35㎏f/㎟ 이하의 인장강도와 적어도 50% 이상의 전연신률과 개선된 심인발성(deep drawability), 우수한 굽힘 특성, 벌징(burging) 특성을 가지는 가요성 열간압연강판(steel sheets)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자동차와 가전품목들의 제조에 있어서, 원가 절감의 견지에서 냉간압연강판 대신에 얇은 열간압연강판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열간압연강판은 냉간압연강판과 비교해서 심인발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현재 그 적용성이 제한되고 있다. 강판의 심인발성은 최초 재료의 연신률 특성과 r 값에 달려있다. 종래의 열간압연강판이 거의 디프드로오잉(deep drawing)에 적용되지 못하는 이유로써, 통상 방법에 의해 제조된 열간압연강판에서는 r 값이 1.0을 넘지 못하고 냉간압연강판에 있어서처럼 적어도 1.5 이상의 r 값을 얻기가 힘들다.
열간압연강판에서의 심인발성에 대한 결점을 개선하기 위한 대응책은 대강 두가지 방법으로 나누어지는데, 한가지 방법은 r 값을 냉간압연강판의 r 값에 접근시키는 것이고 다른 한가지 방법은 주로 연신률 특성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첫번째 방법에 대해서는, 일본특허공개공보 제55-97431호, 제60-77927호 등에 방법이 제안되어 있는데, 그중에 종래에 사용된 화학적 조성을 가진 강이 사용되고, 감소율이 높거나 또는 변형률이 높거나 또는 감소율이 r 값을 개선하도록 특별히 낮은 온도범위내에서 실행되는 종료 열간압연 조건하에서 열간압연된다.
그러나 상기 방법이 채택된다 하더라도, r 값 결과치는 높아야 1.0-1.3이고, 냉간압연강판의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므로 심인발성은 현재 아직까지는 만족되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상기 방법에 의해 더 높은 r 값을 얻으려 한다면 주로 열간압연 조건을 통상 사용되는 범위에서 고감소율과 고속압연쪽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필요하고, 이것은 마침내 현존하는 열간압연기에서 선택할 수 있는 압연 조건의 버뮈를 초과하게 된다.
한편, 후자의 심인발성에 대한 연신률 특성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한 제안으로서, 일본특허공개공보 제62-139849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통상의 가요성 열간압연강판의 화학적 조성에 B를 첨가하고 각각 주어진 범위내에서 B/N과 Mn/S의 중량비를 조절함으로써 얻어진 열간압연강판이 기술되어 있다.
더구나 상기 열간압연강판의 전연신귤은 높아야 48%이고, 심지어 열간압연강판의 최상의 특성들이 냉간압연강판의 특성들과 비교될때, 그것은 좋아야 단지 냉간압연강판의 수준과 같다.
그러므로 매우 우수한 연신률 특성을 가지고 35㎏f/㎟ 이하의 인장강도, 적어도 50% 이상의 전연신률 및 개선된 심인발성을 가진 가요성 열간압연강판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여기서 사용된 인장강도라는 용어는 JIS NO.5의 인장시험 시편을 사용하는 인장강도를 의미하고, 반면에 연신률 특성은 두께 1.4㎜의 JIS NO.5 인장시험 시편을 사용하는 전연신률 값이다.
더구나, 시편의 두께가 다를때 전연신률은 다음 방정식에 따라 보정된 Eℓ*값에 의해 표시된다.
Figure kpo00002
[여기서, t는 인장시험시편의 두께(㎜)이고, Eℓt는 두께 t에서의 인장시험시편의 전연신률(%)이다]
냉간압연강판의 경우에 있어서 처럼 두께가 1.0㎜를 넘지 않는 강판의 경우에, 압축성형에 있어서의 두께 감소율은 성형한계에 달려있어서, 심인발성은 연신률 특성보다 r 값에 대한 의존률이 높게 되고, 반면에 열간압연강판에 있어서처럼 두께가 1㎜ 이상인 강판의 경우에는 두께 감소율에 의한 영향은 완화되어서, 심인발성 r 값에 대한 의존률이 낮고 연신률 특성에 대한 의존률은 비교적 높게 된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조건하에서 발명자는 연신률 특성을 개선하므로써 열간압연강판의 심인발성을 상당히 개선시키는 방법을 시도했고, 다양한 연구를 했으며 그리고 종래의 강의 r 값과 같은 r 값을 가지고 종래의 강의 연신률 특성보다 상당히 높은 연신률 특성을 가지는 열간압연강판을 발견하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본 발명이 완성되었다.
즉, 본 발명은 개선된 심인발성을 가지고 0.10%(지금부터는 단순히 %로 표시됨) 이하의 C, 0.2% 미만의 Mn, 0.10-2.0%의 Cr, 0.002-0.100%의 Al 그리고 나머지 Fe과 피할 수 없는 불순물들을 포함하는 가요성 열간압연강판에 대한 것이다(제1발명).
또한 본 발명은 개선된 심인발성을 가지고 0.10% 이하의 C, 0.2% 미만의 Mn, 0.10-2.0%의 Cr, 0.002-0.100%의 Al, 전체합이 0.005-0.10%인 Ti, Nb 및 Zr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그리고 나머지 Fe과 피할 수 없는 불순물들을 포함하는 가요성 열간압연강판에 대한 것이다(제2발명).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은 개선된 심인발성을 가지고 0.10% 이하의 C, 0.2% 미만의 Mn, 0.10-2.0%의 Cr, 0.002-0.100%의 Al, 0.0004-0.0100%의 B와 그리고 나머지 Fe과 피할 수 없는 불순물들을 포함하는 가요성 열간압연강판에 대한 것이다(제3발명).
또한, 본 발명은 개선된 심인발성을 가지고 0.10% 이하의 C, 0.20% 미만의 Mn, 0.10-2.0%의 Cr, 0.002-0.100%의 Al, 전체합이 0.005-0.10%인 Ti, Nb 및 Al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0.0004-0.0100%의 B와 그리고 나머지 Fe과 피할 수 없는 불순물들을 포함하는 가요성 열간압연강판에 대한 것이다(제4발명).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열간압연강판은 구체적으로 아래에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열간압연강판은 0.10% 이하의 C를 포함하는 저탄소알루미늄탈산강이고, 그중에 0.10-2.0%의 Cr양이 포함되며 반면에 조절 Mn이 0.20% 미만의 낮은 범위의 양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열간압연강판의 화학적 조성 범위는 35㎏f/㎟ 이하의 인장강도와 50% 이상의 전연신률을 확보하기 위해서 다음의 합금계획에 의하여 결정된다.
즉, 열간압연이 보통 압연조건하에서 실행될때, 판을 가능한한 가요성 재료로 만들기 위해서 조직강화, 고용액강화 및 석출경화 등과 같은 강도를 높이는 인자들을 완전히 제거하고, 20-100㎛의 페라이트 결정입자크기를 가지도록 결정입자를 미세구조로 규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라 화학적 조성범위가 전술된 것처럼 명시된다.
화학적 조성범위에 제한을 두는 이유는 아래에 기술된다.
[C : 0.10% 이하]
C의 양은 가요성 열간압연강판을 얻기 위해서 0.10%를 넘어서는 안된다.
C의 양이 0.10%를 초과하고, 인장강도가 또한 35㎏f/㎟을 초과할때 결과적으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50% 이상의 전연신률을 얻을 수가 없다.
더구나, C의 양이 작아짐에 따라 강판은 보다 가요성이 되고 고연신률 특성을 얻기가 쉬워지므로 C의 양은 0.025%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C 양의 하한치는 강 제조 규정의 견지에서 볼때 약 0.0010%이다.
C의 양이 0.025-0.10%의 범위내에 있을때조차도,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인장강도는 후술되는 것처럼 Mn과 Cr의 양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얻어진다.
[Mn : 0.20% 이하]
Mn 양은 다음의 두가지 이유로부터 고연신률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0.2% 이하로 되도록 조절될 필요가 있다.
첫번째 이유는 Mn으로 인한 고용액 강화에 따른 인장강도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고, 두번째 이유는 Ar3점을 감소시키는 Mn의 작용에 의해 페라이트 변형 개시온도를 낮춤으로써 생산된 페라이트 결정입자의 세분화를 방지해서 그런 세분화로 인한 인장강도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Mn의 양이 0.2%를 초과할때, 상기 Mn 작용은 억제될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35㎏f/㎟ 이하의 인장강도와 50% 이상의 전연신률은 얻어질 수가 없다.
더구나 Mn의 양이 0.01% 보다 적을때, S를 고정하는 작용은 적열취성을 만들 위험성을 야기시키게 되므로 최소로 약 0.1%의 양이 첨가될 수 있다.
[Cr : 0.10-2.0%]
Cr의 양은 고용질 C의 악영향을 방지하고 미세구조를 최적화하기 위해서 0.10-2.0% 범위내에 있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Cr의 양을 상기 범위내에 조절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이점에 대해서, 발명자의 연구들에서 발견된 지식이 상세하게 후술된다.
가요성 열간압연강판을 생산하기 위해 채택된 방법들로서, 가능한한 C, Mn 등과 같은 강도를 높이는 요소를 감소시키는 방법과 페라이트 결정입자크기를 확대하기 위해 열간종료온도 또는 코일링(coiling) 온도를 높이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상기 방법들이 행해진다 하더라도 결과적인 연신률 특성의 수준은 잔유 고용질 C 또는 입계에서의 필름과 같은 모양의 세멘타이트(cementite)의 형성과 페라이트 결정입자 크기의 비정상적인 증가등으로 인해 임계값이 되며, 결과적으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50% 이상의 고연신률 특성은 단지 상기 방법들에 의해서는 결코 얻어지지 않는다.
C의 양이 종래의 열간압연강판에서 감소함에 따라 고용질 C가 쉽게 잔유하는 이유는 강에서의 용해된 C의 과포화정도가 탄화물이 약해지고 또한 석출핵이 거친 결정입자의 형성에 의해 감소됨으로써 석출을 위한 구동력을 만들게 된다는 사실 때문이다.
특히, C의 양이 0.02% 정도까지 낮을때, 입계에서의 세멘타이트의 석출이 촉진된다면 필름과 같은 모양의 세멘타이트가 페라이트 결정입자들의 경계에 생성되어 연신률 특성을 떨어뜨린다.
잔유 고용질 C 또는 필름과 같은 모양의 세멘타이트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Ti, Nb 및 Zr 등과 같은 탄화물을 형성하는 요소를 첨가하는 방법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상기 방법이 특히 0.0050% 이하의 C를 포함하는 극도로 낮은 탄소강에 적용이 될때, 상당히 효과적인 결과가 얻어지나 연신률 특성의 상당한 개선은 아직 성취되지 못한다.
때문에, 탄화물을 형성하는 요소를 첨가함으로써 고용질 C의 악영향을 충분히 제거하기 위해서, C의 양에 대한 탄화물을 형성하는 요소의 비율은 적어도 원자%로서 10이상이 되어야 하는 것이 필요하나, 탄화물을 형성하는 요소를 첨가함으로써 그 자체로서 강도를 높이는 효과는 고용질 C의 감소를 통해 개선되는 효과를 마침내 사라지게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불편을 Cr 효과에 의해 유리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첫번째로, Cr의 첨가는 고용질 C의 악영향을 제거하고 필름과 같은 모양의 세멘타이트의 형성을 방지한다.
비록 이런 형상의 세부적인 메카니즘은 명백하지 않으나, 다음과 같이 추측된다.
즉, Cr은 Ti, Nb 및 Zr에서 처럼 강력한 탄화물을 형성하는 요소가 아니나, Fe 또는 Mn과 비교될때는 강력하게 탄화물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Cr이 고용질 C와 함께 존재할때, 두원자 사이의 상호 반응에 의해서 Cr 원자 주위에 고용질 C 원자가 부분적으로 존재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경우에, C는 탄화물과 같이 석출된 상태로 존재하는데, 즉 고용질 C의 양이 대부분의 모체(matrix)에서 한편으로는 어떤 고용액 강화도 야기시키지 않고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필름과 같은 모양의 세멘타이트의 형성을 방지하는 어떤 탄화물도 형성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그런 Cr의 첨가에 의해서 C의 존재상태는 기계적 특성들에 비추어 매우 유리하게 유지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Cr 그 자체의 고용액 강화량은 Mn 등과 비교될때 매우 작으므로, Cr 첨가에 의한 강도의 상승이 작아서 좋은 결과를 야기시킨다.
Cr 첨가에 의한 두번째 효과는 충분한 입자 크기를 가지는 페라이트 입자들의 규제구조(regulated structure)를 쉽게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열간압연강판의 가요성 재료와 연신률 특성의 개선을 촉진하기 위해서, 페라이트 결정입자크기가 어떤 오렌지 필(orange peel)도 야기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성장한 입자규제구조로 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 구조를 얻기 위해서, 열간압연종료온도와 코일링온도가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하나, 종래의 강의 생산에서는 최적의 코일링온도 범위개 매우 좁다는 문제점이 있다.
제1도에는 종래의 강과 본 발명에 따른 Cr을 함유하는 강에 있어서의 코일링온도와 페라이트 결정입자크기 사이의 관계의 차이가 도표로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서 알 수 있듯이, 코일링온도가 종래의 강에서의 어떤값을 초과할때, 비정상적인 입자성장 현상이 급속하게 발생해서 혼합입자 구조를 보여주며 그러므로 거친 입자구조가 오렌지 필임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규제입자구조를 제공하는 위험성을 피하기 위해서, 코일링온도로서 선택할 수 있는 범위는 비교적 낮고 좁아지며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페라이트 결정입자의 크기를 불충분하다.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Cr 함유강에서는 비정상적인 입자 성장이 억제되고 결정입자 성장이 코일링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부드럽게 함께 진행되며, 결과적으로 최적의 입자크기를 가진 규제입자구조가 쉽게 얻어진다.
상기 효과를 발전시키기 위해서 적어도 0.10% 이상의 Cr 양이 첨가되어야 하고, 반면에 Cr 양이 2%를 초과할때는 인장강도가 상승하고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35㎏f/㎟ 이하의 인장강도를 얻기 힘들므로 상한계값은 2.0%이다.
[Al : 0.002-0.100%]
Al은 성분에서 산소를 제거함으로써 강의 청결도를 개선시키고 변형 시효에서의 연신률 특성의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N를 고정시키므로, Al은 본 발명에서 중요한 성분이다.
상기 효과를 발전시키기 위해서 적어도 0.002% 이상의 Al 양이 첨가되어야 하고, 반면에 Al 양이 0.100%를 초과할때는 본 효과는 포화되며 또한 AlN은 오히려 증가해서 페라이트 결정입자들의 성장을 방해한다.
이런 목적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Al 양은 0.002-0.100% 범위내에 있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목적은 근본적으로 C, Mn 및 Cr의 양을 규제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으나 심인발성은 후술되는 범위에 다른 화학적 성분들을 조절함으로써 한층 더 개선될 수 있다.
적어도 Ti, Nb 및 Zr 중의 하나 : 전체합해서 0.005-0.10% 제1 및 제4발명에 있어서, 적어도 Ti, Nb 및 Zr 중의 하나가 전체합해서 0.005-0.10%의 양으로 포함된다.
Ti, Nb 및 Zr은 고용질 C를 감소시키는 탄화물을 형성하므로, 이들이 적당한 양으로 첨가될때 심인발성이 개선된다.
이런 효과를 발전시키기 위해서, C의 양이 0.020% 이하로 제한된 후에, C의 양에 대한 상기 성분들의 전체 원자% 양의 비는 1-5의 범위내에 존재해야 한다.
그러나 이 비가 1보다 작을때, 이런 성분들의 부가의 효과는 나타나지 않는다.
더구나, 이 비가 5를 초과할때 인장강도가 역으로 상승해서 연신률 특성을 악화시킨다.
그러므로, 적어도 Ti, Nb 및 Zr 중의 어느 나가 전체합해서 0.005-0.1000%의 양으로 첨가된다.
[B : 0.0004-0.0100%]
제3 및 제4발명에 있어서, 0.0004-0.0100%의 B 양이 포함된다.
B는 유리하게 N를 통한 변형시효를 방지하고, BN이 석출될때 과포화 고용질 C를 석출시키는 핵으로 작용하므로 B의 양이 적당한 범위내에 있을때, 심인발성이 개선된다.
B의 양이 0.0004% 보다 작을때, 상기 효과는 나타나지 않으며, 반면에 0.0100%를 초과할때는 연신률 특성을 저하시킬 위험성이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B의 양은 0.0050% 이하로 첨가된다.
N는 고용액 강화와 C와 같이 변형시효를 통한 악화를 야기시키고 그리고 또한 페라이트 결정입자의 성장을 방해하는 AlN을 형성하므로, N의 양은 가능한한 감소해서 20ppm 이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는 입계에 쉽게 편석되어 제2의 변형 메짐성(work brittlement)을 야기시키고 고용액 강화를 통해서 모체의 강도를 상승시키므로, P의 양은 가능한한 감소되어 0.012%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S는 비금속함유물로서 연신률 특성에 영향을 미치고, 적열취성과 제2변형메짐성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S의 양은 0.010%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열간압연강판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상기의 화학적 조성을 가지는 열간압연 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런 제조조건들은 특별히 규제되지는 않으나, 압연종료가 Ar3점보다 낮지 않은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며, 이런 경우에 있어서 압연종료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좋은 기계적 특성들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열간압연강판에 있어서, 압연종료온도가 750℃-Ar3점의 범위처럼 낮을때 조차도, 규제입자들의 재결정 페라이트 구조가 마지막 통과시 감소율이 20% 이상이 되도록 조절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고, 결과적으로 고온 압연종료의 경우처럼 좋은 기계적 특성들이 얻어진다.
변형된 페라이트 결정 입자들의 재결정은 Cr을 첨가함으로써 쉽게 촉진되므로, 20% 이상의 마지막 통과 감소율에서 재결정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Ar3점보다 높지 않은 저압연종료 온도에서도 좋은 기계적 특성들이 얻어지므로 최근에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약 두께 1.0-2.0㎜의 얇은 열간압연강판의 제조에 적합하다.
더우기, 코일링온도는 열간압연강판을 가요성이 있게 만들고, 연신률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550℃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링온도의 상한계점은 기계적 특성들의 견지에서 볼때 특별히 규제되지는 않으나, 피클링(pickling)의 견지에서 볼때 750℃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례로서 주어지는 것이지 본 발명이 그것에 제안된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간압연강판에 있어서, 압연조건들은 상기 실시예에서 기술된 것에 특별히 제한받지는 않는다.
[실시예]
하기 표 1에 표시된 화학적 조성을 갖는 강들은 열간압연강판을 얻기 위해서 하기 표 2에 표시된 열간압연 조건하에서 두께 1.4㎜까지 압연되었다.
그때, 인장특성들, 연신률 특성 및 한계 인발비(L.D.R.)가 표 2에 표시된 결과치들을 얻기 위해서 상기 열간압연강판에 대해 측정되었다.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더우기, 인장특성들과 연신률 특성은, 두께 1.4㎜의 열간압연강판을 1.0%의 표면통과(skin pass)압연을 시키고 그것으로부터 압연방향에 평행하게 잘라냄으로써 얻어진 JIS NO.5의 시편에 대해 측정되었다.
한계인발비의 측정은, 피클링 후에 두께 1.4㎜의 열간압연강판으로부터 잘라낸 시편을 하기 표 3에서 표시된 조건들하에서 제2도에 도시된 컵핑을 시킴으로써 실행된다.
Figure kpo00007
표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든 강들은 35㎏f/㎟ 이하의 인장강도와 50% 이상의 전연신률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강과 비교용 강 사이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표 2에 표시된 본 발명에 따른 강과 비교용 강에 있어서의 인장강도와 전연신률 사이의 관계 및 인장강도와 한계인발비(L.D.R.) 사이의 관계가 제3도에 도시되었는데, 그것으로부터 볼때 본 발명에 따른 강과 비교용 강 사이의 차이점은 명백하다.
제1 본 발명에 따른 열간압연강판에 있어서, 고용질 C의 악영향은 사라지고, 페라이트 결정입자는 종래의 가요성 열간 압연강판의 화학적 조성범위로부터 Mn을 희석시키고, 거기에 적당한 양의 Cr을 첨가함으로써 최적의 규제입자구조로 만들어지므로, 결과적인 강판은 종래의 강판과 비교될때 가요성이 있고, 연신률 특성이 우수하다.
그러므로, 상기 열간압연강판은 디프드로오잉 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제2 본 발명에 따른 열간압연강판에 있어서, 적어도 Ti, Nb 및 Zr 중의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본 발명의 화학적 성분에 추가로 포함되므로, 심인발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
제3 본 발명에 따른 열간압연강판에 있어서, B가 제1 본 발명의 화학적 성분에 추가로 포함되므로, 심인발성은 한층 더 향상된다.
제4 본 발명에 따른 열간압연강판에 있어서, 적어도 Ti, Nb 및 Zr 중의 어느 하나와 B가 제1 본 발명의 화학적 성분에 추가로 포함되므로, 심인발성이 더욱 향상된다.

Claims (4)

  1. 0.10중량% 이하의 C; 0.20중량% 미만의 Mn; 0.10-2.0중량%의 Cr; 0.002-0.100중량%의 Al과 나머지 Fe과 피할 수 없는 불순물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심인발성을 가지는 가요성 열간압연강판.
  2. 0.10중량% 이하의 C; 0.20중량% 미만의 Mn; 0.10-2.0중량%의 Al; 전체합이 0.005-0.10중량%인 Ti, Nb 및 Zr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그리고 나머지 Fe과 피할 수 없는 불순물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심인발성을 가지는 가요성 열간압연강판.
  3. 0.10중량% 이하의 C; 0.2중량% 미만의 Mn; 0.10-2.0중량%의 Cr; 0.002-0.100중량%의 Al; 0.0004-0.0100중량%의 B와 그리고 나머지 Fe과 피할 수 없는 불순물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심인발성을 가지는 가요성 열간압연강판.
  4. 0.10중량% 이하의 C; 0.20중량% 미만의 Mn; 0.10-2.0중량%의 Cr; 0.002-0.100중량%의 Al; 전체합이 0.005-0.10중량%인 Ti, Nb 또는 Zr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0.0004-0.0100중량%의 B와 나머지 Fe과 피할 수 없는 불순물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심인발성을 가지는 가요성 열간압연강판.
KR1019900005264A 1990-04-13 1990-04-13 가요성 열간압연강판 KR0163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5264A KR0163044B1 (ko) 1990-04-13 1990-04-13 가요성 열간압연강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5264A KR0163044B1 (ko) 1990-04-13 1990-04-13 가요성 열간압연강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568A KR910018568A (ko) 1991-11-30
KR0163044B1 true KR0163044B1 (ko) 1999-02-18

Family

ID=19298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5264A KR0163044B1 (ko) 1990-04-13 1990-04-13 가요성 열간압연강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304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568A (ko) 199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6998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uper formable high strength steel sheet
EP3529392B1 (en)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for automotive use
KR20130135972A (ko) 열간 압연 강판 및 연관된 제조 방법
KR100199457B1 (ko) 프레스 성형으로 적합한 고장력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15647A (ko) 고항복비의 비시효 냉연강판과 그 제조방법
EP0050356B2 (en) Method for producing ferritic stainless steel sheets or strips containing aluminum
WO2006118423A1 (en) Cold rolled steel sheet having superior formability ,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20050095537A (ko) 고강도 소부경화형 냉간압연강판, 용용도금강판 및 그제조방법
KR0163044B1 (ko) 가요성 열간압연강판
US9297057B2 (en) Cold rolled steel sheet having aging resistance and superior formabilit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781297B2 (ja) 耐2次加工脆性に優れ面内異方性の少ない冷延薄鋼板の製造方法
US5074934A (en) Flexible hot rolled steel sheets having improved deep drawability
JP2001131695A (ja) 耐二次加工脆性に優れた高強度薄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686293B1 (en) A high strength high ductility complex phase cold rolled steel strip or sheet
JP3840855B2 (ja) 耐二次加工脆性および成形性に優れた高強度薄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99287B2 (ja) 成形加工用高強度鋼板とその製造方法
EP4033001A1 (en)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uniform elongation and strain hardening ra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P4186991A1 (en)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formability and strain hardening rate
EP1888800A1 (en) Cold rolled steel sheet having superior formability and high yield ratio,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H021217B2 (ko)
JPH11158580A (ja) 加工性および耐肌荒れ性に優れた極低炭素冷延鋼板
WO2006118424A1 (en) Cold rolled steel sheet having high yield ratio and less anisotropy,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S638164B2 (ko)
EP4265817A1 (en) Plat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strength, formability and surface proper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A2014039C (en) Flexible hot rolled steel sheets having improved deep draw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19990608

Effective date: 1999120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