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4709B1 - 감시용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감시용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4709B1
KR0154709B1 KR1019950026182A KR19950026182A KR0154709B1 KR 0154709 B1 KR0154709 B1 KR 0154709B1 KR 1019950026182 A KR1019950026182 A KR 1019950026182A KR 19950026182 A KR19950026182 A KR 19950026182A KR 0154709 B1 KR0154709 B1 KR 0154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lens
focal length
slide ring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6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4323A (ko
Inventor
이운호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26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4709B1/ko
Publication of KR970014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4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4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47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02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moving lens along baseboar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감시용 카메라 렌즈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감시용 카메라에 렌즈의 촛점거리를 맞추기 위해 사용자로 하여금 손쉽게 렌즈의 촛점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감시용 카메라 촛점거리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감시용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고체찰상소자가 회로기판에 고정하는 상,하측에 외주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를 이루며, 상기 체결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 상,하측에 홀을 이룬 브라켓 케이스는 중앙에 원통부를 이룬 내부에 렌즈를 조립하며, 상기 회로기판과 브라켓 케이스 사이의 상,하측에 스프링이 설치되며,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슬라이드링 외주에 푸쉬링을 끼워 상기 체결부에 슬라이드링을 조립하고, 상기 슬라이드링의 전면에 안내홈을 이루고,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링을 안내홈에 끼워 상기 고정링을 원통부 선단측에 고정하고, 상기 슬라이드링을 전,후로 회전시켜 회로기판에 고정된 고체찰상소자가 전,후로 이동되도록하여 렌즈의 촛점거리를 조정하고 나서, 상기 슬라이드링이 움직이지 않도록 세트나사로 슬라이드링의 스크류홈을 통하여 고정링과 고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의 기준면에서 결상면까지의 촛점거리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감시용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 조정장치.

Description

감시용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 조정장치
제1도는 종래 감시용 카메라 렌즈마운트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감시용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 조정장치 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렌즈 촛점을 CS마운트 렌즈 상태로 촛점 맞춘 상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렌즈 촛점을 C마운트 렌즈 상태로 촛점을 맞춘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고체찰상소자 22 : 체결부
23 : 회로기판 24 : 브라켓 케이스
25 : 홀 26 : 원통부
27 : 링홈 28 : 푸쉬링
29 : 슬라이드링 29a : 안내홈
29b : 스크류홈 30 : 고정링
31 : 스프링 32 : 가이드핀
33 : 렌즈 34 : 세트나사
35 : 볼트
본 발명은 감시용 카메라 렌즈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 렌즈의 기준면에서 결상면까지의 촛점거리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감시용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 조정장치를 개량한 것이다.
종래의 감시용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 조정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렌즈 마운트(1) 중앙 외주에 세트스크류(3)를 체결하는 스크류구멍(2)을 이루고 중앙홀(4) 내측에 나선(5)을 형성하여 상기 홀(4)의 나선(5)에 공용으로 체결되게 선단측에 나선(8)과 후단측에 걸림부(7)를 이루고 중앙에 홀(9)을 이룬 C마운트(6)와 선단측에 나선(13)과 중앙에 렌즈부 고정홀(14)이 형성된 CS마운트(11)를 각각 형성하여 C마운트(6)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렌즈마운트(1)의 중앙홀(4)에 C마운트(6)의 선단측 나선(8)을 끼워 걸림부(6)가 돌출되도록 고정되게 하고 렌즈 마운트(1)의 중앙홀(4)에 삽입되도록 CS마운트(11)의 선단측 나선(13)을 체결하여 렌즈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상기 감시용 카메라의 렌즈 취부에 있어 렌즈마운트(1)에 C마운트(6)를 결합하여 렌즈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렌즈마운트(1)의 중앙홀(4)에 형성된 내측나선(5)에 C마운트(6)의 선단측 나선(8)을 결합하여 C마운트(6)의 걸림부(7)를 회전시켜 렌즈의 촛점거리를 맞춘후 스크류구멍(2)을 통하여 세트스크류(3)로 체결홈(10)에 밀착되게 조여 렌즈마운트(1)에 C마운트(6)가 움직하지 않도록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렌즈의 촛점거리가 렌즈의 기준면에서 결상면까지 대략 17.526mm이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렌즈마운트(1)에 CS마운트(11)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렌즈마운트(1)의 중앙홀(4)에 결합된 C 마운트(6)을 빼내고 CS마운트(11)의 선단측에 형성된 나선(13)과 상기 렌즈마운트(1)의 중앙홀(4)에 끼워 회전시켜 렌즈의 촛점거리를 맞춘 후 CS마운트(11)가 움직이지 않도록 스크류구멍(2)을 통해 세트스크류(3)로 체결홈(12)에 밀착되게 조여 렌즈마운트(1)에 CS마운트(11)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CS마운트 렌즈의 촛점거리가 렌즈의 기준면에서 결상면까지 대략 12.5mm이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감시용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 조정장치는 감시용 카메라 에 있어서 렌즈 마운트에 렌즈의 기준면에서 결상면까지의 촛점거리를 맞추기 위하여 C마운트와 CS마운트의 각각 부품을 조립 분해하여야 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시용 카메라에 렌즈의 촛점거리를 맞추기 위해 부품을 분해하지 않고 사용자로 하여금 손쉽게 렌즈의 촛점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감시용 카메라 촛점거리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시용 카메라 렌즈 촛점거리를 맞춘후 슬라이드링을 고정시켜 촛점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한 감시용 카메라 촛점거리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류가 다른 감시용 카메라 렌즈를 교환시 사용자가 편리하게 교환하여 촛점을 조정할 수 있는 감시용 카메라 촛점거리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감시용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고체찰상소자가 회로기판에 고정하는 상, 하측에 외주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를 이루며, 상기 체결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 상, 하측에 홀을 이룬 브라켓 케이스는 중앙에 원통부를 이룬 내부에 렌즈를 조립하며, 상기 회로기판에 브라켓 케이스사이의 상, 하측에 스프링이 설치되며,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슬라이드링 외주에 푸쉬링을 끼워 상기 체결부에 슬라이드링을 조립하고, 상기 슬라이드링의 전면에 안내홈을 이루고,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링을 안내홈에 끼워 상기 고정링을 원통부 선단측에 고정하고, 상기 슬라이드링을 전, 후로 회전시켜 회로기판에 고정된 고체찰상소자가 전, 후로 이동되도록 하여 렌즈의 촛점거리를 조정하고 나서, 상기 슬라이드링이 움직이지 않도록 세트나사로 슬라이드링의 스크류홈을 통하여 고정링과 고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되어 질 것이다.
우선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감시용 카메라에 있어서 고체찰상소자(21)가 회로기판(23)에 고정되게 위치한 상, 하측에 대향되게 외주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22)를 이루며, 상기 체결부(22)가 관통될 수 있도록 브라켓 케이스(24)는 상, 하측에 홀(25)과 전면에 링홈(27)이루고, 중앙에는 원통부(26)를 이룬 내부에 렌즈(33)를 조립하며, 상기 회로기판(23)과 브라켓 케이스(24)사이의 상, 하측에 스프링(31)이 가이드핀(32)에 설치되며, 전면에 링형상인 안내홈(29a)과 표면에는 이격되게 스크류홈(29b)과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슬라이드링(29)후방 외주에 푸쉬링(28)이 위치하며, 상기 체결부(22)에 슬라이드링(29)을 조립하고, 상기 슬라이드링(29)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링(30) 후방을 안내홈(29a)에 끼우고, 상기 고정링(30)을 원통부(26) 선단과 볼트(35)로 고정하고, 상기 슬라이드링(29)을 좌, 우로 회전시켜 회로기판(23)에 고정된 고체찰상소자(21)가 전, 후로 이동되도록 하여 렌즈(33)의 촛점거리를 조정하고, 상기 슬라이드링(29)의 스크류홈(29b)에 세트나사(34)를 조립하여 고정링(30)과 슬라이드링(29)이 움직이지 않도록 조립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푸쉬링(28)은 프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링(29)과 브라켓 케이스(24)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감시용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 조정장치는 제3도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렌즈부에 CS마운트 렌즈를 끼운후 브라켓 케이스(24)의 전면에 프라스틱으로된 푸쉬링(28)이 위치하여 브라켓 케이스(24)와 슬라이드링(29)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게 된 슬라이드링(29)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슬라이드링(29)은 전면의 안내홈(29a)에 끼워진 고정링(30)에 안내되며 회전되어 내부의 나사산에 결합된 체결부(22)가 나사산을 따라 조여지면서 전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회로기판(23)에 고정된 고체찰상소자(21)도 체결부(22)와 같이 전면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이때 브라켓 케이스(24)와 회로기판(23)사이의 가이드핀(32)에 의해 체결부(22)가 고정된 회로기판(23)은 전면으로 슬라이드 되어 스프링(31)은 압축되며, 브라켓 케이스(24)의 원통부(26)내에 조립된 렌즈(33)와 고체찰상소자(21)사이가 가까와 지게 되므로 렌즈의 기준면에서 결상면까지 대략 12.5mm에 오게되면 CS렌즈의 촛점거리가 맞는 제4도와 같은 위치가 되므로 모니터를 보고 화면을 깨끗하게 촛점을 맞춘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슬라이드링(29)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원통부(26)선단과 볼트(35)로 고정된 고정링(30)에 상기 슬라이드링(29)이 움직이지 않도록 스크류홈(296)을 통하여 세트나사(34)로 슬라이드링(29)을 고정링(30)에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C렌즈의 촛점거리를 조정하고자 할 때에는 제4도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렌즈부에 C마운트 렌즈를 끼운후 슬라이드링(29)의 세트나사(34)를 풀고 슬라이드링(29)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슬라이드링(29)은 전면의 안내홈(29a)에 끼워진 고정링(30)에 안내되며 회전되어 내부의 나사산에 결합된 체결부(22)가 나사산을 따라 풀리면서 후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회로기판(23)에 고정된 고체찰상소자(21)도 후면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이때 브라켓 케이스(24)와 회로기판(23)사이의 가이드핀(32)에 설치된 스프링(31)은 복원력에 의해 늘어나게 되며, 회로기판(23)을 후방으로 밀게되어 가이드핀(32)에 슬라이드되며 가이드 되므로 상기 브라켓 케이스(24)의 원통부(26)내에 조립된 C렌즈와 고체찰상소자(21)사이가 멀어지게 되므로 렌즈의 기준면에서 결상면까지 대략 17.526mm에 오게 되면 C렌즈의 촛점거리가 맞는 제3도와 같은 위치가 되므로 렌즈의 촛점거리를 항상 조정할 수 있으므로 모니터를 보고 화면을 깨끗하게 촛점을 맞추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슬라이드링(29)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원통부(26)선단과 볼트(35)로 고정된 고정링(30)에 상기 슬라이드링(29)이 움직이지 않도록 스크류홈(296)을 통하여 세트나사(34)로 슬라이드링(29)을 고정링(30)에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감시용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 조정장치는 감시용 카메라에 렌즈의 촛점거리를 맞추기 위해 부품을 분해하지 않고 사용자로 하여금 슬라이드링을 좌, 우로 회전시켜 손쉽고 편리하게 렌즈의 촛점거리를 조정할 수 있으며, 렌즈를 교환시 사용자가 편리하게 교환하여 렌즈 촛점거리를 맞춘후 슬라이드링을 고정시켜 촛점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감시용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 조정장치에 있어서, 고체찰상소자(21)가 회로기판(23)에 고정되게 위치한 상, 하측에 체결부(22)를 이루며, 상기 체결부(22)가 관통될 수 있도록 브라켓 케이스(24)는 상, 하측에 홀(25)과 전면에 링홈(27)이루고, 중앙에는 원통부(26)를 이룬 내부에 렌즈(33)를 조립하며, 상기 회로기판(23)과 브라켓 케이스(24)사이의 상, 하측에 스프링(31)이 가이드핀(32)에 설치되며, 전면에 안내홈(29a)과 표면에는 이격되게 스크류홈(29b)이 형성된 슬라이드링(29)과, 상기 체결부(22)에 슬라이드링(29)을 조립하고, 상기 슬라이드링(29)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링(30) 후방을 안내홈(29a)에 끼우고, 상기 고정링(30)을 원통부(26)선단과 볼트(35)로 고정하고, 상기 슬라이드링(29)을 좌, 우로 회전시켜 회로기판(23)에 고정된 고체찰상소자(21)가 전, 후로 이동되도록 하여 렌즈(33)의 촛점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조립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링(29)은 이동하지 않도록 스크류홈(29b)에 세트나사(34)를 조립하여 슬라이드링(29)이 고정링(30)측단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조립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 조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링(29)은 전면의 안내홈(29a)끼워진 고정링(30) 안내되며 회전되도록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감시용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 조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측 체결부(22)는 서로 대향되게 형성하여 중앙 양측이 절결된 공간부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감시용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 조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22)는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슬라이드링(29)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감시용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 조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32)은 회로기판(23)을 통해 브라켓 케이스(24)에 고정하여 고체찰상소자(21)가 고정된 회로기판(23)이 가이드핀(32)에 가이드 되며 전, 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감시용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 조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케이스(24)와 슬라이드링(29)사이에는 프라스틱으로 형성하여 푸쉬링(28)이 위치하도록 더 구비하여 상기 슬라이드링(29)과 브라켓 케이스(24)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감시용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 조정장치.
  8. 감시용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 조정장치에 있어서, 고체찰상소자(21)가 회로기판(23)에 고정되게 위치한 상, 하측에 대향되게 외주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22)를 이루며, 상기 체결부(22)가 관통될 수 있도록 브라켓 케이스(24)는 상, 하측에 홀(25)과 전면에 링홈(27)이루고, 중앙에는 원통부(26)를 이룬 내부에 렌즈(33)를 조립하며, 상기 회로기판(23)과 브라켓 케이스(24)사이의 상, 하측에 스프링(31)이 가이드핀(32)에 설치되며, 전면에 링형상인 안내홈(29a)과 표면에는 이격되게 스크류홈(29b)과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슬라이드링(29) 후방 외주에 푸쉬링(28)이 위치하며, 상기 체결부(22)에 슬라이드링(29)을 조립하고, 상기 슬라이드링(29)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링(30) 후방을 안내홈(29a)에 끼우고, 상기 고정링(30)을 원통부(26) 선단과 볼트(35)로 고정하고, 상기 슬라이드링(29)을 좌, 우로 회전시켜 회로기판(23)에 고정된 고체찰상소자(21)가 전, 후로 이동되도록 하여 렌즈(33)의 촛점거리를 조정하고, 상기 슬라이드링(29)의 스크류홈(29b)에 세트나사(34)를 조립하여 고정링(30)과 슬라이드링(29)이 움직이지 않도록 조립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 조정장치.
KR1019950026182A 1995-08-23 1995-08-23 감시용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 조정장치 KR0154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6182A KR0154709B1 (ko) 1995-08-23 1995-08-23 감시용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6182A KR0154709B1 (ko) 1995-08-23 1995-08-23 감시용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323A KR970014323A (ko) 1997-03-29
KR0154709B1 true KR0154709B1 (ko) 1998-12-01

Family

ID=19424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6182A KR0154709B1 (ko) 1995-08-23 1995-08-23 감시용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47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177B1 (ko) * 2006-05-18 2008-01-16 삼성전기주식회사 포커싱 조정 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177B1 (ko) * 2006-05-18 2008-01-16 삼성전기주식회사 포커싱 조정 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323A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7663B2 (en) Video surveillance camera
KR100286863B1 (ko) 비디오 카메라
US6791770B2 (en) Lens barrel
KR0154709B1 (ko) 감시용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 조정장치
US4668047A (en) Lens holding system
JP6983212B2 (ja) ドームカメラ
KR0117620Y1 (ko) 감시용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 조정장치
KR200197614Y1 (ko) 전자결합소자 및 유선케이블티브이 카메라용 렌즈의 체결구조
KR0159668B1 (ko) 감시용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 조정장치
JP3693832B2 (ja) バックフォーカス調整機構
KR0117619Y1 (ko) 감시용 카메라의 렌즈 마운트장치
KR20120095241A (ko) 카메라 장치
JP2645820B2 (ja) ビデオカメラのフランジバツク調整機構
KR0159667B1 (ko) 뷰파인더의 디옵터 조정장치
KR200175059Y1 (ko) 감시용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 조정장치
KR0180676B1 (ko) 후랜지 백 포컬 랭스 조정장치
KR100345926B1 (ko) 화상 카메라의 렌즈 어셈블리 장착 구조
JPH0843705A (ja) 撮影レンズ鏡胴装置
KR0129030Y1 (ko) 카메라의 뷰파인더 고정장치
KR100595716B1 (ko) 고체촬상소자 카메라용 포커싱장치
KR200238242Y1 (ko) 카메라장치
KR200245076Y1 (ko) 렌즈마운트장치
KR20010036029A (ko) 씨씨티브이 카메라의 초점거리 조절장치
JPH0721005Y2 (ja) 撮像装置
KR0158770B1 (ko) 폐쇄회로텔레비젼용 카메라의 뒷초점거리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