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0557B1 - 램프 조립체 장착 구조물 - Google Patents

램프 조립체 장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0557B1
KR0160557B1 KR1019950017232A KR19950017232A KR0160557B1 KR 0160557 B1 KR0160557 B1 KR 0160557B1 KR 1019950017232 A KR1019950017232 A KR 1019950017232A KR 19950017232 A KR19950017232 A KR 19950017232A KR 0160557 B1 KR0160557 B1 KR 0160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lamp assembly
socket
locking memb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7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607A (ko
Inventor
마꼬또 이와사끼
히로시 조니시
Original Assignee
이소가이 찌세이
가부시끼 가이샤 도요다 지도쇽끼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가이 찌세이, 가부시끼 가이샤 도요다 지도쇽끼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이소가이 찌세이
Publication of KR960000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0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05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9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built in the vehicle body
    • B60Q1/2623Details of the fast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9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built in the vehicle body
    • B60Q1/265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built in the vehicle body with arrangement for sealing the device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or for concealing gaps between the device and the vehicle body

Abstract

램프 조립체는 바광부(38)와 베이스부(39)를 갖는 전구(30)를 갖는다. 하우징(32)은 베이스부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소켓부(42)와 발광부(38)를 둘러싸는 반사부(43)를 갖는다. 램프 조립체용 장착 구조물은 소켓부(42)가 삽입 관통되는 개구(52)를 갖는 패널(36)을 포함한다. 반사부(43)와 패널(36) 사이에서 개구(52)를 둘러싸기 위해 개구(52)의 둘레 주위에는 시일(58)이 배치된다. 클램프(36)와 시일(58)을 반사부(43)와 함께 클램핑시키기 위해 고정 부재(60, 84, 98, 101)에는 패널(36)의 내부와 맞닿는 소켓부(42)가 제공된다.
패널(36)의 내부와 외부사이는 시일(58)에 의해 밀봉 시일된다.

Description

램프 조립체 장착 구조물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램프 조립체의 장착 구조물이 형성되는 자동차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원형 부분을 확대하여 램프 조립체의 하우징을 도시하는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램프 조립체의 3-3 선상에서 취한 확대 측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에서의 램프 조립체 장착 구조물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 에서의 램프 조립체 장착 구조물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의 램프 조립체 장착 구조물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제 7a 도는 제6도의 실시예의 하우징의 소켓 부분을 전구가 제거된 상태에서 도시하는 정면도.
제7b도는 제6도의 전구의 베이스 부분을 도시하는 배면도.
제8도는 종래의 램프 조립체의 하우징을 도시하는 정면도.
제9도는 제8도에 도시된 종래의 램프 조립체의 장착 구조물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전구 32 : 하우징
34 : 램프 조립체 38 : 발광부
39 : 베이스부 42 : 소켓부
43 : 반사부 44 : 렌즈부
본 발명은 램프 조립체의 장착 구조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자동차 차체 내부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램프 조립체 장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램프 조립체는 자동차의 후방에 장착된다.
이러한 램프 조립체는 복수개의 전구가 공통 하우징내에 수용되는 조합 램프 조립체로 알려져 있다. 제8도와 9도는 자동차의 차체에 장착되는 조합 램프 조립체(10)의 예를 도시한다(실개소 61-85003). 상기 조합 램프 조립체(10는 하우징(12)과 복수개의 전구(11)를 구비한다. 하우징(12)은 각각의 전구(11)에 대해 소켓부(13)와 반사부(14)를 갖는다.
한편, 차체에는 패널(16)이 제공된다. 이 패털(16)에는 개구(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개구(15)를 통해서 하우징(12)의 복수개의 반사부(14)가 삽입된다. 복수개의 스터드 볼트(17)가 하우진(12)을 관통 연장하여 패널(16)쪽으로 돌출된다. 하우징(12)내 개구(15)의 전체 둘레에 걸쳐 장착 부재(18)가 제공된다.
하우징 (12)을 자동차 차례의 패널(16)에 장차하기 위해 상기 개구(15)의 둘레 근처(15)에 패킹(19)이 배치되고, 스터드볼트(17)가 상기 패킹(19)과 패널(16)을 관통하며, 하우징(12)은 스터드 볼트(17)상의 나사 너트(20)에 의해 패널(16)에 고정 된다. 하우징(12)이 패널(16)상에 장착 되면, 패킹(19)은 제9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스터드 볼트(17)의 부근에서 강력하게 가압 된다. 그러나, 스터드 볼트(17)에서 멀리 위치하는 패킹(19)은 장착 부재(18)에 의해 약하게 가압된다.
따라서, 종래의 장착 구조물에서, 패킹(19)에 가해지는 압력, 즉 시일 압력은 스터드 볼트 부근에서 높고 스터드 볼트에서 떨어진 부근에서 낮다. 이러한 이유로 시일 압력이 낮은 곳에서는 수소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균일한 시일 압력을 생성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자동차 램프 조립체의 장착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램프 조립체는 전구를 구비한다. 패널에 장착되기 위한 하우징이 제공된다. 전구는 발광부와 베이스부를 갖는다. 하우징은 전구의 베이스부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소켓부와, 전구의 발광부를 둘러싸는 반사부를 갖는다. 상기 패널은 하우징의 소켓부가 삽입 관통되는 개구를 갖는다. 하우징의 반사부와 패털 사이에서 패널의 개구둘레 부근에서 시일이 개구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소켓부에는 고정 부재가 제공되며 이 고정 부재는 반사부와의 사이에서 패널과 시일을 클램핑시키기 위해 퍼널의 내부와 결합한다. 이와같이 시일이 클램핑되면 패널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기밀한(airtight) 시일이 얻어진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램프 조립체의 장착 구조물을 설명한다. 제2도와 제3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램프 조립체(34)는 전구(30)와 하우징(32)을 구비한다. 램프 조립체(34)의 장착 구조물은 램프 조립체(34)가 제1도의 자동차의 차체(36)에 장착되게 되어 있다. 전구(30)는 발광부(38)와 베이스부(39)를 갖는다. 하우징(32)은 소켓부(42), 반사부(43), 렌즈부(44)를 갖는다. 전구(30)의 베이스부(39)는 소켓부(42)내에 착탈식으로 장착된다. 반사부(43)는 비임 집광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전구(30)의 발광부(38)를 둘러싼다.
이 실시예에서의 하우징(32)의 소켓부(42)는 원통형이며, 그 내면으로부터 한쌍의 돌출부(46)가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한편, 돌출부(46)에 대응하여, 전구(30)의 베이스부(39) 외면에는 L형 홈(48)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홈(48)은 축방향 연장부와 원주방향 연장부로 구성된다.
홈(48)의 축방향 외단부에는 삽입부(49)가 제공되며, 이는 발광부(38) 부근에서 베이스부(39)의 단부면 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삽입부(49)가 각 각의 돌출부(46)에 대향하고 전구(30)가 화살표 A 방향으로 밀려나면, 각각의 돌출부(46)는 홈(48)의 코너에 도달할 때 까지 관련 홈(48)의 축방향 부분에서 미끄러질 것이다. 이후 전구(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각각의 돌출부(46)는 홈(48)의 원주방향 부분상을 활주하고 제3도에 도시하듯이 전구(30)는 소켓부(42)에 장착될 것이다. 전구(30)는, 분리되도록 각각의 돌출부(46)가 관련 홈(48)의 코너에 도달할 때까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후 화살표 B 방향으로 견인된다.
제2도에 도시하듯이, 하우징(32)은 세 개의 전구(30, 30A, 30B)를 수용하며, 조합램프 조립체용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하우징(32)은 각각의 전구에 대해 소켓부(42)와,
제3도의 반사부(43) 및, 렌즈부(44)를 구비하며, 상기 렌즈부(44)는 전구(30)용 렌즈부(44B)와 전구(30A, 30B)용 렌즈부(44A)를 포함한다. 소켓부(42)와 반사부(43)는 수지로 일체 성형되며, 이는 하우징(32)을 형성하기 위해 투명한 수지로 만들어진 렌즈부(44)에 접착된다.
자동차 차제(36)의 패널(54)은 하우징(32)의 소켓부(42)가 삽입되는 개구(52)를 갖는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램프 조립체(34)는 자동차 차체(36)의 후방에 장착되는 후방 램프이며, 패널(54)은 차체의 후방 패널이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54)은 하우징(32)의 반사부(43) 형상을 따르고 있으며, 반사부(43)가 끼워질 수 있는 오목부(55)를 갖는다. 상기 오목부(55)의 가장 깊은 부분에는 개구(52)를 형성하는 원통형 리브(56a)가 형성된다. 이 개구(52)는 하우징(32)의 소켓부(42)를 위치시킨다.
시일(58)은 고무나 우레탄 기포와 같은 탄성재로 형성되며 폐루프(closed loop) 원형 형상을 갖는다. 시일의 정면은 원형, 타원형, 정방형 또는 다른 폐루프 형상을 할 수도 있다. 이 시일(58)은 반사부(43)와 패널(54) 사이에서 소켓부(42)의 외주 주위에 배치된다.
제3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시일(58)은 고무제 원형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반사부(43)에 대향하는 표면에 위치하고 그 전체 주위에 걸쳐 연장하는 홈을 갖는다. 원형의 지지부(45)가 하우징(32)의 반사부(43)로부터 패널(54)을 향해 돌출한다. 상기 지지부(45)는 시일(58)이 하우징(32)의 지지부(45)에 장착되도록 시일(58)내 홈으로 삽입된다. 한편, 패널(54)은 오목부(55)와 연속되는 환형의 편평부(56)를 가지며, 상기 개구(52)는 편평부(56)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시일(58)은 패널(54)의 편평부(56)와 밀접하게 접촉한다.
상기 소켓부(42)에는 로크 링(60)이 편평부(56)와 접촉하도록 끼워진다. 로크 링(60)이 편평부(56)와 접촉하도록 끼워진다. 로크 링(60)은 평평부(56)와 시일(58)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소켓부(42) 또는 지지부(45)를 시일(58)에 대해 유지시킨다.
제3도이 실시예에서, 로크 링(60)이 편평부(56)와 접촉하도록 끼워진다. 로크 링(60)은 편평부(56)와 시일(58)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소켓부(42) 또는 지지부(45)를 시일(58)에 대해 유지시킨다.
제3도의 실시예에서, 로크 링(60)은 수지로 만들어지며 원통형상을 갖는다. 로크 링(60)의 내면은 두가지의 내향 연장 돌출부(62, 63)를 갖는다. 돌출부(62, 63)는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한편, 소켓부(42)는 그 외면에 홈(66, 67)을 가지며 홈(66)은 제 1 돌출부(62)와 결합하고 홈 (67)은 제 2 돌출부(63)와 결합한다.
두 개의 홈(66, 67) 각각은 베이스부(39)의 홈(48)과 마찬가지로 축방향 부분과 원주부분을 포함한다. 원주부분은 나삿니와 마찬가지로 패널(54)의 편평부(56)를 향해 나선형으로 연장된다. 홈(66, 67) 각각은 (제3도에서) 그 좌측 단부에 상입부(68)를 가지며, 돌출부(62, 63)는 삽입부(68)를 통해서 홈(66, 67)과 결합한다.
램프 조립체(34)가 자동차 차체(36)에 장착되면 우선 하우징(32)의 소켓부(42)가 패널(54)의 개구(52)내로 삽입된다.
이후, 로크 링(60)은 하우징(32)의 소켓부(42)와 결합된다.
이를 위해, 로크 링(60)의 돌출부(62, 63)는 홈(66, 67)의 삽입부(68)와 정렬되며, 로크 링 (60)은 제3도의 A 방향으로 밀려난다. 따라서, 돌출부(62)는 홈(66)의 축방향 부분상에서서 미끄러지게 상기 축방향 부분과 원주부 사이의 코너에 도달한다.
마찬가지로, 돌출부(63)는 홈(67)의 축방향 부분상에서 미끄러지며 상기 축방향 부분과 원주부 사이의 코너에 도달한다.
이후 로크 링(60)이 회전하면, 돌출부(62)는 홈(66)의 원주 부분상을 미끄러지고 돌출부(63)는 홈(67)의 원주 부분상을 미끄러질 것이다. 이들 돌출부가 미끄러지면 로크 링(60)은 홈의 원주부분의 나선 특성으로 인해 패널(54)의 편평부(56)에 근접한다. 동시에 전체 하우징(32)은 패널(54)쪽으로 견인된다.
로크링 (60)의 단부면이 편평부(56)에 대해 가압되면, 시일(58)은 하우징(32)의 지지부(45)와 패널(54)의 편평부(56) 사이에서 균등하게 클램핑되어 균등한 시일 압력을 생성할 것이다. 이러한 시일 압력의 크기는 외부에서 오목부(55)낼 활살표 C 방향을 따라 도입되는 물이 자동차 차체(36)의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결정된다.
하우징(32)의 소켓부(42)로부터 분리되도록 로크 링(60)은 장착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돌출부(62, 63)가 홈(67, 38)의 모서리에 도달하면 로크링(60)은 B 방향을 견인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32)은 단지 로크 링(60)에 의해 패널(54)상에 장착되며, 스터드 볼트는 하우징(32)내에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터드 볼트를 필요없게 하므로써, 램프 조립체(34)를 자동차 차체(36)에 신속히 장착하는 성능이 향상된다. 이 경우에는 복수개의 리브(70)가 반사부(43)의 외주면(outer circumferential edge) 부근으로부터 패널(54)의 오목부(55)를 향해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리브(70)는 로크 링(60)이 패널(54)에 대해 가압될 때 오목부(55)와 접촉한다. 이러한 배치는 램프 조립체의 불안정성을 없앤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제4도에서, 램프 조립체(74)는 전구(30)를 구비하며 하우징(72)은 자동차 차체(36)에 장착된다. 전구(30)는 제3도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물을 갖는다. 제4도의 실시예에서는, 제3도의 실시예와 구조물상 동일한 부분에 동일한 도면부호가 병기되며 동일한 부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하우징(72)은 전구(30)의 베이스부(39)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원통형의 소켓부(76)와, 전구(30)의 발광부(38)를 둘러싸는 반사부(77)를 구비한다. 소켓부(76)의 내면에는 한쌍의 반경방향 내측 돌출부(46)가 형성된다. 소켓부(76)의 외면에는, 가이드(80)가 외향 돌출하며 전체 소켓면 주위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이드(80)는 단면이 직각 삼각형이며, (제4도에서 볼 때) 그 왼쪽에는 경사면(80a)를 갖는다.
시일(82)은 고무 또는 우레탄 기포와 같은 탄성 재료로 환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그 전방면은 원형, 타원형, 정방형 또는 기타 폐루프 형상을 나타낸다. 이 시일(58)은 하우징(72)의 반사부(77)와 패널(54) 사이에서 소켓부(76)의 외면에 배치된다.
제4도의 실시예에서, 시일(82)은 중공 형상이고, 그 전방 형상이 원형이도록 형성되며, 반사부(77)와 대향하는 단부면에는 원주 돌출부(83)를 갖는다. 한편, 하우징(72)의 반사부(77)로부터는 환형 홈을 갖는 원형 지지부(78)가 패널(54)을 향해 돌출한다. 시일(82)의 돌출부(83)는 지지부(78)의 홈안으로 삽입된다. 지지부(78)에 의해 지지되는 시일(82)은 패널(54)의 편평부(56)와 접촉한다.
하우징(72)의 소켓부(76)는 패널(54)의 개구(52)를 관통한다. 하우징(72)의 소켓부(76)에는 로크 링 (84)이 장착된다. 로크 링(84)은 소켓부(76)에 끼워지면 패널(54)의 리브(56a)와 접촉하여 시일(82)을 가압할 것이다.
로크 링(84)은 수지로 형성되고 원통형 슬리브부(86)를 갖는다. 상기 슬리브부(86)의 내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홈(87)이 형성된다. 상기 슬리브부(86)에는 또한 복수개의 외향연장 돌출부(88)가 형성된다. 이들 돌출부(88)는 하우징(72)의 반사부(77)에서 이격된 슬리브(86) 단부에 위치한다. 상기 돌출부(88)는 원주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로크 링(84)은 패널(54)에 하우징(72)이 설치되기 이전에 소켓부(76)에 연결된다. 로크 링(84)이 소켓부(76)에 장착될 때 로크 링(84)의 슬리브(86)는 소켓부(76)에 끼워지며 로크 링(84)은 A 방향으로 밀려난다. 하우징(72)의 소켓부(76)는 소켓부(76)의 가이드(80)의 경사면(80a)과 로크 링(84)의 결합으로 인해 변형된다. 가이드(80)가 홈(87)과 정렬되면 소켓부(76)의 형상은 회복된다. 그 결과 로크 링(84)은 소켓부(76)에 끼워지며, 따라서 가이드(80)로부터 분리는 불가능하지만 가이드(80)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소켓부(76)에 로크 링(84)을 용이하게 장착하기 위해서는, 가이드(80)에 제4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경사면(80a)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켓부(76)에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슬릿(비도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패널(54)의 개구(52)의 내경은 슬리브부(86)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며, 로크 링(84)의 슬리브부(86)는 소켓부(76)에 느슨하게 끼워진다. 또한, 패널(54)의 편평부(56)에는 노치(비도시)가 제공되어 돌출부(88)가 관통할 수 있게 한다.
램프 조립체(74)가 자동차 차체(36)에 장착되면, 하우징(72)은 오목부(55)내에 배치되며, 따라서 로크 링(84)의 돌출부(88)는 평평부(56)내의 노치(비도시)와 정렬된다. 이 상태에서 하우징(72)이 B 방향으로 밀려나면 돌출부(88)는 노치를 통과할 것이다. 따라서 로크 링(84)의 슬리브(86)도 패널(54)의 개구(52)에 끼워지고 하우징(72)은 적소에 유지된다. 각 부분의 치수는, 하우징(72)이 적소에 유지되는 동안 시일(82)이 하우징(72)의 지지부(78)와 편평부(56) 사이에서 충분히 가압되도록 미리 결정된다. 돌출부(88)가 노치를 관통한후, 로크 링(84)은 돌출부(88)가 대응 노치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멀리 이동하고 대신에 패널(54)의 환형 리브(56a)와 접촉하도록 회전된다. 이런 배치에 의해 하우징(72)의 장착이 완성된다.
제4도의 실시예에 의하면, 조립 라인에서의 램프 조립체(34) 장착 효율이 향상되도록 로크 링(84)과 시일(82)이 하우징(72)에 미리 장착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5도에서는, 전구(30)와 하우징(92)를 갖는 램프 조립체(94)가 자동차 차체(36)에 장착 된다. 전구(30)와 패널(54)은 제3도의 실시예의 대응하는 부분들과 구조물이 동일 한다. 제5도의 실시예에서, 제3도 또는 제4도의 실시예와 구조물이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병기되며 따라서 이런 부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우징(92)은 베이스부(39)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원통형 소켓부(96)와, 전구(90)의 발광부(38)를 둘러싸는 반사부(77)를 구비한다. 소켓부(96)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돌출부(46)가 형성된다. 소켓(96)의 외측표면부에서는 턱 부분(98)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전체 소켓(96)을 둘러싼다.
시일(82)은 반나부(77)에 제공된 지지부(78)에 의해 지지되어 패널(54)의 편평부(56)와 접촉한다.
턱 부분(98)은 패널(54)의 개구(52)를 B 방향으로 통과할 때 내측으로 구부러진다. 턱 부분(98)은 개구(52)를 통과한 즉, 제5도에 도시되었듯이 리브(56a)상에 파지될 것이다. 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하우징(92)의 소켓부(96)는 탄성적일 것이 요망된다. 또한, 턱 부분(98)과 소켓부(96)의 내측 만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축방향 슬릿(비도시) 또는 복수개의 축방향 슬릿이 소켓부(96)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턱 부분(98)은 소켓부(96)의 개방단부에서 반사부(77)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면(99)를 구비한다.
램프 조립체(94)가 자동차 차체(36)에 부착될 때, 하우징(92)의 소켓부(96)는 패널(54)의 개구(52)를 통해 삽입되며, 하우징(92)은 B 방향으로 밀려난다. 이후, 턱 부분(98)과 리브(56a)의 결합에 의해 소켓부(96)는 개구(52)내에서 턱 부분(98)과 함께 내향 만곡된다. 턱 부분(98)이 리브(56a)를 파지하면, 시일(82)은 균일하게 클램핑되면, 균일한 시일 압력이 존재할 것이다. 이 경우에, 압력은 하우징(92)의 소켓부(96)만이 패널(54)에 연결되는 매우 간단한 작업으로 시일(82)에 가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보다 양호한 조립 효율이 얻어진다.
자동차 차체(36)로부터 램프 조립체(94)를 분리시키기 위해, 턱 부분(98)은 내향 만곡되어 리브(56a)로부터 결합 해제되고, 하우징(92)은 화살표 A 방향으로 밀린다.
제5도의 실시예에서, 하우징(92)은 턱(98)에 의해서만 패널(54)에 장착되며 스터드 볼트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터드 볼트를 없애므로써 장착 효율이 개선된다. 이 경우,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자동차 차체(36)에 대하나 램프 조립체(94)의 느슨한 장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리브(70)가 하우징(92)의 반사부(77)로부터 패널(54)의 오목부(55)를 위하여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턱 부분(98)이 리브(56a)를 파지하면 리브(70)는 오목부(55)와 접촉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하는 제6도에서, 램프 조립체(104)는 자동차 차레(86)에 장착될 하우징(102)과 전구(100)를 구비한다. 자동차 차체(36)의 패널(54)은 제3도의 실시예에 도시된 것과 구조물이 동일하다. 제6도의 실시예에서, 제3도 또는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구조물이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병기되며 동일한 부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전구(100)는 발광부(38)와, 제3도의 전구의 베이스부와 구조물이 상이한 베이스부(101)를 갖는다. 하우징(102)은 전구(100)의 베이스부(101)를 착탈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원통형 소켓부(106)와, 발광부(38)를 둘러싸는 반사부(77)를 구비한다.
시일(82)은 하우징(102)의 반사부(77)에 제공된 지지부(78)에 의해 지지되며, 패널(54)의 편평부(56)와 접촉한다.
제1로킹 부재(107)는 소켓부(106)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한다. 제7a도에 도시했듯이, 본 실시예의 제1로킹 부재(107)는 세 개의 노치(108)가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플랜지 형태이다.
제2로킹 부재(11)는 전술한 노치(108)와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베이스부(101)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갖는다. 제7b도에 도시했듯이, 전구(100)가 제6도의 왼쪽에서 소켓부(106)로 삽입되면 돌출부는 제1로킹 부재(107)의 노치(108)를 통과한다. 이후 제2로킹 부재(110)는 전구(100)가 회전하여 노치(108)와 돌출부를 오정렬시키면 소켓부(106) 내부에 캐치될 것이다.
제7b도에 도시하듯이, 제2로킹 부재(110)는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 이격 배치된 세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돌출부의 치수는 제1로킹 부재(107)의 노치 (108)를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달리, 제1로킹 부재(107)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돌출부를 가질 수도 있으며, 제2로킹 부재(110)는 노치를 갖는 플랜지일 수도 있다.
또한, 스토퍼, 즉 제3로킹 부재(112)는 제2로킹 부재(110)의 (제6도에서 보아) 왼쪽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전구(100)의 베이스부(101)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
스토퍼(112)는 패널(54)의 편평부(56) 내면과 접촉되면, 제1로킹 부재(107) 및 제2로킹 부재(110)와 협력하여 시일(82)에 압력을 가한다.
스토퍼(112)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달리 패널(54)의 편평부(56)와 접하는 부분은 환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환형부는 복수개의 리브에 의해 베이스(101)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전구(100)의 베이스부(101)는 수지로 형성되며, 제2로킹 부재(110) 및 소트퍼(112)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 경우, 부품의 개수가 감소된다.
램프 조립체(104)가 자동차 차체(36)에 장착되면, 소켓부(106)는 제6도의 우에서 좌로 패널(54)의 개구(52)를 통해 삽입된다. 한편, 전구(100)는 자동차 차체의 내부로부터 소켓부(106)로 삽입되며 제2로킹 부재(110)가 제1로킹 부재(107)를 통과할 때까지 A 방향으로 밀려난다. 전구(100)는 제2로킹 부재(110)가 제1로킹 부재 (107)와 결합 하도록 제1로킹 부재(107)를 통과한 후에 회전된다. 이 때 스토퍼(112)는 패널(5)의 편평부(56)의 내면과 접촉된다. 제 1 및 제2로킹 부재 (107, 110)와 협력하여 이는 시일(82)에 충분한 압력을 가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중 어느 것에서나, 시일은 하우징의 반사부와 패널 사이에서 소켓부의 외면 부근에 클램핑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램프 조립체 장착 구조물은 시일이 하우징의 반사부의 외주면 부근에 배치되는 종래의 램프 조립체 장착 구조물과 상이하다. 따라서 시일은 보다 짧게 만들어질 수 있다. 시일이 짧아지면 누수 가능성이 감소된다.

Claims (9)

  1. 발광부(38)와 베이스부(39)를 갖는 전구(30) 및, 상기 베이스부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는 소켓부(42)와 상기 발광부(38)를 둘러싸는 반사부(43)를 갖는 하우징(32)을 구비하는, 램프 조립체 장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42)가 삽입 관통하는 개구(52)를 갖는 패널(36)과, 상기 반사부(43)와 패널(36) 사이에서 개구(52)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시일(58)과, 상시 반사부(43)로 패널(36)과 시일(58)을 클램핑시키기 위해 패널(36)의 내부에 맞닿는 소켓부(42)가 제공된 고정 부재(60, 84, 98, 101)를 포함하며, 상기 시일(58)은 패널(36)의 외부와 내부 사이를 밀봉시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조립체 장착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소켓부(42, 76)와 결합되는 로크 링(60, 8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조립체 장착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턱 부분(98)을 가지며, 상기 턱 부분은 소켓부가 개구내로 삽입될 수있도록 탄성 변형되어 개구의 림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조립체 장착 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소켓부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소켓부를 갖는 제1로킹 부재(107)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베이스부(101)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가 소켓부 내로 삽입될 때 제1로킹 부재와 결합되는 제2로킹 부재(110)와, 상기 패널로부터 제2로킹 부재보다 멀리 떨어져 위치하도록 베이스부로부터 외향 돌출하며 상기 베이스부가 소켓부 내로 삽입될 때 패널의 내면에 맞닿는 제3로킹 부재(1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조립체 장착 구조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킹 부재는 제2로킹 부재가 관통할 수 있는 노치를 가지며, 제2로킹 부재의 회전에 의해 제2로킹 부재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조립체 장착 구조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반사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패널과 대향하여 위치하는 링형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는 시일(58, 82)을 패널과 함께 클램핑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조립체 장착 구조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로킹 부재(112)는 지지부(78)와 대향하여 위치하는 맞닿음부를 가지며,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패널과 시일을 지지부와 협력하여 클램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조립체 장착 구조물.
  8.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36)은 반사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가지며, 상기 반사부는 하우징 지지를 위해 리세스의 내면과 맞닿는 링(7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조립체 장착 구조물.
  9.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자동차 차체의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조립체 장착 구조물.
KR1019950017232A 1994-06-20 1995-06-20 램프 조립체 장착 구조물 KR01605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59636 1994-06-20
JP15963694A JP3363595B2 (ja) 1994-06-20 1994-06-20 自動車用ランプの取付け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607A KR960000607A (ko) 1996-01-25
KR0160557B1 true KR0160557B1 (ko) 1998-12-01

Family

ID=15698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7232A KR0160557B1 (ko) 1994-06-20 1995-06-20 램프 조립체 장착 구조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693398B1 (ko)
JP (1) JP3363595B2 (ko)
KR (1) KR0160557B1 (ko)
DE (1) DE6950708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49236B1 (fr) * 1996-05-31 1998-07-31 Peugeot Dispositif de maintien temporaire d'un bloc optique sur la carrosserie d'un vehicule automobile
FR2925418B1 (fr) * 2007-12-21 2010-04-2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Boitier de feu de signalisation d'un vehicule automobile avec fixation centrale par le connecteur du porte-lamp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96548A1 (fr) * 1974-12-30 1976-07-30 Seima Feu de signalisation,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DE3336003A1 (de) * 1983-10-04 1985-04-25 Ford-Werke AG, 5000 Köln Entlueftungseinrichtung fuer kraftfahrzeuge
JPS6185003U (ko) 1984-11-08 1986-06-04
FR2598780B1 (fr) * 1986-05-16 1990-07-20 Peugeot Bloc optique aerateur.
DE3943079A1 (de) * 1989-12-27 1991-07-04 Hella Kg Hueck & Co Kraftfahrzeugleuchte
DE4242439C1 (de) * 1992-12-16 1994-03-24 Reitter & Schefenacker Gmbh Befestigung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Leuchten, vorzugsweise für Kraftfahrzeugleuchten
FR2708539B1 (fr) * 1993-07-29 1995-10-20 Valeo Vision Feu de signalisation comportant un socle à angle de démoulage incliné,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u so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93398A2 (en) 1996-01-24
EP0693398B1 (en) 1999-01-07
JP3363595B2 (ja) 2003-01-08
EP0693398A3 (en) 1996-05-15
KR960000607A (ko) 1996-01-25
JPH082315A (ja) 1996-01-09
DE69507085T2 (de) 1999-07-08
DE69507085D1 (de)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2417B1 (ko) 체결 클립
US4760506A (en) Light bulb mounting structure in automotive lamp
US4912287A (en) Grommet
JPS6381701A (ja) 自動車電球の固定装置
GB2262397A (en) A grommet
US5361191A (en) Device for fitting headlight with a lamp
US4633898A (en) Slide valve with partial-vacuum actuator
KR890002605A (ko) 전구 조립체
US5402325A (en) Vehicle headlamp assembly
US2918570A (en) Snap-in lens
US2281643A (en) Head lamp
US4819142A (en) Vehicle lamp assembly and retainer
KR0160557B1 (ko) 램프 조립체 장착 구조물
US4385345A (en) Vehicle headlamps
US3476928A (en) Vehicular lamp holder
US3383637A (en) Plastic lamp socket
JPH0945444A (ja) ランプソケット用防水構造
KR100416425B1 (ko) 차량용 등기구
US3248531A (en) Signal lamp
JPH09180506A (ja) 車両のための前照灯
JP4554339B2 (ja) 自動車用ヘッドライトの相手部品に光源を装着するための固定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US3100085A (en) Signal lamp
US3066218A (en) Lamp assembly
JPH09245505A (ja) 車両用のサプリメンタリランプ
US6913376B2 (en) Sealing bulb boot for moveable refle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