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5316B1 - 컴퓨터 영상회의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 영상회의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 및 그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316B1
KR0155316B1 KR1019950038773A KR19950038773A KR0155316B1 KR 0155316 B1 KR0155316 B1 KR 0155316B1 KR 1019950038773 A KR1019950038773 A KR 1019950038773A KR 19950038773 A KR19950038773 A KR 19950038773A KR 0155316 B1 KR0155316 B1 KR 0155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essage
conference
hyperprocess
access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8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2808A (ko
Inventor
박지은
이재영
김준성
임현규
궁상환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50038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5316B1/ko
Publication of KR970022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2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3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4Tools and structures for managing or administering access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영상회의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은 영상회의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멀티프로그래밍 방식의 OS 상에서 메시지 송수신 제어 프로세스와 공유 데이터 고나리 프로세스와 입력력 제어 프로세스와 조절 프로세스 등과 협력하여 영상 데이터 처리장치를 구동하고 다른 사용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를 상기 입력력 제어 프로세스를 통하여 입력받아 다른 특정 프로세스에 전달하기도 하며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상기 입출력 제어 프로세스를 통하여 출력하기도 하는 사용자 접속 프로세스와, 상기 사용자 접속 프로세스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사용자의 요구를 판별하여 영상회의에 필요한 실제 작업을 각 프로세스에 전달하는 사용자 요구판별 프로세스와, 상기 영상회의 시스템의 상태를 파악하기도 하고 특정 조절 프로세스의 요구에 따라 상태를 변경하기도 하고 상태정보의 생성과 입력 및 출력 등 상기 영상회의 시스템의 상태를 처리하는 시스템 상태제어 프로세스와, 영상회의를 설정하기도 하고 회의 진행시 생성되는 메시지들 또는 시스템의 상태를 특정 장소의 사용자에게 전달하기도 하는 메시지 송수신 프로세스와, 현 시스템의 네트워크 상태를 검사하거나 시스템 버스를 통하여 연결된 다른 시스템과의 네트워크 상태를 검사하여 그 결과를 각각의 해당 조절 프로세스에 전달하는 네트워크 제어 프로세스와, 상기 네트워크 제어 프로세스에게 특정 시간 간격으로 신호를 주어 상기 네트워크 제어 프로세스가 자동적으로 네트워크의 상태를 검사하게 하는 논리시계 프로세스와,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텍스트 형태의 사용자의 정보를 생성하기도 하고 제거하기도 하고 첨가하기도 하고 삭제하기도 하며, 상기 제어 프로세스들 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정보의 요청이 있을 때마다 요청된 정보를 상기 제어 프로세스에 출력하는 사용자 정보관리 프로세스 및 상기 영상회의 시스템에서 내부적으로 또는 외부적으로 사용되는 공유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삭제하거나 변경하거나 출력하며, 특정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리를 제어하면서 선택된 회의 도구를 모든 회의 참석자가 공유하도록 하는 공유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데에 있으며, 그 효과는 사용자들이 자유로이 회의에 참가할 수 있고, 회의를 종료할 수 있고, 현재 회의 중에 참석하지 않은 다른 회의자들 호출하는 행위를 가능하게 하는 데에 있다.

Description

컴퓨터 영상회의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 및 그 방법
제1도는 컴퓨터 영상회의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의 프로세스 구성도.
제2도는 컴퓨터 영상회의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의 초기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제3도는 컴퓨터 영상회의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의 영상회의 처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컴퓨터 영상회의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멀티미디어 컴퓨터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는 일반 사용자들이라도 마우스 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지역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사용자와 영상회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프로세스란 컴퓨터에서 수행 중인 프로그램을 일컫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여러 프로세스들이 유기적으로 연합하여 하나의 큰 역할을 수행하는 큰 덩어리를 이룰 때에 상기 큰 덩어리를 하이퍼프로세스라고 정의하여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영상회의(video conference)란, 멀리 떨어져 있는 회의실 사이를 영상과 음성으로 연결하여 화면을 통해 같은 회의실에 있는 것 같은 분위기로 회의를 할 수 있는 회의 방식을 말한다.
이는 컴퓨터간의 통신을 이용하여 수행되는데, 각각의 컴퓨터는 멀티프로그래밍 방식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이하 OS라고 약칭함) 상에서 복수의 프로세스를 동시에 운용함으로써 구현된다.
물론 이들 프로세스간에도 서로 신호를 주고받는데, 이를 프로세스간 통신(Inter-Process Communication, 이하 IPC라고 약칭함)이라고 한다.
각각의 프로세스는 스레드(thread)라는 더 작은 단위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프로세스들의 유기적인 상호 협력으로 하나의 작업(job)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영상회의 시스템들은 실제간 통신(Peer-To-Peer) 방식으로 영상회의에 이용되며, 사용자간의 공유 데이터 이용과 같은 중요 기능들은 다수의 사용자(클라이언트(client))가 하나의 자원(서버(server))을 공용하는 클라이언트-서버(Client-Server) 개념 없이 진행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다자간 회의일지라도 한 사람이 영상회의를 마칠 경우, 이에 따라 모든 회의가 종료되며 회의 도중에 또 다른 사용자가 영상회의 중인 통신에 접속하여 회의에 참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들이 자유로이 회의에 참가하고, 회의를 종료하고, 회의 중에 중요한 회의자를 호출하는 행위를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 영상회의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영상회의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멀티프로그래밍 방식의 OS 상에서 메시지 송수신 제어프로세스와 공유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와 입출력 제어 프로세스와 조절 프로세스 등과 협력하여 영상 데이터 처리장치를 구동하고 다른 사용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를 상기 입출력 제어 프로세스를 통하여 입력받아 다른 특정 프로세스에 전달하기도 하며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상기 입출력 제어 프로세스를 통하여 출력하기도 하는 사용자 접속 프로세스와, 상기 사용자 접속 프로세스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사용자의 요구를 판별하여 영상회의에 필요한 실제 작업을 각 프로세스에 전달하는 사용자 요구판별 프로세스와, 상기 영상회의 시스템의 상태를 파악하기도 하고 특정 조절 프로세스의 요구에 따라 상태를 변경하기도 하고 상태정보의 생성과 입력 및 출력 등 상기 영상회의의 시스템의 상태를 처리하는 시스템 상태제어 프로세스와, 영상회의를 설정하기도 하고 회의 진행시 생성되는 메시지들 또는 시스템의 상태를 특정 장소의 사용자에게 전달하기도 하는 메시지 송수신 프로세스와, 현 시스템의 네트워크 상태를 검사하거나 시스템 버스를 통하여 연결된 다른 시스템과의 네트워크 상태를 검사하여 그 결과를 각각의 해당 조절 프로세스에 전달하는 네트워크 제어 프로세스와, 상기 네트워크 제어 프로세스에게 특정 시간 간격으로 신호를 주어 상기 네트워크 제어 프로세스가 자동적으로 네트워크의 상태를 검사하게 하는 논리시계 프로세스와,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텍스트 형태의 사용자의 정보를 생성하기도 하고 첨가하기도 하고 삭제하기도 하며, 상기 제어 프로세스들 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정보의 요청이 있을 때마다 요청된 정보를 상기 제어 프로세스에 출력하는 사용자 정보관리 프로세스 및 상기 영상회의 시스템에서 내부적으로 또는 외부적으로 사용되는 공유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삭제하거나 변경하거나 출력하며, 특정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리를 제어하면서 선택된 회의 도구를 모든 회의 참석자가 공유하도록 하는 공유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영상회의 시스템의 동작 개시 명령이 내려진 후에 시스템 상태제어 프로세스와 사용자 정보관리 프로세스와 사용자 요구판별 프로세스와 공유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를 구비하고 조절 프로세스와 입출력 제어 프로세스와 메시지 송수신 제어 프로세스와 연결된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가 영상회의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초기화 방법에 있어서, 회의 도구 설정과 영상회의 관련 파일에 관한 초기화가 수행되는 제1과정 및 상기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의 활성화가 수행되는 제2과정을 포함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영상회의 시스템 호출에 의하여 구동 명령이 내려진 후에 시스템 상태제어 프로세스와 사용자 정보관리 프로세스와 사용자 요구판별 프로세스와 공유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와 논리시계 프로세스를 구비하고 조절 프로세스와 입출력 제어 프로세스와 공유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와 연결된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의 영상회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상태제어 프로세스의 구동상태와 영상회의 참석자의 정보가 인출되는 제1과정과, 상기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가 상기 공유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에 공유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과정과, 상기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가 회의 참가 여부를 송수신하는 제3과정 및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가 어떤 메시지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해당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제4과정을 포함하는 데에 있다.
가장 자연스러운 회의 방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영상회의 시스템이 가져야 하는 중요한 요건들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간단한 도구만을 이용하여도 회의를 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 회의 참석 가능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회의를 설정할 때에 회의 참석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회의 참석 의사를 나타내는 회의 참석을 수락할 수 있어야 한다. 회의할 때에 이용하는 회의 도구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회의를 진행할 때에도 특정 회의 참석자와 대화가 가능해야 한다. 회의를 진행할 때에도 필요한 추가 참석자를 호출할 수 있어야 한다. 회의를 진행할 때에도 회의 도구에 따른 참석자의 영상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야 한다. 회의를 종료할 수 있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컴퓨터 영상회의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의 프로세스 구성도이다.
제1도를 참조하여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20)의 구성과 그 주변 프로세스와의 유기적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20)는 멀티프로그래밍 방식의 OS상에서 입출력 제어 프로세스(10)와 메시지 송수신 제어 프로세스(30)와 공유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40)와 조절 프로세스(50) 등과 협력하여 영상 데이터 처리장치(도면에서는 생략됨)를 구동하고 다른 사용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또한,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20)는 사용자 접속 프로세스(21)와 사용자 요구판별 프로세스(22)와 사용자 정보관리 프로세스(23)와 네트워크 제어 프로세스(24)와 시스템 상태제어 프로세스(25)와 공유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26)와 메시지 송수신 프로세스(27) 및 논리시계 프로세스(28)를 구비하고 있다.
입출력 제어 프로세스(10)는 마우스, 비디오, 오디오 등과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20) 사이에 데이터 교환을 관장하는 프로세스로서, 일종의 통신 프로토콜을 형성한다. 메시지 송수신 제어 프로세스(30)는 영상회의를 위한 여러 메시지들을 총괄하여 제어하는 프로세스이다.
공유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40)는 서버로서 공유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26)는 클라이언트로서 클라이언트-서버 형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공유 데이터를 관리한다.
조절 프로세스(50)는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20)의 여러 상태변수들을 조절하는 프로세스이다. 영상 데이터 처리장치는 하드웨어로서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20)에 의해 제어된다.
간단한 마우스 동작으로 회의를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20)는 사용자 접속 프로세스와 사용자 요구판별 프로세스를 이용한다.
먼저, 사용자 접속 프로세스(21)는 회의 설정에 필요한 사항들을 사용자가 가장 이해하기 쉬운 그림 형태로 입출력 제어 프로세스(10)를 통하여 화면에 나타내며, 사용자는 회의 설정을 나타내는 그림 영역을 마우스로 선택함으로써 회의 설정 의사를 나타낸다.
그러면, 입출력 제어 프로세스(10)가 그 마우스의 상태정보와 위치정보를 사용자 접속 프로세스(21)에 전달하고, 이를 전달받은 사용자 접속 프로세스(21)는 그 정보를 사용자 요구판별 프로세스(22)에 전송한다.
이때에 사용자 요구판별 프로세스(22)는 전송된 마우스의 상태정보와 위치정보를 토대로하여 회의 설정에 관한 사용자의 요구를 해석하여 영상회의 수행에 필요한 실제 작업을 각 제어 프로세스에 지시한다. 영상회의를 할 수 있는 회의 참석 가능자에 대한 정보 관리를 위하여는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20)가 사용자 정보관리 프로세스(23)와 사용자 요구판별 프로세스(22)를 이용한다.
사용자 정보관리 프로세스(23)는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텍스트 형태의 사용자의 정보, 즉 이름과 사용하는 컴퓨터의 주소와 사용자를 위한 시스템의 사용설명 등을 텍스트 형태로 시스템 내부에 저장, 생성, 첨가 및 삭제하고 다른 제어 프로세스들이 정보를 요청하면 원하는 정보를 출력하며, 또한 사용자 요구판별 프로세스(22)는 특정 사용자의 정보를 사용자 정보관리 프로세스(23)를 통하여 얻는다. 영상회의 설정을 각 회의 참석자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20)는 메시지 송수신 프로세스(27)와 네트워크 제어 프로세스(24)를 이용한다.
네트워크 제어 프로세스(24)는 회의 참석자 시스템의 송수신 가능 여부를 점검하고 나서, 메시지 송수신 프로세스(27)는 영상회의 설정시 각 참석자에게 회의 설정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영상회의의 참석자로 설정된 사용자들의 회의 참석 여부 의사를 나타내는 회의 참석 수락을 위하여는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20)가 메시지 송수신 프로세스(27)와 네트워크 제어 프로세스(24)를 이용한다.
네트워크 제어 프로세스(24)는 설정된 사용자들의 회의 참석 여부 혹은 영상회의 시스템의 상태 즉, 시스템이 꺼져 있거나 다른 회의에 참가 중이거나 연결 불가능 상태를 논리시계 프로세스(28)의 신호에 따라 점검 및 제어하고, 메시지 송수신 프로세스(27)는 네트워크 제어 프로세스(24)에 의해 점검된 상태들을 영상회의 호출자에게 알린다.
영상회의 중에 이용하는 회의 도구의 선택을 위하여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20)는 공유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26)와 사용자 요구판별 프로세스(22)를 이용한다.
공유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26)는 특정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리를 제어하면서 선택된 회의 도구를 모든 회의 참석자가 공유하도록 하는데, 공유 데이터의 저장 및 변경 작업을 수행하고 시스템 버스를 통해 지역적으로 떨어져 있는 각각의 영상회의 시스템에 전달하며 사실상 각각의 호스트마다 클라이언트 방식으로 존재하여 이들 전체를 관리하는 공유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40)에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 요구판별 프로세스(22)는 회의 중에 회의 참석자가 선택하여 이용하는 회의 도구를 판별한다.
회의 설정자 자신이 텍스트 형태로 사용되는 회의 도구를 입력한다. 회의 진행 중에 특정 회의 참석자의 영상을 선택하여 대화하기 위하여는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20)가 사용자 요구판별 프로세스(22)와 시스템 상태제어 프로세스(25)를 이용한다. 회의 설정자는 현재 회의 진행 중에 새로운 참가자의 호출을 위하여 사용자 요구판별 프로세스(22)에 의사를 전달한다.
사용자 요구판별 프로세스(22)는 회의 설정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정보관리 프로세스(23)를 통해 해당 참석자의 정보를 추출하여 시스템 상태제어 프로세스(25)와 메시지 송수신 프로세스(27)와 조절 프로세스(50)에 명령을 전달한다.
회의 종료를 위하여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20)는 메시지 송수신 프로세스(27)와 시스템 상태제어 프로세스(25)를 이용한다.
메시지 송수신 프로세스(27)는 네트워크 제어 프로세스(24)와 시스템 상태제어 프로세스(25)를 통하여 회의 종료 메시지를 각 참석자에게 전달하여 회의를 종료한다.
영상회의 시에 설정한 회의 도구에 따라 회의 참석자의 영상 출력 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20)는 사용자 요구판별 프로세스(22)와 시스템 상태제어 프로세스(25)를 이용한다.
사용자 요구판별 프로세스(22)는 특정 회의 도구 설정을 시스템 상태제어 프로세스(25)에 전달하며 시스템 상태제어 프로세스(25)는 회의 도구를 화면에 출력하고 현재의 영상회의 시스템의 상태, 즉 회의 가능 여부와 현재 회의 상태와 영상 윈도우 배열 상태 등을 파악하고 조절 프로세스(50)의 요구에 따라 상태의 변환, 상태정보의 생성, 입력 및 출력 등을 제어하여 이를 기준으로 영상회의 참석자의 영상 위치를 변경한다.
입출력 제어 프로세스(10)는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 및 출력하는 장치이며, 이를 통하여 각 사용자의 영상을 카메라로 잡아 컴퓨터 화면에 나타낼 수 있고, 각 사용자의 음향 신호를 마이크로 잡아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2도는 컴퓨터 영상회의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의 초기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2도를 참조하여, 컴퓨터 영상회의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의 초기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101에서는 영상회의를 할 때에 회의 도구를 사용할 것인지 판단한다.
상기 S101에서 회의 도구를 사용할 것이라고 판단되면, S102에서는 회의 도구를 사용한다는 사실이 시스템 상태제어 프로세스(25)에 통보된다.
상기 S102 수행 후 또는 상기 S101에서 회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팡단되면, S103에서는 회의 참석을 요청하기 위하여 필요한 회의 기능자에 대한 정보 파일이 상기 사용자 정보관리 프로세스(23)에 저장된다.
S104에서는 그림을 보면서 원하는 작업을 사용자가 쉽게 선택하도록 하기 위하여 영상회의 비트맵(이미화일) 파일이 사용자 접속 프로세스(21)에 저장된다.
S105에서는 영상회의 참석자간에 서로 공유하게 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공유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26)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가 공유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26)에 전달되어 공유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26)가 활성화된다.
S106에서는 현재 수행되는 영상회의 상태가 회의 소집을 위한 송신자 모드인지 아니면 단순히 외부 시스템의 호출로 인한 영상회의 수신자 모드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S106에서 송신자 모드라고 판단되면 S107에서는 입출력 제어 프로세스(10)가 송신자 모드로 활성화된다.
상기 S106에서 수신자 모드라고 판단되면 S108에서는 입출력 제어 프로세스(10)가 수신자 모드로 활성화된다.
상기 S107 또는 상기 S108 수행 후, S109에서는 사용자 요구판별 프로세스가 활성화된다. S110에서는 현재 수행 중인 영상회의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 상태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S110에서 요구상태라고 판단되면, S111에서는 시스템 상태제어 프로세스(25)가 활성화되고 상기 S110으로 진행된다.
상기 S110에서 요구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종료한다.
제3도는 컴퓨터 영상회의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의 영상회의 처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3도를 참조하여, 컴퓨터 영상회의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의 영상회의 처리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201에서는 시스템 상태제어 프로세스(25)의 구동상태가 인출된다. S202에서는 구동상태가 회의 호출을 처리하는 수신자 모드인지 회의 소집에 해당하는 송신자 모드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S202에서 상기 구동상태가 송신자 모드라고 판단되면, S203에서는 사용자 요구판별 프로세스(22)가 회의 호출자에 의해 소집된 영상회의 참석자에 관한 정보를 인출한다.
S204에서는 일정 시간마다 네트워크 상태를 점검하여 영상회의시 안정된 네트워크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논리시계 프로세스(28)의 동작이 시작된다.
S205에서는 회의 참석자간의 공유 데이터의 일관성 유지 또는 필요한 정보의 공유 혹은 작업요청을 위한 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하여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20)가 공유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40)와의 연결작업 요청신호를 메시지 송수신 제어 프로세스(27)에 보냄으로써 공유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40)와 접속한다.
S206에서는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20)가 공유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40)와 연결되었는지 판단한다.
상기 S206에서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20)가 공유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40)와 연결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S205로 진행한다.
상기 S206에서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20)가 공유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40)와 연결되었다고 판단되면, S207에서는 상기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가 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하여 송신 스레드 혹은 수신 스레드를 생성한다.
상기 송신 스레드는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20)가 메시지 송수신 제어 프로세스(30)와 연결되어 실제 정보를 보내는 데에 사용되며, 상기 수신 스레드는 송신 스레드와 마찬가지로 메시지 송수신 제어 프로세스(30)와 연결되어 공유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40) 또는 다른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받는 데에 사용된다.
S208에서는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 판단한다.
상기 S206에서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없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S207로 진행한다.
상기 S208에서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S209에서는 다른 참석자들의 영상 정보와 오디오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의 메시지 송수신을 위하여 영상회의시 필요한 공유 데이터를 공유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40)로 송신한다.
S210에서는 송신자 모드인지 수신자 모드인지 판단한다.
상기 S210에서 송신자 모드라고 판단되면, S211에서는 상기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20)가 영상회의 참석자에게 회의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S211 수행 후, S212에서는 송신자가 각각의 회의 참자자로부터 회의 참가 수락 여부를 수신한다.
상기 S210에서 상기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20)가 수신자 모드라고 판단되면, S213에서는 상기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가 회의요청 메시지의 응답 결과를 송신한다.
S214에서는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송수신 상태가 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는다.
S215에서는 상기 S214에서 입력받은 메시지가 어떤 메시지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S215에서 상기 메시지가 회의종료 메시지라고 판단되면, S216에서는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20)가 회의를 마치겠다는 메시지를 각 참석자에게 송신한다.
S217에서는 각 참석자의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20)가 상기 S216에서 사용자에 의해 송신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회의종료를 수락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S218에서는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20)가 상기 S217에서 각 참석자의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20)에 의해 송신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회의를 종료한다.
상기 S215에서 상기 메시지가 특정 참석자를 선택하는 메시지라고 판단되면, S219에서는 현재 출력 중인 참석자의 영상을 중지시킨다.
S220에서는 참석자의 영상을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S214로 진행한다.
상기 S215에서 상기 메시지가 추가 참석자를 호출하는 메시지라고 판단되면, S221에서는 상기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20)가 송신자 모드로 정의되었는지 판단한다.
상기 S221에서 상기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가 수신자 모드로 정의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S214로 진행한다.
상기 S221에서 상기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20)가 송신자 모드로 정의되었다고 판단되면, S222에서는 사용자 요구판별 프로세스(22)가 추가 참석자의 정보를 인출한다.
S223에서는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223)가 영상회의 참석자에게 회의 메시지를 송신한다.
S213에서는 모든 회의 참석자의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20)가 상기 S223에서 송신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공유 데이터를 회의 참석자 모두가 공유하게 하고 상기 S214로 진행한다.
상기 S215에서 상기 메시지가 회의종료 메시지도 아니고 특정 참석자를 선택하는 메시지도 아니고 추가 참석자를 호출하는 메시지도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S214로 진행한다(도면에서는 생략).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해 발생되는 효과는 사용자들이 자유로이 회의에 참가할 수 있고, 회의를 종료할 수 있고, 현재 회의 중에 참석하지 않은 다른 회의자를 호출하는 행위를 가능하게 하는 데에 있다.

Claims (18)

  1. 영상회의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멀티프로그래밍 방식의 OS상에서 메시지 송수신 제어 프로세스와 공유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와 입출력 제어 프로세스와 조절 프로세스 등과 협력하여 영상 데이터 처리장치를 구동하고 다른 사용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를 상기 입출력 제어 프로세스를 통하여 입력받아 다른 특정 프로세스에 전달하기도 하며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상기 입출력 제어 프로세스를 통하여 출력하기도 하는 사용자 접속 프로세스와; 상기 사용자 접속 프로세스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사용자의 요구를 판별하여 영상회의에 필요한 실제 작업을 각 프로세스에 전달하는 사용자 요구판별 프로세스와; 상기 영상회의 시스템의 상태를 파악하기도 하고 특정 조절 프로세스의 요구에 따라 상태를 변경하기도 하고 상태정보의 생성과 입력 및 출력 등 상기 영상회의 시스템의 상태를 처리하는 시스템 상태제어 프로세스와; 영상회의를 설정하기도 하고 회의 진행시 생성되는 메시지들 또는 시스템의 상태를 특정 장소의 사용자에게 전달하기도 하는 메시지 송수신 프로세스와; 현 시스템의 네트워크 상태를 검사하거나 시스템 버스를 통하여 연결된 다른 시스템과의 네트워크 상태를 검사하여 그 결과를 각각의 해당 조절 프로세스에 전달하는 네트워크 제어 프로세스와; 상기 네트워크 제어 프로세스에게 특정 시간 간격으로 신호를 주어 상기 네트워크 제어 프로세스가 자동적으로 네트워크의 상태를 검사하게 하는 논리시계 프로세스와;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텍스트 형태의 사용자의 정보를 생성하기도 하고 제거하기도 하고 첨가하기도 하고 삭제하기도 하며, 상기 제어 프로세스들 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정보의 요청이 있을 때마다 요청된 정보를 상기 제어 프로세스에 출력하는 사용자 정보관리 프로세스; 및 상기 영상회의 시스템에서 내부적으로 또는 외부적으로 사용되는 공유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삭제하거나 변경하거나 출력하며, 특정 데이터에 대한 접근 권리를 제어하면서 선택된 회의 도구를 모든 회의 참석자가 공유하도록 하는 공유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접속 프로세스가 상기 사용자들의 접속 방법을 상기 입출력 제어 프로세스를 통하여 화면에 그림으로 나타내어 상기 사용자들이 쉽게 영상회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접속 프로세스가 상기 사용자의 마우스의 상태정보와 위치정보를 상기 입출력 제어 프로세스를 통하여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 요구판별 프로세스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가 각각의 호스트마다 클라이언트 방식으로 존재하며, 서버로서 각 사용자의 공유 데이터 및 각 시스템의 정보를 관리하는 상기 공유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
  5. 영상회의 시스템의 동작 개시 명령이 내련진 후에 시스템 상태제어 프로세스와 사용자 정보관리 프로세스와 사용자 요구판별 프로세스와 공유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를 구비하고 조절 프로세스와 입출력 제어 프로세스와 메시지 송수신 제어 프로세스와 연결된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가 영상회의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초기화 방법에 있어서, 회의 도구 설정과 영상회의 관련 파일에 관한 초기화가 수행되는 제1과정; 및 상기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의 활성화가 수행되는 제2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이, 영상회의를 할 때에 회의 도구를 사용할 것인지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회의 도구를 사용할 것이라고 판단되면, 회의 도구를 사용한다는 사실이 상기 시스템 상태제어 프로세스에 통보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수행 후 또는 상기 제1단계에서 회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되면, 회의 참석을 요청하기 위하여 필요한 회의 가능자에 대한 정보 파일이 상기 사용자 정보관리 프로세스에 저장되는 제3단계; 및 그림을 보면서 원하는 작업을 사용자가 쉽게 선택하도록 하기 위하여 영상회의 파일이 상기 조절 프로세스에 저장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이, 영상회의 참석자간에 서로 공유하게 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공유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가 활성화되는 제1단계와; 현재 수행되는 영상회의 상태가 회의 소집을 위한 송신자 모드인지 아니면 단순히 외부 시스템의 호출로 인한 영상회의의 수신자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송신자 모드라고 판단되면 상기 입출력 제어 프로세스가 송신자 모드로 활성화되는 제3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수신자 모드라고 판단되면 상기 입출력 제어 프로세스가 수신자 모드로 활성화되는 제4단계와; 상기 제3단계 또는 상기 제4단계 수행 후, 상기 사용자 요구판별 프로세스가 활성화되는 제5단계와; 현재 수행 중인 영상회의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제6단계와; 상기 제6단계에서 요구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시스템 상태제어 프로세스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6단계로 진행하는 제7단계; 및 상기 제6단계에서 요구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종료하는 제8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공유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가 상기 공유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에 전달되어 상기 공유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가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화 방법.
  9. 영상회의 시스템 호출에 의하여 구동 명령이 내려진 후에 시스템 상태제어 프로세스와 사용자 정보관리 프로세스와 사용자 요구판별 프로세스와 공유 데이터 처리 프로세스와 논리시계 프로세스를 구비하고 조절 프로세스와 입출력 제어 프로세스와 공유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와 연결된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의 영상회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상태제어 프로세스의 구동상태와 영상회의 참석자의 정보가 인출되는 제1과정과; 상기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가 상기 공유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에 공유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과정과; 상기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가 회의 참가 여부를 송수신하는 제3과정; 및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가 어떤 메시지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해당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제4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회의 처리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이, 상기 시스템 상태제어 프로세스의 구동상태가 인출되는 제1단계와; 구동상태가 회의호출을 처리하는 수신자 모드인지 회의소집을 처리하는 송신자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단계에서 구동상태가 송신자 모드라고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요구판별 프로세스가 회의 호출자에 의해 소집된 영상회의 참석자에 관한 정보를 인출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회의 처리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이, 일정 시간마다 네트워크 상태를 점검하여 영상회의시 안정된 네트워크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논리시계 프로세스의 동작이 시작되는 제1단계와; 상기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가 회의 참석자간의 공유 데이터의 일관성 유지 또는 필요한 정보의 공유 혹은 작업요청을 위한 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하여 상기 공유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와 접속하는 제2단계와; 상기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가 상기 공유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와 연결되었는지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가 상기 영상회의 서버와 연결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2단계로 진행하는 제4단계와; 상기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가 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하여 송신 스레드 혹은 수신 스레드를 생성하는 제5단계와;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 판단하는 제6단계와; 상기 제6단계에서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없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5단계로 진행하는 제7단계와; 상기 제6단계에서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다른 참석자들의 영상 정보와 오디오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의 송수신을 위하여 영상회의시 필요한 공유 데이터를 상기 공유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로 송신하는 제8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회의 처리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가 상기 공유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와의 연결작업 요청신호를 상기 메시지 송수신 제어 프로세스에 보냄으로써 상기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가 상기 공유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회의 처리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상기 송신 스레드는 상기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가 메시지 송수신 제어 프로세스와 연결되어 실제 정보를 보내는 데에 사용되며, 상기 수신 스레드는 상기 공유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 또는 다른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받는 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회의 처리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이, 송신자 모드인지 수신자 모드인지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송신자 모드라고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가 영상회의 참석자에게 회의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수행 후, 송신자가 각각의 회의 참가자로부터 회의 참가 수락 여부를 수신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가 수신자 모드라고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가 회의요청 메시지의 응답 결과를 송신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회의 처리방법.
  15. 제9항 및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송수신 상태가 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메시지가 어떤 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메시지가 회의종료 메시지라고 판단되면 상기 메시지를 송신하고 회의를 종료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메시지가 특정 참석자를 선택하는 메시지라고 판단되면, 그 선택된 참석자를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제1단계로 진행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메시지가 추가 참석자를 호출하는 메시지라고 판단되면, 호출된 추가 참석자를 회의 시작시 참가된 참석자와 똑같은 방법으로 회의에 참여하게 하고 상기 제3과정의 제4단계로 진행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메시지가 회의종료 메시지도 아니고 특정 참석자를 선택하는 메시지도 아니고 추가 참석자를 호출하는 메시지도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1단계로 진행하는 제6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회의 처리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가, 각 참석자의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가 현재 회의종료 의사를 가진 참석자의 공유 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하여 자신이 사용자가 회의를 마치겠다는 메시지를 각 참석자에게 송신하는 제1스텝과; 각 참석자의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가 상기 제1스텝에서 사용자에 의해 송신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회의종료를 수락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제2스텝; 및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가 상기 제2스텝에서 각 참석자의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회의를 종료하는 제3스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회의 처리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가, 현재 출력 중인 참석자의 영상을 중지시키는 제1스텝; 및 영상에 없던 또는 한쪽에 작은 영상으로 치워져 있는 선택된 참석자의 영상을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제1단계로 진행하는 제2스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회의 처리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가, 상기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가 송신자 모드로 정의되었는지 판단하는 제1스텝과; 상기 제1스텝에서 상기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가 수신자 모드로 정의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단계로 진행하는 제2스텝과; 상기 제1스텝에서 상기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가 송신자 모드로 정의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 요구판별 프로세스가 추가 참석자의 정보를 인출하는 제3스텝과; 상기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가 영상회의 참석자에게 회의 메시지를 송신하는 제4스텝; 및 모든 회의 참석자의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가 상기 제4스텝에서 송신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공유 데이터를 회의 참석자 모두가 공유하게 하고 상기 제3과정의 제4단계로 진행하는 제5스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회의 처리방법.
KR1019950038773A 1995-10-31 1995-10-31 컴퓨터 영상회의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 및 그 방법 KR0155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8773A KR0155316B1 (ko) 1995-10-31 1995-10-31 컴퓨터 영상회의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8773A KR0155316B1 (ko) 1995-10-31 1995-10-31 컴퓨터 영상회의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808A KR970022808A (ko) 1997-05-30
KR0155316B1 true KR0155316B1 (ko) 1998-11-16

Family

ID=19432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8773A KR0155316B1 (ko) 1995-10-31 1995-10-31 컴퓨터 영상회의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53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945B1 (ko) * 1998-12-31 2005-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회의 시스템의 사용자 정보 검색방법
KR100764312B1 (ko) * 2000-05-19 2007-10-0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네트워크 회의 시스템, 참석 인증 방법 및 프리젠테이션 방법
KR100780129B1 (ko) * 2000-05-19 2007-11-2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네트워크 회의 시스템, 장비 관리 방법 및 데이터 프리젠테이션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945B1 (ko) * 1998-12-31 2005-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회의 시스템의 사용자 정보 검색방법
KR100764312B1 (ko) * 2000-05-19 2007-10-0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네트워크 회의 시스템, 참석 인증 방법 및 프리젠테이션 방법
KR100780129B1 (ko) * 2000-05-19 2007-11-2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네트워크 회의 시스템, 장비 관리 방법 및 데이터 프리젠테이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808A (ko) 199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44283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вводом участников в систему конференц-связи
US74802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parallel conversation thread during a remote collaboration
US11558437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5909543A (en) Communication conference system and communication conference apparatus
JP2544581B2 (ja) 会議システム制御方法、会議装置及び会議システム
EP1738585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cluding participants in a conference call
CN1810029B (zh) 设立会晤和会议的方法
US200400082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able conference content via back-channel video interface
US20040008635A1 (en) Multi-participant conference system with controllable content delivery using a client monitor back-channel
US20070288560A1 (en) Chat tool for concurrently chatting over more than one interrelated chat channels
WO2016139289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004072741A (ja) バックチャンネルビデオインタフェースによりコンテンツ及び引き渡しの制御が可能な多数参加者会議システム
CN112235121A (zh) 一种线上会议实现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140025740A1 (en) Collaboration activity initiation
CN112470430B (zh) 到包括数字协作工具的位置的用户中心式连接
JP3638146B2 (ja) テレビ会議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端末、接続制御方法並びに接続制御プログラム
KR20140098573A (ko) 영상 회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11054039A (ja) 通信会議システム、会議中継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50116095A (ko) 분산형 텔레프레즌스 플랫폼에서 영상 회의를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0155316B1 (ko) 컴퓨터 영상회의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접속제어 하이퍼프로세스 및 그 방법
JPH04339484A (ja) 遠隔会議装置
JPH0954741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そのセッション管理方法
EP28520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videoconferencing
JPH08263398A (ja) 通信サービス方法及びシステム
KR20230015685A (ko) 화상회의 중개플랫폼과 이를 이용한 화상회의 초청 및 수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