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5976B1 - 항스트레스 의약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스트레스 의약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976B1
KR0155976B1 KR1019950006225A KR19950006225A KR0155976B1 KR 0155976 B1 KR0155976 B1 KR 0155976B1 KR 1019950006225 A KR1019950006225 A KR 1019950006225A KR 19950006225 A KR19950006225 A KR 19950006225A KR 0155976 B1 KR0155976 B1 KR 0155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stress
pharmaceutical composition
choline
caps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6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3456A (ko
Inventor
염제호
유은주
장병수
임승옥
김점용
유영효
박명환
이병광
Original Assignee
서치영
주식회사대웅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치영, 주식회사대웅제약 filed Critical 서치영
Priority to KR1019950006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5976B1/ko
Publication of KR960033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9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hree or more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ergosterol, sito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7Digestive system
    • A61K35/413Gall bladder; Bi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Virology (AREA)
  • Immu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콜린산류의 스트레스 예방 및 치료용 용도와 그의 약제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콜린산류는 우루소데옥시콜린산, 타우로우루소데옥시콜린산, 체노데옥시콜린산, 디하이드로콜린산 또는 동물의 담즙중에서 선택되며, 이들을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로서 희석제, 활택제, 결합제, 붕해제, 감미제, 안정제, 방부제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고, 첨가제로서 향료, 비타민류, 항산화제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 사용하여 정제, 캅셀제, 연질캅셀제, 액제, 산제 등의 형태로 제형화한 것이다.
콜린산류는 1일 복용량이 5-800mg 되도록 하여 분복한다.

Description

항스트레스 의약조성물
본 발명은 콜린산류의 항스트레스 작용에 대한 새로운 용도 및 콜린산류를 함유하는 의약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체에 미치는 자극이 일정한 정도 이상이 될 경우 상해적으로 작용하는데 이때에 생체는 그 자극의 종류에 관계없이 일정한 위협에 대한 반응으로 비특이적인 전신증후군(general adaptative syndrome)을 나타내며, 이를 스트레스라 정의하였다.(Selye, H. : The stress of life, Toronto, Longnans Green and Co., pp. 1-50, 1958)
이러한 반응은 신체에 다양한 현상으로 나타나는데 긴장성 두통, 편두통, 고혈압, 소화불량, 피로, 통증, 갱년기장해, 발모, 피부의 거칠어짐을 일으키고, 만성적으로 지속되면 각종 신경증, 웨궤양 등을 유발하기도 하고 신체의 생리활성, 면역활성 등이 저하되고, 신체의 항상성이 깨짐으로써 신체의 저항성이 약화되어 다른 질병등이 유발되기 때문에 건강에 상당한 위협을 가하기도 하며 정신적 활동을 위축시키고 정서가 불안정해져 비정상적 행동을 유발하기도 한다. 특히 현대사회에서는 스트레스가 과도하게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스트레스는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원인은 생체에 가해지는 방법에 따라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는 교감신경계인 뇌하수체-부신계(HPA)의 기능을 항진시켜 호르몬분비를 유발하여 이하 모든 반응이 매개된다고 알려졌다. 이 반응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부신피질자극호르몬에 의해 자극된 부신은 무게가 증가되며, 지질감소 현상이 나타나고, 비장은 면역기능의 감퇴로 인하여 무게가 현저히 줄어든다. 한편, 부신은 다른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분비하여 혈액내에서 콜레스테롤, 혈당, 알카라인포스페타제(alkaline phosphatase; ALP), 락테이트디하이드로게나제(lactate dehydrogenase; LDH), 아스파테이트트랜스아미노제(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or GOT), 알라닌트랜스아미나제(alanine aminotransferase: ALT or GPT)등을 증가시키고, 심한 경우는 중성지질의 감소 등을 유발시킨다. 이러한 생체내의 변화들은 위에서 언급한 중성지질의 감소등을 유발시킨다. 이러한 생체내의 변화들은 위에서 언급한 신체외적으로 나타나는 증상들의 중간단계라고 알려졌다. 따라서 스트레스가 생체에 유발시키는 변화는 아주 다양하고, 이러한 상태가 지속될 경우에는 많은 질병의 근원이 되기 때문에 스트레스에 대한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갖는 약물의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주로 인삼, 가시오가피(Brekhman, I.I.: Pharmacological investigation of glycosides from Gingseng and Eleutherococcus, Lloydia, Vol. 32, No. 1, pp. 46-51, 1969), 오씨뭄(Ocimum sanctum Linn), 티노스포라(Tinospora malabarica)(Sen, P., Maiti, PC and Ray, A. Mechanism of anti-stress activity of Linn, eugenol and in experimental animals, Indian J. Exp. Biol., 30, 592-596), 1992) 등의 생약과 멜라토닌 등의 생체물질이 항스트레스작용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어 있으나,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다양한 변화들 중에서 일부항목에만 효과가 있거나 약효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스트레스 전반에 대한 약효를 가지면서 약효가 뛰어난 약물을 개발하여 기존기술의 문제점을 해겨랗고자 광범위한 연구를 한 결과 콜린산류가 스트레스 예방 및 치료에 광범위하고 우수한 약효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콜린산류는 주로 담석용해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중 우루소데옥시콜린산(Ursodeoxycholic acid)은 인간과 동물의 담즙에 함유되어 있으며, 이담작용외에도 간장해독, 간혈류 개선작용, 지방의 흡수촉진작용 및 미세담도를 통한 노폐물 배설작용을 갖고 있어 만성간질환의 간기능개선, 간기능 장애에 의한 전신권태, 소화불량, 식욕부진, 육체 피르등에 효능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타우로우루소데옥시콜린산(Tauroursodeoxycholic acid)은 담석용해제로 시판되고 있으며, 지방간채료에 효과아 있어 경구로 투여한 경우 간기능개선 및 간지방량의 감소가 보고되어 있고(일본공개특허공보 平4-235918 참조), 본원출원인의 연구결과로는 신규의 함암작용이 있음도 확인된바 있다.
본 발명의 체노데옥시콜린산(Chenodeoxycholic acid) 역시 단지 담석용해제로 시판되고 있으며, 디하이드로콜린산(Dehydrocholic acid)은 담석용해제로 또는 소화효소와 복합제로 하여 소화불량 등에 치료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Medical Index 제6판, 1991 참조).
그러나, 현재까지 콜린산류가 정신적, 물리적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부작용을 억제시킨다는 연구가 없었고, 단지 궤양유발모델로 널리 사용되는 수침구속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된 궤양을 우루소데옥시콜린산이 억제시킨다는 보고가 있을뿐이다.(Kawamura, 日消誌, 86(10), 2373-2378, 1989)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콜린산류의 스트레스 예방 및 치료제로서 신규한 용도 및 콜린산류를 함유한 신규한 의약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콜린산류의 스트레스예방 및 치료에 대한 신규 용도 및 이를 함유하는 의약조성물, 즉 콜린산류로 구성된 항스트레스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콜린산류는 우루소데옥시콜린산(Ursodeoxycholic acid; UDCA), 타우로우루소데옥시콜린산(Tauroursodeoxycholic acid; TUDCA), 체노데옥시콜린산(Chenodeoxycholic acid; CDCA), 디하이드로콜린산(Dehydrocholic acid; DHCA)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합성한 것을 사용하거나, 동물의 담즙산으로부터 천연 추출한 것을 사용하거나 동물의 담즙자체를 사용할 수 있다. 동물의 담즙으로는 곰등 포유 동물의 담즙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의약조성물은 주성분인 콜린산류 유효량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통상적인 담체 및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첨가제를 선택하여 통상적인 약제학적 제형으로 제조한다.
담체는 희석제, 활택제, 결합제, 붕해제, 감미제, 안정제, 방부제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첨가제로는 향료, 비타민류, 항산화제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본 발명의 제제로는 정제, 캅셀제, 연질캅셀제, 액제, 산제 등으로 제조하여 경구복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담체 및 첨가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것은 모두 사용이 가능하나 보다 상세히 열거한다면, 희석제로는 유당(lactose monohydrate), 옥수수전분(cornstarch), 콩기름(soybean oil), 미결정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또는 만나톨(D-mannitorl)이 좋고,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또는 탈크(talc)가 바람직하며, 결합제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PVP; polyvinyipyrrolidone)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hydroxypropylcellulose) 중에서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붕해제로는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Ca-CMC; carboxymethylcellulose calcium), 전분글리콜산나트륨(sodium starch glycolate), 폴라크릴린칼륨(polacrylin kalium) 또는 크로스포비돈(cross-linked polyvinylpyrrolidone)중에서 선택함이 바람직하고, 감미제로는 백당, 과당, 소르비톨(sorbitol) 또는 아스파탐(aspartame)중에서 선택되고, 안정제로는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Na-CMC; 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베타-싸이크로덱스트린(beta-cyclodextrin), 백납(white bee's wax) 또는 산탄검(xanthan gum)중에서 선택되며,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methyl p-hydroxy benzoate, methylparaben),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propyl p-hydroxy benzoate, propylparaben) 또는 소르빈산칼륨(potassium sorbate) 중에서 선택하여 포함토록 한다.
본 발명의 첨가제로서 향료는 에칠바닐린, 마스킹후레바, 과일향 또는 허브향이 좋고, 비타민류로는 비타민 B1, B2등의 비타민 B군(vitami B group)에서 선택함이 바람직다.
또한, 항산화제로는 비타민C, 비타민E, BHA(Butylated hydroxyanisole) 또는 BHT(Butylated hydroxytoluene) 중에서 선택하여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제화방법은, 이분야에서 알려진 통상의 관용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정제, 캅셀제, 연질캅셀제, 액제, 산제 등의 제형으로 제제화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의학에서 목적한 스트레스의 예방 및 치료효과를 얻기 위하여 유효화합물인 콜린산류를 체중 60kg 성인기준으로 1일 총량이 5-800mg, 바람직하게는 25-400mg이 되도록 정제, 캅셀제, 연질캅셀제, 액제 또는 산제를 임으로 수회 경구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회 투여용량은 위에서 언급한 제형중에 우루소데옥시콜린산을 5-400mg, 바람직하게는 25-200mg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치료대상의 체중, 질병의 상태와 성질, 투여횟수, 투여시기, 간격 등에 따라 상기한 투여용량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는데 이때 최적 용량은 경험을 근거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험예 및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험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스트레스 유발 모델에서의 장기무게의 변화 억제효과
스트레스에 의한 실험은 Selye법(Brekhaman, I.I : Llyoydia, Vol. 32, No. 1, PP46-51, 1965)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시험약물은 스트레스 유발 2시간전 유발후 6, 21시간에 경구투여하였다.
우루소데옥시콜린산등 콜린산류는 1% CMC 용액에 현탁하여 사용하였으며, 웅담은 건조분말, 인삼총사포닌은 김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여 사용하였다.(Kim et. al., Kor. J. Pharmacog. 10(2) : 61-67, 1979)
본 실험예에서는 스트레스에 의한 부신무게의 증가, 비장의 위축에 대한 콜린산류의 예방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표 1과 같다. 하기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우루소데옥시콜린산은 스트레스에 의한 장기무게의 변화에 대하여 비장에서 최고 62.0%, 부신에서 최고 78.9%의 치료율을 나타냈으며, 인삼총사포닌의 2.5%, 36.8%의 치료율에 비하여 훨씬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한편 타우로우루소데옥시콜린산은 동일한 용량에서 우루소데옥시콜린산보다 우수한 약효과 발현하였으며, 웅당은 우루소데옥시콜린산과 비슷한 수준의 약효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타 콜린산들도 대조약물인 인삼총사포닌보다 우수한 약효를 나타내었다.
* P0.05
** P0.01
(UDCA : 우루소데옥시콜린산, TUDCA : 타우로우루소데옥시콜린산,
CDCA : 체노데옥시콜린산, DHCA : 디하이드로콜린산
[실험예 2]
부신의 아스코르빈산 함량변화 억제효과
부신속에 포함되어 잇는 아스코르빈산의 함량은 Zannoi의 방법(Biochemical Medicine, 11, 41-48, 1974)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표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부신내의 아스코르브산 함량의 변화에 대해서도 우루소데옥시콜린산은 80.6%의 치료율을 나타내어 인삼총사포닌의 47.2%에 비하여 우수한 약효를 발현하였다. 한편 타우로우루소데옥시콜린산은 동일한 용량에서 우루소데옥시콜린산보다 우수한 약효를 발현하였으며, 웅담 및 기타 콜린산들도 대조약물인 인삼총사포닌과 비슷한 약효를 나타냈다.
* P0.05
** P0.01
[실험예 3]
혈액생화학적 변화의 억제효과
각각의 혈액생화학적 효소의 활성은 자동혈액분석기(DIMENSION, Dupont co.)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기재하였다.
표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혈액생화학적인 지표에 대한 우루소데옥시콜린산의 영향을 살펴보면 아스파테이트트랜스아미나제(AST or GOT), 알라닌트랜스아미나제(ALT or GPT)에서는 유의적인 효과는 없었으나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된 수치를 낮추는 경향을 나타냈고 인삼총사포닌은 치료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루소데옥시콜린산은 콜레스테롤(cholesterol; CHOL), 알칼라인포스페타제(alkaline phosphatase; ALP), 락테이트디하이드로게나제(lactate dehydrogenase; LDH)에 대하여 현저한 치료효과를 나타냈다. 이에 비하여 인삼총사포닌은 알칼라인포스페타제, 락테이드디하이드로게나제에는 별 영향이 없었으나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효과를 나타냈다.
한편, 타우로우루소데옥시콜린산은 동일한 용량에서 우루소데옥시콜린산보다 우수한 약효를 발현하였으며, 웅담은 우루소데옥시콜린산에 약간 못미치는 수준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타 콜린산들도 대조약물인 인삼총사포닌과 비슷한 약효를 나타냈다.
* p0.05
** p0.01
[실시예 1]
정제
상기 과립물에
을 가하고 혼합한 후 1정의 중량을 165mg씩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을 제조한다.
[실시예 2]
캅셀제
상기 처방의 주성분 및 부형제를 혼합한 후 1캅셀의 중량을 222mg씩 통상의 캅셀제조방법으로 제조한다.
[실시예 3]
연질캅셀제
상기 처방의 주성분 및 부형제를 혼합한후 1캅셀의 중량을 324.3mg씩 통상의 연질캅셀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한다.
[실시예 4]
액제
일정량의 정제수에 상기 처방의 베타-싸이크로덱스트린을 용해시킨후 주성분 및 부형제를 가하여 용해시킨후 정제수를 추가하여 최종량을 10L로 하는 약제제법에 의하여 제조한다.
[실시예 5]
산제
일정량의 정제수에 상기 처방의 베타-싸이크로덱스트린을 용해시킨후 주성분 및 부형제를 가하여 건조시킨후 한포당 중량을 1,000mg씩 통상의 산제 제법에 의하여 제조한다.
[실험예 4]
안정성시험
1) 검체 : 앞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정제, 캅셀제, 연질캅셀제, 액제 및 산제의 5가지의 제형검체
2) 보존조건 : 온도, 습도에 대한 안정성시험
·포장형태 :
① 정제, 캅셀제 : PTP포장 및 카툰박스 포장
② 액제 : 갈색 유리용기에 넣고 알루미늄 뚜껑으로 기밀한 상태
③ 연질캅셀제 : PTP포장
·저장온도 : 40±1℃, 75% RH(±5%)
[단, 연질캅셀은 35±1℃, 70% RH(±5%)]
·저장기간 : 6개월
3) 시험기간 : 6개월
4) 측정시기 : 시험개시 및 매 2개월마다
5) 시험항목 : 주성분에 대한 함량시험
6) 시험방법 : 우루소데옥시콜린산은 함량은 대한약전의 정량시험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7) 시험결과 : 아래 표 4에 기재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스트레스용 의약품은 스트레스의 예방 및 치료(표 1,2,3 참조)에 대한 우수한 약리효과는 물론, 제제학적으로 매우 안정(표 4 참조)함을 알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산업적으로 매우 유용한 발명임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주성분인 콜린산류 각성분의 LD등 독성데이타는 이미 잘 알려져 있는 것이어서, 급성독성시험은 무의미하여 생략하였다.

Claims (6)

  1. 우루소데옥시콜린산, 타우로우루소데옥시콜린산, 체노데옥시콜린산, 디하이드로콜린산, 또는 동물의 담즙중에서 선택된 1종의 콜린산류와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 첨가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담체는 희석제, 활택제, 결합제, 붕해제, 감미제, 안정제, 방부제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첨가제는 향료, 비타민 B군, 항산화제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콜린산류의 1일 경구 복용량이 5-800mg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우루소데옥시콜린산의 1일 경구 복용량이 5-400mg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제형은 정제, 캅셀제, 연질캅셀제, 액제, 산제중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19950006225A 1995-03-23 1995-03-23 항스트레스 의약조성물 KR0155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6225A KR0155976B1 (ko) 1995-03-23 1995-03-23 항스트레스 의약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6225A KR0155976B1 (ko) 1995-03-23 1995-03-23 항스트레스 의약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456A KR960033456A (ko) 1996-10-22
KR0155976B1 true KR0155976B1 (ko) 1998-11-16

Family

ID=19410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6225A KR0155976B1 (ko) 1995-03-23 1995-03-23 항스트레스 의약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59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04485A (zh) * 2017-03-21 2017-06-09 中国水产科学研究院淡水渔业研究中心 一种刀鲚小水体暂养抗应激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04485A (zh) * 2017-03-21 2017-06-09 中国水产科学研究院淡水渔业研究中心 一种刀鲚小水体暂养抗应激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456A (ko) 1996-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4628B2 (ja) メタドキシンとニンニク油を含有するアルコール性脂肪肝並びに脂肪肝性肝炎の予防及び治療用薬学組成物
WO1995017889A1 (fr) Composition therapeutique utile pour traiter l'hyperparathyroidie d'un patient en dialyse artificielle
WO2007009392A1 (fr) Utilisation d'acide chlorogenique dans la fabrication de medicaments pour le traitement et/ou la prevention de trouble hepatique
EP3833370A1 (en) Composition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obesity
JPH0699310B2 (ja) アセトアルデヒド解毒剤
KR100304312B1 (ko) 아연이보충된전립선추출물
KR0155976B1 (ko) 항스트레스 의약조성물
US20110280972A1 (en) Preparation for the treatment of tinnitus
US20080213236A1 (en) Natural Remedy-Dietary Supplement Combination Product
JP2015131849A (ja) 耐糖能異常用医薬組成物及び飲食品
JP4355967B2 (ja) 医薬組成物
JP2023519697A (ja) ライノウイルス感染の防止または処置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酪酸ナトリウム
JP2009062348A (ja) ケナフ類(ケナフ、ローゼル)の種子成分による血糖値低下作用及び血糖値上昇抑制作用
US5192806A (en) Method of preventing penile tissue degenerative change
JP2006028194A (ja) 耐糖能異常用医薬組成物及び飲食品
CN114948976B (zh) 一种减肥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990327A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biliary dyskinesia
WO2018066730A1 (ko) 피니톨, d-카이로-이노시톨, 또는 이들의 유사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896531B2 (ja) 血中CoQ10量を増加させる医薬組成物
JP2004002254A (ja) 植物抽出エキスを含有する腸溶性の脂肪吸収抑制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食品
CN109700818B (zh) 一种减肥降血脂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用途
JP4465963B2 (ja) 高脂血症の予防または改善用組成物
BE1008138A6 (fr) Utilisation de l'huile de mais dans une composition naturelle visant a la perte d'un exces de poids ou de tissu adipeux.
KR960014990B1 (ko) 간기능 개선용 의약조성물
US20190314327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Cannabis, Uses Thereof and Methods for Improving Digestion and/or Treating Symptoms Associated with Gastrointestinal Com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