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8220B1 - 수평 안정 바닥장치 - Google Patents

수평 안정 바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8220B1
KR0158220B1 KR1019930022261A KR930022261A KR0158220B1 KR 0158220 B1 KR0158220 B1 KR 0158220B1 KR 1019930022261 A KR1019930022261 A KR 1019930022261A KR 930022261 A KR930022261 A KR 930022261A KR 0158220 B1 KR0158220 B1 KR 0158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ucture
arc
contact surface
stepping
radi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2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8715A (ko
Inventor
피젠 마이어 베르너
Original Assignee
베르너 피젠마이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9214341U external-priority patent/DE9214341U1/de
Priority claimed from DE9214342U external-priority patent/DE9214342U1/de
Application filed by 베르너 피젠마이어 filed Critical 베르너 피젠마이어
Publication of KR940008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8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82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loor Finish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 Physical Deposition Of Substances That Are Compon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디딤대와 최소한 하나의 하부구조로 이루어진 높이 가변성 디딤대를 갖는 수평안정 바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디딤대는 길이면단부에 호형 층표면과 함께 마련되고, 상기 층표면은 하부구조의 접촉면과 함께 각각 형태적절한 적재장치를 형성하고, 아치형 층표면은 접촉면의 원호 부분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접촉면은 하부 구조의 접촉면의 반경으로서 동일한 반경을 나타내는 첩촉면의 원호부로 형성되지만 원호의 길이(L)는 하부구조의 원호의 길이 (L')보다 작고, 상부 디딤대(2)의 아치형 층표면의 반경은 다수의 하부구조를 통하여 형성된 임의의 경사에 있어서 형태적절하고 수평안정성있게 각각의 최상층 하부구조(3)에 맞물리며, 한편 각각의 경사에서 가장 밖의 동일한 접촉점 주변의 반경 내지 그의 중심점은 궤도를 그리며 이때 디딤대의 아치형 층표면의 전체 원호의 길이(L)는 하부구조의 접촉면에 고정되며, 한편 반경돌출부에는 단지 아치형 층표면의 길이면의 최저점만이 존재하며, 상기 최저점은 하부구조의 접촉견각으로부터 각각의 경사내에 떨어져 있으며, 하부 구조와 디딤대 사이에는 측안정성으로서 하부구조의 접촉면위로 볼록한 융기부가 마련되며, 상기 융기부는 하부구조의 정면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디딤대의 길이면 뒷쪽에서 그의 내부 및 하부에 마련된다.
또한, 본 출원 바닥장치는 높이 그리고/또는 경사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부 디딤대 및 다수개의 하부구조로 이루어진 가변성 있는 디딤대 높이를 가지며, 디딤대의 정면 영역은 아래쪽으로 연장한 봉기면 (4') 과 함께 형성된다.

Description

수평안정 바닥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장치의 서로 다른 경사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부속접속된 하부구조를 포함한 디딤대를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층표면영역에 부속접속된 하부구조를 포함한 디딤대의 확대도.
제4도는 제3도의 선 A - A에 따른 단면도.
제5도 내지 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닥 장치 2 : 디딤대
3 : 하부 구조 4 : 측벽
5 : 층표면 6 : 접촉면
7 : 반경 8 : 중심점
9 : 접촉점 13 : 최저점
본 발명은 높이가변성 디딤대를 갖는 수평안정 바닥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딤대 및 이 디딤대에 부속가능한 하부구조를 구비하는 바닥 장치는 디딤대의 높이 또는 상기 바닥장치의 경사를 변화시킬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구조의 부속여부에 따라 소정의 변화를 꾀할 수 있다.
바닥장치와 관련하여 여러가지의 실행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치는 하부구조없이 걸상 또는 침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하부구조를 부속시킴으로써 양측면의 높이를 높일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은 구동안정성의 측면에서 스포츠 교육자 또는 개인 이용자에 국한하여 사용되는 것이 좋다.
그런데, 주의없이 장치를 설치하게 되면 수평안정성의 결여로 인하여, 예를 들면 경사를 조정하기 위하여 바닥장치의 어느 한 측면에 하부구조를 부속시키는 경우 상당한 위험이 발생될 수 있다.
독일연방공화국 실용신안등록 제 G 91 08 940 호에 의하여 공지된 높이 가변성 디딤대를 갖는 바닥장치에 있어서는 호형 층표면을 이용하여 비교적 안정성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이 바닥장치, 즉 사용되어야할 디딤대 및 이 디딤대에 부속되어 이용되는 다수의 하부구조에 있어서는 형태완성이라는 면에서 볼 때 보다 나은 하부구조의 제공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다. 즉, 2개의 하부구조를 인세트(in-set) 할 때 디딤대의 측벽은 하부구조상에 고정되었으며, 이 때문에 호형 접촉면은 형태완성을 이루지 못하는 것이 명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바닥판을 사용한 스키훈련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커다란 경사를 이루게 되면 보존안정성을 상실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보존안정성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디딤대의 호형 층표면과 하부구조의 호형 층표면 사이에서 커다란 로울러를 작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특히, 디딤대의 호형 층표면의 돌출부는 사용되는 하부구조와 일치하는 구성을 요구하므로, 그 결과 이에 알맞는 측벽은 유리한 경사고정상태를 달성한다. 또한, 안정성의 측면에서 하부구조가 디딤대에 대하여 엇갈리지 않게 빠져 나오도록 하기 위한 측안정성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바닥장치에 기초하여 적절한 연결특성을 제공하고 유형상의 완성을 실현하는 것으로서, 디딤대 및 하부구조의 호형 층표면은 다수의 하부구조를 디딤대에 부가하여 바닥장치에 가파른 경사상태를 제공함에 따라 형태적절하게 접촉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장치(1)의 구성을 설명한다. 디딤대(2)는 장방형으로 구성되는데, 이것은 발판의 형성과 유사하다. 디딤대표면(23)의 영역에는 미끄럼매트(26)가 그 안에 접착될 수 있도록 제작시에 작은 홈(25)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디딤대(2)에 있어서, 이 디딤대(2)의 표면은 호형부(27)쪽으로 이어지고, 이 호형부(27)는 정면부(21)쪽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정면부(21)의 하부모서리(22)및 그것과 접속된 측벽(4)에는 발판마디(28)가 장착된다. 상기 발판마디(28)의 장착은 디딤대(2)의 모든 4개 의 모서리에서 이루어진다. 수평위치에서 상기 4개의 발판마디(28)는 디딤대(2)의 지지대를 형성한다. 하부구조(3)를 제거하면 디딤대(2) 는 앉거나 누울 수 있는 벤치로 이용되는데, 이때 예를 들어 오목부(29)에 제공되는 보존부재(30)는 도시하지 않는 익스팬더벨트룰 걸 수 있도록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은 정면부(21)의 외측에서 길이면(4)안에 호형 층표면(5)이 존재한다는 데 있으며, 상기 층표면은 접촉면(6)및 하부구조(3)와 대향하는 관계에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길이면섹터(31)에 있으며, 상기 섹터(31)는 반경돌출부(14)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어 최저점(13)을 형성한다.
다수의 적층된 하부구조(3)는 각각의 내부반경(11)을 외부반경(12)와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적층시 각 부재가 밀접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하부구조(3)를 소망하는 높이 까지 상하로 적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3개의 하부 구조(3)가 상하로 적층되며, 이에 따라 디딤대(2)에 대해 경사를 제공하게 되므로 하부구조(3)의 반경(7)내지 그의 중심점 (8) 과 디딤대 (2) 내지 디딤대 (2) 의 호형 층표면 (5) 은디딤대 (2) 의 발판마디 (28)를 통해 형성된 접촉점 (9)을 작용점으로 하여 회전한다. 본 발명에서는 호형 층표면의 반경 (7) 이 하부구조 (3) 의 반경 (12)과 일치하지만, 결국 원호부분만을 도시하게 되어 디딤대 (2) 의 층표면 (5) 의 원호 길이 (L) 는 하부구조 (3) 의 최저점 (13)을 정면부 (21) 의 영역의 하부 모서리 (22) 가 위치하는 높이에 놓이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디딤대(2)와 하부구조(3)간의 결합시에 어떤 포인트 접속도 존재하지 않으며, 층표면(50)은 하부구조(3)의 접촉면(6)상에 항상 적절한 형태의 토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장치(1)는 상부 디딤대(2)와 다수의 하부구조(3)로 구성된다. 이 바닥 장치(1)에서는 디딤대(2)아래에 하부구조 (3)를 장착하여 발판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게 되며, 그 높이는 개개인에 따라 각각 적절하게 조절하게 된다. 더욱이, 상부 디딤대(2)의 길이면(4)안에 제공되는 층표면(5)을 갖는다. 상기 층표면(5)은 하부구조(3)의 접촉면(6)과 일치한다. 또한, 하부구조(3)는 그의 접촉면(6)을 통해 상하적층되어 안정성을 제공한다. 상측 하부구조(3)와 디딤대(2)사이에는, 즉 층표면(5)내지 접촉면(6)사이에는 어떤 일치도 일어나지 않고, 원호의 연장 내지 반경충격에 의해 단지 포인트 접속이 이루어지며, 그것은 제 1a 도에서 기호 (P)로 도시한 것과 같다. 그 결과, 실제 사용에 있어서 화살표 (Q) 방향으로 디딤대 (2)를 사용시에 디딤대의 정면부에 매우 부하가 가해져서 디딤대는 접촉점 (P)를 이탈하여 점(P)과 대향하고 있는 접촉점을 찾기 위하여 경사운동을 실행한다. 그 결과, 심하게 전복될 수 있다.
또한, 측벽(4)은 반경돌출부(14)를 따라 제1b도에서 도시하는 것과 같이 디딤대표면(23)과 평행을 유지한다.
그러면, 하부모서리(24)는 하부구조(3)의 접촉각(17)상에 고정되고 다시 포인트 접속(P)을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부 디딤대(2)의 호형 층표면(5)은 원호부분으로서 형성되며, 그 원호부분은 하부구조(3)의 반경(12)으로서 똑같은 반경(7)을 나타내지만 원호의 길이(L)는 하부구조 (3) 의 원호의 길이(L')보다 짧다. 상부 디딤대(2)의 호형 층표면(5)의 반경(7)은 다수의 하부 구조(3)를 통해 이루어진 임의의 경사상태에서 적절한 형태를 유지하며, 수평안정정치는 각각의 최상층 하부구조(3)내에 유지된다. 한편, 반경(7)내지 그의 중심점(8)은 모든 경사상태에서 가장 외부의 동일한 접촉점(9)을 돌아 환상선(10)을 그리며, 디딤대(2)의 호형 층표면(5)의 모든 원호의 길이(L)는 하부구조(3)의 접촉면(6)상에 형태 적절하게 유지되며, 한편 길이면(4)의 최저점(13)은 호형 층표면(5)의 반경 돌출부(14)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최저점(13)은 하부구조 (3)의 접촉각(17)으로부터 각각의 경사를 형성한다. 하부구조(3)와 디딤대(2)사이의 측 안정장치로서, 하부구조(30)의 접촉면위로 튀어나온 융기부(15)가 인세트되며, 하부구조의 정면부 (16) 으로부터 형성되어 디딤대 (2) 의 길이면 (4) 의 뒤쪽에서 디딤대의 내부 및 하부에 놓여진다.
하부 구조(3)의 볼록한 융기부(15)는 그 정면(18)에 조정돌출부(19)를 형성하고, 디딤대(2)는 반경돌출부에서 그 내면에 돌출부(20)를 형성한다.
본 발명과 더불어 높이가변성 디딤대를 갖는 수평안정성 바닥장치는 상부 디딤대와 다수의 하부구조로 이루어지며, 또한 커다란 경사각에 의하여, 예를 들면 스키연습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하며, 이 때 모든 안정성있는 기술의 요구가 충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연장된 지주면을 갖는 바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높이가변성 디딤대를 갖는 바닥장치는 장방형의 상자모양 상부 및 디딤대와 다수의 작은 하부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적층나무 상자형 구성원리를 통하여 실제적으로 요구되는 서로 다른 높이 및 경사가 달성된다. 그러나, 일정한 전체높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약간의 하부구조를 필요로 한다. 상기 장치는 상부구조들간에 형태 적절한 제조를 통하여 원칙적으로 수평안정장치를 형성할 수 있었기 때문에 발판에 대한 안정성은 적층 원리의 기술적 규정에 따라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또한, 다수의 주의에 놓여있는 하부구조는 공동 트레이닝시에는 방해가 되며 비틀림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종래의 장치는 익스팬더벨트에 걸기 위하여 그의 아래쪽 외부 가장자리에 고정되며, 광학적으로 간접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무엇보다 헤드옆의 경사를 통하여 가시화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바닥장치의 디딤대 안정성을 계속하여 향상시키고 익스팬더벨트로부터 신속하게 인세트를 실현하는 것이다. 또한, 불필요한 하부구조를 디딤대 아래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적은 수의 하부구조로 최고의 디딤대 높이까지 구축되고, 그래서 향상된 상태안정성을 나타낸다. 상기 장점은 디딤대에 아래쪽으로 연장된 2개의 정면부를 통하여 달성되므로 디딤대는 전체적으로 벤취형태를 형성한다. 이 형태는 높에 놓여 있는 중심 부분과 함께 트레이닝사이클내에서 불필요하게 되는 하부구조가 간단히 디딤대 아래로 밀어져서 산재한 하부구조를 통하여 야기된 비틀림을 제거하는 하부구조의 장점을 나타낸다.
오목부의 익스팬더벨트를 위하여 외측면에 부착배치하는 것은 신속히 광학적 교정발견을 가능하게 하며, 계속해서 공동트레이닝시에 적정프로그램의 전개를 실현 가능하게 한다. 익스팬더벨트는 각각 실시예에 따라 꺽쇠 또는 폐쇄 장치에 고정된다.
제5도 내지 제8도에 따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는 하부구조가 없는 디딤대, 제6도는 하부구조를 포함한 디딤대를 나타낸다.
제7도는 꺽쇠를 부착한 부분도, 제8도는 폐쇄장치의 부분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장치는 종래의 장방형 상자형태안에 형성된 디딤대(1')와 하부구조(2')로 이루어진다. 디딤대(1')의 하면은 정면의 영역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그 밑으로 끌어내려진다. 상기 연장부(4')는 융기면을 형성한다. 하부구조의 중심부분(6')은 높아지게 된다. 융기면(4')아래에 또 다른 하부구조(2')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디딤대(1')에는 호형 공간부(5')가 형성된다. 하부구조(2')의 장착에 따라 디딤대의 층은 수평이 되거나 또는 기울어 진다. 디딤대(1')의 외측면(3')에는 오목부(7', 9')가 제공되어 있다. 오목부(7')에는 꺽쇠형 수용장치(8')가 무한 - 익스팬더벨트를 고정하기 위하여 장착된다. 제8도는 익스팬더벨트를 폐쇄장치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적합한 오목부(9')를 나타낸다. 이것은 앞쪽 영역에 폐쇄장치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횡단면으로 수축시킨 융기부(10')를 포함한다.
익스팬더벨트용으로 여기에 인용된 것 외에도 공지된 격자와 폐쇄장치가 있다.

Claims (10)

  1. 상부 디딤대는 길이면단부에 호형 층표면과 함께 제공되고, 상기 층표면은 하부구조의 접촉면과 함께 각각 형태 적절한 적재 장치를 형성한 상부 디딤대와 하나 이상의 하부 구조로 이루어진 높이가변성 디딤대를 갖는 수평 안정바닥장치에 있어서, 호형 층표면(5)은 접촉면(6)의 원호부분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접촉면은 하부 구조(3)의 접촉면(6)의 반경(12)으로서 동일한 반경(7)을 나타내지만 원호의 길이(L)는 하부구조(3)의 원호의 길이(L')보다 작고, 상부 디딤대(2)의 호형 층표면(5)의 반경(7)은 다수의 하부구조(3)를 통하여 형성된 임의의 경사에 있어서 형태적절하고 수평안정성있게 각각의 최상층 하부구조(3)에 맞물리며, 한편 각각의 경사에서 가장 밖의 동일한 접촉점(9)주변의 반경(7)내지 그의 중심점(8)은 궤도(10)를 그리며 이때 디딤대(2)의 호형 층표면(5)의 전체 원호의 길이(L)는 하부구조(3)의 접촉면(6)에 고정되며, 한편 반경 돌출부(14)에는 단지 호형 층표면(5)의 길이면 (4)의 최저점(13)만이 존재하며, 상기 최저점은 하부구조(3)의 접촉각(17)으로부터 각각의 경사내에 떨어져 있으며, 하부구조(3)와 디딤대(2)사이에는 축상에 안정장치로 하부구조(3)의 접촉면위로 볼록한 융기부(15)가 제공되며, 상기 융기부는 하부 구조의 정면(16)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디딤대(2)의 길이면(4)뒤쪽에서 그의 내부 및 하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가변성 디딤대를 갖는 수평 안정 바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부구조(3)의 정면(16)으로부터 볼록한 융기부(15)까지의 거리는 대략 디딤대(2)의 벽 두께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하부 구조(3)의 볼록한 융기부(15)는 그 정면 (18)에 조정돌출부(19)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디딤대(2)는 반경돌출부에서 그 내면에 돌출부(2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디딤대(2)의 호형 층표면(5)의 반경(7)은 정면(21)에서 길이면(4)의 반경 돌출부(14)에 대향하여 더 깊이 이동하며, 이에 따라 정면(21)영역의 길이면(4)의 하부 모서리(22)와 반경 돌출부(14)의 길이면(4)의 최저점(13)사이의 거리를 형성할 정도로 보다 깊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길이면(4)의 연장선이 최저점(13)의 상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장치.
  7. 상부 디딤대와 다수개의 하부구조로 이루어진 높이 가변성 디딤대를 갖는 바닥장치에 있어서, 높이 또는 경사를 형성하기 위하여 디딤대(1')의 정면영역은 아래쪽으로 연장한 융기면(4')과 함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연장된 융기면(4')과 연결된 그 하부는 호형 접촉면(5')과 함께 형성되며, 접촉면은 하부구조(2')와 각각 형태 적절한 층유니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디딤대(1')의 외축면(3')내부에 오목부(7')가 존재하며, 그 내부에는 각각 꺽쇠형 고정부재(8')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장치.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디딤대(1')의 외측면(3')에는 오목부(9')가 존재하며 그 정면영역의 횡단면은 융기부(10')를 통하여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장치.
KR1019930022261A 1992-10-23 1993-10-23 수평 안정 바닥장치 KR01582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9214341U DE9214341U1 (ko) 1992-10-23 1992-10-23
DEG9214342.3 1992-10-23
DE9214342U DE9214342U1 (ko) 1992-10-23 1992-10-23
DEG9214342.5 1992-10-23
DEG9214341.5 1992-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715A KR940008715A (ko) 1994-05-16
KR0158220B1 true KR0158220B1 (ko) 1999-01-15

Family

ID=25960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2261A KR0158220B1 (ko) 1992-10-23 1993-10-23 수평 안정 바닥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H06339545A (ko)
KR (1) KR0158220B1 (ko)
CN (1) CN1098656A (ko)
AR (1) AR248355A1 (ko)
BR (1) BR9304336A (ko)
CA (1) CA210905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1429B2 (ja) * 1990-02-19 2002-03-04 明治乳業株式会社 人乳に類似した育児用調製乳
KR200445958Y1 (ko) * 2009-03-09 2009-09-14 김기수 다목적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248355A1 (es) 1995-08-18
KR940008715A (ko) 1994-05-16
JPH06339545A (ja) 1994-12-13
CN1098656A (zh) 1995-02-15
BR9304336A (pt) 1994-04-26
CA2109052C (en) 1999-04-13
CA2109052A1 (en) 199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04351B1 (en) A new structure for children's games
US5275579A (en) Aerobic climbing step/bench
US4919230A (en) Scaffold platform section
US5651753A (en) Multi-level aerobic step device
US5184987A (en) Aerobic climbing step/bench
US10813425B2 (en) Sunshade and sunshade base thereof
US2748954A (en) Shelving
KR0158220B1 (ko) 수평 안정 바닥장치
US7328663B2 (en) Table top
DK151829B (da) Ramme
US3500770A (en) Pallet tiering frame with positive lock to pallet
JP4125797B2 (ja) 3つの高さの折り畳み式ステージ
JP5400752B2 (ja) 作業用踏み台
US6149530A (en) Billiard table base configuration
JP3867133B2 (ja) スタンド形成部材
JPS6254153U (ko)
KR200486042Y1 (ko) 탁구대의 조립식하부막음장치
KR102626710B1 (ko) 평균대 조립체
ES2078081T3 (es) Soporte para un plano portante de tipo modular construido a partir de elementos prefabricados, especialmente una cubierta de aparcamiento de construccion ligera.
KR900004150Y1 (ko) 다목적 탁구대
JP3163805U (ja) 伸縮テーブル
JP2023063683A (ja) 組立式踏み台
JPH0527964Y2 (ko)
RU6715U1 (ru) Игровое сооружение для детской площадки
EP0930405A2 (en) System-floor sub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