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599B1 - 광대역 비동기 전송모드의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광대역 비동기 전송모드의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 생성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599B1
KR0129599B1 KR1019940030164A KR19940030164A KR0129599B1 KR 0129599 B1 KR0129599 B1 KR 0129599B1 KR 1019940030164 A KR1019940030164 A KR 1019940030164A KR 19940030164 A KR19940030164 A KR 19940030164A KR 0129599 B1 KR0129599 B1 KR 0129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formation
address
upper layer
bi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0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0155A (ko
Inventor
이규택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40030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599B1/ko
Publication of KR960020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0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5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43Assembling or disassembling of packets, e.g. segmentation and reassembly [S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동기 전송 모드(Asynchrous Transmission Mode : 이하 ATM이라 함)에 있어서, 특히 Q.93B 프로토콜(protocol)에서 호출자에 의해 호출된 피호출자와의 호환성을 위해서 전송되는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를 생성하기 위한 광대역 상위계층 메세지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입력되는 8비트 옥텟으로 구성된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식별 비트와, 확장 비트를 포함하여 8비트 옥텟으로 구성된 부호 표준과 정보 명령 각각에 주소를 부여하고 이를 저장하는 제1단계,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의 길이와 카운트 값을 기설정치로 초기화하는 제2단계, 입력되는 상위계층 정보 형식 비트의 내용에 따라 제공되는 상위계층 정보를 수신하여 기설정된 갯수의 상위계층 정보 옥텟을 생성하고 각 상위계층 정보 옥텟에 주소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제3단계,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의 길이를 검출하여 8비트 옥텟으로 형성하고 8비트 옥텟으로 형성된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의 길이에 주소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제4단계,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의 길이와 주소를 출력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대역 비동기 전송모드의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 생성 방법
본 발명은 비동기 전송 모드(Asynchrous Transmission Mode : 이하 ATM이라 함)에 있어서, 특히 Q.93B 프로토콜(protocol)에서 호출자에 의해 호출된 피호출자와의 호환성을 위해서 전송되는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를 생성하기 위한 광대역 상위계층 메세지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TM은 BISDN(Broadband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 k)를 구현하기 위한 통신 방식으로, ATDM(Asynchronous Time Division Multiple x)을 사용하는 특수한 형태의 패킷형 전달 방식이다.
또한, BISDN에서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패킷들의 연속적인 흐름에 의해서 정보가 전달되는데 이 고정된 크기의 패킷들을 ATM 셀이라 하며, ATM 셀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입력되는 서비스 정보(11)들을 고정 길이의 짧은 셀(12)로 분할한 후 각 셀에 5바이트(byte)의 헤더(header)(12a)를 붙여서 패킷(packet)화된 정보로서, 각 ATM 셀은 총 53바이트(데이타 48+헤더 5)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ATM 셀들이 다중화(13)되어 전송된다.
상기한 ATM 셀은 연결성 방식으로서, 가상 채널을 설정하여 서비스 정보를 전달하는데 가상 채널이 설정될 때 마다 연결 식별 번호가 부여되고 연결이 해제되면 이 식별 번호도 해제된다. 또한, 일정한 가상 채널내의 ATM 셀들간의 순서는 ATM 계층의 기능에 의해서 보존되고 연결 설정을 위한 신호 정보는 별도의 ATM 셀을 통해서 전달된다.
한편, 상기한 ATM 방식은 체계적이고 융통성 있는 정보 전달을 위해서 계층화된 프로토콜 모형을 규정한다. 이때, 구성되는 프로토콜 계층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 계층(21), ATM 계층(22), ATM 적용 계층(23)과 상위계층(24)등인데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ATM의 프로토콜 기준 모형은 관리 평면(A), 제어 평면(B), 사용자 평면(C)으로 구성되고 이들중(A,B,C) 관리 평면(A)의 기능은 평면 관리와 계층 관리로 구분된다.
상기 평면 관리는 시스템의 전반적인 관리를 의미하고 계층 관리는 자원 및 사용 변수의 관리를 의미하며 제어 평면(B)에서는 호 제어 및 연결 제어 정보를 관장하고 사용자 평면(C)에서는 사용자 정보의 전달을 관장한다.
또한 제어 평면(B) 및 사용자 평면(C)의 프로토콜은 상위계층(24), ATM 적응 계층(23), ATM 계층(22), 물리 계층(21) 등으로 구분되는데 ATM 적응 계층(23)은 상위계층(24)의 사용자 서비스 정보를 프로토콜 데이타단위로 만들어 주는 수렴 부계층과 프로토콜 데이타 단위를 절단하여 ATM 셀의 사용자 정보 구간을 형성하는 절단 및 재결합부 계층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ATM 계층(22)은 사용자-망간 접속과 정보 흐름의 제어, 가상 경로 식별 번호 및 가상 채널 식별 번호를 번역하여 서비스 접속점들과 연결, 셀 들의 다중화 및 역다중화를 수행하고, 물리 계층(21)은 전송 수렴 부계층과 물리 매체 부계층으로 구성되어 셀 속도의 분리, 헤더 오류 제어용 바이트의 발생 및 확인, 셀 경계점의 검출 등을 수행하며 사용자 평면(C)의 상위계층(24)은 서비스 정보의 처리에 관한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제어 평면(B)의 상위계층(24)은 호 설정, 호 제어, 호 접속에 관한 기능을 제공하는데, 호 설정, 호 제어, 및 호 접속은 사용자-망간에 제어 신호 메세지를 교환함으로서 이루어지고, 상기한 제어 신호 메세지는 각 기능에 따라 호 설정, 호 정보, 호 해제, 및 부가 정보 메세지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호 설정 메세지는 호출 처리, 접속, 접속 인식, 호 셋업(set up) 등으로 세분화되고, 호 정보 메세지는 호 재개(resume), 재개 인식 등으로 세분화되며 호 해제 메세지는 복귀(release), 복귀 완료 등으로 세분화되는데, 상기한 각 제어신호 메세지에 대한 ITU-TS 권고 Q.93B 프로토콜 메세지 제어 포맷은 제3도와 같다.
즉, 사용자-망간 ATM 호 및 접속 제어 메세지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메세지로부터 사용자-망간 호 제어 메세지를 판별하기 위한 프로토콜 판별(protocol discriminator) 신호(31), 사용자-망간 인터페이스의 메세지를 전송한 호출지를 검출하기 위한 호출 참조(call reference) 신호(32), 메세지 형식(message type) 신호(33), 메세지 길이(message length) 신호(34)가 기본적으로 구성되고 각 제어 신호 메세지의 기능에 따라 요구되는 가변 길이 정보(35)가 포함되도록 정의된다.
또한, 상기 각 기능에 따라 요구되는 가변 길이 정보(35)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식별자(identifier)(41), 부호 표준(coding standard)(42), 정보 명령(information element instruction)(43), 정보 길이(44) 및 정보 내용(45)으로 구성되고, 특히 요구되는 기능에 따른 가변 길이 정보(35)중 호출자에 의해 호출된 피호출자와의 호환성을 위해서 전송되는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01011101의 8비트 옥텟으로 구성된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의 정보 식별자(51), 00의 2비트로 구성된 CCITT 표준화된 부호 표준(52), 00000으로 구성된 정보 명령(53), 두개의 옥텟으로 구성되어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 길이(L), 상위계층 정보 형식(54) 및 상위계층 정보(55)로 구성된다.
이러한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는 공중(public) 사용자-망간의 셋업 메세지에는 선택적으로 적용되지만 전용 사용자-망간에는 의무적으로 적용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의 포맷에 대한 권고안이 마련된 상태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호출자에 의해 호출된 피호출자와의 호환성을 위해 사용되는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의 포맷에 대한 권고안은 현재 마련된 상태이지만, 이러한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를 생성하는 방법이나 또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장치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전혀 제시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동기 전송모드의 Q.93B 프로토콜에서 각종 제어신호 메세지의 기능에 따라 요구되는 가변길이 정보에 포함되어 호출자에 의해 호출된 피호출자와의 호환성을 위해 전송되는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동기 전송모드의 Q.93B 시그날링 프로토콜에서 제어신호 메세지에 포함되어 호출자에 의해 호출된 피호출자와의 호환성을 위해 전송되는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8비트 옥텟으로 구성된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식별 비트와, 확장 비트를 포함하여 8비트 옥텟으로 구성된 부호 표준과 정보 명령 각각에 주소를 부여하고 이를 저장하는 제1단계; 상기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의 길이와 카운트 값을 기설정치로 초기화하는 제2단계; 입력되는 상기 상위계층 정보 형식 비트의 내용에 따라 제공되는 상위계층 정보를 수신하여 기설정된 갯수의 상위계층 정보 옥텟을 생성하고 각 상위계층 정보 옥텟에 주소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제3단계; 상기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의 길이를 검출하여 8비트 옥텟으로 형성하고 8비트 옥텟으로 형성된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의 길이에 주소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저장된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의 길이와 주소를 인출하여 전송채널로 출력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ATM 셀 포맷도.
제2도는 광대역 비동기 전송모드의 일반적인 프로토콜 기준 모형도.
제3도는 일반적인 Q.93B 프로토콜의 메세지 포맷도.
제4도는 제어 신호 메세지의 기능에 따라 요구되는 가변 길이 정보에 대한 일반적인 포맷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에 대한 일반적인 메세지 포맷도.
제6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형식에 대한 포맷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상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1 : Q.93B 정보 제공부 62 : 제어부
63 : 저장부 64 : 주소 및 길이 검출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를 생성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도로서, Q.93B 프로토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Q.93B 정보 제공부(61), Q.93B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에 대한 생성을 제어하는 제어부(62), 제어부(62)에 의해 생성되는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63), 생성 완료된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에 대한 주소와 정보길이를 검출하여 이를 출력하는 주소 및 길이 검출부(64)로 구성되어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의 정보식별 비트(51), CCITT 표준화된 부호 표준(52), 정보 명령(53),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 길이(L), 상위계층 정보 형식(54), 및 상위계층 정보(55)로 구성되고, 또한 상위계층 정보 형식(54)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ISO일 경우 0000000, 사용자 정의일 경우 0000001, 상위계층 프로파일(profile)일 경우 0000010, 공급자 정의 응용 식별자(Vendor-Specific Application identifi er)일 경우 0000011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어부(62)는 Q.93B 정보 제공부(61)로 부터 다른 메세지로 부터 사용자-망간 호 제어 메세지를 판별하기 위한 프로토콜 판별 신호(31), 사용자-망간 인터페이스의 메세지를 전송한 호출지를 검출하기 위한 호출 참조 신호(32), 메세지 형식 신호(33), 메세지 길이 신호(34)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일반적인 Q.93B에 관한 메세지를 위한 기본 구성을 생성한 후, 본 발명의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에 대한 생성을 수행한다.
즉,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 생성을 위해 Q.93B 정보 제공부(61)가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식별 비트(72)(로직 `01011101')를 출력하면 제어부(62)는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에 대한 메세지 생성임을 인식하여 Q.93B 정보 제공부(61)로 부터 수신한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식별 비트(51)인 8비트 옥텟과 확장 비트를 포함한 부호 표준(52)과 정보 명령(53)으로 구성된 8비트 옥텟에 각각 주소를 부여하고 Q.93B 정보 제공부(61)로 부터 수신한 상위계층 정보 형식(54)의 내용에 따라 기설정된 갯수의 옥텟 또는 제공된 갯수의 옥텟으로 구성된 상위계층 정보를 생성한 후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의 전체 길이(L)와 생성된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를 저장부(63)에 저장한다.
따라서, 메세지 주소 및 길이 검출부(64)는 생성 완료된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에 대한 주소와 정보 길이를 검출하여 이를 ATM망측에 출력함으로서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가 전달되게 된다.
제8도는 본 발명의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 생성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62)는 Q.93B 정보 제공부(61)로 부터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식별 비트(51)인 '01011101'의 옥텟 정보를 수신하면(100)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에 대한 메세지 생성임을 인식하여 Q.93B 정보 제공부(61)로 부터 수신한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식별 비트(51)에 첫번째 주소를 부여하고(A0)(101) '10000000'를 수신하여 두번째 주소(A1)를 부여한 후(102) '01011101'의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식별 비트(51)와 '10000000'의 옥텟 정보를 저장부(63)에 각각 저장하는 한편,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의 길이(L)를 5로 세트하고 (L=5), 카운트값(i)을 0으로 초기화한다(102).
이때, 101과정에서 주소(A1)가 부여된 옥텟 정보 '10000000'의 최상위 비트인 로직 '1'은 확장 비트를 나타내고, 7비트와 6비트 자리에 위치한 로직 '00'은 CCITT 표준화된 부호 표준(52)을 나타내며, 최하위 비트에서 부터 5비트 자리에 위치한 로직 '00000'은 정보 명령(53)을 나타낸다.
또한, 8비트 옥텟 메세지의 최상위 비트에 위치한 확장 비트가 '0'일 경우 현재의 메세지는 그룹(group) 옥텟(여러 개의 옥텟)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1'일 경우 현재의 메세지는 단일 옥텟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상기 과정 후 Q.93B 정보 제공부(61)로 부터 상위계층 정보 형식 비트(54)가 제어부(62)에 입력되면 제어부(62)는 로직 '10000000'에 상위계층 정보 형식 비트(54)를 가산한 후 이에 다섯번째 주소(A4)를 부여하여 저장부(63)에 저장하는데(103), 이는 세번째 주소(A2)와 네번째 주소(A3)에는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의 총길이(L)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어부(62)는 상위계층 정보 형식 비트(54)의 내용을 검출하여 수신한 상위계층 정보 형식(54)의 내용(제7도 참조)에 따라(104) 기설정된 갯수의 옥텟 또는 제공된 갯수의 옥텟으로 구성된 상위계층 정보를 생성한다.
즉, 상위계층 정보 형식 비트(54)가 0000000(ISO)나 00000001(사용자 정의)일 경우(104) 제어부(62)는 Q.93B 정보 제공부(61)로 부터 제공되는 일정 갯수(k)의 옥텟으로 구성된 상위계층 정보(55)를 리드(read)하여(105) 이를 저장부(63)에 저장한다.
이때, Q.93B 정보 제공부(61)로 부터 제공되는 상위계층 정보(55)를 옥텟 단위로 구별하고 구별된 옥텟 단위 각각에 주소를 부여하여 저장하되 여섯번째 주소(A5)에서 부터 카운트를 시작하여(106,107) 순차적으로 주소(A6,A7,A8,…)를 증가시켜 저장하고 카운트값(i)이 일정 갯수(k)에 도달하면(i=k)(108) 102과정에서 세트된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의 길이(L)에 Q.93B 정보 제공부(61)로 부터 제공되는 일정 갯수(k)를 가산한다(L+k)(109).
또한, 상위계층 정보 형식 비트(54)가 0000010(상위계층 프로파일)일 경우(104) 제어부(62)는 Q.93B 정보 제공부(61)로 부터 제공되는 4개의 옥텟(k=4)으로 구성된 상위계층 정보(55)를 리드(read)한 후(110) 옥텟 단위 각각에 주소를 부여하여 저장부(63)에 저장하되 여섯번째 주소(A5)에서 부터 카운트를 시작하여(106,107) 순차적으로 주소(A6,A7,A8)를 증가시켜 저장하고 카운트값(i)이 4가 되면(i=4)(108) 102과정에서 세트된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의 길이(L)에 카운트값(k=4)를 가산한다(L+k)(109).
마찬가지로, 상위계층 정보 형식 비트(54)가 0000011(공급자 정의 응용 식별자)일 경우(104) 제어부(62)는 Q.93B 정보 제공부(61)로 부터 제공되는 7개의 옥텟(k=7)으로 구성된 상위계층 정보(55)를 리드(read)한 후(111) 옥텟 단위 각각에 주소를 부여하여 저장부(63)에 저장하되 여섯번째 주소(A5)에서 부터 카운트를 시작하여(106,107) 순차적으로 주소(A6,A7,A8,A9,A10,A11)를 증가시켜 저장하고 카운트값(i)이 7이 되면(i=7)(108) 102과정에서 세트된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의 길이(L)에 카운트값(k=7)을 가산한다(L+k)(109).
상기 과정 후 세번째 주소(A2)와 네번째 주소(A3)에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의 길이를 저장하는데, 통상적으로 메세지의 길이는 식별 비트를 구성하는 8비트 옥텟과, 확장 비트를 포함한 부호 표준과 정보 명령으로 구성된 8비트 옥텟 및, 정보 메세지의 길이를 구성하는 2개의 8비트 옥텟을 제외한 나머지 옥텟수로서 메세지의 길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제어부(62)는 109과정에서 연산된 전체 메세지 길이(L+k)에 4를 감산한 후(Y=L+k-4)(112), 112과정에서 연산된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 길이(Y)와 로직 1111111100000000을 논리곱하고 오른쪽으로 8비트 시프트시켜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 길이의 상위 8비트를 옥텟으로 형성하여 형성된 옥텟에 세번째 주소(A2)를 부여한 후 이를 저장부(63)에 저장한다(113).
또한, 112과정에서 연산된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 길이(Y)와 로직 000 0000011111111을 논리곱하여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 길이의 하위 8비트를 옥텟으로 형성하고 형성된 옥텟에 네번째 주소(A3)를 부여한 후 이를 저장부(63)에 저장한다(114).
상기 과정 후 제어부(62)는 저장부(63)에 저장된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의 주소와 메세지 길이를 검출하여 이를 주소 및 길이 검출부(64)로 출력하고 주소 및 길이 검출부(64)는 이를 도시 생략된 전송채널을 통해 ATM망에 출력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ATM의 Q.93B 시그날링 프로토콜에서 제어신호 메세지에 포함되어 호출자에 의해 호출된 피호출자와의 호환성을 위해 전송되는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시지를 고속으로 생성하여 통신제어를 위한 시스템에 제공함으로써, ATM의 Q.93B 시그날링 프로토콜에서 망간의 통신제어를 위한 시그날링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Claims (5)

  1. 비동기 전송모드의 Q.93B 시그날링 프로토콜에서 제어신호 메세지에 포함되어 호출자에 의해 호출된 피호출자와의 호환성을 위해 전송되는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8비트 옥텟으로 구성된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식별 비트와, 확장 비트를 포함하여 8비트 옥텟으로 구성된 부호 표준과 정보 명령 각각에 주소를 부여하고 이를 저장하는 제1단계; 상기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의 길이와 카운트 값을 기설정치로 초기화하는 제2단계; 입력되는 상기 상위계층 정보 형식 비트의 내용에 따라 제공되는 상위계층 정보를 수신하여 기설정된 갯수의 상위계층 정보 옥텟을 생성하고 각 상위계층 정보 옥텟에 주소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제3단계; 상기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의 길이를 검출하여 8비트 옥텟으로 형성하고 8비트 옥텟으로 형성된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의 길이에 주소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저장된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의 길이와 주소를 인출하여 전송채널로 출력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비동기 전송모드의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의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의 길이는 5로 초기화하고 카운트값을 0으로 초기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비동기 전송모드의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 생성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 입력되는 상기 상위계층 정보 형식 비트에 주소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제1과정; 상기 상위계층 정보 형식 비트가 ISO일 경우 ISO에 상응하여 제공되는 상위계층 정보를 옥텟 단위로 구별하여 주소를 부여하고 이를 저장하되, 상기 상위계층 형식 비트에 부여된 주소의 다음 주소부터 순차적으로 주소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제2과정; 상기 상위계층 정보 형식 비트가 사용자 정의일 경우 사용자 정의에 상응하여 제공되는 상위계층 정보를 옥텟 단위로 구별하여 주소를 부여하고 이를 저장하되, 상기 상위계층 형식 비트에 부여된 주소의 다음 주소부터 순차적으로 주소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제3과정; 상기 상위계층 형식 비트가 사용자 계층 프로파일일 경우 사용자 계층 프로파일에 상응하여 제공되는 상위계층 정보를 4개의 옥텟 단위로 구별하여 주소를 부여하고 이를 저장하되, 상기 상위계층 형식 비트에 부여된 주소의 다음 주소부터 순차적으로 주소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제4과정; 및 상기 상위계층 형식 비트가 공급자 정의 응용 식별자일 경우 공급자 정의 응용 식별자에 상응하여 제공되는 상위계층 정보를 7개의 옥텟 단위로 구별하여 주소를 부여하고 이를 저장하되, 상기 상위계층 형식 비트에 부여된 주소의 다음 주소부터 순차적으로 주소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비동기 전송모드의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 생성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의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의 길이 검출은, 상기 상위계층 형식 비트에 부여된 주소의 다음 주소부터 카운트를 시작하여 카운트가 완료되면 완료된 카운트값과 초기화된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 길이를 가산한 값을 상기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 길이로 세트하여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비동기 전송모드의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 생성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의 광대역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의 길이는 2개의 옥텟으로 형성하되 확장 비트를 포함하여 8비트 옥텟으로 구성된 부호 표준과 정보 명령에 부여된 주소의 다음 주소를 부여하여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비동기 전송모드의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 생성 방법.
KR1019940030164A 1994-11-17 1994-11-17 광대역 비동기 전송모드의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 생성 방법 KR0129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0164A KR0129599B1 (ko) 1994-11-17 1994-11-17 광대역 비동기 전송모드의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 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0164A KR0129599B1 (ko) 1994-11-17 1994-11-17 광대역 비동기 전송모드의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 생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155A KR960020155A (ko) 1996-06-17
KR0129599B1 true KR0129599B1 (ko) 1998-04-17

Family

ID=19398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0164A KR0129599B1 (ko) 1994-11-17 1994-11-17 광대역 비동기 전송모드의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59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155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6734A (en) Simultaneously-occuring message control device in a communications system where a message is transmitted using a plurality of data units
KR0129599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모드의 상위계층 정보 메세지 생성 방법
KR0130483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의 끝점 상태 메시지 생성 방법
KR970002790B1 (ko)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호출 파티 서브 어드레스 메세지 생성방법
KR0128866B1 (ko) 비동기 전송 모드의 사용자 정보 계층 및 2프로토콜 메세지 생성방법
KR970002792B1 (ko) 비동기 전송 모드의 사용자 정보 계층 3 프로토콜 메세지 생성방법
KR0128872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모드의 광대역 송신 종료 메세지 생성 방법
KR0128871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모드의 재시작 표시 메세지 생성방법
KR970002791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의 전송 용량 정보 메세지 생성 방법
KR0130412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의 끝점 기준 메세지 생성 방법
KR0128873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모드의 수송망 선택 메세지 생성 방법
KR0128869B1 (ko)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호출 상태 메세지 생성방법
KR970002820B1 (ko)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접속 정보식별 메세지 생성방법
KR970002819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의 비동기 전송 모드 적응 계층 메세지 생성 방법
KR0128867B1 (ko) 비동기 전송 모드의 피호출 파티 넘버 메세지 생성방법
KR0154918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 씨엘피가 0+1인 사용자 순방향 피크셀율 메세지 검출 방법
KR0130414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의 비동기 전송 모드 사용자 셀율 메시지 생성 방법
KR0129598B1 (ko)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피호출 파티 서브 어드레스 메세지 생성방법
KR970002821B1 (ko)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서비스 파라메터 품질 메세지 생성방법
KR0128870B1 (ko)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의 광대역 반복 표시정보 메세지 생성방법
KR0134442B1 (ko) 비동기 전송모드에서 에이티엠 적응계층 파라메터 메시지내의 클럭 회복 형식 메시지 검출방법
KR0134434B1 (ko) 비동기 전송모드에서 에이티엠 적응계층 파라메터 메시지내의 에스에스씨에스 형식 메시지 검출방법
KR0134446B1 (ko) 비동기 전송모드에서 호출 진행 메시지내의 가상경로 연결 식별정보와 가상채널 연결 식별정보의 검출방법
KR0134436B1 (ko) 비동기 전송모드에서 에이티엠 적응계층 파라메터 메시지내의 메시지 정보식별자 크기 메시지 검출방법
KR0159565B1 (ko) 광대역 비동기 전송 모드에서 최대 효율 표시자 메세지 검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