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2714B1 - 헹굼급수판이 취부되어진 세탁조 - Google Patents

헹굼급수판이 취부되어진 세탁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714B1
KR0162714B1 KR1019950044874A KR19950044874A KR0162714B1 KR 0162714 B1 KR0162714 B1 KR 0162714B1 KR 1019950044874 A KR1019950044874 A KR 1019950044874A KR 19950044874 A KR19950044874 A KR 19950044874A KR 0162714 B1 KR0162714 B1 KR 0162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ring
washing tank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4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7489A (ko
Inventor
박관철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44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2714B1/ko
Publication of KR970027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7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7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헹굼급수판(11)이 취부되어진 세탁조(2)는 세탁용수를 수용하는 저수조(1)내에 세탁조(2)를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상기 세탁조(2)의 내측 하단에 수류의 형성을 위한 펄세이터(3)를 역시 회전가능하게 취부시키고, 이들 세탁조(2)와 펄세이터(3)를 저수조(1)의 외저면에 취부되어진 전동모터(4) 및 그에 연동되는 감속기어조립체(5)에 연결시켜 구성되어지는 종래의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종래의 세탁조(2)내에 단턱(31)을 형성시켜 다수개의 급수공(12)이 형성된 헹굼급수판(11)을 착탈가능하게 취부시키고, 상기 헹굼급수판(11)에 연속적인 급수를 가능하게 하는 급수링조립체를 상기 세탁조(2)와 저수조(1) 사이에 취부시켜서 이루어지며, 상기 급수링조립체가 내부회전링(24), 외부고정링(21), 상기 내부회전링(24)을 세탁조(2)의 외주면에 고정시키는 내고정구(27), 상기 외부고정링(21)을 저수조(1)의 외주면에 고정시키는 외고정구(28)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급수링조립체를 구성하는 내부회전링(24), 외부고정링(21), 내고정구(27) 및 외고정구(28)가 모두 통수로로 연결되어지고, 상기 외고정구(28)의 외측단부에 급수호스(41)가 연결되어져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헹굼급수판이 취부되어진 세탁조
제1도는 종래의 전자동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헹굼급수판이 취부되어진 세탁조가 취부된 전자동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헹굼급수판을 상세하게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저수조 2 : 세탁조
3 : 펄세이터 4 : 전동모터
5 : 감속기어조립체 11 : 헹굼급수판
12 : 급수공 21 : 외부고정링
22 : 외관통구 23 : 외연통구
24 : 내부회전링 25 : 내연통구
26 : 내관통구 27 : 내고정구
28 : 외고정구 29 : 연통로
31 : 단턱 41 : 급수호스
본 발명은 전자동세탁기의 세탁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탁조의 중단에 헹굼급수판을 착탈가능하게 취부시켜 외부로부터 헹굼용수를 공급받아 세탁조내의 세탁물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헹굼급수판이 취부되어진 세탁조에 관한 것이다.
상용화된 세탁기는 그 세탁방식에 따라 교반식세탁기, 와류식세탁기 및 드럼식세탁기로 대별될 수 있다.
와류식세탁기는 세탁조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취부된 펄세이터가 회전하여 소용돌이 형태의 수류를 발생시켜 세탁용수와 함께 세탁물을 돌리는 방식으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식 중의 하나이다.
드럼식세탁기는 다수개의 통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드럼을 저수조내에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취부시키고, 이를 회전시키므로써 드럼내의 돌기에 의하여 세탁물을 드럼내의 상방의 공간으로 끌어 올렸다가 중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낙하시키면서 세탁토록 구성되어져 있으며, 대용량의 세탁에 적절하다.
또한, 교반식세탁기는 세탁조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취부되어진 애지테이터라 불리우는 세탁봉이 규칙적으로 회전하면 세탁봉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교반날개가 세탁조내에 저수된 세탁용수를 교반하여 수류를 형성하게 되고, 이 수류에 의하여 세탁물이 세탁용수 중에서 부유하면서 세탁봉의 교반날개 및 세탁조의 벽과 마찰되도록 하여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교반식세탁기는 와류식세탁기 보다는 세탁물이 덜 엉키고, 세탁용량이 크기는 하나, 전력소모가 많을 뿐 아니라 세탁봉의 회전으로 인한 마찰면적이 크기 때문에 속옷과 같은 부드럽고 작은 세탁물이 쉽게 상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자동세탁기는 주로 펄세이터(3)의 회전에 의하여 수류를 형성시키는 와류식세탁기로서, 세탁용수를 수용하는 저수조(1)내에 세탁조(2)를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상기 세탁조(2)의 내측 하단에 수류의 형성을 위한 펄세이터(3)를 역시 회전가능하게 취부시키고, 이들 세탁조(2)와 펄세이터(3)를 저수조(1)의 외저면에 취부되어진 전동모터(4) 및 그에 연동되는 감속기어조립체(5)에 연결시켜 감속기어조립체(5)를 통한 감속된 출력을 사용하여 구동시켜 세탁, 헹굼 및 탈수를 선택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가능하게 하여 세탁물의 전 세탁과정을 하나의 조 내에서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탈수 중에 헹굼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하는 헹굼탈수기능을 갖는 세탁기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헹굼탈수는 세탁물 중에 잔류할 수도 있는 세제성분 등을 완전히 제거토록 함과 동시에 미세탁된 오염물까지도 2차적으로 헹구어낼 수 있도록 하므로써 보다 깨끗한 세탁이 가능하도록 한다.
헹굼탈수를 위하여 종래에는 저수조(1)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부판 등에서 세탁용수를 급수하여 자연적으로 낙하토록 하여 낙하된 세탁용수가 세탁물 중에 우선 흡수되었다가 세탁조(2)의 회전에 의하여 가해지는 원심력으로 세탁조(2)의 통수구들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중력에 의한 급수에 의하여 원심력이 가해지고 있는, 회전하는 세탁조(2)내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세탁물에까지 세탁용수가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그에 따라 충분한 헹굼탈수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세탁조내의 세탁물들에 고르게 헹굼용의 세탁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헹굼급수판이 취부되어진 세탁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하는 세탁조내에 취부되는 상기 헹굼급수판에 연속적인 급수를 위한 급수링조립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세탁조내에 다수개의 급수공이 형성된 헹굼급수판을 착탈가능하게 취부시킬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헹굼급수판이 취부되어진 회전하는 세탁조의 외주면에 저수조와 면접하도록 하여 회전가능하게 급수할 수 있는 급수링조립체를 취부시켜서 구성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헹굼급수판이 취부되어진 세탁조는 세탁용수를 수용하는 저수조(1)내에 세탁조(2)를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상기 세탁조(2)의 내측 하단에 수류의 형성을 위한 펄세이터(3)를 역시 회전가능하게 취부시키고, 이들 세탁조(2)와 펄세이터(3)를 저수조(1)의 외저면에 취부되어진 전동모터(4) 및 그에 연동되는 감속기어조립체(5)에 연결시켜 구성되어지는 종래의 전자동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종래의 세탁조(2)내에 단턱(31)을 형성시켜 다수개의 급수공(12)이 형성된 헹굼급수판(11)을 착탈가능하게 취부시키고, 상기 헹굼급수판(11)에 연속적인 급수를 가능하게 하는 급수링조립체를 상기 세탁조(2)와 저수조(1) 사이에 취부시켜서 이루어지며, 상기 급수링조립체가 내부회전링(30), 외부고정링(21), 상기 내부회전링(24)을 세탁조(2)의 외주면에 고정시키는 내고정구(27), 상기 외부고정링(21)을 저수조(1)의 외주면에 고정시키는 외고정구(28)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급수링조립체를 구성하는 내부회전링(24), 외부고정링(21), 내고정구(27) 및 외고정구(28)가 모두 통수로로 연결되어지고, 상기 외고정구(28)의 외측단부에 급수호스(41)가 연결되어져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종래의 전자동세탁기라 함은 세탁용수를 수용하는 저수조(1)내에 세탁조(2)를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상기 세탁조(2)의 내측 하단에 수류의 형성을 위한 펄세이터(3)를 역시 회전가능하게 취부시키고, 이들 세탁조(2)와 펄세이터(3)를 저수조(1)의 외저면에 취부되어진 전동모터(4) 및 그에 연동되는 감속기어조립체(5)에 연결시켜 구성되어지는 것으로서,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극히 용이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유수의 제조업자들에 의하여 대량생산되어져 상용적으로 구입하여 이를 사용할 수 있는 정도로 널리 알려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종래의 전자동세탁기에서 세탁조(2)내에 헹굼급수판(11)을 취부시키고, 이에 헹굼용의 세탁용수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하는 급수링조립체를 취부시켜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헹굼급수판(11)은 다수개의 급수공(12)이 형성된 중공의 판으로서, 그 내부로 유입되는 헹굼용의 세탁용수를 급수공(12)을 경유하여 외부로 방출하여 방출된 헹굼용의 세탁용수가 세탁조(2)내에 투입된 세탁물에 공급되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헹굼급수판(11)은 종래의 세탁조(2)의 내주면의 일부를 후육부로 형성시켜서 이루어지는 단턱(31)에 얹혀지도록 하여 압입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취부시킬 수 있으며, 여기에서 단턱(31)이라 함은 세탁조(2)의 일부를 후육부로 형성시켜 내방으로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시킨 부분을 지칭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급수공(12)은 상기 헹굼급수판(11)의 벽면에 형성되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헹굼급수판(11)내로 유입되는 헹굼용의 세탁용수를 세탁조(2)내로 분산시켜 투입시키기 위한 구멍이다.
또한, 상기 헹굼급수판(11)이 얹혀지는 단턱(31)은 상기 헹굼급수판(11)을 세탁조(2)내에 착탈가능하게 취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되어지며, 이는 상기 세탁조(2)의 내주면의 일부를 후육부로 형성시켜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급수링조립체는 본 발명에서 최초로 도입되어지는 것으로서, 고정된 저수조(1)로부터 회전하는 세탁조(2)내에 취부된 헹굼급수판(11)내로 헹굼용의 세탁용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내부회전링(24), 외부고정링(21), 상기 내부회전링(24)을 세탁조(2)의 외주면에 고정시키는 내고정구(27), 상기 외부고정링(21)을 저수조(1)의 외주면에 고정시키는 외고정구(28)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내부회전링(24)은 상기 내고정구(27)에 의하여 세탁조(2)의 외주면에 고정되어지는 사각형의 중공의 관이 고리형의 연속되어진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그 내측면에는 각각 별개로 형성되어지는 다수개의 내관통구(26)가 형성되어지고, 그 외측면에는 하나의 연속된 내연통구(25)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후술되어지는 외부고정링(21)과의 긴밀한 면접촉을 이루며, 외부고정링(21)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외부고정링(21)은 상기 외고정구(28)에 의하여 저수조(1)의 내주면에 고정되어지는 사각형의 중공의 관이 고리형의 연속되어진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그 내측면에는 하나의 연속된 외연통구(23)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외측면에는 각각 별개로 형성되어지는 다수개의 외관통구(22)가 형성되어 지고, 전술한 바와 같은 내부회전링(24)과의 긴밀한 면접촉을 이루어, 내부회전링(24)을 면접촉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들 내부회전링(24)과 외부고정링(21)의 면접촉에 의한 회전가능한 결합은 상기 내부회전링(24)의 외측면이 상기 외부고정링(21)의 내측면과 면접촉하도록 취부시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들 내부회전링(24)의 외부고정링(21)에 대한 회전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내마모성 및 윤활성이 우수한 메탈베어링 등을 형성하는 금속재질을 가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내부회전링(24)과 외부고정링(21) 간의 내부회전링(24)의 외측면이 상기 외부고정링(21)의 내측면과 면접촉하도록 취부시켜 이루어진 결합에서 내부회전링(24)의 외측면과 이에 면접하는 외부고정링(21)의 내측면에는 동일한 연속적인 연통구들이 각각 형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외부고정링(21)에 대한 내부회전링(24)의 임의의 회전에 대하여도 항상 이들 내부회전링(24)과 외부고정링(21) 간에는 유체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외부고정링(21)의 외측면에는 각각 별개로 형성되어진 다수개의 외관통구(22)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이들 외관통구(22)에는 외부의 급수펌프 등과 유체적으로 연결된 급수호스(41)이 연결되어져 상기 외부고정링(21)내로 행굼용의 세탁용수의 급수를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내부회전링(24)의 내측면에도 각각 별개로 형성되어진 다수개의 내관통구(26)가 형성되어져 있어, 이들 내관통구(26)를 통하여 세탁조(2)내에 착탈가능하게 취부되어진 헹굼급수판(11)내로 헹굼용의 세탁용수의 급수를 가능하게 한다.
물론 이들 내부회전링(24)과 외부고정링(21)을 각각 세탁조(2)와 저수조(1)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사용되어지는 내고정구(27)와 외고정구(28)들에도 상기한 내부회전링(24)과 외부고정링(21)에의 유체적인 연결을 위한 연통로(29)가 형성되어져야 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에서 통수로라고 지칭되어진 것은 연통로(29), 내관통구(26), 내연통구(25), 외연통구(23) 및 외관통구(22)의 순으로 형성되어지는 급수링조립체에서의 유체적인 연결을 위한 구멍 또는 홈들의 연속을 일컫는 것이다.
상기에서의 내관통구(26)와 외관통구(22)들은 측벽에 형성된 구멍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한 내부회전링(24)과 외부고정링(21)을 각각 세탁조(2)와 급수호스(41) 사이의 유체적 연결을 위하여 형성된 것이며, 또한 내연통구(25)와 외연통구(23)들은 측벽에 형성된 연속적인 띠형상의 개방된 홈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한 내부회전링(24)과 외부고정링(21) 사이에서의 연속적인 유체적 연결을 위하여 형성되어진 것이다.
상기에서 연통로(29)는 각각 내고정구(27)와 외고정구(28)에 형성되어지는 것으로 역시 연속적인 띠형상의 개방된 홈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세탁조(2)와 내부회전링(24) 간 및 외부고정링(21)과 저수조(1)에 고정된 급수호스(41) 간의 유체적인 연결을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상술한 구성 및 설명에 의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헹굼급수판이 취부되어진 세탁조는 저수조(1)에 고정되어 타측단부에 급수펌프 등이 연결되어진 급수호스(41)의 일측단부에 유체적으로 연결되어진 급수링조립체의 외부고정링(21)의 측벽에 형성된 외관통구(22)로 헹굼용의 세탁용수가 유입되면, 고리형의 연속적인 형상의 외부고정링(21)의 외연통구(23)와 상기 외부고정링(21)의 내측면에 면접촉되도록 취부되어진 내부회전링(24)의 내연통구(25)를 경유하여 내부회전링(24) 내로 유입되어지고, 계속해서 역시 고리형의 연속적인 형상의 내부회전링(24)의 내관통구(26)가 내고정구(27)의 연통로(29)를 경유하여 세탁조(2)내의 헹굼급수판(11)으로 유입되어 헹굼급수판(11)의 급수공(12)을 통하여 세탁조(2) 내에서 분산되어 배출되어진다. 상기 헹굼급수판(11)으로부터 배출되어진 헹굼용의 세탁용수는 탈수 중의 세탁조(2)내의 세탁물에 용수를 공급하여 연속적인 헹굼과 동시에 탈수가 가능해질 수 있으며, 급수를 종료시킨 후, 계속 세탁조(2)를 회전시켜 잔류하는 수분을 세탁물로부터 완전히 제거하여 탈수행정까지 종료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내부회전링(24)과 외부고정링(21) 간에서 외부고정링(21)에 대하여 회전하는 내부회전링(24)에의 유체적인 연결은 이들 내부회전링(24)의 외측면과 외부고정링(21)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된 내연통구(25)과 외연통구(23)들이 연속적인 띠 형상의 개방된 홈으로 이루어져 있어 내부회전링(24)의 회전에 의하여도 항상 유체적인 연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된 저수조(1)에 고정된 급수호스(41)로 회전하는 세탁조(2)내의 헹굼급수판(11)에까지 헹굼용의 세탁용수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회전하는 탈수 중의 세탁조(2)내로 행굼용의 세탁용수를 유입시켜 세탁조(2)의 중단에서 상,하로 위치하는 세탁물에 고르게 세탁용수를 분산 공급하여 연속적인 헹굼과 동시에 탈수토록 하여 헹굼효과를 크게 상승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헹굼급수판(11)에의 급수링조립체에 의하여 세탁조(2)가 저수조(1)내에 흔들림 없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탈수시의 진동 및 그에 부수되는 소음의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경이나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이나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되어져야한다.

Claims (6)

  1. 세탁용수를 수용하는 저수조(1)내에 세탁조(2)를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상기 세탁조(2)의 내측 하단에 수류의 형성을 일한 펄세이터(3)를 역시 회전가능하게 취부시키고, 이들 세탁조(2)와 펄세이터(3)를 저수조(1)의 외저면에 취부되어진 전동모터(4) 및 그에 연동되는 감속기어조립체(5)에 연결시켜 구성되어지는 종래의 전자동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종래의 세탁조(2)내에 단턱(31)을 형성시켜 다수개의 급수공(12)이 형성된 헹굼급수판(11)을 착탈가능하게 취부시키고, 상기 헹굼급수판(11)에 연속적인 급수를 가능하게 하는 급수링조립체를 상기 세탁조(2)와 저수조(1) 사이에 취부시켜서 이루어지며, 상기 급수링조립체가 내부회전링(24), 외부고정링(21), 상기 내부회전링(24)을 세탁조(2)의 외주면에 고정시키는 내고정구(27), 상기 외부고정링(21)을 저수조(1)의 외주면에 고정시키는 외고정구(28)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급수링조립체를 구성하는 내부회전링(24), 외부고정링(21), 내고정구(27) 및 외고정구(28)가 모두 통수로로 연결되어지고, 상기 외고정구(28)의 외측단부에 급수호스(41)가 연결되어져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헹굼급수판이 취부되어진 세탁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31)이 상기 세탁조(2)의 내주면의 일부를 후육부로 형성시켜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헹굼급수판이 취부되어진 세탁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회전링(24)이 사각형의 중공의 관이 고리형의 연속되어진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그 내측면에 각각 별개로 형성되어지는 다수개의 내관통구(26)가 형성되어지고, 그 외측면에 하나의 연속된 내연통구(25)가 형성되어져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헹굼급수판이 취부되어진 세탁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고정링(21)이 사각형의 중공의 관이 고리형의 연속되어진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그 내측면에 하나의 연속된 외연통구(23)가 형성되어지고, 그 외측면에 각각 별개로 형성되어지는 다수개의 외관통구(22)가 형성되어져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헹굼급수판이 취부되어진 세탁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수로가 연통로(29), 내관통구(26), 내연통구(25), 외연통구(23) 및 외관통구(22)의 순으로 형성되어지는 급수링조립체에서의 유체적인 연결을 위한 구멍 또는 홈들의 연속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헹굼급수판이 취부되어진 세탁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로(29)가 각각 내고정구(27)와 외고정구(28)에 연속적인 띠형상의 개방된 홈의 형상으로 형성되어져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헹굼급수판이 취부되어진 세탁조.
KR1019950044874A 1995-11-29 1995-11-29 헹굼급수판이 취부되어진 세탁조 KR0162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4874A KR0162714B1 (ko) 1995-11-29 1995-11-29 헹굼급수판이 취부되어진 세탁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4874A KR0162714B1 (ko) 1995-11-29 1995-11-29 헹굼급수판이 취부되어진 세탁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489A KR970027489A (ko) 1997-06-24
KR0162714B1 true KR0162714B1 (ko) 1999-04-15

Family

ID=19436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4874A KR0162714B1 (ko) 1995-11-29 1995-11-29 헹굼급수판이 취부되어진 세탁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271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489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7650A (en) Washing machine having a spraying nozzle assembly
US20030061843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US6070439A (en) Pulsator assembly for use in a washing machine for forming water flow spouting upward
JP2007111161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9980069380A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US7171828B2 (en) Washing machine
KR0162714B1 (ko) 헹굼급수판이 취부되어진 세탁조
KR100223707B1 (ko) 세탁기의 교반장치
US6986271B2 (en) Washing machine
JPH10323486A (ja) 洗濯機
JP2000093689A (ja) 一槽二水流二洗浄方式洗濯機
US5943885A (en) Spin tub for a washing machine
KR100205433B1 (ko) 세탁기
KR100214177B1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0135831Y1 (ko) 세탁기의 세제 용해용 비산판
KR20180077638A (ko) 세탁물 처리장치
JPH11290583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0298578Y1 (ko) 세탁기
KR100215019B1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KR200160989Y1 (ko) 세탁기의 저수조카바설치구조
KR100274980B1 (ko) 드럼형 세탁기
KR200141016Y1 (ko) 세탁기
KR100236398B1 (ko) 세탁기의 교반장치
KR100249806B1 (ko) 세탁기의 교반장치
KR0135833Y1 (ko) 세탁기용 휠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