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0585B1 - 디지탈 이동통신 교환기에 있어서 하위 유지보수 정합 프로세서와 중계선 선로시험장비간의 인터페이스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탈 이동통신 교환기에 있어서 하위 유지보수 정합 프로세서와 중계선 선로시험장비간의 인터페이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0585B1
KR0160585B1 KR1019950040548A KR19950040548A KR0160585B1 KR 0160585 B1 KR0160585 B1 KR 0160585B1 KR 1019950040548 A KR1019950040548 A KR 1019950040548A KR 19950040548 A KR19950040548 A KR 19950040548A KR 0160585 B1 KR0160585 B1 KR 0160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board
request information
lower maintenance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0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2215A (ko
Inventor
이상호
김성희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50040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0585B1/ko
Publication of KR970032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2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0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0585B1/ko

Links

Landscapes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위 유지보수 정합 프로세서와 아날로그 특성시험보드, 캐로트 정합보드, 원격응답보드와 디지탈 특성시험보드로 구성되는 중계선 선로시험장비간의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하위 유지보수 정합 프로세서가 이동통신 교환기의 중계선 시험블럭으로부터 시험요구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시험요구정보를 수신하면, 시험대상장비 및 시험종류에 따라 하위 유지보수 정합 프로세서로부터 TD-버스를 통해 중계선 선로시험장비의 해당 보드로 시험요구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하위 유지보수 정합 프로세서로부터 시험요구정보를 받아서 상기 아날로그 특성시험보드, 캐로트 정합보드와 원격응답보드를 아날로그 가입자 라인을 통해 아날로그 가입자 정합장치와 연결시켜 아날로그 특성시험을 수행하는 단계와 하위 유지보수 정합 프로세서로부터 시험요구정보를 받아서 상기 디지탈 특성시험보드를 타임스위치에 연결시켜 디지탈 특성시험을 수행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전용 인터페이스 보드를 제거하고, ASMP에서 TTTU의 각 기능보드와 직접 데이터 전달이 가능한 구조로 개선하였으므로 인터페이스 방법의 간소화 및 처리속도를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탈 이동통신 교환기에 있어서 하위 유지보수 정합 프로세서와 중계선 선로시험장비간의 인터페이스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체적인 하드웨어 구성도.
제2도는 중계선 선로시험장비와 관련 주변장치와의 연결 구성도.
제3도는 중계선 선로시험장비의 어드레스 할당방법에 대한 예시도.
제4도는 중계선 선로시험장비의 메모리 사용영역에 대한 예시도.
제5도는 중계선 선로시험에 대한 하위 유지보수 프로세서의 동작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MSC 11 : OMP
12 : TLTM 13 : ASP
14 : 호처리 15 : TLT
16,25 : ASMP 17 : ASMI
18,20 : TTTU 21 : TNTA
22 : TCTA 23 : TFRA
24 : TDTA 26 : TD-버스
27 : ASI 28 : TSW
본 발명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디지탈 이동통신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망의 통화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이동통신 교환기간 중계선의 전송특성을 측정하는 중계선 선로시험 기능중 이동통신 교환기의 하위 유지보수 정합 프로세서(Access Switching Maintenance Processor;이하 ASMP라 칭함)와 중계선 선로시험장비(TDX-10 Trunk Test Unit; 이하 TTTU라 칭함)간의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CDMA 디지탈 이동통신망에서 이동통신 교환기의 연결은 T1/E1 방식의 중계선을 통해 이루어져 있으며, 이동통신 교환기간 중계선의 전송품질은 이동통신망 전체 통화 서비스 품질을 결정지울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중계선 선로시험 기능은 종래의 TTTU를 수용한 TDX-10 교환기에 서로 이루어져 왔으나, 이동통신 교환기에서는 시험장비의 구성모듈 및 인터페이스 구조를 개량한 신형 TTTU를 이용하여 그 기능을 구현하였다.
종래의 TTTU 인터페이스 방법은 각 기능별 다수개의 보드로 구성된 TTTU에 ASMP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전용 인터페이스 보드를 구성하고, 이 전용 인터페이스 보드를 통하여 ASMP와 TTTU의 나머지 기능보드간의 데이터 전달이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탈 이동통신 교환기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보드를 없애고 ASMP에서 TTTU의 각 기능보드와 직접 데이터 전달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ASMP와 TTTU간의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디지탈 이동통신 교환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하위 유지보수 정합 프로세서와 아날로그 특성시험보드, 캐로트 정합보드, 원격응답보드와 디지탈 특성시험보드로 구성되는 중계선 선로시험장비간의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위 유지보수 정합 프로세서가 이동통신 교환기의 중게선 시험블럭으로부터 시험요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시험요구 정보를 수신하면 시험대상장비 및 시험종류에 따라 상기 하위 유지보수 정합 프로세서로부터 TD-버스를 통해 상기 중계선 선로시험장비의 해당 보드로 시험요구정보를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하위 유지보수 정합 프로세서로부터 시험요구 정보를 받아서 아날로그 특성시험보드, 캐로트 정합보드와 원격응답보드를 아날로그 가입자 라인을 통해 아날로그 가입자 정합장치와 연결시켜 아날로그 특성시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하위유지보수 정합 프로세서로부터 시험요구정보를 받아서 상기 디지탈 특성시험보드를 타임스위치에 연결시켜 디지탈 특성시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동통신망의 중계선 선로시험 기능은 이동통신 교환기와 이동통신 교환기 사이의 중계선을 대상으로 디지탈 및 아날로그 전송특성을 측정한다.
여기서, 디지탈 특성 측정은 전송비트의 오율을 측정하는 것이며, 아날로그 특성 측정은 전송주파수손실 및 전송잡음 등을 측정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체적인 하드웨어 구성도로서, 중계선 선로시험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중계선 선로시험 기능을 제어하는 이동통신 교환기(MSC:Mobile Switching Center)(10)에 구성된 중계선 선로시험 관련 소프트웨어 기능으로는, 운용/유지보수 프로세서(OMP;Operation and Maintenance Processor)(11)에 탑재되어 중계선 선로시험의 관리 및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중계선 시험관리블럭(TLTM ; Trunk Line Test Maintencnce)(12)과 , 호제어 프로세서(ASP : Access Switching Processor)(13)에 탑재되어 호처리블럭(14)과 상호연동되어 중계선 선로시험에 이용되는 경로구성 및 중계선 선로시험의 실질적인 수행을 제어하는 중계선 시험블럭(Trunk Line Test;이하 TLT라 칭함)(14)과, ASMP(16)에 탑재되어 장애검출기능 및 중계선 선로시험장비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하위 유지보수 정합블럭(ASMI;Access Switching Maintenance Interface)(17)와 TTTU(18)로 구성된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기능의 제어에 의해 중계선로의 전송특성을 측정하는 하드웨어 TTTU(18)의 동작을 살펴보면, ASMI(17)로부터 중계선 선로시험 요구정보를 받아 대상 중게선로의 전송특성을 측정하고, 측정결과를 이동통신 교환기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중계선 용량에 따라 다수개의 TTTU가 하나의 이동통신 교환기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중계선 선로시험 기능은 이동통신 교환기 사용자(19)의 지시에 의해 시작된다.
제2도는 중계선 선로시험장비와 관련 주변장치와의 연결 구성도이다.
이동통신망에 적용된 중계선 선로시험장비는 수행기능에 따라 4종의 보드로 구성된 신형 TTTU(20)로서, TDX-10에서 사용되던 종래의 TTTU에 비해 크기가 1/2로 축소된 형태이다.
여기서, 4종의 보드로는 아날로그 특성시험보드(TNTA;Trunk Near-end responder Test board Assembly)(21)와, 중앙처리형 시험장비인 캐로트(carot) 장비에 대한 정합기능을 수행하는 캐로트 정합보드(TCTA;Trunk Carot Test interface board Assembly)(22)와, 대국 시험장비에 대한 응답장치로 동작하는 원격응답보드(TFRA;Trunk Far-end responder Test board Assembly)(23)와, 디지탈 특성시험보드(TDTA;Trunk Digital Test board Assembly)(24)가 있다.
여기서 ASMP(25)는 이동통신 교환기의 TLT(제1도의 15)로부터 시험 요구정보를 수신한 후, 시험대장장비 및 시험종류에 따라 해당 보드로 시험요구정보를 전달한다.
TDX-10에 사용되었던 종래 TTTU는 ASMP와의 정보전달을 위해 전용 인터페이스 보드를 두었으나,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 교환기에 적용한 신형 TTTU는 ASMP(25)에서 각 TTTU(20)의 TNTA(21), TCTA(22), TFTA(23), TDTA(24) 보드를 TD(Telephony Device)-버스(26)를 통해 직접 억세스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한다.
ASMP(25)로부터 시험요구정보를 받아서 중계선의 특성측정을 하기 위한 접속구조로, 아날로그 특성시험 수행을 위해 사용되는 TNTA(21), TCTA(22), TFTA(23) 보드는 아날로그 가입자 라인을 통해 아날로그 가입자 정합장치(ASI;Analog Subscriber Interface)(27)에 연결되며 TDTA(24)는 타임스위치(TSW;Time SWitch)(28)에 연결된다.
제3도는 중계선 선로시험장비의 어드레스 할당방법에 대한 예시도이다.
ASMP(제2도의 25)에서 각 TTTU(제2도의 20)의 구성보드를 직접 억세스하기 위해서는 구성보드 각각에 고유의 어드레스를 할당해야 하며, 그 어드레스는 16비트 형식으로 할당된다.
A15~A13의 3비트는 TTTU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TTTU 어드레스 필드(30)이고, A12, A11의 2비트는 각 구성보드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PBA 어드레스 필드(31)이고, A10~A0의 11비트는 각 보드의 메모리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메모리 어드레스 필드(32)를 각각 나타낸다.
제4도는 중계선 선로시험장비의 메모리 사용영역에 대한 예시도이다.
000H~17FH 영역은 시스템 영역으로 확보하고 있는 영역(40)으로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180H~19FH 영역은 송신 데이터 영역(41)으로서 ASMP(제2도의 25)에서 TTTU(제2도의 20)의 각 구성보드로 전달되는 데이터가 수록된다.
1A0H~7FCH 영역은 수신 데이터영역(42)으로서 TTTU의 각 구성보드로부터 ASMP에 전달되는 데이터가 수록된다.
7FDH의 수신 플래그영역(53)은 TTTU의 각 구성보드에서 ASMP로 데이터를 전달할 때 수신 데이터영역(42)에 ASMP로 전달할 데이터 수록을 완료했음을 알리는 플래그 영역으로 사용된다.
7FFFH 의 송신 플래그영역(44)은 ASMP에서 TTTU의 각 구성보드로 데이터를 전달할 때 송신 데이터영역(41)에 전달할 데이터 수록을 완료한 후 송신 플래그영역(44)을 통해 인터럽트를 발생시킴으로써 TTTU에게 데이터 전달이 있음을 알린다.
요약하면, TTTU의 각 구성보드의 메모리를 데이터 송신 및 수신 영역으로 구분하고, ASMP에서 TTTU로 데이터 송신시에는 인터럽트 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며, 그 반대의 수신시에는 폴링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5도는 중계선 선로시험에 대한 하위 유지보수 프로세서의 동작흐름도이다.
ASMP(제1도의 16)는 TLT (제1도의 15)로부터 대상장비 및 시험종류가 나타난 중계선 시험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제50단계), 시험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시험정보 관리테이블을 생성한다(제51단계).
시험정보 관리테이블에는 TLT 의 프로세스번호, 시험종료시간, 시험진행여부, 폴링타이머번호, 폴링카운터 등이 수록된다.
제51단계에서 시험정보 관리테이블 생성이 완료되면, TLT 로부터 수신한 시험요구 메시지의 내용에 따라 시험대상 TTTU, 시험대상보드의 송신 데이터영역에 시험요구 정보를 기록하고(제52단계), 송신 플래그 영역에 EEH를 기록하여 TTTU에 송신 인터럽트를 발생한다(제53단계).
송신 인터럽트가 발생되면 TTTU는 시험요구 정보에 따라 시험을 수행하게 된다.
ASMP는 송신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TTTU로 시험요구 정보를 전달한 후, 시험결과를 받기 위해 수신 폴링 타이머를 등록한다(제54단계).
일정시간 후 등록된 폴링 타이머를 수신하면(제55단계), 수신 플래그 영역에 기록된 값을 읽어서 TTTU의 시험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한다(제56단계).
수신 플래그영역에 기록된 값이 EEH 이면 시험이 완료된 것으로 인지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시 수신 폴링 타이머를 등록하는 제54단계로 돌아간다.
수신 플래그 영역의 EEH 값을 통해 TTTU의 시험완료를 인지하면, 수신 데이터영역의 시험결과를 읽어 버퍼에 저장한다(제57단계).
수신 데이터영역의 시험결과를 읽어 들이는 과정이 완료되면, 시험정보 관리테이블에 저장된 TLT 프로세스로 시험결과 메시지를 송신하고(제58단계), 그동안 사용되었던 플래그 및 버퍼를 초기화한 후 종료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교환기 뿐만 아니라 TDX-10을 근간으로 구성된 타 교환시스템의 중계선 선로시험에 직접 또는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중계선에 접속된 타 통신시스템이 중계선 선로시험에 변형,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탈 이동통신 교환기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중계선 선로시험장비간의 인터페이스 방법은 종래의 전용 인터페이스 보드를 제거하고, ASMP에서 TTTU의 각 기능보드와 직접 데이터 전달이 가능한 구조로 개선하였으므로 인터페이스 방법의 간소화 및 처리속도를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이 속한 기술적 사상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6)

  1. 하위유지보수 정합 프로세서와 아날로그 특성시험보드, 캐로트 정합보드, 원격응답보드와 디지탈 특성시험보드로 구성되는 중계선 선로시험장비간의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위 유지보수 정합 프로세서가 이동통신 교환기의 중계선 시험블럭으로부터 시험요구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험요구정보를 수신하면, 시험대상장비 및 시험종류에 따라 상기 하위 유지보수 정합 프로세서로부터 TD-버스를 통해 상기 중계선 선로시험장비의 해당 보드로 시험요구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하위 유지보수 정합 프로세서로부터 시험요구정보를 받아서 아날로그 특성시험보드, 캐로트 정합보드와 원격응답보드를 아날로그 가입자 라인을 통해 아날로그 가입자 정합장치와 연결시켜 아날로그 특성시험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하위 유지보수 정합 프로세서로부터 시험요구정보를 받아서 상기 디지탈 특성시험보드를 타임스위치에 연결시켜 디지탈 특성시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위 유지보수 정합 프로세서와 중계선 선로시험장비간의 인터페이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및 디지탈 특성시험 수행단계는 상기 시험요구정보를 수신하면 시험정보 관리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시험정보 관리테이블 생성이 완료되면, 상기 중계선 시험블럭으로부터 수신한 시험요구 정보의 내용에 따라 시험대상장비, 시험대상보드의 송신 데이터 영역에 시험요구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송신 플래그영역에 EEH를 기록하여 송신 인터럽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송신 인터럽트가 발생되면 상기 중계선 선로시험장비가 시험요구정보에 따라 시험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하위 유지보수 정합 프로세서가 상기 중계선 선로시험장비로부터 시험결과를 받기 위해 수신 폴링 타이머를 등록하는 단계; 일정시간 후 등록된 폴링 타이머를 수신하면, 수신 플래그영역에 기록된 값을 읽어서 상기 중계선 선로시험장비의 시험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수신 플래그영역에 기록된 값이 EEH 이면 시험이 완료된 것으로 인지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시 수신 폴링 타이머를 등록하는 단계로 복귀하는 단계; 상기 수신 플래그영역의 EEH값을 통해 상기 중계선 선로시험장비의 시험완료를 인지하면, 상기 수신 데이터영역의 시험결과를 읽어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시험정보 관리테이블에 저장된 TLT 프로세스로 시험결과 메시지를 송신하고, 사용된 플래그 및 버퍼를 초기화한후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위 유지보수 정합 프로세서와 중계선 선로시험장비간의 인터페이스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유지보수 정합 프로세서에서 상기 중계선 선로시험 장비의 각 구성보드를 직접 엑세스하기 위해서 상기 구성보드 각각에 고유의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위 유지보수 정합 프로세서와 중계선 선로시험장비간의 인터페이스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보드 각각에 구성되는 어드레스는 중계선 선로시험 장비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어드레스 필드, 각 구성보드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어드레스 필드와 각 구성보드의 메모리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어드레스 필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위 유지보수 정합 프로세서와 중계선 선로시험장비간의 인터페이스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선 선로시험장비의 메모리는 시스템 영역, 송신 데이터영역, 수신데이타 영역, 수신 플래그 영역과 송신 플래그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위 유지보수 정합프로세서와 중계선 선로시험장비간의 인터페이스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유지보수 정합 프로세서에서 중계선 선로시험장비로 데이터 송신시에는 인터럽트 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며, 그 반대의 수신시에는 폴링 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위 유지보수 정합 프로세서와 중계선 선로시험장비간의 인터페이스 방법.
KR1019950040548A 1995-11-09 1995-11-09 디지탈 이동통신 교환기에 있어서 하위 유지보수 정합 프로세서와 중계선 선로시험장비간의 인터페이스 방법 KR0160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0548A KR0160585B1 (ko) 1995-11-09 1995-11-09 디지탈 이동통신 교환기에 있어서 하위 유지보수 정합 프로세서와 중계선 선로시험장비간의 인터페이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0548A KR0160585B1 (ko) 1995-11-09 1995-11-09 디지탈 이동통신 교환기에 있어서 하위 유지보수 정합 프로세서와 중계선 선로시험장비간의 인터페이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215A KR970032215A (ko) 1997-06-26
KR0160585B1 true KR0160585B1 (ko) 1998-12-01

Family

ID=19433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0548A KR0160585B1 (ko) 1995-11-09 1995-11-09 디지탈 이동통신 교환기에 있어서 하위 유지보수 정합 프로세서와 중계선 선로시험장비간의 인터페이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05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3942B1 (ko) * 2000-04-20 2002-04-22 박종섭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기의 하위 프로세서 구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899A (ko) * 2000-02-22 2001-08-31 박종섭 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선과 신호장비간의 연결 경로시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3942B1 (ko) * 2000-04-20 2002-04-22 박종섭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기의 하위 프로세서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215A (ko) 199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16455B2 (ja) 無線モデム
US6667960B1 (en) Protocol for identifying components in a point-to-point computer system
KR0160585B1 (ko) 디지탈 이동통신 교환기에 있어서 하위 유지보수 정합 프로세서와 중계선 선로시험장비간의 인터페이스 방법
PT1554903E (pt) Sistema de transmissão de mensagens e método para a utilização de cartões sim através de acesso remoto para ligações económicas entre redes fixas e redes de radiocomunicação móvel
JP4295676B2 (ja) 遠距離通信番号を決定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0255421B1 (ko) 전전자교환기에서의데이터처리용통합단말장치및방법
KR100247435B1 (ko) 국간 선로 테스트 제어의 중앙 집중 운용 시스템을 이용한테스트 검증 장치
KR960013971B1 (ko) 중용량 사설 교환기의 어텐던트 콘솔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0222735B1 (ko) 개인 이동 통신 교환기와 홈 위치 등록기 간의 호처리 시험 방법
KR0135538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아이피씨(ipc)메시지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Luderer et al. A virtual circuit switch as the basis for distributed systems
KR930007229B1 (ko) Lsp에서 범용 신호 송수신 회로팩에 대한 동작 모드 지정방법
KR100325173B1 (ko) 전전자교환기의 호처리 성능 테스트 방법
JP3221588B2 (ja) 通信インタフェースモジュール及び通信制御方法
KR0161757B1 (ko) 종합정보통신망용 교환시스템에서 티-에스-티(t-s-t) 스위치 네트워크의 유휴채널 순차검색 방법
KR100201945B1 (ko) 다양한 라인 신호 정합방법 및 장치
JP2855768B2 (ja) メッセージ転送試験方法
KR100258753B1 (ko) 전전자 교환기의 디에스피에이 블록간 통신 방법
KR930008053B1 (ko) 가입자 실장정보 로딩방법
CN115102880A (zh) 网卡测试方法、系统、终端及存储介质
CN117424946A (zh) 通信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3025021B2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端末装置
KR0152217B1 (ko) 전전자 교환기 시험장치에서의 제어기
KR0149592B1 (ko) 교환기에 있어서 문답처리에 따른 트랜잭션 번호부여 및 관리방법
CN101489324B (zh) 建立链路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