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1819B1 - 섬유폐기물을 재생가공한 2차가공 화장판재(미장판재)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섬유폐기물을 재생가공한 2차가공 화장판재(미장판재)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1819B1
KR0161819B1 KR1019960011915A KR19960011915A KR0161819B1 KR 0161819 B1 KR0161819 B1 KR 0161819B1 KR 1019960011915 A KR1019960011915 A KR 1019960011915A KR 19960011915 A KR19960011915 A KR 19960011915A KR 0161819 B1 KR0161819 B1 KR 0161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waste
temperature
cosmetic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1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9268A (ko
Inventor
한정광
이관배
Original Assignee
한정광
이관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정광, 이관배 filed Critical 한정광
Priority to KR1019960011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1819B1/ko
Publication of KR970069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9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1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18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4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from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8Moulding or pressing
    • B27N3/20Moulding or pressing characterised by using platen-presses
    • B27N3/203Moulding or pressing characterised by using platen-presses with heating or 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28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forming shaped art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회사나 의류제조업체 등에서 섬유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화학섬유 및 천연섬유 등의 폐섬유를 수거하여 절단 및 타면시킨 후 이 타면설에 열경화성 수지인 멜라민수지를 결합체로 첨가하여 혼합하고 이 소재를 고열과 고압에서 가압, 성형하여 급속냉각시킨 섬유판재를 1차 성형한 후 이 섬유판재상에 문양지(Paper), 무늬목(Fancy), 비닐(Vinyl), 저압멜라민(LPM), 고압멜라민(HPM), 압축지(DAP), 압착지(Hi-ton)등을 사용용도에 따라 선택하여 열압프레스 또는 냉각압착 가공방법으로 접착가공한 화장판재(미장판재)를 성형시켜 기존의 판재와 대체 사용할 수 있도록 발명된 섬유폐기물을 재생가공한 2차 가공화장판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섬유폐기물을 재생가공한 2차가공 화장판재(미장판재) 제조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섬유제품 제조공장에서 제품생산중에 버려지는 폐화학섬유를 재생 가공한 섬유판재상에 각종 무늬판을 접착가공한 화장판재(미장판재)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섬유폐기물을 재생가공한 2차가공 화장판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섬유제품 제조공장에서 생산중에 발생하는 폐섬유와 천조각 또는 이미 사용된 후 폐기되는 폐섬유류의 양이 상당한 수준을 넘어서 있으므로 폐기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심각한 문제가 대두되었다. 즉, 폐섬유를 매립시에는 수십년간 썩지 않으므로 땅 속의 산소공급을 차단하여 토양의 황폐화가 발생되며, 소각의 경우에는 유황, 미지트, 다이옥신 등의 유해성 가스가 발생되어 대기오염을 심화시킴은 물론 대기권의 오존층을 파괴함에 따라 햇빛에 의한 피부암의 원인이 되므로 최근에는 일개국의 문제가 아닌 세계적으로 지구환경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어 세계무역기구가 제창하는 공해산업의 수출금지조치와 함께, 자원의 무기화로 산유국의 발언권이 강화되고 있으며, 목재와 철 또한, 한정된 국가에서 한정된 양을 갖고 있으므로 앞으로 약 30년후에는 고갈된 위기에 처해 있어, 대체 제품의 개발을 서둘러야할 중대한 시점에와 있는 것이다.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써, 섬유회사나 의류제조업체 등에서 섬유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화학섬유의 폐섬유를 수거하여 절단 및 타면시킨 후 이 타면설에 열경화성 수지인 멜라민수지(Melamin Resin)를 결합체로 첨가하여 혼합하고 이 소재를 고열과 고압에서 가압, 성형하여 급속냉각시킨 섬유판재를 1차 성형한 후 이 섬유판재상에 문양지(Paper), 무늬목(Fancy), 비닐(Vinyl) 저압멜라민(LPM), 고압멜라민(HPM), 압축지(DAP), 압착지(Hi-ton)등을 사용용도에 따라 선택하여 접착가공한 후 열압프레스 또는 냉각압착가공방법으로, 2차 열압하여 화장판재를 형성하므로서 고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폐화학섬유를 5cm이하의 조각편으로 절단시켜서 타면기에 넣어 솜처럼 타면한다. 상기 타면된 폐섬유를 롤타입(Roll Type)으로 감아서 완성된 소재의 타면설에 열경화성 수지인 에말존수지(Emaljon Resin) 또는 멜라민수지(Melamin Resin)를 30g/m2단위로 도포(Spray) 또는 분말(Powder)로 표면처리한다. 상기 수지가 도포된 폐섬유의 소재는 수분함량이 13% 이하가 되도록 건조하고 건조시 투입온도와 인출 온도는 120℃ 정도로 일정하게 하며 건조온도는 140℃로 한다. 상기 건조가 완료된 소재는 사용제품의 규격별로 절단하고, 절단된 소재를 열압프레스에서 온도 200℃(온도편차 ±5이내), 압력 60kg/cm2로 1~12분내에 열압·성형한 후 냉압프레스에서 급속냉각하여 원자재인 섬유판재를 1차로 성형하고, 2차로 완성된 섬유판재를 3×6자 또는 4×8자 등의 규격치수로 절단한 다음 판재에 풀칠한 후 문양지 접착(Paper Overlay), 저압 멜라민판 접착(LPM : Low Pressure Melamin), 압축지(Dap), 압착지(Hi-ton)등을 접착 후 함수율 8%~13%로 스프레이시켜 열압성형프레스로 접착가공하여 화장판재(미장판재)를 제조하는 방법과 또는 규격별로 절단된 섬유판재상에 섬유류(Cloth), 비닐류(Vinyl Overlay), 고압멜라민판(HPM : High Pressure Melamin)등은 냉간압착가공방법으로 접착가공하여 화장판재를 완성한 것으로서, 상품에 적합하도록 가공하여 제조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품의 강도를 높이기위하여 폐화학섬유 휄트사이에 유리섬유를 삽입시켜 삽입시켜 섬유폐기물을 재생가공한 신소재 섬유판재에 문양지, 저압멜라민판, 압축지, 압착지 등을 접착가공하여 화장판재를 성형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제조방법에 의하여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폐섬유 절단설 1kg 수용성 멜라민수지 500g을 혼합기에서 교반하여 결합제가 폐화학섬유 절단설에 골고루 흡수되게한 후 건조기에서 수분함량을 13%이하가 되도록 건조시킨 다음 폐화학섬유 절단설을 열압프레스에서 온도 200℃, 압력 60kg/cm2, 가압시간 15분간 압축성형하여 급속냉각시켜 원자재를 성형한 후 이에 문양지 등을 접착가공하여 화장판재를 성형할 수 있도록된 제조방법과,
[실시예 2]
폐화학섬유 휄트에 수용성 멜라민수지를 스프레이로 30g/m2단위로 양면 도포하고 건조기에서 수분함량을 13%이하로 조절한 후 열압프레스에서 온도 210℃, 단위압력 70kg/cm2로 초기에어를 방출하고 5분간 성형한 다음 냉각프레스에서 약 2분간을 급속 냉각하여 완성된 판재에 문양지 등을 접착가공하여 화장판재를 성형할 수 있도록 된 제조방법과,
[실시예 3]
폐화학섬유 타면설에 분말 타입(Powder Type)의 페놀수지 30g/m2로 분말이 잘섞이도록 교반하고, 건조기에서 수분함량을 13%이하로하여 판넬 형태로 재단한 후 200도의 가열된 열압프레스에서 70kg/cm2의 압력으로 투입초기에 에어를 방출하고 5분간 압축성형한 다음 냉각프레스에서 약 2분간 급속냉각하여 원자재를 형성하여 문양지 등을 접착 가공하여 화장판재를 성형할 수 있도록 된 제조방법과,
[실시예 4]
폐화학섬유 휄트에 수용성 멜라민 수지를 30g/m2의 양으로 양면도포하고, 수분함량을 13%이하로 조절한 후 휄트사이에 그라스울 시트(Grasswool Sheet)를 삽입하여 성형온도 210℃, 단위압력 70kg/cm2로 조정하고 초기에어를 방출하여 약5분간 성형시켜 완료된 제품을 냉각프레스에서 약2분간 급속냉각하여 완성된 원자재 판재상에 문양지 등을 접착가공하여 제품강도가 대단히 우수한 화장판재를 성형할 수 있도록 된 제조방법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섬유회사나 의류제조업체 등에서 섬유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화학섬유의 폐화학섬유를 주원료한 것을 가공한 타면설 즉 폐화학섬유 휄트에 결합제인 열경화성 수지류인 페롤 수지 또는 요소수지, 멜라민 수지 등을 30g/m2의 양으로 균일하게 양면도포한 후, 휄트의 함수량이 13%이하가 되도록 건조시키고, 건조된 휄트를 용도별로 정해진 제품의 치수로 재단하여 사용온도 210℃의 열압프레스에 넣고, 제품의 불량을 줄이기 위해서 에어를 방출한 후 제품의 단위압력이 70kg/cm2이 되도록하여 약5~10분간을 압축·성형시키고, 가압성형이 완료된 제품은 꺼내어 다시 냉각프레스에서 급속냉각하여 제품을 완성하게 된다.
이 때의 제품은 섬유판재로서 화장판재의 원자재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완성된 섬유판재를 사용규격치수로 절단한 후 문양지(Paper), 무늬목(Fancy), 저압멜라민(LPM : Low Pressure Melamin), 압축지(DAP), 압착지(Hi-ton)등을 열압프레스로 가공하여 화장판재(미장판재)를 성형하고, 섬유판재상에 섬유류(Cloth), 비닐류(Vinyl), 고압멜라민(HPM : High Pressure Melamin)등을 접착가공시에는 냉각 압착가공방법으로 화장판재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간단하게 요약하면, 폐화학섬유 수거→선별→절단(5cm이하)→타면→침봉고정→수지분사→건조(수분함량 13% 이하)→재단→성형→급속냉각→검사→원자재→도포(풀칠)→화장지접착→함수율 8%~13%로 스프레이→열압·접착→가공→미장판재완성의 공정순서를 갖게 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화장판재를 주원료인 폐화학섬유 판재와 결합제인 열경화성수지는 그 유리전이 온도이상으로 가열하여 고압과 고열에서 용착시킴으로써 이 수지는 제품의 표면상태를 우수하게 만들고, 화학사 또한 고열 고압에서 용착이 되면서 제품의 강도가 높고, 깨어지거나 균열되는 것을 방지할뿐만 아니라, 방수성, 내한성, 가공성, 방음성, 내열성이 높고, 표면이 내마모성되어 천장재, 바닥재, 벽재 및 기타의 건축미장재와 일반 인테리어용의 가공판재로 적합하고 기존의 석고보드, 파티컬보드, 합판, 철판 등의 대체 제품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쓰레기를 줄여 환경 오염 방지에 일익을 담당할 수 있으며, 원목의 수입 대체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 것이다.

Claims (3)

  1. 폐화학섬유를 5cm 이하의 조각편으로 절단시켜 타면기에 넣어 솜처럼 타면하여 롤타입(Roll Type)으로 감아서된 소재의 타면설에 열경화성 수지를 30g/m2단위로 도포하여 표면처리한 후 수분함량이 13%이하가 되도록 건조하고, 건조시 투입온도와 인출온도는 120℃ 정도로 일정하게 하며 건조온도는 140℃로 한다. 상기 건조가 완료된 소재는 사용제품의 규격별로 절단하고, 절단된 소재를 열압프레스에서 온도 200℃(온도편차 ±5이내), 압력 60kg/cm2로 1~12분내에 열압·성형한 후 냉압 프레스에서 급속냉각하여 원자재인 섬유판재를 1차로 형성하고, 2차로 완성된 섬유 판재에 풀칠한 후에 이에 문양지(Paper)혹은 압축지(DAP)를 접착하고 함수율이 8%~13%가 되도록 스프레이시켜 열압성형 프레스로 접착가공하여 화장판재(미장판재)를 성형할 수 있도록된 섬유폐기물을 재생가공한 2차가공 화장판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원자재인 섬유판재상에 섬유류(Cloth) 혹은 비닐류(Vinyl Overlay)를 냉간압착 가공방법으로 접착가공하여 화장판재를 성형할 수 있도록 된 섬유폐기물을 재생가공한 2차 가공화장판재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폐화학섬유 휄트에 수용성 멜라민수지를 30g/m2의 양으로 양면 도포하고 수분함량을 13%이하로 조절한 후 휄트사이에 그라스울 시트(Grasswool Sheet)를 삽입하여 성형온도 210℃, 단위압력 70kg/cm2로 조정하고 초기 에어를 방출하여 약5분간 성형시켜 제품을 냉각프레스에서 약 2분간 급속냉각하여 완성된 원자재의 섬유판재에 저압 멜라민판(LPM : Low Pressure Melamin)을 냉각압착 가공방법으로 접착가공하여 제품강도가 대단히 우수한 화장판재를 성형할 수 있도록 된 섬유폐기물을 재생가공한 2차 가공화장판재 제조방법.
KR1019960011915A 1996-04-19 1996-04-19 섬유폐기물을 재생가공한 2차가공 화장판재(미장판재)제조방법 KR0161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915A KR0161819B1 (ko) 1996-04-19 1996-04-19 섬유폐기물을 재생가공한 2차가공 화장판재(미장판재)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915A KR0161819B1 (ko) 1996-04-19 1996-04-19 섬유폐기물을 재생가공한 2차가공 화장판재(미장판재)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268A KR970069268A (ko) 1997-11-07
KR0161819B1 true KR0161819B1 (ko) 1999-01-15

Family

ID=19456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1915A KR0161819B1 (ko) 1996-04-19 1996-04-19 섬유폐기물을 재생가공한 2차가공 화장판재(미장판재)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18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516A (ko) * 2000-07-19 2000-11-06 조춘남 건축내장재 및 나무자리용 목편 제조방법 및 그 목편
KR100800169B1 (ko) * 2006-05-29 2008-01-31 임근영 인쇄지가 부착된 상의 상판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상의 상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516A (ko) * 2000-07-19 2000-11-06 조춘남 건축내장재 및 나무자리용 목편 제조방법 및 그 목편
KR100800169B1 (ko) * 2006-05-29 2008-01-31 임근영 인쇄지가 부착된 상의 상판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상의 상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268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27841B (zh) 一种环保阻燃秸秆板的制造工艺
CN111217560A (zh) 一种无石棉秸秆纤维增强水泥板及其制备方法
CN105382911B (zh) 一种农作物秸秆建筑外墙保温板材的制备方法
EP0644861B1 (de) Dämmstoff auf basis von altrohstoffen und faserigen rohstoffen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N107216814A (zh) 一种环保阻燃无机胶黏剂及其制备方法
CN107117927A (zh) 一种环保阻燃秸秆板
CA1209313A (en) Process for preparing flat articles which have been moulded into any desired shape and which are based on defibrated components of wood
KR0161818B1 (ko) 섬유폐기물을 재생가공한 신소재 섬유판재의 제조방법
KR0161819B1 (ko) 섬유폐기물을 재생가공한 2차가공 화장판재(미장판재)제조방법
CN1393324A (zh) 利用草木粉碎物和粘土的多样的板材和板材组合物及其制造方法
KR100214379B1 (ko) 짚을 가공한 천연신소재의 인조합판 제조방법
WO2006046840A1 (en) A fibroid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492253B1 (ko) 천연석수지섬유복합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95908A (ko) 목섬유를 활용한 기능성 경량 목섬유 단열재
WO1997004184A2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interior plate boards for construction
KR100300092B1 (ko) 건축용 내장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47237A (ko) 폐합성섬유를 이용한 섬유판재 제조방법
CN104203849B (zh) 形成耐火和耐热玻璃纤维产品的方法和相关的设备
KR950012873B1 (ko) 내노화성 내,외장재의 제조방법
KR0161223B1 (ko) 섬유폐기물을 재생가공한 신소재 완충봉투제조방법
KR0178121B1 (ko) 섬유폐기물을 이용한 건축용 판넬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970001512Y1 (ko) 폐섬유를 이용한 인조장판
KR960007825B1 (ko) 폐섬유를 이용한 합판대용품의 제조방법
KR20070065854A (ko) 폐섬유를 활용한 건축용 요철형 흡음판재
KR100295089B1 (ko) 제지슬러지를이용한판재의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