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5665B1 - 벽용 형틀블록 및 벽구조 - Google Patents

벽용 형틀블록 및 벽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665B1
KR0155665B1 KR1019950003858A KR19950003858A KR0155665B1 KR 0155665 B1 KR0155665 B1 KR 0155665B1 KR 1019950003858 A KR1019950003858 A KR 1019950003858A KR 19950003858 A KR19950003858 A KR 19950003858A KR 0155665 B1 KR0155665 B1 KR 0155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anel
portions
block
mold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3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5217A (ko
Inventor
토시로우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토시로우 후지와라
토오후꾸 시자이 코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30408A external-priority patent/JP272410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030406A external-priority patent/JP272410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030407A external-priority patent/JP2742013B2/ja
Application filed by 토시로우 후지와라, 토오후꾸 시자이 코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토시로우 후지와라
Publication of KR950025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5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6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2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 E04B2/30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 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04B2/3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 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2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 E04B2/40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the walls being characterised by fillings in all cavities in order to form a wall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52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located in the joints of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32Undercut connections, e.g. using undercut tongues and grooves
    • E04B2002/0234Angular dovetails
    • E04B2002/0236Angular dovetails tapered, i.e. dovetail narrows in the direction of tongue or groov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5U-shaped, e.g.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Retaining Wall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벽용 형틀블록은, 서로 대치하여 대략 평행히 배치된 한 쌍의 패널부와, 이 패널부를 그 대향면에서 연결하는 리브부를 수지 발포체로 일체로 형성하면서, 상기 적어도 한쪽의 패널부의 외표면을 벽재도포면으로 하고, 이 벽재도포면에, 하방을 향하여 서서히 두꺼운 내방에 경사져서 벽재를 보지하는 다수의 하지구를 그의 거의 전역에 걸쳐서 형성하고 있다. 더우기, 이 형틀블록에서의 각 패널부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 복수의 볼록부를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피치로 두꺼운 방향으로 2열에 걸쳐 서로 다르게, 또한 상하로 겹쳐 쌓였을 때에 상방에 위치하는 패널부의 상단면과 하방에 위치하는 패널부의 하단면의 상기 각 볼록부가 서로 걸어 맞춰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벽용(壁用) 형틀블록 및 벽구조
제1도는 제1실시예를 나타낸 형틀블록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난 형틀블록을 상하좌우로 나란히 배열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서의 상하방향의 접합부에 대한 확대단면도.
제4도는 동일한 것으로, 상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제1도에 나타낸 형틀블록을 사용하여 벽을 구축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제6도의 A-A선 단면도).
제6도는 동일한 것으로, 제5도의 B-B선 단면도.
제7도는 동일한 것으로, 제5도의 C-C선 단면도.
제8도는 하지구(下地溝)의 단면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9도는 동일한 것으로, 평면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
제10도는 분리기의 기본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제11도는 분리기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12도는 분리기의 또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13도는 분리기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14도는 제12도에 나타낸 분리기를 이용하여 벽을 구축한 상태를 나타낸, 제5도에 대응하는 도면.
제15도는 벽용 패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16도는 제15도에 나타낸 벽 패널을 사용하여 벽을 구축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17도는 벽용 패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18도는 종래의 형틀 콘크리트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제19도는 제18도에 나타난 형틀 콘크리트 블록을 사용하여 벽을 구축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형틀블록 11, 12 : 패널부
13 : 리브부 20, 21 : 벽재도포면
22, 26 : 시멘트 모르타르(벽재) 23 : 하지구(下地溝)
25 : 하지구의 주(周)벽면 30, 31, 32, 33 : 볼록부
40, 40a, 40b, 40c : 분리기
30a, 30b, 31a, 31b, 32a, 32b, 33a, 33b : 입상면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건축물의 벽을 구축하기에 최적인 수지발포 체제의 형틀블록 및 그 벽용 형틀블록을 이용한 벽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벽들을 구축하는 벽구축방법 중의 하나로서, 직사각형상에 콘크리트등의 무기재료로 일체로 형성된 형틀블록(이하 「형틀 콘크리트 블록」이라고 기재한 것도 있다.)을 사용하여 이것을 상하좌우로 평면상에 나란히 깔게 한, 소위 형틀 콘크리트 블록구조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형틀 콘크리트 블록구조에 있어서의 건축물벽에 대한 종래의 일반적인 공법의 개요를 제18도 및 제19도에 나타낸다.
동 도면에 있어서, 번호(1)은 콘크리트제의 기본형틀 콘크리트 블록(H형 블록)으로서, 이 형틀 콘크리트 블록(1)은 소정간격 이간하여 서로 병행 배치된 한쌍의 직사각형상의 패널(panel)부(2),(3)을 구비하며, 이 패널부(2),(3)을 그 대향면에서 판상의 리브부(4)로 일체로 연결하여 대략 H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리브부(4)는 그 높이가 패널부(2),(3)의 높이 h 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의 내측으로 서로 이간하여 배치되고 있고, 이에 의하여 이 내부 및 좌우의 맞댐부에 종근(縱筋)(5)가 통과하는 중공부가, 상부로 횡근(橫筋)(6)이 통과하는 공간이 각각 형성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형틀 콘크리트 블록(1)을 내부에 종근(5) 및 횡근(6)을 배근(配筋)하면서 상하좌우로 계속 나란히 깔고, 상기 공간 및 중간부내에 현장 콘크리트(7)을 타설하여 상기 종근(5) 및 횡근(6)을 이 콘크리트(7)내에 매설하므로써, 건축물의 벽을 구축하도록 되어있다.
여기서, 각 형틀블록(1)의 패널부(2),(3)의 외주끝면(양측끝면 및 상하끝면)은 편평히 형성되어 있고, 형틀 콘크리트 블록(1)의 위치결정은 패널부(2),(3)의 측단면 및 하단면을 하방으로 위치하는 형틀 콘크리트 블록(1)의 상단면 및 인접하는 형틀 콘크리트 블록(1)의 측단면과 서로 맞대므로써 행해지고 있었다.
또, 상기 형틀 콘크리트 블록으로서는, 상술한 H형 블록외에 Z형 블록과 L형 블록들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그 위치결정은 H형 블록과 동일하게, 측단면 및 상하단면을 서로 맞대므로써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벽용 형틀블록은 그 어느것이나 큰크리트의 일체 성형품이고 무겁기 때문에, 운반과 취급상의 편의상, 그 크기가 한정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8도에 나타낸 형틀블록(H형 블록)의 경우, 그 길이 l은 390mm로, 높이 h 는 190mm, 폭 t 는 150·180·200mm로 각각 한정(규격화)되어 있었다.
또, 콘크리트는 대체로 단열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건물전체를 단열재로 덮는 단열구조로 할 경우에는, 단열재를 별도 사용하여 이것을 건물전체를 포위하는 벽의 주위에 설치할 필요가 있었다.
더우기, 형틀 콘크리트 블록의 위치결정이 비교적 곤란하고, 이 상하좌우 방향의 상호 위치결정을 계속 행하면서 쌓아올리는 것에 숙련을 요하며, 게다가 상당한 시간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경량화를 꾀함과 동시에, 형틀블록 자체에 높은 단열성을 가지게 하여서 단열재를 별도로의 준비함이 없이 단열성능이 우수한 벽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며, 게다가 이 서로의 위치 결정을 쉽게 하면서 순차로 쌓아올릴 수 있게 한 것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더우기 본 발명은 경량이고 단열성능이 뛰어난 수지발포체에서 형성된 형틀블록을 이용하여 구축된 벽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수지발포체로 이루어진 형틀블록의 노출면을 벽재로 쉽게 피복할 수 있으며, 단열을 위하여 별도 단열재를 설치하는 것을 특별히 필요로는 하지 않는 정도로 단열성이 뛰어나면서 시공성이 좋은 벽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벽용 형틀블록은 서로 대치하여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패널부와, 이 패널부를 그 대향면에서 연결하는 리브부를 수지 발포체로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적어도 한쪽의 패널부의 외표면을 벽재도포면으로 하고, 이 벽재도포면에 하방으로 향하여 서서히 두꺼운 내방으로 경사져서 벽재를 보지하는 다수의 하지구(下地溝)를 그 거의 전역에 걸쳐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하지구를 상방으로 개구한 대략 평면자형상으로 형성하면서, 이 하지구의 주(周)벽면과 벽재도포면이 되는 평면이 서로 예각으로 교차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리브부의 높이를 상기 패널부의 높이보다도 낮게 설정하면서, 상기 리브부를 상기 패널부의 높이 방향의 대략 중앙에서 길이 방향의 내측으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더우기 상기 리브부의 상단면, 하단면, 혹은 양단면에서 횡근통과용의 홈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우기, 본 발명의 벽용 형틀블록은 서로 대치하여 병행배치된 한쌍의 패널부와 이 패널부를 그 대향면에서 연결하는 리브부를 수지발포체로 일체로 형성하면서, 상기 패널부의 각 상단면 및 각 하단면에 복수의 볼록부를 그 길이방향에 따라서 소정의 피치로, 두꺼운 방향으로 2열을 따라 서로 다르게, 또한 상하로 겹쳐맞춰질 때 하방에 위치하는 패널부의 상단면과 하방에 위치하는 패널부의 하단면의 상기 각 볼록부가 서로 합쳐지도록 형성한다.
또, 상기 패널부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의 적어도 한쪽에, 양 패널부사이에 걸쳐진 분리기(separator)를 끼워 붙이는 오목부를 형성하거나, 상기 각 볼록부의 서로 합쳐지는 입상면을 높이방향을 따라서 서서히 외방으로 넓어지는 테이퍼면으로 하고, 게다가 상기 각 패널부의 상단면의 다른 패널부측의 오목부 및 하단면의 다른 패널부와 반대측의 오목부의 두께를 다른 오목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벽구조는 서로 대치하여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 한쌍의 패널부와 이 패널부를 그 대향면에서 연결하는 리브부를 수지발포체로 일체로 형성하면서, 상기 적어도 한쪽의 패널부의 외표면을 벽재도포면으로써 이 벽재도포면에 하방으로 향하여 서서히 두꺼운 방향으로 경사져서 벽재를 보지하는 다수의 하지구를 그 거의 전역에 걸쳐서 형성한 형틀블록을 평면상에 나란히 갈고, 이 형틀블록의 내부에 충전재를 충전하면서 상기 벽재도포면에 벽재를 도포하여 구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벽구조에서는, 상기 평면상에 나란히 깐 벽용 블록의 내부에 종근과 횡근으로 된 배근을 설치하고, 이 종근 및 횡근을 상기 충전재내에 매설하거나, 상기 벽을 블록의 상하의 접합부에 위치한 판넬부사이에 걸쳐진 분리기를 끼워붙이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형틀블록에 의하면, 한쌍의 패널부와 리브부로 이루어진 형틀블록을 수지발포체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하므로써, 형틀블록의 경량화를 꾀하면서 형틀블록 자체에 높은 단열성능을 가지게 할 수 있으며 게다가 벽재도포면의 전역에 걸쳐서 설치한 하지구의 내부에 벽재의 일부를 들여보내고, 이것을 보지함으로써 형틀블록의 노출표면에 벽재로 쉽게 피복해서 외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형틀블록에 의하면, 하방에 위치하는 형틀블록의 패널부의 상단면에 2열에 형성한 볼록부와 상방에 위치하는 형틀블록의 패널부의 하단면에 2열에 형성한 볼록부를 서로 걸어맞추므로써, 이 상호 위치결정을 쉽게 행할 수 있다.
더우기, 본 발명의 벽구조에 의하면, 한쌍의 패널부와 리브부를 수지발포체에 따라 일체로 형성하므로써 경량화를 꾀하면서 형틀블록 자체에 높은 단열성능을 가지게하고, 이 형틀블록을 평면형상으로 계속 나란히 깔아 충전재를 충전하므로써, 단열재를 별도로 필요함이없이, 단열성이 뛰어난 벽을 구축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적어도 한쪽의 패널부의 외표면의 벽재도포면의 거의 전역에 걸쳐서 설치한 다수의 하지구의 내부에 그 벽재도포면에 도포한 벽재의 일부를 들여보내므로써, 패널본체 자체로 벽재를 확실히 보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형틀블록 및 이 형틀블록을 이용하여 구축된 벽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그 실시예를 나타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제1도 내지 제7도는 상기 종래예와 동일하게, 건축물의 벽을 구축하도록 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동 도면에 있어서, 번호(10)은 수지발포체로 이루어진 직사각형상의 형틀블록으로서, 이 형틀블록(10)은 상하좌우 방향으로 순차 평면상으로 나란히 깔아서 건축물의 벽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형틀블록(10)을 구성하는 수지발포체는, 예를 들어 발포 폴리스틸렌, 발포 폴리우레탄, 발포 폴리염화비닐 또는 발포 폴리올레핀등과 같이, 합성수지를 발포시켜 형성한 것이고, 이 발포배율은, 예를 들면 5∼100배, 바람직한 것은 20∼80배, 더욱 바람직한 것은 30∼70배 정도이다.
이와 같이 형틀블록(10)을 수지발포체로 구성하므로써, 이 형틀블록의 경량화를 꾀하면서 형틀블록(10) 자체에 높은 단열성능과 흡음효과를 가지게 하여, 더욱 부식의 방지와 비용절감을 꾀할 수 있다.
상기 형틀블록(10)에는 서로 대치하여 대략 평향하며, 상방으로 향하여 그 간격이 약간 넓게 배치된 한쌍의 직사각형상 패널부(11, 12)가 갖추어지고, 이 패널부(11, 12)는 그 대향면에서 복수의 리브부(13)을 개재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리브부(13)은 소정의 피치P1로 배치되며, 서로 인접하는 리브부(13)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연통하는 중공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면서, 최외방에 위치하는 양 리브부(13)은 패널부(11, 12)의 단면에서 상기 피치 P1의 반정도의 거리 a(=P1/2)만 내방으로 배치되며, 이에 따라서 2개의 형틀블록(10)을 좌우방향으로 짜맞춰서 배열했을 때, 제2도에서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형틀블록(10)사이에도 중공부(14)가 형성하도록 되어있다.
더우기, 상기 리브부(13)은 그 높이 H2가 패널부(11, 12)의 높이 H1보다도 낮게 (H2H1)설정되어 있으면서, 이들의 패널부(11, 12)의 높이 방향중앙에 횡방향으로 연통하는 공간(15)가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중공부(14)는 신호분배를 위한 EPS(전기배관배선 스페이스), 공조 덕트를 위한 DS(덕트 스페이스) 및 급배수관로를 위한 PS(배관 스페이스)등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제4도 내지 제6도에 나타나듯이, 이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늘어진 종근(16)을 삽통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 상기 공간(15)는 상기 중공부(14)를 서로 연통시키면서 이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연장한 횡근(17)을 삽통시키기 위한 것이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리브부(13)의 상하양끝면에 소정의 피치로 복수의 홈(13a)를 갖추며, 이 홈(13a)내를 횡근(17)이 삽통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형틀블록(10)을 상하좌우방향으로 순차로 평면상에 쌓아올려서 건축물의 벽을 구축할 때, 이를 보강하기 위한 종근(16)이 상기 상하방향으로 연통하는 중공부(14)내에, 횡근(17)이 상기 좌우방향으로 연통하는 홈(13a)내에 각각 위치하며, 이 중공부(14) 및 공간(15)내에 현장 콘크리트(18)을 타설하여, 이 타설된 콘크리트(18)내에 상기 종근(16) 및 횡근(17)을 매설하도록 되어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지발포체에 의한 형틀블록(10)을 구성하므로써 형틀블록 자체의 경량화를 꾀할 수 있기 때문에, 이 형틀블록(10)은 예를 들면 건축규격에 준한 크기였고, 인력에 의한 운반이 가능하도록 적절하게 그 크기를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 길이 L이 약 900mm, 그 높이 H1이 약280mm, 그 상단에 있어서 폭 T1이 약 190∼200mm 로 각각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하단에 있어서는 폭 T2가 상단에서의 폭 T1보다도 조금 좁게(통상은10mm 이하)하므로써, 형내발포에 의해 이 형틀블록을 일체로 제조하기 쉽게 되고 제조상 바람직하면서, 이와 같이 폭이 다르더라도 형틀블록을 겹쳐 쌓을 때 및 벽재를 도설할 때, 이러한 폭의 상위를 시정할 수 있고, 구축되는 벽체에 요철들은 생기지 않는다.
그리고, 이 형틀블록(10)을 상하방향으로 겹쳐 쌓을때, 제2도에서와 같이, 하방에 위치하는 1개의 형틀블록(10)의 상면에 상방에 위치하는 1개의 형틀블록(10)의 2/3가, 다른 형틀블록(10)의 1/3이 각각 놓이게 되어 있고 이때, 상기 중공부(14)가 상하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통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리브부(13)은 합계 3개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기, 상기 패널부(11, 12)의 외표면은 벽재도표면(20, 21)로 되어 있다. 이 양 벽재도포면(20, 21)은 동일 구성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외벽을 구성하는 한쪽의 패널부(11)의 벽재도포면(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벽을 구축했을 때, 실외측에 위치하는 한쪽의 패널부(11)의 벽재도포면(20)은 여기서는 시멘트 모르타르(cement mortar)(22)들의 외장재(벽재)를 도포하여 외벽을 구성하기 위한 것이고, 그 거의 전역에 걸쳐서 다수의 하지구(23)이 병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지구(23)은 하방을 향해서 서서히 두껍게 내방으로 경사진 테이퍼면(24)의 주위를, 두꺼운 방향으로 솟은 주벽면(25)에서 상방으로 개구한 평면, 대략자형으로 둘러싸서 구성되어 있다.
이 주벽면(25)는 양측의 상방을 향하여 서서히 넓어지는 측면부(25a)와, 그 측면부(25a)의 하단을 이 측면부(25a)에 연속하게 연결하는 저면부(25b)로 이루어지며, 이에 의하여 상기 하지구(23)은 상방으로 넓어진 등각대형상으로 하방을 향하여 서서히 깊게 되며, 주벽면(25)의 저면부(25b)는 하지구(23)의 가장 좁고 깊은 위치에서 두꺼운 방향으로 솟아 있다.
그래서, 형틀블록(10)을 나란히 깔은 후, 이 벽재도포면(20)에, 예를 들어 시멘트 모르타르(22)들의 벽재를 도포하여 외벽을 구축하는 것이지만, 이때 이 시멘트 모르타르(22)의 일부가 상기 하지구(23)의 내부로 들어가서 하방으로 흘러나오지 않게 보지되고, 이에 의하여 미장공을 위한 하지(下地)를 별도 설치하지 않고 시멘트 모르타르(22)의 도포작업이 가능하게 되어있다.
이 하지구(23)에 의한 시멘트 모르타르(22)의 보지를 확실히 하기위해, 이 하지구(23)의 주벽부(25)와 벽재도포면(20)으로 이루어진 평면이 서로 예각으로 교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5도 및 제6도에서와 같이, 주벽면(25)의 저면부(25b)와 벽재도포면(20)으로 이루어진 각 α, 및 주벽면(25)의 측면부(25a)와 벽재도포면(20)으로 이루어진 각 β는, 약 70°(α=β=70°)로 설정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이 하지구(23)의 주위에 포켓형상의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형틀블록(10)의 벽재도포면(20)에 도포된 시멘트 모르타르(22)는 상기 하지구(23)의 주위에 형성된 포켓형상의 홈부내에 이 상방으로 부터 쉽게 유입되고, 게다가 주벽면(25)에 의하여 여기로부터의 탈출이 방지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이들 각도 α, β는 약 30°∼90°정도가 바람직하고, 45°∼85°정도가 특히 더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실내측에 위치하는 다른쪽의 패널부(12)의 외표면의 벽재 도포면(21)에도 적당한 내벽처리를 실시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내장재로서 시멘트 모르타르(26)과 석고등의 내장재(도포재)를 사용할 때, 이들의 도포재(시멘트 모르타르(26))을 벽재도포면(21)에 도장하는 것만으로 이것을 확실히 보지하여 내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형틀블록(10)은, 예를 들어 형내(型內)성형과, 하지구(23)의 형상에 따른 외형을 가지는 구운인두등을 사용하여 후가공, 다시 절삭가공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형틀블록(10)은 형내발포성형에 의해 발포완료후, 적어도 형틀블록의 형태가 보지되는 정도로 냉각한 후, 형틀블록을 세로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탈형하므로써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테이퍼면들을 형성할 수 있고, 이 방법을 채용하므로서 본 발명의 형틀블록(10)을 일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하지구(23)에서 그 주벽면(25)와 벽재도포면(20)이 서로 예각으로 교차하도록 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제8(a)도 에서와 같이, 주벽면(25)의 저면부(25b)를 수평면으로 하면서 그 표면측단면에 상방으로의 돌기(25c)를 설치하거나, 같은 도면(b)에서와 같이, 수평면에서 저면부(25b)를 설치하여, 이들의 돌기(25c)와 오목부(25d)에 의해 시멘트 모르타르(22)들의 벽재가 하방으로 흘러나오지 않게 하는것도 가능하다.
또, 하지구(23)의 형상은 제9(a)도에서와 같이, 측면부(25a)가 거의 수직으로 서 있는 직사각형상으로 하거나 같은 도면(b)에서와 같이, 측면부(25a)끼리가 하단에서 교차하는 삼각형상으로 하거나, 같은 도면(c)에서와 같이, 저면부(25b)를 원호상으로 하거나, 같은 도면(d)에서와 같이, 저면부(25b)를 패널부(11)의 거의 전길이에 걸쳐서 직선상으로 연장하거나,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체를 반원상으로 형성하는 등,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하지구(23)을 병렬적으로, 즉 세로 및 가로 방향으로 등간격 배치하고 있지만, 천조(千鳥)상으로 배치하거나, 랜덤하게 배치해도 좋음은 물론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형틀블록(10)을 이 형틀블록(10) 자체에서 서로 위치결정을 계속 행하여서, 겹쳐지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 패널부(11, 12)의 상하 양단면에는 이하의 구성이 갖추어져 있다.
즉, 패널부(11, 12)의 각 상단면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피치 P2에서 제1의 볼록부(30)과 제2의 볼록부(31)이 그 두꺼운 방향으로 2열에 걸쳐 서로 다르게, 또, 패널부(11, 12)의 제1의 볼록부(30)끼리 및 제2의 볼록부(31)끼리가 서로 대치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각 볼록부(30, 31)의 길이 b는 전부 같고, 동시에 상기 피치 P2의 반(b=P2/2)으로 설정되어 있으면서, 외측에 위치하는 제1의 볼록부(30)의 폭 W1쪽이 내측에 위치하는 제2의 볼록부(31)의 폭 W2보다 좁게 (W1W2) 설정되어 있다. 더우기, 이 볼록부(30, 31)의 서로 마주보는 측의 입상면(30a, 31a) 및 길이방향 양측의 입상면(30b, 31b)는 높이방향을 따라서 서서히 외방으로 넓어지는 테이퍼면으로 되도록, 즉 상기 볼록부(30, 31)의 길이 b는 상방을 향하여 서서히 길게 되고, 또한 이 폭 W1, W2도 상방을 향하여 서서히 두껍게 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패널부(11, 12)의 각 하단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상단면과 같은 소정의 피치 P2로, 또한 같은 길이 b의 제1의 볼록부(32)와 제2의 볼록부(33)이 그 두꺼운 방향으로 2열에 걸쳐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이 외측에 위치하는 제1의 볼록부(32)는 상기 제2의 볼록부(31)과, 내측에 위치하는 제2의 볼록부(33)은 상기 제1의 볼록부(30)과 각각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볼록부(32, 33)의 서로 마주보는 측의 입상면(32a, 33a) 및 길이방향 양측의 입상면(32b, 33b)는 높이방향을 따라서 서서히 외방으로 넓어지는 테이퍼면이 되도록, 즉 볼록부(32, 33)의 길이는 하방을 향하여 서서히 길게되고, 또한 그 폭도 하방을 향하여 서서히 두꺼워지도록 되어 있다.
또, 각 패널부(11, 12)의 상하양단면에 있어서, 외측에 위치하는 제1의 볼록부(30, 32)끼리 및 내측에 위치하는 제2의 볼록부(31, 33)끼리는 서로 그 길이 b(P2/2)만큼만 위상을 비켜놓은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도 및 제3도에서와 같이, 형틀블록(10)을 상하방향으로 쌓아올렸을 때, 하방에 위치하는 형틀블록(10)의 외측의 제1볼록부(30)은 상방에 위치하는 형틀블록(10)의 외측에 제1볼록부(32)의 사이에 들어가면서, 이 하방에 위치하는 형틀블록(10)의 볼록부(30)의 입상면(30a)가 상방에 위치하는 형틀블록(10)의 제2볼록부(33)의 입상면(33a)와 대면한다.
한편, 하방에 위치하는 형틀블록(10)의 내측의 제2볼록부(31)은 제3도 및 제7도에서와 같이, 상방에 위치하는 형틀블록(10)의 내측의 제2볼록부(33)의 사이에 들어가면서, 이의 하방에 위치하는 볼록부(31)의 입상면(31a)가 상방에 위치하는 형틀블록(10)의 제1볼록부(32)의 입상면(32a)와 대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형틀블록(10)은 제3도에서와 같이, 그 하단에서의 폭 T2의 쪽이 상단에서의 폭 T1보다 크고 (T2T1), 또한 상하로 겹쳐진 때에 하방에 위치하는 형틀블록(10)의 제2볼록부(33)의 입상면(30a)와 상방에 위치하는 형틀블록(10)의 제2볼록부(33)의 1입상면(33a)가, 그리고 하방에 위치하는 형틀블록(10)의 제2볼록부(31)의 입상면(31a)와 상방에 위치하는 형틀블록(10)의 제2볼록부(32)의 입상면(32a)가 서로 걸어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각 볼록부(30, 31, 32, 33)는 그 세개의 입상면(30a, 30b, 30 b, 31a, 31b, 31b, 32a, 32b, 32b, 33a, 33b, 33b)으로 외방을 향하여 서서히 넓어지는 테이퍼면으로 하므로써, 이 걸어맞춤을 확실한 것으로 양자의 연결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하방에 위치하는 1개의 형틀블록(10)의 상단면의 상방으로 위치하는 하나의 형틀블록(10)의 2/3가, 다른 형틀블록(10)의 1/3이 각각 얹히게 하기 위해, 상기 각 볼록부(30, 31, 32, 33)은 소정의 피치 P2로 3의 배수의 합계 6개 상당분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하여, 상하로 올라쌓이면 형틀블록(10)의 1/3 또는 2/3가 측방으로 돌출한 형태가 되기 때문에, 패널부(11, 12)의 표면의 이 패널부(11, 12)를 길이 방향으로 3등부 한 위치에는 절단선(34)가 설치되고, 이절단선(34)를 따라 절단하므로써 끝부가 갖추어지도록 되어 있다.
더우기, 상기 패널부(11, 12)의 각 상단면에는, 제4도에 상세히 나타냈듯이, 예를 들어 금속재의 분리기(40)을 삽입하기 위해 이 분리기(40)의 두께에 잘맞는 깊이의 오목부(35)가 그 두께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어진 벽구축용 분리기는, 서로 대치하여 대략 평행이 배치된 한쌍의 패널부(11, 12)의 상하 양단면에, 상하로 연결했을때에 서로 두꺼운 방향으로 마주보고 걸어맞추는 볼록부(30, 31)을 설치한 수지발포체로 이루어진 형틀블록의 상기 패널부사이에 걸쳐서 배치된 벽구축용 분리기이며, 형틀블록(10)을 상하로 연결했을 때 서로 두꺼운 방향으로 마주보는 상기 볼록부사이에 위치하는 단부(段部)(42)를 연결핀부(41)의 양단에 형성하면서, 이 단부의 선단에 수평방향으로 상기 패널부의 외방까지 연장한 평단부(43)을, 이 평단부의 선단에 연직방향으로 연장한 연직판부(44)를 각각 연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분리기(40)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부의 내부에는 배근삽통용의 절결홈(切決溝)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분리기(40)은 상기 연결판부(41)의 단부에 대략 수직으로 굴곡하는 굴곡편(46)이 연접하여 설치되며, 그리고, 이 굴곡편(46)의 내부에 상기 절결홈(45)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늘어진 제2의 절결홈(47)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이 분리기를 이용한 양태에 대하여 상술하고자 한다.
제10도, 제11도, 제12a도, 제12b도, 제13도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분리기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3도에 있어서, 번호(40)은 벽구축용 분리기로, 이 분리기(40)은 약간 긴길이의 사각형평판상의 판체를 굴곡하여 형성된다.
제13도에 나타낸 상기 분리기(40)은 수평방향으로 늘어진 연결판부(41)과, 이 연결판(41)의 양단에 상방으로 세워져 형성된 단부(42)와, 이 각 단부(42)의 선단에서 수평방향으로 굴곡하여 연장한 평단부(43)과, 이 각 평단부(43)의 선단에서 상방에 세워진 연직판부(44)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판부(41)에는 이 내방으로 연장한 절결홈(4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12a도에서 나타난 상기 분리기(40c)는 수평방향으로 연장한 연결판부(41)과, 이 연결판(41)의 양단에 상방으로 세워져 형성된 단부(42)와, 이 각 단부(42)의 선단에서 수평방향으로 굴곡하여 연장한 평단부(43)과, 이 각 평단부(43)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내려간 연직판부(44a)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판부(41)에는 이 내방으로 늘어진 절결홈(4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분리기(40)은 패널부(11, 12)사이에 걸쳐져서, 이 내부에 현장 콘크리트(18)을 타설했을 때에 이 간격을 일정하게 보지하면서 시멘트 모르타르(22, 26)들의 벽재의 도포두께를 표준으로 하기 위한 것이며, 직사각형 평판상의 판체를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분리기(40)에는 서로 대치하는 볼록부(30) 사이의 길이를 가지는 연결판부(41)의 양단에 단부(42)을 개재하여 일단 세워진 평단부(43)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이 평단부(43)에 상방으로 세워진 연직판부(44)가 일체로 연접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형틀블록(10)을 상하방향으로 쌓아 맞추면, 그 상하방향의 접합부에 단차 d (제3도 참조)가 생기지만, 이 형틀블록(10)내에 현장 콘크리트(18)을 타설하며, 이 힘을 받아서 형틀블록(10)은 외방으로 넓어지도록 변형된다. 즉, 제5도에서와 같이, 상방에 위치하는 형틀블록(10)은 그 하단면에 설치한 제2의 볼록부(33)의 입상면(33a)가 상기 분리기(40)의 단부(42)에 당접하고, 한편, 하방에 위치하는 형틀블록(10)의 제2볼록부(31)의 입상면(31a)와 상방에 위치하는 형틀블록(10)의 제1볼록부(32)의 입상면(32a)가 서로 압접(壓接)하고, 이들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형틀블록(10)이 내측의 지름에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더우기, 형틀블록(10)내에 현장 콘크리트(18)을 타설하면, 이 콘크리트(18)의 내압에 따라 형틀블록(10)의 일부에 돌출부가 생기고, 여기에서의 평단도가 담보되지 않는 염려가 있으나, 이 내압에 의해서도 분리기(40)의 길이는 변형하지 않기 때문에, 이 분리기(40, 44c)의 연직판부(44, 44a)로 된 평면은 항상 일정하고 되고, 이 연직판부(44, 44a)로 된 평면을 목표로 하여 시멘트 모르타르(22, 26)을 편평하게 타설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부(42)와 연직판부(44, 44a)와의 간격은 상기 패널부(11, 12)의 두께보다도 두껍고, 또한 벽재도포면(44, 44a)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하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더우기, 상기 분리기(40, 40c)에는 종근(16)을 상하방향으로 연통시키기 위해 복수의 절결홈(4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기(40, 44c)의 연직판부(44, 44a)는, 상술했듯이, 시멘트 모르타르(22, 26)들의 벽재를 도포시킨 후에, 그 표면이 외부로 노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연직판부(44, 44a)를 개재하여 외장재(50) 및 내장재(51)의 설치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역시, 예를 들어, 이 연직판부(44)에 암나사를 새겨 만들고, 이 암나사에 나사맞춤 할 나사들을 개재하여, 외장판(50)과 내장판(51)의 설치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분리기(40)에는 종근(16)을 삽통시키기 위한 절결홈(45)가 설치되어 있지만, 형틀블록(10)의 리브부(13)의 상방(또는 하방)에 위치 할 경우에는, 종근(16)을 삽통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10도에서와 같이, 내부에 절결홈(45)를 가지고 있지 않은 분리기(40a)를 사용해도 좋다.
또, 제11도에서와 같이, 연결판부(41)의 단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입상편(46)을 일체로 연접하고, 이 입상편(46)의 상부에 상기 절결홈(45)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늘어진 제2의 절결홈(47)을 설치하여 분리기(40b)를 구성하며, 이 제2의 절결홈내를 횡근(17)을 삽통시키므로써, 종근(16)과 횡근(17)과를 이 분리기(40b)를 개재하여 결속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내부에 종근(16) 및 횡근(17)을 배근하면서 형틀블록(10)을 상하좌우로 겹쳐쌓고, 이 중공부(14) 및 공간(15)내에 콘크리트(18)을 타설하고, 그런 후에, 실외측의 벽재도포면(20) 및 실내측의 벽재 도포면(21)에 시멘트 모르타르(22, 26)들의 벽재를 도포하고, 또한 외장재(50) 및 내장재(51)을 설치하므로써 건축물의 벽을 구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통상의 형틀블록과 거의 같은 요령으로, 게다가 수지발포체로 이루어진 형틀블록(10)은, 경량으로 그 자체가 높은 단열성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꽤 대형의 형틀블록을 사용하여 단열구조의 벽을 신속 또는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다. 게다가, 시멘트 모르타트(22, 26)등의 벽재로 벽의 외벽으로의 노출면을 쉽게 피복하고, 필요에 따라 외장판과 내장판을 설치하므로써, 외벽 및 내벽을 형성할 수 있다.
제12a도 및 제14도는 내부에 배근을 행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있어서의 벽의 구축열(列)을 나타낸 것으로, 제12a도에 나타낸 예는, 분리기(40c)로써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연결판부(41)의 양단에 단부(42)를 개재하여 일단(一段) 입설한 평단부(43)을 형성하면서, 이 평단부(43)에 하방으로 연장한 연직판부(44a)를 일체로 연접한 것을 사용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는 패널부(11, 12)의 양 외표면을 벽재도포면(20, 21)로 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벽을 구축했을 때에 실외측에 위치하는 한 편의 패널부만을 외벽도포면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서로 대치하여 대략 평행히 배치된 한 쌍의 패널부와, 이 패널부를 그 대향면에서 연결하는 리브부가 일체로 형성된 벽용 형트블록을 이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에서는 패널부와 리브부가 일체로 되어 있지 않은 패널을 이용해도 같은 모양으로 벽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5도에서와 같이, 리브부가 일체화 되어 있지 않은 벽용 패널에는, 수지발포체로 된 패널본체(111)의 표면에 평단한 벽재도포면을 형성하면서, 이 벽재도포면에 하방을 향하여 서서히 두꺼운 내방으로 경사져서 벽재를 보지하는 다수의 하지구(112)가 도포면의 거의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제15도는 벽용패널을 이용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동 도면에 있어서 번호(110)은 수지발포체로 된 직사각형 평판형의 패널본체로, 이 패널본체(110)는, 예를 들어 토대(도시하지 않음)상에 수직으로 세운 복수의 기둥의 실외측의 한면에 설치되었다. 여기의 패널본체(110)을 구성하는 수지발포체는 상기의 형틀블록과 같은 모양의 소재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패널본체(110)은, 예를 들어 외벽을 구축할 때에는 이것을 기둥의 실외측에 평단상으로 나란히 깔고 있지만, 이 때, 실외측에 위치하는 편면(片面)은 벽재도포면(111)로 되어 있고, 이 벽재도포면(111)에는 그의 거의 전역에 걸쳐서 다수의 하지구(112)가 병렬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지구(112)는 상술한 형틀블록과 같은 모양으로, 하방을 향하여 서서히 두꺼운 방향으로 경사진 테이퍼면(113)의 주위를, 두꺼운 방향으로 서 있는 주벽면(114)에서 상방으로 개구하는 대략 평면자형으로 둘러싸여 구성되어 있다. 즉, 이 주벽면(114)는 양측의 상방을 향하여 서서히 넓어지는 측면부(114a)와 이 측면부(114a)의 하단을 이 측면부(114a)에 연속해서 연결하는 저면부(114b)로 되어 있고, 이에 의하여 상기 하지구(112)는 상방이 넓어진 등각대형으로 하방을 항해 서서히 깊게 되고, 주벽부(114)의 저면부(114b)는 하지구(112)의 제일 좁고 또한 깊은 위치에서 두꺼운 방향으로 서 있다.
더우기, 이 패널본체(110)의 상단면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피치로 제1볼록부(130)과 제2볼록부(131)이 그 두꺼운 방향으로 2열을 따라 서로 다르게, 또한 패널본체(110)의 제1볼록부(130)끼리 및 제2볼록부(131)끼리가 서로 대치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제1볼록부(130)과 제2볼록부(131)과는, 상기 제1도에 나타난 벽용 형틀블록에서의 각 볼록부(30, 31)과 같은 모양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하지구(112)에 의한 시멘트 모르타르(5)의 보지를 확실히 하기위해, 상술한 이 하지구(112)의 주벽면(114)와 벽재도포면(111)로 된 평면이 형틀블록과 같은 모양으로 서로 예각으로 교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제16도에서와 같이 토대(도시하지 않음)상에 입설된 기둥의 실외측에 패널본체(110)을 평면상에 나란히 깔고, 이 작업이 완료하면 즉시 이 실외측의 벽재도포면(111)에 시멘트 모르타르(115)들의 벽재를 도포하므로써 벽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패널본체(110)으로서, 예를 들어, 높이 h1이 약 300mm, 길이, l1이 약 900mm, 두께 t 가 약 35mm의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제17도에 나타나듯이, 폭 h2× 길이 l2이 900mm × 1800mm의 소위3×6판과, 2×6(600mm × 1800mm )판들의 대형 패널과 임의의 크기로 설정하거나, 단열성능에 맞춰서 두께도 임의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7도에서는, 패널본체(110)의 상단면에 형성된 소정의 피치의 제1볼록부와 제2볼록부는 설치되어도 좋고, 또 제17도에서 도시하듯이, 이 제1볼록부와 제2볼록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이 실시예는 패널본체(10a)의 이면측에 상하방향의 거의 전장에 걸쳐서 연장한 볼록형상부(115)와 오목형상부(116)을 설치하고, 여기에 현장 콘크리트(도시하지 않음)를 타설했을 때에, 이 콘크리트와 패널본체(110a)와의 결합이 확실하도록 하고 있다.
즉, 볼록형상부(115)는 이 패널이측면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내부에 매설되고, 더우기 이 타설된 콘크리트가 오목형상부(116)내에 파고 들어가게 되어 있다. 상기 볼록형상부(115)는 형틀블록에서의 리브로서의 역할을 다하면서, 패널본체(110a)를 보강할 수 있다. 또, 오목형상부(116)에는 이 내부에 배근을 설치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형틀블록은 상기와 같은 구성이므로, 한 쌍의 패널부와 리브부로 이루어진 형틀블록의 경량화를 꾀하면서, 형틀블록 자체에 높은 단열성능을 가지게 하고, 이에 의하여 단열재를 별도 필요없이 단열성능이 뛰어난 벽을 쉽게 또는 신속히 구축할 수 있다.
게다가, 형틀블록을 싼 가격에 제조하여 비용절감을 꾀하면서, 하방에 위치하는 형틀블록의 상단면에 설치한 볼록부와 상방에 위치하는 형틀블록의 하단면에 설치한 볼록부를 서로 걸어맞추므로써 이것의 위치결정을 행하면서, 상방으로 순차 쌓아올라갈 수 있어서 벽의 구축이 용이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벽구조는 상기와 같은 구성이므로, 단열재를 별도 준비함없이, 경량이고 단열성이 뛰어나며, 또한 싼 가격으로 제조가능한 수지발포체로 된 형틀블록을 이용하여 단열성능이 뛰어난 벽을 쉽게 또는 신속히 구축할 수 있다.
더우기, 적어도 한 쪽 패널부의 외표면의 벽재도포면에 벽재를 도장하는 것 뿐이고, 상기 형틀블록 자체에서 이 벽재를 보지하여, 수지발포체로 된 패널부가 외부로 유출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분리기를 사용하므로써 형틀블록의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해도 이 현장타설된 콘크리트의 내압에 의해 형틀블록이 외방 방향으로 넓어지지 않는다. 또, 분리기의 연직판부를 벽재의 도포두께의 표준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더우기, 이 연직판부를 벽재의 설치도구로 사용하여 벽을 구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1)

  1. 서로 대치하여 대략 평행히 배치된 한쌍의 패널부와, 이 패널부를 그 대향면에서 연결하는 리브부를 수지발포체로 일체로 형성하면서, 상기 적어도 한쪽의 패널부의 외표면을 벽재도포면으로 이루고, 이 벽재도포면에 하방을 향하여 서서히 두꺼운 방향으로 경사져서 벽재를 보지하는 다수의 하지구를 거의 전역에 걸쳐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용 형틀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지구를 상방으로 개구한 상태로 형성하면서, 이 하지구의 주벽면과 상기 벽재도포면으로 된 평면이 서로 예각으로 교차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용 형틀블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의 높이를 상기 패널부의 높이보다도 낮게 설정하면서, 상기 리브부를 상기 패널부의 높이 방향의 대략 중앙에서 길이방향의 내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용 형틀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의 상하양단면에 횡근통과용의 홈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용 형틀블록.
  5. 제1항 내지 제4항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서로 대치하여 대략 평행히 배치된 한쌍의 패널부와, 이 패널부를 그 대향면에서 연결하는 리브부를 수지발포체로 일체로 형성하면서, 상기 각 패널부의 상단면 및 하단면에 복수의 볼록부를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피치로 두꺼운 방향으로 2열에 걸쳐 서로 다르게, 또한 상하로 겹쳐 쌓았을 때에 하방에 위치하는 패널부의 상단면과 하방에 위치하는 패널부의 하단면의 상기 각 볼록부가 서로 걸어 맞춰지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용 형틀블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패널부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의 적어도 한쪽에 양 패널 부사이에 걸쳐진 분리기를 끼워 붙인 오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용 형틀블록.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볼록부의 서로 걸어맞춘 입상면을 높이 방향을 따라 서서히 외방으로 넓어지는 테이퍼면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용 형틀 블록.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패널부의 상단면의 다른 패널부측의 볼록부 및 하단면의 다른 패널부와 반대측의 볼록부의 두께를 다른 볼록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용 형틀블록.
  9. 서로 대치하여 대략 평행히 배치된 한 쌍의 패널부와, 이 패널부를 그 대향면에서 연결하는 리브부를 수지발포체로 일체로 형성하면서, 상기 적어도 한쪽의 패널부의 외표면을 벽재도포면으로써 이 벽재도포면에 하방을 향하여 서서히 두께방향으로 경사져서 벽재를 보지하는 다수의 하지구를 그의 거의 전역에 걸쳐서 형성한 형틀블록을 평면상에 나란히 깔고, 이 형틀블록의 내부에 충전재를 충전하면서 상기 벽재도포면에 벽재를 도포하여 구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상에 나란히 깔은 벽용 블록의 내부에 종근과 횡근으로 이루어진 배근을 행하여 이 종근 및 횡근을 상기 충전재내에 매설할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구조.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벽용 블록의 상하접합부에 패널부사이에 걸쳐친 분리기를 끼워 붙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구조.
KR1019950003858A 1994-02-28 1995-02-27 벽용 형틀블록 및 벽구조 KR01556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30408A JP2724107B2 (ja) 1994-02-28 1994-02-28 壁構造
JP6030406A JP2724106B2 (ja) 1994-02-28 1994-02-28 壁用型枠ブロック
JP6030407A JP2742013B2 (ja) 1994-02-28 1994-02-28 壁用型枠ブロック
JP6-030408 1994-02-28
JP6-030406 1994-02-28
JP6-030407 1994-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217A KR950025217A (ko) 1995-09-15
KR0155665B1 true KR0155665B1 (ko) 1998-11-16

Family

ID=27286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3858A KR0155665B1 (ko) 1994-02-28 1995-02-27 벽용 형틀블록 및 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566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217A (ko) 199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24098A (en) Building blocks, wall structures made therefrom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AU694516B2 (en) Interconnectable formwork elements
US7007436B1 (en) Snap-in-place building block
US5575128A (en) Interlocking mortarless building block system
US8887466B2 (en) System for constructing walls using blocks equipped with coupling means
US6907704B2 (en) Interlocking mortarless load bearing building block system
US5855102A (en) Molded brick module
US20060150559A1 (en) Two piece interlocking block system
US5771654A (en) Method of construction using molded polymer blocks
US10683665B2 (en) Metal framing components for wall panels
IL189909A (en) Modular elements, grid, supporting structure, structure and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US6857240B1 (en) Cinderblock alignment clip
US20080307745A1 (en) Block and connector system
US20130000222A1 (en) Insulating Construction Panels, Systems and Methods
KR0155665B1 (ko) 벽용 형틀블록 및 벽구조
HUE027970T2 (en) A system consisting of formwork elements, a structure built with it, and a procedure for building a structure
JP2742013B2 (ja) 壁用型枠ブロック
JP2724107B2 (ja) 壁構造
JP2994587B2 (ja) 壁構築用セパレータ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コンクリート型枠構造
JP2659680B2 (ja) 壁構築用セパレータ
JP2724106B2 (ja) 壁用型枠ブロック
JP2793498B2 (ja) 壁構造
JPH1046713A (ja) コンクリート壁用または基礎用型枠
JP3689168B2 (ja) 型枠兼用断熱基礎ブロック
GB2294067A (en) A building block and associated frame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