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9565B1 -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 최대 효율 표시자 메세지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 최대 효율 표시자 메세지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9565B1
KR0159565B1 KR1019940039957A KR19940039957A KR0159565B1 KR 0159565 B1 KR0159565 B1 KR 0159565B1 KR 1019940039957 A KR1019940039957 A KR 1019940039957A KR 19940039957 A KR19940039957 A KR 19940039957A KR 0159565 B1 KR0159565 B1 KR 0159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cell rate
octet
call setup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9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773A (ko
Inventor
이규택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40039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9565B1/ko
Publication of KR960027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9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95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L2012/5646Cell characteristics, e.g. loss, delay, jitter, sequence integ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85Addressing iss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Q.93B 프로토콜에서 호 셋업 메세지에 포함되어 호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원의 통계적 특성을 나타내는 트래픽 파라메타나 트래픽 제어에 대한 특징을 정의하는 ATM 사용자 셀율 메세지중 최대 효율 표시자 메세지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호 셋업 메세지를 수신하면, 상기 호 셋업 메세지를 옥텟 단위로 분류하고 나서, 상기 분류된 각 옥텟에 가상 어드레스를 부여하여 저장한후, 기설정된 제 1 및 제 2가상 어드레스에 저장되어 있는 두개의 옥텟을 논리 조합하여, 상기 호셋업 메세지의 전체 길이를 판독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후, 기설정된 제 3 가상 어드레스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어드레스값을 증가시키면서 사용자 셀율 메세지의 식별자를 탐색하고, 상기 사용자 셀율 메세지의 식별자가 탐색되면, 상기 옥텟 단위로 분류되어 저장된 상기 호셋업 메세지중, 기설정된 제 4 및 제 5 가상 어드레스에 저장되어 있는 두 개의 옥텟을 검출하고 논리 조합하여 상기 사용자 셀율 메세지의 전체 길이를 판독하는 제2단계; 상기 제 3 가상 어드레스 지점에서부터 기설정된 어드레스 간격만큼 떨어진 제 6 어드레스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어드레스값을 증가시키면서 상기 최대 효율 표시자 메세지를 탐색하고, 상기 최대 효율 표시지의 탐색이 완료되면 이를 출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 최대 효율 표시자 메세지 검출 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ATM 셀 포맷도.
제2도는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의 일반적인 프로토콜 기준 모형도.
제3도는 일반적인 Q.93B 프로토콜의 메세지 포맷도.
제4도는 제어 신호 메세지의 기능에 따라 요구되는 가변 길이 정보에 대한 일반적인 포맷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ATM 사용자 셀을 메세지에 대한 일반적인 메세지 포맷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ATM사용자 셀을 메세지의 트래픽 파라메타 부영역 정보에 대한 메세지 포맷도.
제7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ATM 계층 101 : ATM 적응 계층-5
102 : 제어부 103 : 저장부
본 발명은 비동기 전송 모드(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 이하 ATM이라 함)에 있어서, 특히 Q.93B 프로토콜(protocol)에서 호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원의 통계적 특성을 나타내는 트래픽( traffic) 파라메타(parameter)나 트래픽 제어에 대한 특징을 정의하는 ATM 사용자 셀(cell) 비율(rate) 메세지중 최대 효율 표시자 메세지를 검출하기 위한 최대 효율 표시자 메세지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TM은 BISDN(Broadband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를 구현하기 위한 통신 방식으로, ATDM(Asynchronous Time Division Multiplex)을 사용하는 특수한 형태의 패킷형 전달 방식이다.
또한 BISDN에서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패킷들의 연속적인 흐름에 의해서 정보가 전달되는데 이 고정된 크기의 패킷들을 ATM셀이라 하며, ATM셀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입력되는 서비스 정보(11)들을 고정 길이의 짧은 셀(12)로 분할한후 각 셀에 5바이트(byte)의 헤더(header)(12a)를 붙여서 패킷(packet)화된 정보로서, 각 ATM 셀은 총 53바이트(데이타 48+헤더 5)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ATM 셀들이 다중화(13)되어 전송된다.
상기한 ATM셀은 연결성 방식으로서, 가상 채널을 설정하여 서비스 정보를 전달하는데 가상 채널이 설정될때 마다 연결 식별 번호가 부여되고 연결이 해제되면 이 식별 번호도 해제된다.
또한 일정한 가상 채널내의 ATM 셀들간의 순서는 ATM계층의 기능에 의해서 보존되고 연결 설정을 위한 신호 정보는 별도의 ATM셀을 통해서 전달된다.
한편 상기한 ATM 방식은 체계적이고 융통성 있는 정보 전달을 위해서 계층화된 프로토콜 모형을 규정한다. 이때 구상되는 프로토콜 계층은 제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물리 계층(21), ATM 계층(22), ATM 적응 계층(23)과 상위 계층(24)등인데 이어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ATM의 프로토콜 기준 모형은 관리 평면(A), 제어 평면(B), 사용자 평면(C)으로 구성되고 이들중(A,B,C) 관리 평면(A)의 기능은 평면 관리와 계층 관리로 구분된다.
상기 평면 관리는 시스템의 전반적인 관리를 의미하고 계층 관리는 자원 및 사용 변수의 관리를 의미하며 제어 평면(B)에서는 호 제어 및 연결 제어 정보를 관장하고 사용자 평면(C)에서는 사용자 정보의 전달을 관장한다.
또한 제어 평면(B) 및 사용자 평면(C)의 프로토콜은 상위 계층(24), ATM 적응계층(23), ATM 계층(22), 물리 계층(21)등으로 구분되는데 ATM 적응 계층(23)은 상위 계층(24)의 사용자 서비스 정보를 프로토콜 데이타 단위로 만들어 주는 수렴 부계층과 프로토콜 데이타 단위를 절단하여 ATM셀의 사용자 정보 구간을 형성하는 절단 및 재 결합부 계층으로 구성된다.
ATM 계층(22)은 사용자-망간 접속과 정보 흐름의 제어, 가상 경로 식별 변호 및 가상 채널 식별 번호를 번역하여 서비스 접속점들과 연결, 셀 들의 다중화 및 역다중화를 수행하고, 물리 계층(21)은 전송 수렴 부계층과 물리 매체 부계층으로 구성되어 셀 속도의 분리, 헤더 오류 제어용 바이트의 발생 및 확인, 셀 경계점의 검출등을 수행하며 사용자 평면(C)의 상위 계층(24)는 서비스 정보의 처리에 관한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제어 평면(B)의 상위 계층(24),은 호 설정, 호 제어, 호 접속에 관한 기능을 제공하는데, 호 설정, 호 제어, 및 호 접속은 사용자-망간에 제어 신호 메세지를 교환함으로서 이루어지고, 상기한 제어 신호 메세지는 각 기능에 따라 호 설정, 호 정보, 호 해제, 및 부가 정보 메세지로 구분될수 있다.
이때 호 설정 메세지는 호출 처리, 접속, 접속 인식, 호 셋업(sep up)등으로 세분화 되고, 호 정보 메세지는 호 재개(resume), 재개 인식등으로 세분화되며 호 해제 메세지는 복귀(release), 복귀 완료등으로 세분화 되는데, 상기한 각 제어 신호 메세지에 대한 ITU-TS 권고 Q93B 프로토콜 메세지 제어 포맷은 제3도와 같다.
즉, 사용자-망간 ATM 호 및 접속 제어 메세지는 제3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른 메세지로 부터 사용자-망 간 호 제어 메세지를 판별하기 위한 비트 구성된 프로토콜 판별(protocol discriminator) 신호(1옥텟)(31), 사용자 - 망간 인터페이스의 메세지를 전송한 호출지를 검출하기 위한 호출 참조(call reference) 신호(4옥텟)(32), 메세지 형식(message type) 신호(2옥텟)(33), 메세지 길이(message length) 신호(2옥텟)(34)가 기본적으로 구성되고 각 제어 신호 메세지의 기능에 따라 요구되는 가변길이 정보(35)가 포함되도록 정의된다.
또한 상기 각 기능에 따라 요구되는 가변 길이 정보(35)는 제4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보 식별자(identifier)(41), 부호 표준(coding standard)(42), 정보 명령(information element instruction)(43), 정보 길이(44) 및 정보 내용(45)으로 구성된다.
특히 요구되는 기능에 따른 가변 길이 정보(35)중 트래픽(traffic) 파라메타(parameter)나 트래픽 제어에 대한 특징을 정의하는 ATM 사용자 셀율 메세지는 호 셋업 메세지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가변 길이 정보로서, 제5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01011001의 8비트 옥텟으로 구성된 ATM 사용자 셀율 메세지의 정보 식별자(51), CCITT 표준를 나타낼 경우에는 '00'으로 구성되고 인터페이스(interface)의 망측(network side)에 존재하는 망에 정의된 표준일 경우에는 '11'로 구성되는 부호 표준(52), 비트 '00000'로 구성된 정보 명령(53), 두개의 옥텟으로 구성되어 ATM 사용자 셀율 메세지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 길이(L), 호출측에서 피호출측 방향을 나타내는 순방향 트래픽 파라메타 부영역(subfield) 정보(54), 피호출측에서호출측 방향을 나타내는 역방향 트래픽 파라메타 부영역 정보(55)로 구성되며, 상기한 순방향 트래픽 파라메타 부영역 정보(54)와 역방향 파라메타 부영역 정보(55)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6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순방향 트래픽 파라메타 부 영역 정보(54)는 초당 셀로 표현되는 피크 셀율(peak celll rate)을 나타내고 CLP(Cell Loss Priority)가 0인 순방향 피크 셀율(71), 초당 셀로 표현되는 유지 셀율(peak cell rate)을 나타내고 CLP가 0+1인 순방향 유지 셀율(72), 초당 셀로 표현되는 유지 셀율(Sustainable cell rate)을 나타내고 CLP가 0인 순방향 유지 셀율(73), 셀로 표현되는 유지 셀율을 나타내고 CLP가 0+1인 순방향 유지 셀율(74), 셀로 표현되는 최대 군집 길이(burst size)를 나타내고 CLP가 0인 순방향 최대 군집 길이(75), 셀로 표현되는 최대 군집 길이(burst size)를 나타내고 CLP가 0-1인 순방향 최대 군집 길이(76), 및 태그(tag)가 요구되면 비트'1'로 구성되고 태그가 요구되지 않으면 비트 '0'로 구성되는 태그 순방향(77)으로 구성된다.
이때 CLP가 0인 순방향 피크 셀율(71), CLP가 0+1인 순방향 피크 셀율(72), CLP가 0인 순방향 유지 셀율(73), CLP가 0+1인 순방향 유지 셀율(74), CLP가 0인 순방향 최대 군집 길이(75), CLP가 0+1인 순방향 최대 군집 길이(76) 각각은 24비트 이진 인터저(integer)로 코드화 되고, CLP가 0인 순방향 피크 셀율(71)을 식별하기 위하여 비트 '0000010'로 구성된 식별자(78), CLP가 0+1인 순방향 유지 셀율(72)을 식별하기 위하여 비트 '0000100'로 구성된 식별자(79), CLP가 0인 순방향 유지 셀율(73)을 식별하기 위하여 비트'0001000'로 구성된 식별자(80), CLP가 0+1인 순방향 유지 셀율(74)을 식별하기 위하여 '0010000'로 구성된 식별자(81), CLP가 0인 순방향 최대 군집 길이(75)를 식별하기 위하여 비트'0100000'로 구성된 식별자(82), CLP가 0+1인 순방향 최대 군집 길이(76)를 식별하기 위하여 비트'0110000'로 구성된 식별자(83)가 구비된다.
또한 CLP는 셀 포기 우선 순위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CLP 구간이 1이면 포기가능한, 우선 순위가 낮은 셀을 나타낸다.
이는 체증이 발생한 곳에 도착하는 셀을 우선 순위에 따라 포기하거나 통과시킴으로서 최소한 보장된 비트율 만큼은 셀 포기 후에도 제공 가능하도록 하여 소정의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역방향 트래픽 파라메타 부영역 정보(55)는 제5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초당 셀로 표현되는 피크 셀율(peak cell rate)을 나타내고 CLP가 0인 역방향 피크 셀율(84), 초당 셀로 표현되는 피크 셀율을 나타내고 CLP가 0+1인 역방향 피크 셀율(85), 초당 셀로 표현되는 유지 셀율 나타내고 CLP가 0인 역방향 유지 셀율(86), 초당 셀로 표현되는 유지 셀율을 나타내고 CLP가 0+1인 역방향 최대 군집 길이(87), 셀로 표현되는 최대 군집 길이를 나타내고 CLP가 0인 역방향 최대 군집 길이(88), 셀로 표현되는 최대 군집 길이를 나타내고 CLP가 0+1인 역방향 최대 군집 길이(89), 및 태그(tag)가 요구되면 비트'1'로 구성되고 태크가 요구되지 않으면 비트 '0'로 구성되는 태크 역방향(90)으로 구성된다.
또한 CLP가 0인 역방향 피크 셀율(84), CLP가 0+1인 역방향 피크 셀율(85), CLP가 0인 역방향 유지 셀율(86), CLP가 0+1인 역방향 유지 셀율(87), CLP가 0인 역방향 최대 군집 길이(88), CLP가 0+1인 역방향 최대 군집 길이(89) 각각은 24비트 이진 인터저(integer)로 코드화 되고, CLP가 0인 역방향 피크 셀율(84)을 식별하기 위하여 비트'0000011'로 구성된 식별자(91), CLP가 0+1인 역방향 피크 셀율(85)을 식별하기 위하여 비트'0000101'로 구성된 식별자(92), CLP가 0인 역방향 유지 셀율(86)을 식별하기 위하여 비트'0001001'로 구성된 식별자(93), CLP가 0+1인 역방향 유지 셀율(87)을 식별하기 위하여 비트'0010001'로 구성된 식별자(94), CLP가 0인 역방향 최대 군집 길이(88)을 식별하기 위하여 비트'0100001'로 구성된 식별자(95), CLP가 0+1인 역방향 최대 군집 길이(89)를 식별하기 위하여 비트'0110001'로 구성된 식별자(96)가 구비된다.
또한 태그(tag)가 요구되면 비트'1'로 구성되고 태그가 요구되지 않으면 비트 '0'로 구성되는 태그 순방향(77) 및 역방향(90)은 비트'0111111'로 구성된 트래픽 유지 선택 식별자(97)를 공통 식별자로 사용하고, 최대 효율이 요구되면 포함되는 비트'0111110'로 구성되는 최대 효율 표시자(best effort indicator)(98)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순방향 트래픽 파라메타 부영역 정보(54)와 역방향 파라메타 부영역 정보(55)는 내부적으로 조합이 허용된 각 정보 내용끼리 유효 조합(valid combination)되어 전송된다.
즉, 순방향 허용 조합 코드가 0이면 CLP가 0인 순방향 피크 셀율(71)과 CLP가 0+1인 순방향 피크 셀율(72)이 조합되고, 순방향 허용 조합 코드가 1이면 CLP가 0인 순방향 피크 셀율(71)과 CLP가 0+1인 순방향 피크 셀율(72) 및 태그 순방향(77)이 조합되며, 순방향 허용 조합 코드가 2이면 CLP가 0+1인 순방향 피크 셀율(72)과 CLP가 0인 순방향 유지 셀율(73) 및 CLP가 0인 순방향 최대 군집 길이(75)이 조합되고, 순방향 허용 조합 코드가 3이면 CLP가 0+1인 순방향 피크 셀율(72)과 CLP가 0인 순방향 유지 셀율(73)과 CLP가 0인 순방향 최대 군집 길이(75) 및 태그 순방향(77)이 조합되며, 순방향 허용 조합 코드가 4이면 CLP가 0+1인 순방향 피크 셀율(71)만이 전송되며, 순방향 허용 조합 코드가 5이면 CLP가 0+1인 순방향 피크 셀율(72)과 CLP가 0+1인 순방향 유지 셀율(74) 및 CLP가 0+1인 순방향 최대 군집 길이(76)가 조합되어 전송된다.
또한 역방향 허용 조합 코드가 0이면 CLP가 0인 역방향 피크 셀율(84)과 CLP가 0+1인 역방향 피크 셀율(85)이 조합되고, 역방향 허용 조합 코드가 1이면 CLP가 0인 역방향 피크 셀율(84)과 CLP가 0+1인 역방향 피크 셀율(85) 및 태크 역방향(90)이 조합되며, 역방향 허용 조합 코드가 2이면 CLP가 0+1인 역방향 피크 셀율(85)과 CLP가 0인 역방향 유지 셀율(86) 및 CLP가 0인 역방향 최대 군집 길이(88)가 조합되고, 역방향 허용 조합 코드가 3이면 CLP가 0+1인 역방향 피크 셀율(85)과 CLP가 0인 역방향 유지 셀율(86)과 CLP가 0인 역방향 최대 군집 길이(88) 및 태그 역방향(90)이 조합되며, 역방향 허용 조합 코드가 4이면 CLP가 0+1인 역방향 피크 셀율(84)만이 전송되며, 역방향 허용 조합 코드가 5이면 CLP가 0+1인 역방향 피크 셀율(85)과 CLP가 0+1인 역방향 유지 셀율(87) 및 CLP가 0+1인 역방향 최대 군집 길이(89)가 조합되어 전송된다.
이때 상기한 허용 조합 코드에 따라 순방향 및 역방향 트래픽 파라메타 부영역 정보(54,55)를 조합하여 전송할때 각 정보 내용의 식별자를 포함하여 전송함은 물론이다.
또한 순방향 트래픽 파라메타 부영역 정보(54)와 역방향 트래픽 파라메타 부영역 정보(55)를 조합하는데 있어서, 순방향 트래픽 파라메타 부영역 정보(54)와 역방향 트래픽 파라메타 부영역 정보(55)는 각각 독립적으로 된다.
한편 순방향 허용 조합 코드가 6이고 역방향 허용 조합 코드가 6이면 최대 효율이 요구된 부영역 정보, 즉 CLP가 0+1인 순방향 피크 셀율(72)과 CLP가 0+1인 역방향 피크 셀율(85) 및 최대 효율 표시자(98)가 조합되어 전송된다.
그러나 상기한 Q.93B 프로토콜에서 호셋업 메세지에 포함되어 호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원의 통계적 특성을 나타내는 트래픽 파라메타나 트래픽 제어에 대한 특징을 정의하는 ATM 사용자 셀 비율 메세지중, 특히 최대 효율 표시자 메세지 포맷에 대한 권고안이 마련된 상태지만 권고안에 따른 검출 방법이나 또는 장치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제시된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Q.93B 프로토콜에서 호 셋업 메세지에 포함되어 호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원의 통계적 특성을 나타내는 트래픽 파라메타나 트래픽 제어에 대한 특징을 정의하는 ATM 사용자 셀율 메세지중 최대 효율 표시자 메세지 검출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은 달성하기 위하여, ATM의 Q.93B 프로토콜에서 호셋업 메세지에 포함되어 호설정을 요구하는 신호원의 통계적 특성을 나타내는 트래픽 파라메타, 트래픽 제어에 대한 특징을 정의하는 사용자가 셀율 메세지중 최대 효율 표시자 메세지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호 셋업 메세지를 수신하면, 상기 호 셋업 메세지를 옥텟 단위로 분류하고 나서, 상기 분류된 각 옥텟에 가상 어드레스를 부여하여 저장한후, 기설정된 제1및 제2가상 어드레스에 저장되어 있는 두개의 옥텟을 논리 조합하여, 상기 호셋업 메세지의 전체 길이를 판독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후, 기설정된 제3가상 어드레스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어드레스값을 증가시키면서 사용자 셀율 메세지의 식별자를 탐색하고, 상기 사용자 셀율 메세지의 식별자가 탐색되면, 상기 옥텟 단위로 분류되어 저장된 상기 호셋업 메세지중, 기설정된 제 4 및 제 5 가상 어드레스에 저장되어 있는 두 개의 옥텟을 검출하고 논리조합하여 상기 사용자 셀율 메세지의 전체길이를 판독하는 제2단계; 상기 제3가상 어드레스지점에서부터 기설정된 어드레스 간격만큼 떨어진 제6가상 어드레스에서 부터 순차적으로 어드레스값을 증가시키면서, 상기 최대 효율 표시자 메세지를 탐색하고, 상기 최대 효율 표시자 메세지의 탐색이 완료되면 이를 출력하는 제3단계를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7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도로서, ATM 망을 통해 입력되는 ATM셀 헤더내에 있는 가상 경로 식별 번호와 가상 채널 식별 번호를 이용하며 송신측을 구별한후 이를 출력하는 ATM 계층(100), ATM셀 헤더가 제거된 프로토콜 데이타 단위를 수신하여 오류 처리, 데이타 순서 보존등에 관련된 헤더와 트레일러를 분석한뒤 오류가 없으면 사용자 서비스 정보의 호 셋업 메세지만 검출하여 제어 평면(C)의 상위 계층에 전송하는 ATM 적응 계층-5(101), ATM 적응 계층-5(101)의 호 셋업 메세지를 수신한후 호 셋업 메세지에 포함되어 호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원의 통계적 특성을 나타내는 트래픽 파라메타나 트래픽 제어에 대한 특징을 정의하는 ATM 사용자 셀율 메세지중 최대 효율이 요구됨을 나타내는 최대 효율 표시자 메세지를 검출하는 제어부(102), 제어부(102)에 의해 검출되는 사용자 셀율 메세지내의 최대 효율 표시자 메세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03)로 구성되어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먼저, ATM 계층(100)은 ATM 망을 통해 입력되는 ATM셀 헤더내에 있는 가상 경로 식별 번호와 가상 채널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송신측을 구별한후 이를 ATM 적응 계층-5(101)에 출력하고, ATM 적응 계층-5(101)는 ATM셀 헤더가 제거된 프로토콜 데이타 단위를 수신하여 오류 처리, 데이타 순서 보존등에 관련된 헤더와 트레일러를 분석한뒤 오류가 없으면 사용자 서비스 정보의 호 셋업 메세지만 검출하여 제어 평면(C)의 상위 계층인 제어부(102)에 전송한다.
따라서 제어부(102)는 ATM 적응 계층-5(101)로 부터 호 셋업 메세지의 프로토콜 판별 신호(1옥텟)(31), 사용자 - 망간 인터페이스의 메세지를 전송한 호출지를 검출하기 위한 호출 참조 신호(4옥텟)(32), 메세지 형식 신호(2옥텟)(33), 메세지 길이 신호(2옥텟)(34)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일반적인 Q.93B에 대한 메세지를 위한 기본 구성을 인식한 후, 제5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01011001의 8비트 옥텟으로 구성된 ATM 사용자 셀율 메세지의 정보 식별자(51)를 검출하여 ATM 사용자 셀율 메세지임을 식별하고, 다시 ATM 사용자 셀율 메세지 중에 최대 효율 표시자 메세지를 검출하여 이를 저장부(103)에 저장한후 이를 출력한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102)는 ATM 적응 계층 - 5(101)로부터 호 셋업 메세지를 수신한 후,수신된 호 셋업 메세지를 옥텟 단위로 분류하고, 분류된 각 옥텟에 일대일 대응되게 가상 어드레스(dummy address)를 각각 부여하여 저장부(103)에 저장하되, 호셋업 메세지를 구성하는 각 옥텟의 입력 순서에 입각하여 가상 어드레스의 순번을 결정하여 저장한다.(201).
그런후 제어부(102)는 호 셋업 메세지의 전체 길이를 판독하기 위하여, 가상 어드레스 7, 즉, 7번째 가상 어드레스(a=m[7]에 저장된 제 1옥텟과, 가상 어드레스 8, 즉 8번째 가상 어드레스(a=m[8])에 저장된 제 2옥텟을 리드(read)한다(202).
여기에서, 호 셋업 메세지의 전체 길이를 판독하기 위하여, 가상 어드레스 7(a=m[7])에 저장된 제 1옥텟과, 가상 어드레스 8(a=m[8])에 저장된 제2옥텟을 리드하는 이유는 제3도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가상 어드레스 1(a=m[1])에서부터 가상 어드레스6(a=m[6])까지에 총 6 옥텟의 헤더 정보, 즉 셋업 메세지에 포함되는 1 옥텟의 프로토콜 판별신호, 4옥텟의 호출 참조 신호, 1옥텟의 메세지 형식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실질적인 호 셋업 메세지의 전체 길이에 대한 정보는 가상 어드레스 7(a=m[7])에 저장된 제 1옥텟과, 가상 어드레스 8(a=m[8])에 저장된 제 2옥텟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제어부(102)는 가상 어드레스 7(a=m[7])로부터 리드된 제 1옥텟을 왼쪽으로 8비트 시트프(실질적으로 셋업 메세지 길이 정보의 상위 옥텟을 왼쪽으로 8비트 시프트 한 결과가 됨)하고, 왼쪽으로 8비트 시프트된 제 1옥텟에 제 2옥텟을 논리 가산하여(203), 16비트 인티저를 생성함으로서, 16비트 인티저로 구성된 호 셋업 메세지의 전체 길이(Ls)를 판독하고, 판독된 호 셋업 메세지의 전체 길이에 대한 데이터에 소정의 어드레스를 부여한후 저장부(103)에 저장한다(204).
그런 다음, 제어부(102)는 호 셋업 메세지에 포함되어 전송되어 온 사용자가 셀율 메세지의 식별자를 탐색하기 위하여, 내부의 카운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를 구동하여 카운트값(C)을 9로 세트한다(205),
이때, 카우트(C)을 9로 세트하는 이유는 전술한 호 셋업 메세지의 헤더 정보인 1옥텟의 프로토콜 판별, 4옥텟의 호출 참조 신호, 1옥텟의 메세지 형식 정보, 및 2옥텟의 메세지 길이 신호가 총 8옥텟(1부터 8까지)으로 구성되어 실질적인 사용자 셀을 메세지는 그 이후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한편, 호 셋업 메세지에는 사용자 셀율 메세지뿐만 아니라 제어 신호 메세지의 기능에 따라 요구되는 가변길이정보(35)가 다수 포함되어 있기 사용자 셀율 메세지가 어느 어드레스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알수가 없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102)는 가상 어드레스 9(a=m[9])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업카운트(up count)를 수행하면서 (C=C+1)(206), 각 카운트값에 대응하는 가상 어드레스에 저장된 각 옥텟을 판독하여, 사용자 셀율 메세지의 정보 식별자인 '01011001'의 8비트 옥텟이 검출되면, 제어부(102)는 사용자 셀율 메세지의 정보 식별자가 저장되었던 가상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카운트값(C=C1)을 204과정에서 저장되었던 호 셋업 메세지의 전체 길이(Ls)와 비교한다(208).
비교 결과(208), 사용자 셀율 메세지의 정보 식별자가 저장되었던 가상 어드레스값이 호셋업 메세지의 전체 길이(Ls)보다 크면 메세지 에러(error)가 발생된 것으로 인식한다. 그러나, 사용자 셀율 메세지의 정보 식별자가 저당되었던 가상 어드레스값이 호 셋업 메세지의 전체 길이(Ls)보다 작거나 같으면, 제어부(102)는 사용자 셀율 메세지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두 개의 옥텟을 이용하여, 사용자 셀율 메세지의 전체 길이를 판독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02)는, 사용자 셀율 메세지의 정보 식별자가 저장되었던 가상 어드레스(m[C]=m[C1])보다 2만큼 큰 가상 어드레스(m[C]=m[C1+2]) 지점에 저장되어 있는 제 3옥텟과, 사용자 셀율 메세지의 정보 식별자가 저장되었던 가상 어드레스(m[C]=m[C1])보다 3만큼 큰 가상 어드레스(m[C]=m[C1+3])에 저장되어 있는 제 4옥텟을 각각 리드하는데(209), 이는 제5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a=m[C1+2]에는 사용자 셀율 메세지 길이에 관한 상위 8비트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a=m[C1+3]의 가상 어드레스에는 사용자 셀율 메세지 길이에 관한 하위 8비트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209 과정후 가상 어드레스 a=m[C1+2]에 저장된 제 3옥텟을 왼쪽으로 8비트 시프트하고(210), 8비트 시프트된 제 3옥텟에 C1+3의 가상 어드레스에 저장된 제 4옥텟을 논리 가산하여, 사용자 셀율 메세지의 전체 길이(La)를 판독한후, 판독된 사용자 셀율 메세지의 전체 길이에 대한 데이타에 소정의 어드레스를 부여하여 저장한다(211).
211 과정후 제어부(102)는 기설정 저장 구간(b)에 비트 '01111111'를 저장하고(212)카운트값(C)을 C1+4로 업데이트(up date)한후(C=C1+4)(213) 사용자 셀율 메세지의 최대 효율 표시자를 탐색한다.
즉, 제어부(102)는 가상 어드레스(a=m[C1+4])에서부터 카운트값을 증가시키면서(C=C+1)(217), 카운트값에 대응하는 가상 어드레스에 저장된 8비트 옥텟을 리드하고, 리드된 옥텟을 기설정 구간(b)에 저장된 옥텟'01111111'과 논리곱한후(214), 논리곱된 값(K1=m[C]*b)이 최대 효율 표시자인지를 판별한다(216).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최대 효율 표시자가 판별되면 제어부(102)는 이를 출력한다(218). 그러나, 제어부(102)는 최대 효율 표시자가 판별되기 전에, 증가되는 카운트값이 호 셋업 메세지의 전체 길이(Ls)보다 커지면(215), 최대 효율이 요구되지 않았음을 인식한다(217).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Q.93B 프로토콜에서 호 셋업 메세지에 포함되어 호 설정을 요구하는 신호원의 통계적 특성을 나타내는 트래픽 파라메타나 트래픽 제어에 대한 특징을 정의하는 ATM 사용자 셀율 메세지중 최대 효율 표시자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검출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ATM의 Q.93B 프로토콜에서 호셋업 메세지에 포함되어 호설정을 요구하는 신호원의 통계적 특성을 나타내는 트래픽 파라메타, 트래픽 제어에 대한 특징을 정의하는 사용자 셀율 메세지중 최대 효율 표시자 메세지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호 셋업 메세지를 수신하면, 상기 호 셋업 메세지를 옥텟 단위로 분류하고 나서, 상기 분류된 각 옥텟에 가상 어드레스를 부여하여 저장된후, 기설정된 제 1및 제 2가상 어드레스에 저장되어 있는 두개의 옥텟을 논리 조합하여, 상기 호셋업 메세지의 전체 길이를 판독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후, 기설정된 제 3 가상 어드레스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어드레스값을 증가시키면서 사용자 셀율 메세지의 식별자를 탐색하고, 상기 사용자 셀율 메세지의 식별자가 탐색되면, 상기 옥텟 단위로 분류되어 저장된 상기 호셋업 메세지중, 기설정된 제 4 및 제 5 가상 어드레스에 저장되어 있는 두 개의 옥텟을 검출하고 논리 조합하여 상기 사용자 셀율 메세지의 전체 길이를 판독하는 제2단계; 상기 제 3 가상 어드레스 지점에서부터 기설정된 어드레스 간격만큼 떨어진 제 6가상 어드레스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어드레스값을 증가시키면서, 상기 최대 효율 표시자 메세지를 탐색하고, 상기 최대 효율 표시자 메세지의 탐색이 완료되면 이를 출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 최대한 효율 표시자 메세지 검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호셋업 메세지를 수신하면, 상기 호 셋업 메세지를 옥텟 단위로 분류한후, 상기 각 옥텟에 입력 순서대로 가상 어드레스를 각각 부여하여 저장한는 제1단계 과정; 상기 제1과정후, 상기 제 1 가상 어드레스 및 제 2 어드레스에 저장된 상기 호셋업 메세지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 1 옥텟 및 제 2 옥텟을 리드하는 제2과정; 상기 제2과정후, 제 1 옥텟과 상기 제 2옥텟을 논리 연산하여 16비트 인티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16비트 인티저에 의거하여 상기 호셋업 메세지의 전체 길이를 판독한후, 이를 저장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 최대 효율 표시자 메세지 검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제 3 가상 어드레스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어드레스값을 증가시키면서, 상기 증가되는 가상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각 옥텟을 리드하여, 상기 사용자 셀율 메세지의 식별자를 판별하는 제1과정; 상기 사용자 셀율 메세지의 식별자가 저장된 가상 어드레스값이 상기 호셋업 메세지의 전체 길이보다 크면 에러를 발생하는 제2과정; 상기 제 4 가상 어드레스 및 제 5 가상 어드레스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셀율 메세지의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제 1옥텟 및 제 2 옥텟을 리드하는 제3과정; 상기 제 1 옥텟과 제 2 옥텟을 논리 연산하여 16비트 인티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16비트 인티저에 의거하여 상기 사용자 셀율 메세지의 전체 길이를 판독한후 이를 저장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비동기 전송모드에서 최대 효율 표시자 메세지 검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제 3 가상 어드레스 지점에서부터 기설정된 어드레스 간격만큼 떨어진 제6어드레스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어드레스값을 증가시키면서, 상기 증가되는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옥텟을 리드하는 제1과정; 상기 제1과정에서 리드된 옥텟과 기설정된 옥텟을 논리 연산한후, 상기 논리 연산된값에 의거하여 상기 최대 효율 표시자 메세지를 판별하고, 판별된 상기 최대 효율 메세지를 출력하는 제2과정; 상기 증가되는 가상 어드레스값과 상기 호 셋업 메세지의 전체 길이를 비교하여, 상기 증가되는 가상 어드레스값과 상기 호 셋업 메세지의 전체 길이보다 커짐에도 불구하고, 상기 최대 효율 표시자 메세지가 판별되지 않으면 최대 효율이 요구되지 않았음으로 인식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 최대 효율 표시자 메세지 검출 방법.
KR1019940039957A 1994-12-30 1994-12-30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 최대 효율 표시자 메세지 검출 방법 KR0159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9957A KR0159565B1 (ko) 1994-12-30 1994-12-30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 최대 효율 표시자 메세지 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9957A KR0159565B1 (ko) 1994-12-30 1994-12-30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 최대 효율 표시자 메세지 검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773A KR960027773A (ko) 1996-07-22
KR0159565B1 true KR0159565B1 (ko) 1998-12-01

Family

ID=19405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9957A KR0159565B1 (ko) 1994-12-30 1994-12-30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 최대 효율 표시자 메세지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956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773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9565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 최대 효율 표시자 메세지 검출 방법
KR0159573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 씨엘피가 0인 사용자 순방향 피크 셀율 메세지 검출 방법
KR0159570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 태그 순방향 및 역방향 메세지 검출 방법
KR0159558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 씨엘피가 0인 사용자 역방향 피크 셀율 메세지 검출방법
KR0154918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 씨엘피가 0+1인 사용자 순방향 피크셀율 메세지 검출 방법
KR0159568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 씨엘피가 0인 사용자 순방향최대군집 길이 메세지 검출 방법
KR0159557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 씨엘피가 0인 사용자 순방향 유지 셀율 메세지 검출 방법
KR0159574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 씨엘피가 0인 사용자 역방향 유지 셀율 메세지 검출 방법
KR0159569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 씨엘피가 0인 사용자 역방향 최대 군집 길이 메세지 검출방법
US6580690B1 (en) Security by doubling at least certain logic path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0134446B1 (ko) 비동기 전송모드에서 호출 진행 메시지내의 가상경로 연결 식별정보와 가상채널 연결 식별정보의 검출방법
KR0128868B1 (ko)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메세지 분리방법
KR0130483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의 끝점 상태 메시지 생성 방법
KR0134443B1 (ko) 비동기 전송모드에서 에이티엠 적응계층 파라메터 메시지내의 승산기 메시지 검출방법
KR0134440B1 (ko) 비동기 전송모드에서 광대역 전송용량 메시지내의 전송등급 메시지 검출방법
KR0128871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모드의 재시작 표시 메세지 생성방법
KR0128872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모드의 광대역 송신 종료 메세지 생성 방법
KR0130412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의 끝점 기준 메세지 생성 방법
KR0134442B1 (ko) 비동기 전송모드에서 에이티엠 적응계층 파라메터 메시지내의 클럭 회복 형식 메시지 검출방법
KR0130414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의 비동기 전송 모드 사용자 셀율 메시지 생성 방법
KR0129599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모드의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 생성 방법
KR970002820B1 (ko)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접속 정보식별 메세지 생성방법
KR0128866B1 (ko) 비동기 전송 모드의 사용자 정보 계층 및 2프로토콜 메세지 생성방법
KR970002821B1 (ko)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서비스 파라메터 품질 메세지 생성방법
KR970002792B1 (ko) 비동기 전송 모드의 사용자 정보 계층 3 프로토콜 메세지 생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