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4300B1 - 용기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용기유지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4300B1
KR0154300B1 KR1019960006264A KR19960006264A KR0154300B1 KR 0154300 B1 KR0154300 B1 KR 0154300B1 KR 1019960006264 A KR1019960006264 A KR 1019960006264A KR 19960006264 A KR19960006264 A KR 19960006264A KR 0154300 B1 KR0154300 B1 KR 0154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olding
container
holder
holding means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6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5861A (ko
Inventor
히사시 구보가와우치
히로유끼 요시이
Original Assignee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filed Critical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Publication of KR970005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4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43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adjustable clamp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지름으로 된 용기를 간단하게 유지할 수 있는 용기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리드(6)의 선단부에 후부측 홀더(24)를 형성하는 한편, 수납케이스(5)의 전단부에 제 1, 제 2 홀더(16, 17)를 기복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제 1, 제 2 홀더(16, 17)를 비틀림스프링(14, 18)으로 기립방향으로 탄지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용기유지장치
제1도는 실시예 1에 관한 용기유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로서, 스몰 캔을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제2도의 B-B선 확대 단면도.
제5도는 제2도의 C-C선 단면도로서, 라지 캔을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상기 용기유지장치의 리드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7도는 실시예 2를 설명하는 설명도.
제8도는 실시예 3을 설명하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유지장치 5 : 수납케이스
6 : 리드(lid) 14 : 비틀림 스프링
15 : 제1홀더 17 : 제2홀더
18 : 비틀림 스프링 19 : 지지면
20 : 스몰 캔(small can) 21 : 지지면
22 : 라지 캔(large can) 28 : 오목부
30 : 원통체 30a : 내주면
30b : 바닥부 31 : 링부재
31a : 내주면 32 : 코일 스프링
본 발명은 컵, 캔(can) 등의 용기를 유지하는 용기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용기유지장치로서는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평4-10712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개패덮개로서의 리드(lid)를 개방할 때에 용기 유지부(컵홀더)를 소요의 자세로 수납부에서 인출하는 것이 있다. 이 용기유지장치에서는, 용기 유지부를 반원상의 오목절결부와 원호상의 파지(把持)암으로 일정한 지름의 링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링형상의 용기 유지부내에 컵 등을 끼워넣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여러 종류의 지름으로 된 용기가 출현하고 있어, 이들 용기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파지암을 1쌍의 암부로 구성하여 확축(擴縮) 가능하게 하고, 이 1쌍의 암부를 탄지수단을 이용하여 지름방향 내측으로 탄지시킨 것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용기유지장치는 1쌍의 암부를 벌려서 용기 유지부내에 용기를 끼워넣는 것이라는 점에서 여러 종류의 지름으로 된 용기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용기유지장치는, 용기 유지부에 용기를 끼워넣을 때,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저항하면서 1쌍의 암부를 외측으로 벌려야 하고, 한 손으로는 물론 양 손으로도 용기를 용이하게는 할 수 없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캔의 지름이 상하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캔음료에서 두드러진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여러종류의 지름으로 된 용기를 간단하게 유지할 수 있는 용기유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범위 제1항의 발명에서는 용기를 유지하는 용기유지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상측에 곡률반경(曲率半徑)이 다른 유지면을 가지는 복수의 용기유지수단이 겹쳐져서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용기유지수단은, 곡률반경이 작은 유지면을 가지는 것일수록 최대 곡률반경으로 된 유지면의 지름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복수의 용기유지수단중 적어도 최대 곡률반경보다도 작은 곡률반경으로 된 유지면을 가지는 용기유지수단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는 상기 용기유지수단을 상기 베이스에서 이간(離間)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이 장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범위 제1항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는 청구범위 제2항∼제6항에 기재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청구범위 제1항의 발명에 의하면, 최소 곡률반경의 유지면을 가지는 용기유지수단에 용기가 수납될 때에는, 이 용기유지수단이 측방에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적절한 용기삽입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최소 곡률반경의 유지면을 가지는 용기유지수단에 의해서 용기를 유지할 수 없을 때에는(용기의 반지름이 유지면의 최소 곡률반경보다도 클 때), 베이스위에 용기를 얹어놓으면, 용기가 그 하면에 위치하게 되는 용기유지수단을 자체의 무게로 눌러 쓰러뜨리게 되므로, 용기의 하면에 위치하지 않는 용기유지수단(해당 용기에 가장 가까운 용기유지수단)이 측방에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적절한 용기삽입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띠라서, 여러 종류의 지름으로 된 용기를 간단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청구범위 제2항의 발명에 의하면, 용기유지수단 자체가 그 환형상의 유지면으로 용기를 유지하게 되므로, 부품수를 극히 적게 할 수 있게 된다.
청구범위 제3항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용기유지수단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그 환형상의 각 유지면을 시각에 의하여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를 단지 상측에서 내려놓는 행위만에 의하여 용기의 하면에 위치하는 용기유지수단을 확실하게 눌러 쓰러뜨릴 수 있기 때문에, 여러 종류의 지름으로 된 용기를 신속하게 또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청구범위 제4항의 발명에 의하면, 기립벽과 복수의 용기유지수단이 협동하여 청구범위 제1항∼제3항과 같은 작용효과를 발휘하는 것 외에, 안정하고 강고한 기립벽을 이용하여 용기의 지지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청구범위 제5항의 발명에 의하면, 용기를 얹어놓을 때에 용기의 하면에 의해서 쓰러져 눕혀지는 용기유지수단이 수납케이스의 내측 바닥면과 면일치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의 하면이 놓여지는 평탄한 지지면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용기가 얹어놓여졌을 때의 용기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청구범위 제6항의 발명에 의하면, 용기유지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개폐덮개를 닫아서 복수의 용기유지수단을 접어 둘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용기유지수단을 콤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으며, 개폐덮개의 외면에 물건을 올려놓는 등 여러 용도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를 나타내는 제1도에 있어서, 1은 본 실시예에 관한 플라스틱제 용기유지장치이며, 이 용기유지장치(1)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 차내에 있어서의 콘솔(2)의 암레스트(3) 전방의 수평부(4)위에 설치된다.
상기 용기유지장치(1)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로서의 수납케이스(5)와, 이 수납케이스(5)를 개폐하는 개폐덮개로서의 리드(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납케이스(5)는 제1도∼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방형상의 바닥판(7)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바닥판(7)은 그 전단부(제2도에 있어서 하측)를 암레스트(3)측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수평부(4)위에 양면 테이프(8)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상기 바닥판(7)은 2개의 캔음료 등의 용기를 병렬로 배치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판(7)의 내측 바닥면에는 그 길이방향 중앙에서 약간 솟아오른 상태로 된 구회벽(9)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바닥판(7)의 주연부에는, 그 양 측부에 있어서의 전단부 근방에서 이 전단부로 연장되는 측벽(10)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판(7)의 전단부에는 상기 양 측벽(10)에서 연속하는 전단벽(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단벽(11)의 내면에는 로크기구(래치기구(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로크기구(12)는 전단벽(11)의 길이방향 중앙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리드(6)는 제1도∼제3도,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케이스(5)를 덮는 크기로 되어 있으며, 그 양 측부의 주연부에는 측벽(1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드(6)는 그 기단측에 있어서의 양측벽(13)을 지지부로서 이용하여 수납케이스(5)의 후단부(제2도에 있어서 상측, 제3도에 있어서 좌측)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따라서 리드(6)는 수납케이스(5)를 개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수납케이스(5)에 대하여 대략 직각이 될 때까지 세워지도록 회동한 후에는, 리드(6)의 기단부와 수납케이스(5)의 후단부가 맞닿아서 그 이상 회동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상기 리드(6)와 수납케이스(5) 사이에는 탄지수단으로서의 비틀림 스프링(14)이 장착되어 있다. 비틀림 스프링(14)은 수납케이스(5)에 대하여 리드(6)를 세우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으며, 상기 리드(6)는 상기 비틀림 스프링(14)의 탄지력에 의해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회동할 수 없을 때까지 자동적으로 세워지게 되어 있다.
상기 리드(6)의 선단부(전단부) 내면에는 그 길이방향 중앙에 걸림돌기(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15)는 상기 리드(6)를 닫을 때 상기 로크기구(12)내로 진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걸림돌기(15)가 로크기구(12)내로 진입하였을 때에는 걸림돌기(15)가 로크기구(12)에 의해서 로크되고, 이 상태에서 다시 걸림돌기(15)를 로크기구(12)내로 누르면, 로크기구(12)와 걸림돌기(15)와의 로크관계가 해재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수납케이스(5)의 바닥판(7)위에는, 이 바닥판(7)의 전단부측에 그 후 단부측에서 전단부측을 향하여 복수의 용기유지수단으로서의 관상으로 된 제1, 제2홀더(16, 17)가 순차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홀더(16)는 상기 로크기구(12)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에, 상기 로크기구(12)와 수납케이스의 측벽(10) 사이에 수납되도록 일정한 폭으로 각각 설치되며, 각 제 1 홀더(16)의 하측 양 측부가 수납케이스의 측벽(10)과 로크기구(12)의 측벽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독립하여 지지됨으로써, 제1홀더(16)의 판면이 바닥판(7)에 대하여 기복(起伏)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각 제1홀더(16)와 바닥판(7) 사이에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지수단으로서의 비틀림 스프링(18)이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각 제1홀더(16)는 상기 각 비틀림 스프링(18)의 탄지력에 의해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단부가 하단부보다도 바닥판(7)의 후단부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기립(起立))지게 되어 있다.
한편, 각 제1홀더(16)의 상부에는 용기의 둘레벽에 대응하기 위하여, 대략 원호상으로 된 유지면으로서의 지지면(1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지지면(19)은 스몰 캔(20)(예를 들면 250mml의 캔)에 대응한 곡률반경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홀더(16)의 상부 외측부분(16a)은 그 선단부가 바닥판(7)의 전단부와 후단부의 중간위치까지 이르도록 연장되며, 제1홀더(16)의 상부 내측부분(16b)보다도 길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2홀더(17)는 상기 제1홀더(16)보다도 바닥판(7)의 전단부측에 위치하여 수납케이스의 양 측벽(10) 사이에 수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홀더(17)의 하측 양 측부가 수납케이스의 양 측벽(1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제2홀더(17)의 판면이 바닥판(7)에 대하여 기복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2홀더(17)의 상부에는 용기의 둘레벽에 대응하기 위하여, 대략 원호상으로 된 유지면으로서의 지지면(21)이 병렬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 지지면(21)은 라지 캔(22)(예를 들면 350mml의 캔)에 대응한 곡률반경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2홀더(17)와 제1홀더(16)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제2홀더(17)가 쓰러져 눕혀지는 영역에 제1홀더(16)가 존재하게 되지만, 제2홀더(17)의 바닥판(7)측에서의 돌출량이 제1홀더(16)의 바닥판(7)측에서의 돌출량보다도 적으므로 제2홀더(17)의 지지면(21)은 제1홀더(16)의 지지면(19)에 대하여 외주측에서 대략 동일 중심상으로 배치되게 되어 있다.
또, 양 지지면(21, 21)이 연결되는 부분인 제2홀더(17)의 중앙부분에는 제1도∼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부(23)는 그 선단부가 바닥판(7)의 전단부와 후단부의 중간위치까지 이르도록 연장되며, 그 외측부분보다도 길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홀더(17)의 두께는 제1홀더(16)의 두께보다도 비교적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홀더(17)의 두께방향에 있어서 제2홀더(17)의 상면과 제1홀더(16)의 상면과의 간격을 넓게하여 제2홀더(17)의 지지면(21)이 시각에 의하여 입체적으로 보이도록 함으로써, 제1홀더(16)가 제2홀더(17)에 맞닿아 있다 하더라도 제2홀더(17)의 지지면(21)의 윤곽을 선명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리드(6)의 선단부 내면에는 상기 제2홀더(17)에 대응한 후 부측 홀더(24)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다만, 상기 후부측 홀더(24)의 기단부에 경사면(2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리드(6)에 대하여 후부측 홀더(24)가 소정 각도로 되었을 때에,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면(25)과 리드(6)의 내면이 맞닿음으로써, 후부측 홀더(24)가 이것 이상 회동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상기 후부측 홀더(245)의 선단부에는 용기의 후반부 둘레벽을 지지하기 위하여 대략 원호상으로 된 지지면(26)이 병렬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 지지면(26)이 연결되는 부분인 후부측 홀더(24)의 중앙부분에는 외측부분보다도 길게 연장되는 연결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27)는 상기 제2홀더(17)의 연결부(23)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리드(6)가 닫혀졌을 때에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연결부(23, 27)가 접혀져서 겹쳐지고, 리드(6)가 열려서 세워졌을 때에는 양 연결부(23, 27)가 직선상으로 퍼져서 후부측 홀터(24)가 리드(6)내면에 대하여 경사지고 제2홀더(17)가 바닥판(7)에 대하여 경사지고, 제1홀더(16)는 그 판면이 제2홀더(17)의 판면에 맞닿을 때까지 그 경사정도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2홀더(17)의 각 지지면(21)과 후부측 홀더(24)의 각 지지며(26)은 큰 삽입구멍을 구성하고, 각 제1홀더(16)의 지지면(19)과 후부측 홀더(24)의 지지면(26)은 작은 삽입구멍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바닥판(7)의 내측 바닥면에는 제1도 및 제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28)는 상기 제1홀더(16)가 쓰러져 눕혀지는 영역에 상기 제1홀더(16)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홀더(16)가 쓰러져 눕혀졌을 때에는, 이 제1홀더(16)가 오목부(28)내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오목부(28)의 깊이는 제1홀더(16)의 두께가 되며, 제1홀더(16)가 쓰러져 눕혀졌을 때에는 상기 제1홀더(16)와 바닥판(7)이 면일치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용기유지장치(1)에 있어서는, 리드(6)가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 리드(6)의 선단부를 누르면 걸림돌기(15)에 대한 로크기구(12)의 로크가 해제되므로, 비틀림 스프링(14)의 탄지력에 의해서 리드(6)가 세워진다.
이 후, 스몰 캔(20)을 유지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홀더(16)의 지지면(19)과 후부측 홀더(24)의 지지면(27)이 구성하는 삽입구멍에 스몰 캔(20)을 삽입한다. 따라서, 바닥판(7)위에 스몰 캔(20)이 외력을 받지 않고 간단하게 놓여지며, 제1홀더(16)의 지지면(19)이 스몰 캔(20)의 전반부 둘레부분을 하부측에서 상측으로 걸어서 지지하게 되고, 후부측 홀더(24)의 지지면(26)이 스몰 캔(20)의 후반부 둘레부분을 상부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지지하게 된다. 이 결과, 스몰 캔(20)은 쓰러지는 일 없이 용기유지장치(1)에 의해서 세워진 상태, 즉 기립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한편, 라지 캔(22)을 유지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홀더(17)의 지지면(21)과 후부측 홀더(24)의 지지면(26)이 구성하는 삽입구멍에 라지 캔(22)를 삽입한다. 따라서, 라지 캔(22)은 그 하면에 의해서 제1홀더(16)를 쓰러뜨려 오목부(28)내로 수납시키므로, 라지 캔(22)의 하면은 바닥판(7) 및 제1홀더(16)위에 놓여진다. 그리고, 제2홀더(17)의 지지면(21)이 라지 캔(22)의 전반부 둘레부분을 하부측에서 상측으로 걸어서 지지하게 되고, 후부측 홀더(24)의 지지면(26)이 라지 캔(22)의 후반부 둘레부분을 상부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지지하게 된다. 이 결과, 라지 캔(22)은 쓰러지는 일 없이 용기유지장치(1)에 의해서 세워진 상태, 즉 기립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스몰 캔(20)에 대해서는 후부측 홀더(24)와 제1홀더(16)가 측방에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적절한 용기삽입 놓임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라지 캔(22)에 대해서는, 라지 캔(22)을 바닥판(7)에 얹어놓으며, 이 라지 캔(22)이 그 하면에 위치하게 되는 제1홀더(16)를 그 자체의 무게로 눌러서 쓰러뜨리게 되므로, 제2홀더(17)와 후부측 홀더(24)가 측방에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적절한 용기삽입 놓임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여러 종류의 지름으로 된 용기를 간단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1, 제2홀더(16, 17)가 경사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스몰 캔(20) 또는 라지 캔(22)이 제1 또는 제2홀더(16, 17)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지지될 뿐만 아니라, 라지 캔(22)을 얹어놓을 때에도 이 라지 캔(22)을 단지 상측에서 내려놓는 동작만에 의해서 상기 라지 캔(22)의 하면이 제1홀더(16)를 확실하게 눌러서 쓰러뜨리게 되므로, 스몰 캔(20)은 물론 라지 캔(22)도 신속하게 또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또는 제2홀더(16, 17)의 대략 원호상으로 된 지지면(19, 21)과 후부측 홀더(24)의 대략 원호상으로 된 지지면(26)이 스몰 캔(20) 또는 라지 캔(22)에 대응하여 상기 용기의 둘레벽을 에워싸도록 지지하게 되므로, 스몰 캔(20) 또는 라지 캔(22)에 대하여 쓰러지는 모든 방향에 대처하게 된다. 따라서, 스몰 캔(20) 또는 라지 캔(22)을 보다 일층 확실하게 유지하게 된다.
또한, 라지 캔(22)을 얹어놓을 경우에 있어서, 라지 캔(22)의 하면에 의해서 제1홀더(16)가 눌려 쓰러질 때에는 제1홀더(16)와 수납케이스(5)의 내측 바닥면이 면일치되기 때문에, 쓰러져 눕혀진 제1홀더(16)와 수납케이스(5)의 내측 바닥면이 평탄한 지지면을 구성하게 되므로, 라지 캔(22)을 얹어놓았을 때의 라지 캔(22)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용기유지장치(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리드(6)를 닫어서 제1, 제2홀더(16, 17)를 접어 둘 수 있기 때문에, 제1, 제2홀더(16, 17)를 콤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으며, 리드(6) 외면에 물건을 올려놓는 등 여러 용도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제7도는 실시예 2를, 제8도는 실시예 3를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 2, 3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7도의 실시예 2에서는 제2홀더(17)로서 바닥부(30b)를 가지는 원통체(30)가 이용되며, 그 내주면(30a)이 환형상의 지지면(유지면)(21)이 되고, 그 곡률반경이 라지 캔(22)에 대응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원통체(30)의 바닥부(30b)가 베이스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1홀더(16)로서 상기 통상체(30)내에 설치되는 링부재(31)가 이용되며, 이 링부재(31)의 내주면(31a)이 환형상의 지지면(유지면)(19)이 되고, 그 곡률반경이 스몰 캔(20)에 대응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링부재(31)와 원통체(30)의 바닥판(30a) 사이에 탄성수단으로서의 코일스프링(32)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2에서도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라지 캔(22), 스몰 캔(20)을 선택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8도의 실시예 3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제1홀더(16), 제2홀더(17) 대신에 원환형상의 제1홀더(16), 제2홀더(17)가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3에서도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라지 캔(22), 스몰 캔(20)을 선택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기립벽을 특별히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상,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① 실시예 1에서의 수납케이스(5)와 리드(6) 대신에 베이스위에 기립벽이 존재하는 기존의 물건에 제1, 제2홀더(16, 17)를 형성하여 본 발명을 구성하는 것.
② 실시예 1에서의 후부측 홀더(24)를 형성하지 않고, 용기의 둘레벽을 깊게 에워싸는 제1, 제2홀더(16, 17)의 지지면(19, 21)과 리드(16)로 대처하는 것.
③ 제1, 제2홀더(16, 17) 외에 또다른 홀더를 추가하는 것.

Claims (6)

  1. 용기를 유지하는 용기유지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상측에 곡률반경이 다른 유지면을 가지는 복수의 용기유지수단이 겹쳐져서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용기유지수단은, 곡률반경이 작은 유지면을 가지는 것일수록 최대 곡률반경으로 된 유지면의 지름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복수의 용기유지수단중 적어도 최대 곡률반경보다도 작은 곡률반경으로 된 유지면을 가지는 용기유지수단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는, 상기 용기유지수단을 상기 베이스에서 이간(離間)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유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용기유지수단의 유지면이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유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상으로 된 복수의 용기유지수단이 상기 베이스에 기복(起伏)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유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위에 기립벽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용기유지수단의 유지면이 대략 원호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대략 원호상으로 된 복수의 용기유지수단은, 유지면을 상기 용기유지수단의 상단면으로 하며, 상기 베이스에 기복가능하게 지지되며, 또한 상기 기립벽에서 멀어짐에 따라서 순차 유지면의 곡률반경이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유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가 수납케이스의 내측 바닥면이 되며, 상기 수납케이스의 내측 바닥면에 있어서의, 상기 최대 곡률반경보다도 작은 곡률반경의 유지면을 가지는 용기유지수단이 쓰러져 눕혀지는 영역에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유지수단이 쓰러져 눕혀졌을 때에 상기 용기유지수단과 상기 수납케이스의 내측 바닥면이 면일치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유지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벽이 기복가능한 개폐덮개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용기유지수단이 상기 개폐덮개의 개폐동작 영역내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유지장치.
KR1019960006264A 1995-07-28 1996-03-09 용기유지장치 KR01543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365695A JP3537007B2 (ja) 1995-07-28 1995-07-28 容器保持装置
JP95-193656 1995-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861A KR970005861A (ko) 1997-02-19
KR0154300B1 true KR0154300B1 (ko) 1998-10-15

Family

ID=16311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6264A KR0154300B1 (ko) 1995-07-28 1996-03-09 용기유지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537007B2 (ko)
KR (1) KR0154300B1 (ko)
DE (1) DE19630056C2 (ko)
GB (1) GB23037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2311B2 (en) 2003-04-11 2005-08-23 Meridian Automotive Systems, Inc. Compact container holder
DE102007013981A1 (de) * 2007-03-23 2008-09-25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Halter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JP6646611B2 (ja) * 2017-03-31 2020-02-14 株式会社ニフコ 保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8702A (en) * 1955-03-15 1957-01-22 Alton L Franks Container holder
NL7514153A (nl) * 1974-12-09 1976-06-11 Niccoli & Naldoni Flessenhouder.
US4583707A (en) * 1984-09-18 1986-04-22 Assembled Components Company, Inc. Storage holder for a container
US4693440A (en) * 1986-07-07 1987-09-15 Albert Lalonde Refreshment cup holder
US5102085A (en) * 1991-04-12 1992-04-07 Takata, Inc. Vehicle interior accessory assembly for holding liquid containers and the like
US5139222A (en) * 1991-09-09 1992-08-18 Douglas Koorey Beverage container holding apparatus
SE9302281L (sv) * 1993-07-02 1995-01-03 Saab Automobile Hållare för vätskebehålla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37007B2 (ja) 2004-06-14
GB9615503D0 (en) 1996-09-04
JPH0939639A (ja) 1997-02-10
DE19630056A1 (de) 1997-01-30
KR970005861A (ko) 1997-02-19
GB2303781A (en) 1997-03-05
DE19630056C2 (de) 2002-04-04
GB2303781B (en) 1999-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5417A (en) Device for holding drink containers, drinking vessels or the like
US4826058A (en) Drink container holder
US5800011A (en) Expandable container holder
US6705580B1 (en) Cup holder for a motor vehicle
US5848722A (en) Spill resistant holder for mug
US5318266A (en) Drink holder
US5598999A (en) Device for holding two drink containers in central console of motor vehicle
KR970009684A (ko) 2개의 음료수 용기 홀더 장치
KR0154300B1 (ko) 용기유지장치
KR100326507B1 (ko) 차량에설치되는액체용기용홀딩장치
US6550736B2 (en) Device for holding a beverage container in a motor vehicle
US6513676B2 (en) Universal cup holder with food tray accessories
US5690308A (en) Semi-automatic swing out cup holder
CA2189684C (en) Beverage container holder with pivoting collar
KR970037074A (ko) 자동차의 컵홀더구조
KR0132492Y1 (ko) 차량용 콘솔박스의 주름식 컵홀더
KR19990011544U (ko) 사각팩 겸용 컵홀더
KR0120115Y1 (ko) 자동차의 드링크 홀더
JPH0529154Y2 (ko)
JP2572744Y2 (ja) カップホルダ
KR970006107Y1 (ko) 자동차용 음료수홀더
KR200185238Y1 (ko) 자동 고정식 컵 홀더
KR20030016091A (ko) 차량의 컵유동방지형 홀더
KR19980052435U (ko) 시트 백에 장착되는 식판
KR960000188Y1 (ko) 도어 트림내장형 컵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