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5331B1 - Interconnection network manager in cdma mobile system - Google Patents

Interconnection network manager in cdma mobile system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331B1
KR0155331B1 KR1019950053671A KR19950053671A KR0155331B1 KR 0155331 B1 KR0155331 B1 KR 0155331B1 KR 1019950053671 A KR1019950053671 A KR 1019950053671A KR 19950053671 A KR19950053671 A KR 19950053671A KR 0155331 B1 KR0155331 B1 KR 0155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network
bus
network management
management device
inter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36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55737A (en
Inventor
최병철
정연쾌
신동진
배달진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50053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5331B1/en
Publication of KR970055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57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331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 내부의 상호연결 통신망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연결 통신망 관리장치는 통신망 관리장치 내부의 기능처리를 담당하는 집적화되어 있는 다중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프로세서와, 통신망 관리기가 동작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과 데이타가 저장되는 롬과, 프로그램 동작중 데이타의 읽기/쓰기가 가능한 램과, 통신망 구성 요소인 다수의 노드들로부터 입력되는 장애신호 처리부와, 2개의 HDLC 통신정합부와, HDLC 통신링크 장애 감지부와, 공유버스를 사용하는 다수의 노드들에 대한 버스 중재를 위한 프레임 동기 신호 발생 및 이를 위한 기본클럭 발생부와, 통신망 내부의 데이타 교환을 위한 공유버스인 D-bus에 대한 장애검출부와, 전원 리셋 및 수동의 스위치 리셋 요구시 관리장치를 구성하는 소자들의 동작상 동기를 유지토록 하는 리셋회로와, 관리장치 내부에 필요한 클럭 신호를 공급하는 클럭 발생 및 분주회로와, 프로세서 이외의 소자를 액세스 또는 제어할 수 있도록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어드레스 디코더와, 이중화된 관리장치간에 실시간적 절체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이중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통신망을 구성하고 있는 각종 구성 요소에 대한 장애처리 및 관리 기능, 상태 관리 기능을 비롯한 유지보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망관리가 효율적으로 수행되고 상호연결 통신망의 신뢰성이 향상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connection network management apparatu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erein the interconnection network management apparatus is capable of operating a processor supporting an integrated multi-protocol in charge of function processing in the network management apparatus and a network manager. ROM, which stores programs and data, RAM that can read / write data during program operation, fault signal processing unit input from a plurality of nodes that are network components, two HDLC communication matching units, and HDLC communication link. Failure detection unit,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on and basic clock generator for bus arbitration for multiple nodes using the shared bus, and failure detection unit for D-bus, a shared bus for data exchange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keeps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anagement device in the event of a power reset and manual switch reset. A real time between the reset circuit, a clock generation and division circuit for supplying the necessary clock signal inside the management device, an address decoder for generating a selection signal for accessing or controlling a device other than the processor, and a redundant management device It is composed of a redundant control unit that can be switched over and provides maintenance and management functions including failure handling and management functions for various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terconnection. The reliability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improved.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호연결 통신망 관리장치Interconnec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상호연결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rconnection network between a control station and a bas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2도는 상기 제1도의 단위 상호연결망의 논리적 구성도.2 is a logical diagram of the unit interconnection network of FIG.

제3도는 상기 제2도의 단위 상호연결 통신망의 상세한 구성도.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unit interconnection network of FIG.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 관리장치의 상세한 구성도.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0, 301 : 통신망 관리장치 305 : 버스 중계기300, 301: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305: bus repeater

400 : 멀티프로토콜 프로세서 401 : 유-링크정합부400: multiprotocol processor 401: U-link matching unit

404 : 앰-버스정합부 407 : 유-링크/앰-버스정합부404: Am-bus matching unit 407: U-link / Am-bus matching unit

409 : 디-버스정압부 411 : 프레임 동기신호/제어클럭 발생부409: De-bus constant voltage unit 411: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 control clock generator

412 : 공유버스 장애감지부 415 : 노드 장애감지부412: shared bus failure detection unit 415: node failure detection unit

418 : 인터럽트 처리부 419 : 메모리418: interrupt processing unit 419: memory

423 : 이중화 제어부 426 : 어드레스 디코더423: redundancy control unit 426: address decoder

429 : 발진기 430 : 분주회로429: oscillator 430: frequency divider circui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 내부의 상호연결 통신망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의 교환국, 제어국 및 기지국내의 제어장치 또는 트래픽 처리장치들 상호간의 메시지 교환을 위하여 상호 연결 통신망에 대한 망관리장치를 구현함으로써 통신망 구성요소에 대한 효율적인 망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호연결 통신망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connec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network management for interconnection communication networks for exchanging messages between control stations and control devices or traffic processing devices in a base station. An interconnect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an efficient network management function for communication network components by implementing the device.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상호연결 통신망에 있어서, 단위통신망의 단위망을 상호 연결하고 메시지 분산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국의 상호연결망과 기지국의 상호연결망의 상호간에는 중계선 링크를 통하여 메시지의 교환이 이루어진다.In general, in an interconnection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a control s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base station, a relay line link between an interconnection network of a control station and an interconnection network of a base station that interconnects the unit networks of the unit communication network and enables message distribution. The exchange of messages takes place.

또한, 상기 제어국 및 기지국 상호연결 통신망내의 제어장치 또는 트래픽 처리장치들 상호간에도 메시지의 교환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messages are exchanged between the control station and control devices or traffic processing devices within the base station interconnection network.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어장치 및 트래픽 처리장치들 상호간의 메시지 교환을 위한 종래의 망관리장치가 통신망을 구성하고 있는 각 구성요소에 대한 장애처리 및 상태관리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함에 따라 비효율적인 망관리가 이루어졌으며, 상호연결 통신망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network management apparatus for exchanging messages between the control apparatus and the traffic processing apparatuses as described above does not properly perform failure processing and status management functions for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was mad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reliability of the interconnection network is degrad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호연결 통신망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한 효율적인 망관리 기능을 제공하여 신뢰성 있는 통신망을 구현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호연결 통신망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interconnection communication network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can implement a reliable communication network by providing an efficient network management function for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interconnection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t is to provide a management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호연결 통신망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관리 장치는 통신망 관리장치 내부의 기능 처리를 담당하는 집적화되어 있는 다중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프로세서와, 통신망 관리기가 동작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과 데이타가 저장되는 롬과, 프로그램 동작 중 데이타의 읽기/쓰기가 가능한 램과, 통신망 구성 요소인 다수의 노드들로부터 입력되는 장애신호 처리부와, 2개의 HDLC 통신정합부와, HDLC 통신링크 장애 감지부와, 공유버스를 사용하는 다수의 노드들에 대한 버스 중재를 위한 프레임 동기 신호 발생 및 이를 위한 기본클럭 발생부와, 통신망 내부의 데이타 교환을 위한 공유버스인 D-bus에 대한 장애검출부와, 전원 리셋 및 수동의 스위치 리셋 요구시 관리장치를 구성하는 소자들의 동작상 동기를 유지토록 하는 리셋회로와, 관리장치 내부에 필요한 클럭 신호를 공급하는 클럭발생 및 분주회로와, 프로세서 이외의 소자를 액세스 또는 제어할 수 있도록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어드레스 디코더와, 이중화된 관리 장치간에 실시간적 절체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이중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에 있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 the interconnection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is a processor supporting an integrated multi-protocol in charge of processing the functions inside the network management device A ROM for storing programs and data for the network manager to operate, a RAM capable of reading / writing data during the program operation, a fault signal processing unit input from a plurality of nodes that constitute the network, and two HDLCs. Communication matching unit, HDLC communication link failure detection unit,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on and basic clock generation unit for bus arbitration for multiple nodes using the shared bus, and shared bus for data exchange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configure the fault detection unit for the D-bus A reset circuit for maintaining their operation in synchronization, a clock generation and division circuit for supplying a clock signal required inside the management device, an address decoder for generating a selection signal to access or control a device other than a processor, and duplica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edundant control unit implemented to enable real-time switching between the management devic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상호연결망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rconnection network between a control station and a base s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시스템은 제어국(100)과 이동가입자의 용량에 따라 다수의 기지국(106~111)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106 to 111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control station 100 and the mobile subscriber.

상기 제어국(100)은 용량에 따른 시스템의 확장과 축소의 효율적인 구성이 가능하도록 단위통신망(103~105)의 단위망을 상호 연결해주며 메시지 분산을 가능하게 하는 상호연결망(101~102)으로 구성된다.The control station 100 is composed of interconnection networks (101-102) which interconnect the unit networks of the unit communication networks (103-105) to enable efficient configuration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capacity and enables message distribution. do.

그리고, 상기 제어국 상호연결망(101~102)과 기지국 상호 연결망간에는 원거리 통신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중계선 링크(112~117)로 상호연결되어 있다.The control station interconnection networks 101-102 and the base station interconnection networks are interconnected by relay line links 112-117 to efficiently support telecommunications.

제2도는 상기 제1도의 이동통신망을 구성하고 있는 하나의 단위 통신망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단위 통신망은 노드 유지보수 기능을 담당하는 통신망 관리장치(200)와, 메시지 교환 기능을 담당하는 다수의 노드(201~213)와, 통신망 내부의 제어장치와 노드간의 물리적 메시지 전송링크인 유-링크(U-link)(214~216)으로 이루어진다.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one unit communication network constitu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FIG. 1, wherein the unit communication network is a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200 for node maintenance and a plurality of message exchange functions. Nodes 201 to 213, and a U-link (214 to 216) which is a physical message transmission link between the control device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node.

제3도는 상기 제2도의 단위 통신망의 상세한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unit communication network of FIG.

상기 제3도의 통신망 관리장치의 주변 구성을 통해서 본 발명에 의한 통신망 관리장치의 기능을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The function of the network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peripheral configuration of the network management apparatus of FIG. 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단위 통신망에서 통신망 관리장치(300, 301)는 이중화 제어 채널(302)을 통해서 이중화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기 통신망 관리장치(300, 3010는 메시지 교환을 위한 두개의 공유버스(303, 304)를 상호연결해 주는 버스중계기(305)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In a unit communication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apparatuses 300 and 301 are duplicated through a duplication control channel 302, and each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apparatuses 300 and 3010 mutually communicates two shared buses 303 and 304 for message exchange. It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the bus repeater 305 to connect.

그리고, 상기 통신망 관리장치(300, 301)와 노드들은 유지보수용 버스인 앰-버스(M-bus)(307)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망 관리장치(300, 301)는 상기 노드 유지보수 버스(307)를 통하여 노드 상태관리, 장애관리, 구성관리 등을 수행한다.The network management apparatus 300 and 301 and nodes are connected to an M-bus 307 which is a maintenance bus, and the network management apparatus 300 and 301 is a node maintenance bus. Node state management, fault management, configuration management, and the like are performed through 307.

이때, 통신망 관리장치(300, 301)와 다수의 노드들간의 통신은 통신망 관리장치가 노드로 메시지 요구를 할 경우에만 응답을 하는 주종관계에 따라 버스를 운용하기 때문에 유지 보수용 공유버스상에서의 데이타 충돌의 염려는 없다.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network management device (300, 301) and a plurality of nodes operates the bus in accordance with the master-slave relationship that responds only when the network management device makes a message request to the node, the data on the shared shared bus for maintenance There is no worry of collision.

상기 통신망 관리장치(300, 301)는 다른 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들과 메시지 교환을 위해서 노드간 물리 링크인 상기 유-링크(U-link)(309, 310)를 통해서 노드와 연결된다.The network management apparatus 300, 301 is connected to a node through the U-link (309, 310), which is a physical link between nodes for message exchange with other control devices (not shown).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망 관리장치 내부의 상세한 구성도로서, 각 구성블럭을 참고하여 각각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each configuration block, each func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통신망 관리장치의 중앙제어부인 멀티프로토콜 프로세서(400)는 노드 관리 및 통신망 유지보수를 위한 프로그램을 수행시키는 핵심부로 MC68302를 사용하고, 이는 MC68000 CPU를 기본으로 고속의 HDLC 프로토콜의 통신을 지원하는 직렬 채널 2개와 RS-232C 직렬 통신을 지원하는 직렬 채널 2개와 RS-232C직렬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의 UART채널이 제공되며 각종 인터럽트 처리와 입출력 제어를 위한 입출력 포트, 각종 타이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집적화된 다중 프로토콜 프로세서이다.The multiprotocol processor 400, which is a central control unit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uses the MC68302 as a core for executing a program for node management and network maintenance. This is based on the MC68000 CPU and a serial channel that supports high-speed HDLC protocol communication. Two serial channels to support two and RS-232C serial communication and one UART channel to support RS-232C serial communication are provided and I / O ports for various interrupt processing, input / output control, and multiplex integrated to implement various timer functions Protocol processor.

상기 멀티프로토콜 프로세서(400)는 제3도의 물리링크인 유-링크(U-link)(309, 310)를 통해서 연결된 노드(도시되지 않음)로 HDLC 프레임을 송수신하기 위해 유-링크(U-link) 정합부와 연결된다.The multiprotocol processor 400 transmits and receives an HDLC frame to a node (not shown) connected through U-links 309 and 310, which are physical links of FIG. ) Is connected to the matching part.

이때, 상기 멀티프로토콜 프로세서(400)는 연결선(402)에 의해 상기 유-링크 정합부(401)와 연결되며, 상기 유-링크(309, 310)는 노드와 연결되는 링크이며, 특히 전송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RS-422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물리링크이다.At this time, the multi-protocol processor 400 is connected to the U-link matching unit 401 by a connection line 402, the U-links (309, 310) is a link to the node, in particular, the transmission reliability It is a physical link with RS-422 electrical characteristics to increase the

또한, 상기 멀티프로토콜 프로세서(400)는 노드들과 유지보수 정보 교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앰-버스(M-bus) 정합부(404)와 내부 연결선(405)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앰-버스 정합부(404)는 앰 버스(308)에 연결된다.In addition, the multiprotocol processor 400 is connected to an M-bus matching unit 404 and an internal connection line 405 to perform maintenance information exchange with nodes. The matching section 404 is connected to the amp bus 308.

이때, 송수신되는 메시지 형태는 HDLC프레임 형태를 따른다.At this time, the message type transmitted and received follows the HDLC frame type.

U-link/M-bus 장애감지부(407)는 U-link정합부(401)와 M-bus정합부(404)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타 프레임 및 수신 동기 클럭을 감시하여 비정상적인 경우에 인터럽트(408)를 발생시킨다.The U-link / M-bus fault detection unit 407 monitors the data frame and the received synchronous clock received through the U-link matching unit 401 and the M-bus matching unit 404 to interrupt in case of abnormality. ).

그리고, D-bus정합부(409)는 노드간 메시지 교환을 위한 공유버스(303, 304)와 정합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D-bus정합부(409)를 통해 다수의 노드들의 버스 점유를 위해 프레임 동기신호/제어클럭 발생부(411)에서 발생시킨 중재기능에 필요한 프레임 동기 신호와 이 프레임 동기신호의 제어를 위한 클럭을 송신한다.The D-bus matching unit 409 has a matching function with shared buses 303 and 304 for exchanging messages between nodes, and the D-bus matching unit 409 has a matching function for bus occupancy of a plurality of nodes through the D-bus matching unit 409.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necessary for the arbitration function generated by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 control clock generator 411 and a clock for controlling the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are transmitted.

공유버스 장애감지부(412)는 D-bus정합부(409)로부터 수신한 D-bus신호(413)를 감시하며, 장애발생시 장애 인터럽트(414)를 발생시킨다.The shared bus failure detection unit 412 monitors the D-bus signal 413 received from the D-bus matching unit 409 and generates a failure interrupt 414 when a failure occurs.

노드 장애감지부(415)는 노드 유니트로부터 입력되는 노드 유니트의 고장, 노드 유니트의 탈장 등의 장애를 감지하고 장애발생시 인터럽트(417)를 발생시킨다.The node failure detection unit 415 detects a failure of the node unit input from the node unit, a hernia of the node unit, and the like, and generates an interrupt 417 when the failure occurs.

인터럽트 처리부(418)는 U-link/M-bus 장애, 공유버스 장애, 노드 유니트의 장애에 대한 인터럽트 처리기능을 수행한다.The interrupt processor 418 performs an interrupt processing function for the U-link / M-bus failure, the shared bus failure, and the failure of the node unit.

메모리(419)는 상기 멀티프로토콜 프로세서(400)가 통신망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타가 저장되고 읽히는 부분으로 롬(ROM)과 에스램(SRAM)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memory 419 is a portion in which the multi-protocol processor 400 stores and reads programs and data for performing a network maintenance function. The memory 419 includes a ROM and an SRAM.

MMC정합부(420)는 사용자와 통신망 관리장치간의 RS-232C통신을 위한 정합부로 멀티프로토콜 프로세서의 직결 UART 채널과 연결(422)되어 9600bps의 속도를 가지며 프로그램 디버거 및 프로그램 다운로링이 용도로 주로 사용된다.MMC matching unit 420 is a matching unit for RS-232C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network management device is connected to the direct UART channel of the multi-protocol processor (422) has a speed of 9600bps, mainly used for program debugger and program downloading. do.

상기와 같은 이루어지는 통신망 관리장치는 이중화 제어채널(302)을 통해 이중화로 구성되어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apparatus made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with redundancy through the redundancy control channel 302.

이중화 제어부(423)는 멀티프로토콜 프로세서(400)의 입출력 제어 포트와 연결(425)되어 있으며, 상기 이중화 제어부(423)는 상대방 통신망 관리장치에 공급되는 전원 고장, 상대방 통신망 관리 장치 자체의 기능 고장을 감시하여 상호간 동작상태 또는 대기상태의 모드로 운용된다.The redundancy control unit 423 is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control port 425 of the multiprotocol processor 400, and the redundancy control unit 423 detects a power failure supplied to the other party network management device and a function failure of the other party network management device itself. It is monitored and operated in mutual operation state or standby mode.

어드레스 디코더(426)는 통신망 관리장치를 구성하는 내부 소자들에 대한 액세서를 가능하게 하는 소자 선택제어부로 내부 버스(427)와 연결되어 있다.The address decoder 426 is connected to the internal bus 427 as an element selection controller that enables access to internal elements constituting the network management apparatus.

리셋 회로(428)는 통신망 관리장치 내부의 시작 동작동기를 맞추기 위해 사용되며 모든 소자에 연결된다.The reset circuit 428 is used to synchronize the start operation synchronization inside the network management device and is connected to all the devices.

발진기(429) 및 분주기(430)는 멀티프로토콜 프로세서(400)의 동작을 위한 시스템 클럭과 HDLC 및 RS-232C 통신을 위한 전송 동기 클럭을 제공한다.The oscillator 429 and the divider 430 provide a system clock for the operation of the multiprotocol processor 400 and a transmission synchronization clock for HDLC and RS-232C communication.

D-bus중계제어부(431)는 상기 제3도의 버스중계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이며 두개의 공유버스(306, 307)를 분리하여 각각 운용하거나 서로 연결확장하여 운용하기 위한 제어를 한다.The D-bus relay control unit 431 i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us repeater of FIG. 3 and controls two shared buses 306 and 307 by separately operating or connecting and expanding each other.

이상과 같이, 상기의 구성 및 방법으로 동작하는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트래픽 처리 장치간의 메시지 교환 기능을 담당하는 내부상호연결 통신망에 대한 망관리 장치를 구현하여 통신망을 구성하고 있는 각종 구성 요소에 대한 장애처리 및 관리기능, 상태관리 기능을 비롯한 유지보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망관리가 효율적으로 수행되고 상호연결 통신망의 신뢰성이 향상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which operates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method, implements a network management device for an internal interconnection communication network in charge of a message exchange function between a control device and a traffic process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y providing maintenance functions, including fault handling and management functions for various components, and status management functions, network management is efficiently performed and reliability of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networks is improved.

Claims (2)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트래픽 처리장치간의 메시지 교환을 위한 상호연결 통신망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호연결 통신망 관리장치는 통신망 관리장치 내부의 기능 처리를 담당하는 집적 다중프로토콜 프로세서와;통신망 관리기가 동작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과 데이타가 저장되는 롬과; 프로그램 동작 중 데이타의 읽기/쓰기가 가능한 램과; 통신망 구성 요소인 다수의 노드들로부터 입력되는 장애신호를 처리하는 장애신호 처리부 및 HDLC통신링크 장애 감지부와; 노드간의 메시지 전송을 위한 HDLC 통신정합부와; 공유버스를 사용하는 다수의 노드들에 대한 버스 중재를 위한 프레임 동기신호 발생 및 이를 위한 기본클럭 발생부와; 통신망 내부의 데이타 교환을 위한 공유버스에 대한 장애검출부와; 전원 리셋 및 수동의 스위치 리셋 요구시 관리장치를 구성하는 소자들의 동작상 동기를 유지토록 하는 리셋회로와; 관리 장치 내부에 필요한 클럭 신호를 공급하는 클럭발생 및 분주회로와; 프로세서 이외의 소자를 액세스 또는 제어할 수 있도록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어드레스 디코더와; 이중화된 관리장치간에 실시간적 절체가 가능하도록 구현한 이중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호연결 통신망 관리장치.An interconnection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for exchanging messages between a control device and a traffic processing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interconnec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an integrated multiprotocol processor that is responsible for processing functions in the network management device; A program that stores programs and data so that the program can be stored there; RAM capable of reading / writing data during program operation; A fault signal processor and a HDLC communication link fault detector for processing fault signals inputted from a plurality of nodes which are communication network components; An HDLC communication matching unit for message transmission between nodes; A fram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ion and a basic clock generator for bus arbitration for a plurality of nodes using a shared bus; A fault detection unit for a shared bus for data exchange in a communication network; A reset circuit for maintaining operation synchronization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management apparatus in the event of a power reset and a manual switch reset request; A clock generation and division circuit for supplying a clock signal required inside the management device; An address decoder for generating a selection signal to access or control elements other than a processor; An interconnection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redundant control unit implemented to enable real-time switching between the redundant management apparatus.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 및 기지국의 상호연결망간의 데이타 전송에 있어서, 각 제어국 및 기지국의 단위통신망은, 다수의 노드와; 이중화 제어선을 통해 이중화되는 통신망 관리장치와; 상기 다수의 노드와 상기 통신망 관리장치간의 유지보수 통신을 위한 유지보수용 버스와; 상기 노드간의 메시지 교환을 위한 두개의 공유버스와; 상기 공유버스에 대한 중계기능을 수행하는 버스중계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호연결 통신망 관리장치.In the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control st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interconnection network of the base station, the unit communication network of each control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includes: a plurality of nodes; A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which is duplicated through a duplication control line; A maintenance bus for maintenance communic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nodes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apparatus; Two shared buses for exchanging messages between the nodes; Interconnect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us repeater for performing a relay function for the shared bus.
KR1019950053671A 1995-12-21 1995-12-21 Interconnection network manager in cdma mobile system KR01553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3671A KR0155331B1 (en) 1995-12-21 1995-12-21 Interconnection network manager in cdma mobil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3671A KR0155331B1 (en) 1995-12-21 1995-12-21 Interconnection network manager in cdma mobil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737A KR970055737A (en) 1997-07-31
KR0155331B1 true KR0155331B1 (en) 1998-11-16

Family

ID=19442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3671A KR0155331B1 (en) 1995-12-21 1995-12-21 Interconnection network manager in cdma mobil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533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158B1 (en) * 1998-12-31 2006-05-25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HDLC communication device in base st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737A (en)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257735A (en) Standby line control system in network control path network
JP2005354362A (en) Network repeater and its controlling method
JP4571313B2 (en) Redundant system state synchronization
KR0155331B1 (en) Interconnection network manager in cdma mobile system
CN110053650B (en) Automatic train operation system, automatic train operation system architecture and module management method of automatic train operation system
KR960002469B1 (en) Isdn communication system maintenance in the impedance by using present and reserved isdn communication device
JPH0621955A (en) Clock supply switching system
KR0135912B1 (en) Base Station Controller Matching Subsystem of Mobile Switching System
JPS641987B2 (en)
KR920005063B1 (en) Duplicated time switch of digital all electronic exchange
KR970000069B1 (en) Internal network interface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0148458B1 (en) Call control subsystem of bsc in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970304B2 (en) Transmission frame configuration method for loopback formation
JP3751432B2 (en) Data transmission system
KR100275445B1 (en) The duplex communication path method of signaling message exchange system
KR930006031B1 (en) Message transfer part system by common channel signalling method
KR940008779B1 (en) Common channel signalling method
KR100428763B1 (en) Data link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between exchange and remote termination
KR950000969B1 (en) Common channel signalling method
KR100258707B1 (en) Switch network of atm exchange
JPH0764472A (en) Remote i/o system of programmable controller
CN111416749A (en) System for automatically switching main server and standby server
JPH08163165A (en) Network managing method
JPS62284539A (en) Loop network equipment
KR19990031949A (en) Master / slave control method of number 7 network management b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