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483B1 -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의 끝점 상태 메시지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의 끝점 상태 메시지 생성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483B1
KR0130483B1 KR1019940034101A KR19940034101A KR0130483B1 KR 0130483 B1 KR0130483 B1 KR 0130483B1 KR 1019940034101 A KR1019940034101 A KR 1019940034101A KR 19940034101 A KR19940034101 A KR 19940034101A KR 0130483 B1 KR0130483 B1 KR 0130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bit
message
set valu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4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842A (ko
Inventor
이규택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40034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483B1/ko
Publication of KR960027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4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9Admission control
    • H04L2012/5631Resource management and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85Addressing iss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의 끝점 상태 메시지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입력되는 8비트 옥텟으로 구성된 끝점 상태 메시지의 정보 식별 비트와, 확장 비트를 포함하여 8비트 옥텟으로 구성된 부호 표준과 정보 명령 각각에 주소를 부여하고 이를 저장하는 제1단계, 끝점 기준측 상태(54)를 8비트 옥텟으로 형성하여 주소를 부여한후 이를 저장하는 제2단계, 끝점 상태 메시지의 길이를 검출하여 8비트 옥텟으로 형성하고 8비트 옥텟으로 형성된 끝점 상태 메시지의 길이에 주소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제3단계, 끝점 상태 메시지의 길이와 주소를 출력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의 끝점 상태 메시지 생성 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ATM 셀 포맷도.
제2도는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의 일반적인 프로토콜 기준 모형도.
제3도는 일반적인 Q.93B 프로토콜의 메시지 포맷도.
제4도는 제어 신호 메시지의 기능에 따라 요구되는 가변 길이 정보에 대한 일반적인 포맷도.
제5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끝점 상태 메시지의 포맷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새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1 : Q.93B 정보 제공부 62 : 제어부
63 : 저장부 64 : 주소 및 길이 검출부
본 발명은 비동기 전송 모드(Asynchronous Transmission Mode : 이하 ATM이라 함)에 있어서, 특히 Q.93B 프로토콜(protocol)에서 다수개의 접속이 이루어졌을 때 각각의 끝점(endpoint)의 상태(state)를 나타내는 끝점 상태(endpoint state) 메시지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TM은 BISDN(broadband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를 구현하기 위한 통신 방식으로, ATDM(Asynchronous Time Division Multiplex)을 사용하는 특수한 형태의 패킷형 전달 방식이다.
또한, BISDN에서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패킷들의 연속적인 흐름에 의해서 정보가 전달되는데 이 고정된 크기의 패킷들을 ATM셀이라 하며, ATM 셀이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입력되는 서비스 정보(11)들을 고정 길이의 짧은 셀(12)로 분할한후 각 셀에 5바이트(byte)의 헤더(header)(12a)를 붙여서 패킷(packet)화된 정보로서, 각 ATM 셀은 총 53바이트(데이타 48 + 헤더 5)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ATM 셀들이 다중화(13)되어 전송된다.
상기한 ATM 셀은 연결성 방식으로서, 가상 채널을 설정하여 서비스 정보를 전달하는데 가상 채널이 설정될 때 마다 연결 식별 번호가 부여되고 연결이 해제되면 이 식별 번호도 해제된다. 또한 일정한 가상 채널내의 ATM 셀들간의 순서는 ATM 계층의 기능에 의해서 보존되고 연결 설정을 위한 신호 정보는 별도의 ATM 셀을 통해서 전달된다.
한편 상기한 ATM 방식은 체계적이고 융통성 있는 정보 전달을 위해서 계층화된 프로토콜 모형을 규정한다. 이때 구상되는 프로토콜 계층은 제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물리 계층(21), ATM 계층(22), ATM 적응 계층(23)과 상위 계층(24)등인데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ATM 의 프로토콜 기준 모형은 관리 평면(A), 제어 평면(B), 사용자 평면(C)으로 구성되고 이들중(A,B,C) 관리 평면(A)의 기능은 평면 관리와 계층 관리로 구분된다.
상기 평면 관리는 시스템의 전반적인 관리를 의미하고, 계층 관리는 자원 및 사용 변수의 관리를 의미하며 제어 평면(B)에서는 호 제어 및 연결 제어 정보를 관장하고 사용자 평면(C)에서는 사용자 정보의 전달을 관장한다. 또한 제어 평면(B) 및 사용자 평면(C)의 프로토콜은 상위 계층(24), ATM 적응 계층(23), ATM 계층(22), 물리 계층(21)등으로 구분되는데 ATM 적응 계층(23)은 상위 계층(24)의 사용자 서비스 정보를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로 만들어주는 수렴 부계층과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를 절단하여 ATM셀의 사용자 정보 구간을 형성하는 절단 및 재 결합부 계층으로 구성된다.
ATM 계층(22)는 사용자-망간 접속과 정보 흐름의 제어, 가상 결로 식별 번호 및 가상 채널 식별 번호를 번역하여 서비스 접속점들과 연결, 셀 들의 다중화 및 역다중화를 수행하고, 물리 계층(21)은 전송 수렴 부계층과 물리 매체 부계층으로 구성되어 셀 속도의 분리, 헤더 오류 제어용 바이트의 발생 및 확인, 셀 경계점의 검출 등을 수행하며 사용자 평면(C)의 상위 계층(24)는 서비스 정보의 처리에 관한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제어 평면(B)은 호 설정, 호 제어, 호 접속에 관한 기능을 제공하는데 호 설정, 호 제어, 및 호 접속은 사용자-망간에 제어 신호 메시지를 교환함으로서 이루어지고, 상기한 제어 신호 메시지는 각 기능에 따라 호 설정, 호 정보, 호 해제 및 부가 정보 메시지로 구분될수 있다. 이때 호 설정 메시지는 호출 처리, 접속, 접속 인식, 호 셋업(sepup)등으로 세분화 되고, 호 정보 메시지는 호 재개(resume), 재개 인식등으로 세분화되며 호 해제 미시지는 복귀(release), 복귀 완료등으로 세분화 되는데, 상기한 각 제어 신호 메시지에 대한 ITU-TS 권고 Q93B 프로토콜 메시지 제어 포맷은 제3도와 같다. 즉, 사용자-망간 ATM 호 및 접속 제어 메시지는 제3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른 메시지로부터 사용자-망간 호 제어 메시지를 판별하기 위한 프로토콜 판별(protocol discriminator), 신호(31), 사용자-망간 인터페이스의 메시지를 전송한 호출지를 검출하기 위한 호출 참조(call reference) 신호(32), 메시지 형식(message type) 신호(33), 메시지 길이(message length) 신호(34)가 기본적으로 구성되고 각 제어 신호 메시지의 기능에 따라 요구되는 가변 길이 정보(35)가 포함되도록 정의된다.
또한 상기 각 기능에 따라 요구되는 가변 길이 정보(35)는 제4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보 식별자(identifier)(41), 부호 표준(coding standard)(42), 정보 명령(information element instruction)(43), 정보 길이(44) 및 정보 내용(45)으로 구성되고, 특히 요구되는 기능에 따른 가변 길이 정보(35)중 다수개의 접속이 이루어졌을때 끝점 각각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끝점 상태 메시지에 대한 포맷이 마련된 상태이다. 그러나 상기한 끝점 메시지의 포맷에 대한 권고안이 마련된 상태지만 권고안에 따른 생성 방법이나 또는 장치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제시된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Q.93B 프로토콜에서 다수개의 접속이 이루어졌을 때 끝점 각각의 상태를 나타내는 끝점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끝점 상태 메세지 생성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입력되는 8비트 옥텟으로 구성된 끝점 상태 메시지의 정보 식별 비트와, 확장 비트를 포함하여 8비트 옥텟으로 구성된 부호 표준과 정보 명령 각각에 주소를 부여하고 이를 저장하는 제1단계, 끝점 기준측 상태(54)를 8비트 옥텟으로 형성하여 주소를 부여한후 이를 저장하는 제2단계, 끝점 상태 메시지의 길이를 검출하여 8비트 옥텟으로 형성하고 8비트 옥텟으로 형성된 끝점 상태 메시지의 길이에 주소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제3단계, 끝점 상태 메시지의 길이와 주소를 출력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끝점 상태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도로서, Q.93B 프로토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Q.93B 정보 제공부(61), Q.93B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끝점 상태 메시지에 대한 생성을 제어하는 제어부(62)에 의해 생성되는 끝점 상태 메시지를 저장하는 저장부(63), 생성 완료된 끝점 상태 메시지에 대한 주소와 정보 길이를 검출하여 이를 출력하는 주소 및 길이 검출부(64)로 구성되어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권고안에 따른 끝점 상태 메시지는 제6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01010101의 8비트 옥텟으로 구성된 끝점 상태 메시지의 정보 식별자(51), CCITT 표준을 나타낼 경우에는 '00'으로 구성되고 인터페이스(interface)의 망측(network side)에 존재하는 망에 정의돈 표준일 경우에는 '11'로 구성되는 부호 표준(52), 비트 '00000'로 구성된 정보 명령(53), 두 개의 옥텟으로 구성되어 끝점 상태 메시지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 길이(L), 공백일 경우에는 '00000', 시작된 가산측(add party)일 경우에는 '00001', 수신된 가산측일 경우에는 '00002', 시작된 탈락측(drop party)일 경우에는 '00003', 수신된 탈락측일 경우에는 '00004', 능동(active)일 경우에는 '00005'로 구성되는 끝점 기준측 상태(54)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어부(62)는 Q.93B 정보 제공부(61)로부터 다른 메시지로부터 사용자-망간의 호 제어 메시지를 판별하기 위한 프로토콜 판별 신호(31), 사용자-망간 인터페이스의 메시지를 전송한 호출지를 검출하기 위한 호출 참조 신호(32), 메시지 형식 신호(33), 메시지 길이 신호(34)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일반적인 Q.93B에 관한 메시지를 위한 기본 구성을 생성한 후, 본 발명의 끝점 상태 메시지에 대한 생성을 수행한다.
즉, 끝점 상태 메시지 생성을 위해 Q.93B 정보 제공부(61)가 끝점 상태 메시지를 정보 식별 비트(51)인 '01010101'의 8비트 옥텟을 출력하면 제어부(62)는 끝점 상태에 대한 메시지 생성임을 인식하여 Q.93B 정보 제공부(61)로부터 수신한 끝점 상태 메시지의 정보 식별 비트(51)인 8비트 옥텟과, 확장 비트를 포함한 부호 표준(52)과 정보 명령(53)으로 구성된 8비트 옥텟에 각각 주소를 부여하고, Q.93B 정보 제공뷰(61)로부터 수신한 끝점 기준측 상태(54)를 8비트 옥텟으로 형성하여 주소를 부여한후 끝점 상태 메시지의 전제 길이(L)와 생성된 끝점 상태 메시지를 저장부(63)에 저장한다.
따라서 메시지 주소 및 길이 검출부(64)는 생성 완료된 끝점 상태 메시지에 대한 주소와 정보 길이를 검출하여 이를 ATM망측에 출력함으로서 끝점 상태 메시지가 전달되게 된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끝점 상태 메시지 생성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62)는 Q.93B 정보 제공부(61)로부터 끝점 상태 메시지의 정보 식별 비트(51)인 '01010101'의 옥탯 정보를 수신하면(400) 끝점 상태에 대한 메시지 생성임을 인식하여 Q.93B 정보 제공부(61)로부터 수신한 끝점 상태 메시지의 식별 비트(51)에 첫 번째 주소를 부여하고(A0)(401) 끝점 상태 메시지의 길이(L)를 5로 세트(L1=5)한 후(402), 부호 표준(52)을 검색한다(403).
부호표준(52)이 CCITT 표준일 경우에는 '10000000'의 옥텟 정보를 생성하여 두 번째 주소를 부여한후(A1) 이를 저장부(63)에 저장하고(404) 부호 표준(52)이 인터페이스의 망측에 존재하는 망에 정의된 표준일 경우에는 '10000000'의 8비트 옥텟에 '01100000'의 8비트 옥텟을 논리 가산하여 두 번째 주소를 부여한후(A1) 이를 저장부(63)에 저장한다(405).
이때 404,405과정에서 주소(A1)가 부여된 옥텟 정보'10000000'이나 '11100000'의 최 상위 비트인 '1'은 확장 비트를 나타내고 7비트의 6비트 자리에 위치한 비트 '00'이나 '11'은 표준화된 부호 표준(52)을 나타내며, 최하위비트에서부터 5비트 자리에 위치한 비트'00000'은 정보 명령(53)을 나타낸다.
또한 8비트 옥텟 메시지의 최상위 비트에 위치한 확장 비트가 '0'일 경우 현재의 메시지는 그룹(group) 옥텟(여러개의 옥텟)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1'일 경우 현재의 메시지는 단일 옥텟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상기 과정후 공백일 경우에는 '00000', 시작된 기산측(add party)일 경우에는 '00001', 수신된 기산측일 경우에는 '00002', 시작된 탈락측(drop party)일 경우에는 '00003', 수신된 탈락측일 경우에는 '00004', 능동(active)일 경우에는 '00005'로 구성되는 끝점 기준측 상태(54)를 수신하여 8비트 옥텟을 형성한 뒤 옥텟으로 형성된 끝점 기준측 상태(54)에 주소를 부여하고(A4) 이를 저장부(63)에 저장한다(406).
상기 과정후 세 번째 주소(A2)와 네 번째 주소(A3)에 끝점 상태 메시지의 길이(L)를 저장하는데, 통상적으로 메시지의 길이는 식별 비트를 구성하는 8비트 옥텟과, 확장 비트를 포함한 부호 표준과 정보 명령으로 구성된 8비트 옥텟 및 정보 메시지의 길이를 구성하는 2개의 8비트 옥텟을 제외한 나머지 옥텟수로서 메시지의 길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제어부(62)는 상기 402과정에서 세트한 끝점 상태 메시지의 길이(L1)에 4를 감산하고(L=L1-4)(407), 407과정에서 연산된 끝점 상태 메시지 길이(L)와 로직1111111100000000를 논리곱한후, 이를 오른쪽으로 8비트 시프트시켜 끝점 상태 메시지 길이(L)의 상위 8비트를 옥텟으로 형성하고 옥텟에 세 번째 주소(A2)를 부여한후 이를 저장부(63)에 저장한다(408).
또한 407과정에서 연산된 끝점 상태 메시지 길이(L)와 로직 0000000011111111를 논리곱하여 끝점 상태 메시지 길이의 하위 8비트를 옥텟으로 형성하고 형성된 옥텟에 네 번째 주소(A3)를 부여한 후 이를 저장부(63)에 저장한다(409).
상기 과정후 제어부(62)는 저장부(63)에 저장된 끝점 상태 메시지의 주소와 메시지 길이를 검출하여 이를 주소 및 길 검출부(64)로 출력하고 주소 및 길이 검출부(64)는 이를 ATM망에 출력한다(410).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끝점 상태 메시지를 효율적이고 고속으로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입력되는 8비트 옥텟으로 구성된 끝점 상태 메시지의 정보 식별 비트와, 확장 비트를 포함하여 8비트 옥텟으로 구성된 부호 표준과 정보 명령 각각에 주소를 부여하고 이를 저장하는 제1단계, 끝점 기준측 상태(54)를 8비트 옥텟으로 형성하여 주소를 부여한후 이를 저장하는 제2단계, 끝점 상태 메시지의 길이를 검출하여 8비트 옥텟으로 형성하고 8비트 옥텟으로 형성된 끝점 상태 메시지의 길이에 주소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제3단계, 끝점 상태 메시지의 길이와 주소를 출력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의 끝점 상태 메시지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끝점 상태 메시지의 정보 식별 비트에 주소를 부여하여 저장하고 있는 과정, 부호 표준이 CCITT 표준일 경우에는 '10000000'의 옥텟 정보를 생성하여 주소를 부여한후 이를 저장하는 과정, 부호 표준이 인터페이스이 망측에 존재하는 망에 정의된 표준일 경우에는 '11100000'을 생성하여 주소를 부여한후 이를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의 끝점 상태 메시지 생성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끝점 상태 메시지의 길이를 제1 설정값으로 세트하고, 끝점 상태 메시지 생성이 완료된후 상기 제1 설정값에 제2 설정값을 논리 연산하여 끝점 상태 메시지의 길이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의 끝점 상태 메시지 생성 방법.
  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정값을 7로 세트하고 제2 설정값을 4로 설정하여 논리 감산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의 끝점 상태 메시지 생성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의 끝점 상태 메시지의 길이를 8비트 옥텟으로 형성하는 과정은 사기 제1 설정값에 제2 설정값을 논리 감산한 결과치를 로직 1111111100000000를 논리곱한후, 이를 오른쪽으로 8비트 시프트시켜 주소를 부여한후 저장하는 과정, 상기 제 1설정값에 제 2설정값을 논리 감산한 결과치를 로직 0000000011111111를 논리곱하여 주소를 부여한후 이를 저장하는 과정에 의해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의 끝점 상태 메시지 생성 방법.
KR1019940034101A 1994-12-14 1994-12-14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의 끝점 상태 메시지 생성 방법 KR0130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4101A KR0130483B1 (ko) 1994-12-14 1994-12-14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의 끝점 상태 메시지 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4101A KR0130483B1 (ko) 1994-12-14 1994-12-14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의 끝점 상태 메시지 생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842A KR960027842A (ko) 1996-07-22
KR0130483B1 true KR0130483B1 (ko) 1998-04-14

Family

ID=19401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4101A KR0130483B1 (ko) 1994-12-14 1994-12-14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의 끝점 상태 메시지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4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985B1 (ko) * 2012-12-05 2014-04-30 이인남 버킷형 풍차날개로 발전효율을 증대시킨 풍력발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985B1 (ko) * 2012-12-05 2014-04-30 이인남 버킷형 풍차날개로 발전효율을 증대시킨 풍력발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842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4098B1 (en) ATM connectionless communication system having session supervising and connection supervising functions
CN100493075C (zh) 变长数据分组与定长信元混合传送的方法与适配装置
US6947427B1 (en) Transmission method and network system for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kinds of traffic in a common network
KR0130483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의 끝점 상태 메시지 생성 방법
EP0898824A2 (en) Implementing atm virtual channels in a packet network
KR0130412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의 끝점 기준 메세지 생성 방법
KR0128873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모드의 수송망 선택 메세지 생성 방법
KR0128871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모드의 재시작 표시 메세지 생성방법
KR970002791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의 전송 용량 정보 메세지 생성 방법
KR0128872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모드의 광대역 송신 종료 메세지 생성 방법
KR0129599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모드의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 생성 방법
KR970002790B1 (ko)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호출 파티 서브 어드레스 메세지 생성방법
JPH0955746A (ja) Cbr信号の位相跳躍防止方式
KR0130414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의 비동기 전송 모드 사용자 셀율 메시지 생성 방법
KR0128866B1 (ko) 비동기 전송 모드의 사용자 정보 계층 및 2프로토콜 메세지 생성방법
KR0128870B1 (ko)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광대역 반복 표시정보 메세지 생성방법
KR0128869B1 (ko)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호출 상태 메세지 생성방법
KR970002820B1 (ko)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접속 정보식별 메세지 생성방법
KR0129598B1 (ko)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피호출 파티 서브 어드레스 메세지 생성방법
KR0154918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 씨엘피가 0+1인 사용자 순방향 피크셀율 메세지 검출 방법
KR970002821B1 (ko)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서비스 파라메터 품질 메세지 생성방법
KR0134446B1 (ko) 비동기 전송모드에서 호출 진행 메시지내의 가상경로 연결 식별정보와 가상채널 연결 식별정보의 검출방법
KR970002792B1 (ko) 비동기 전송 모드의 사용자 정보 계층 3 프로토콜 메세지 생성방법
KR0159565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 최대 효율 표시자 메세지 검출 방법
KR0159570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 태그 순방향 및 역방향 메세지 검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