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861B1 - 시간예약에 의한 링뮤트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간예약에 의한 링뮤트회로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3861B1
KR0153861B1 KR1019950007516A KR19950007516A KR0153861B1 KR 0153861 B1 KR0153861 B1 KR 0153861B1 KR 1019950007516 A KR1019950007516 A KR 1019950007516A KR 19950007516 A KR19950007516 A KR 19950007516A KR 0153861 B1 KR0153861 B1 KR 0153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time
mute
muting
mut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7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6512A (ko
Inventor
김성현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07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3861B1/ko
Publication of KR960036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6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8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17Customized ring-back t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telephonic apparatus, e.g. telephone answering machine or videotex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84Key input means, e.g. buttons or key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1. 청구범위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팩시밀리에서 시간을 예약시켜 놓은후 예약시간동안 링소리 뮤트시키는 기술이다.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조용한 분위기의 사무실이나 가정 또는 심야의 경우 링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팩시밀리에서 예약시각을 등록시켜 놓고 예약시각내에 링신호가 착신될 시 링거음을 뮤트시킨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링소리를 울리지 않는 팩시밀리장치에 적용한다.

Description

시간예약에 의한 링뮤트회로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따른 팩시밀리의 링착신음 뮤트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링착신음을 뮤트시키기 위한 예약시각을 등록하는 제어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링착신음을 뮤트시키기 위한 제어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링검출부 12 : 키입력부
14 : 중앙처리장치 16 : 링거회로
18 : 스위치 20 : 스피커
22 : 메모리
본 발명은 팩시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팩시밀리에서 시간예약에 의해 링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뮤트시키는 시간예약에 의한 링뮤트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나 팩시밀리는 링착신시에 링신호를 검출하여 링거음을 울리게 하므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전화통화 또는 화상데이타를 수신한다. 그러나 조용한 분위기의 사무실이나 가정 또는 심야의 경우 링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시간예약에 의해 예약된 시간에 링소리를 울리지 않도록 제어하는 시간예약에 의한 링뮤트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링 뮤트모드를 설정하고 링음을 뮤트시키기 위한 시각을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링뮤트를 위한 시각을 등록한 후 링착신 시 상기 등록한 링음을 뮤트시키기 위한 시각일 시 링음을 뮤트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의 링착신음 뮤트회로도로서, 전화라인으로부터 수신되는 착신음을 입력하여 링신호를 검출하는 링검출부(10)와, 링제어를 위한 예약시간을 입력하기 위한 키신호 및 링뮤트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키신호와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신호를 발생하는 키입력부(12)와, 타이머를 내장하고 있으며, 상기 링검출부(10)로부터 검출된 링신호를 입력하여 링뮤트모드로 설정되어 있을시 설정된 예약시간내에 링뮤트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중앙처리장치(14)와, 전화라인으로부터 링착신시 링거음을 발생하는 링거회로(16)과, 상기 링거회로(16)로부터 발생된 링거음을 상기 중앙처리장치(14)의 링뮤트 제어신호에 의해 링검음을 뮤트시키는 스위치(18)와, 상기 스위치(18)를 통해 출력되는 링거신호를 입력하여 부저를 발생하는 스피커(20)와, 예약된 시각에 링착신이 있을시 링거음을 뮤트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예약시각을 저장하는 메모리(22)로 구성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링착신음을 뮤트시키기 위한 예약시간을 등록하는 제어 흐름도로서, 시각설정키 입력시 링뮤트 모드 설정 요구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링뮤트 모드 설정 요구 메시지를 표시한 후 링뮤트 모드 설정키를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링뮤트 모드 설정키를 입력한 후 링뮤트 시작시간과 링뮤트 종료 시간을 입력하여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링착신음을 뮤트시키기 위한 제어 흐름도로서, 링착신 시 링뮤트 모드 설정유무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링뮤트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시 현재 시각이 상기 등록된 예약시간내에 있을시 링뮤트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링음을 뮤트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제 1-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전화라인(L1,L2)을 통해 링신호가 착신되면 링검출부(10)에서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중앙처리장치(14)로 출력한다. 이때 링거회로(16)에서는 링거음을 발생하여 스피커(20)로 링소리를 울리도록한다. 그런데 사용자가 키입력부(12)를 통해 링뮤트 모드를 설정하고 링뮤트를 위한 예약시각을 등록시켜 놓은후 링이 착신될 시 예약시각내에 있게되면 링음을 발생하지 않게된다.
상기와 같은 링뮤트을 위해 예약시각을 등록하는 동작을 제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21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4)는 키입력부(12)로부터 시각설정키신호가 입력되는가 검사하여 시각설정키가 입력되면 2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2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4)는 표시부(24)를 제어하여 링뮤트 모드 설정 요구 메시지를 표시부(24)에 표시한다. 그리고 23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4)는 링뮤트 모드 설정키인 예스(YES)키가 입력되는가 검사하여 예스키가 입력되면 2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4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4)는 사용자에 의해 키입력부(12)로부터 입력되는 링뮤트 시작시각을 입력하여 표시부(24)에 표시하고 2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5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4)는 상기 입력된 링뮤트 시작시각이 정확하게 입력되는가를 검사한다. 즉, 시각에서 시를 나타내는 숫자는 1부터 24까지 되어 있고, 분을 나타내는 숫자는 1부터 60으로 되어 있는데, 시를 나타내는 숫자가 25이상이거나 분을 나타내는 숫자가 60이상으로 입력되는가를 검사한다. 이때 시각을 나타내는 숫자가 정확하게 입력되면 26단계로 진행하여 중앙처리장치(14)는 사용자에 의해 키입력부(12)로부터 링뮤트 종료시각을 입력하여 표시부(24)에 표시하고 2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27에서 중앙처리장치(14)는 상기 입력된 링뮤트 종료시각이 정확하게 입력되는가를 검사한다.
이때 입력되는 시각이 정확하게 입력되면 2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된 링뮤트 시작시각과 링뮤트 종료시각을 메모리(22)의 해당영역에 저장한다.
이와같이 링뮤트모드를 설정하고 뮤트를 위한 예약시각을 등록시켜 놓은후 링착신시 링뮤트를 제어하는 동작을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금 31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4)는 링검출부(10)로부터 링신호가 검출되어 링착신이 되었는가 검사하여 링착신이 되었으면 3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2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4)는 링뮤트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가 검사하여 링뮤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33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링뮤트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34단계로 진행하여 중앙처리장치(14)는 내부타이머로부터 현재 시각을 읽어들이고 35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35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4)는 현재시각이 링뮤트를 위해 등록된 시작시각과 종료시각내에 있는가 검사하여 현재시각이 시작시간과 종료시간내에 있지 않으면 3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33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4)는 정상적으로 링거음을 발생할 수 있도록 스위치(18)을 온시켜 링거회로(16)로부터 발생된 링거음을 스피커(20)을 통해 출력한다. 그러나 상기 35단계에서 현재시각이 시작시각과 종료시각내에 있으면 링뮤트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치(18)로 인가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18)가 오프되어 링거음이 뮤트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팩시밀리에서 예약시각을 등록시켜 놓고 예약시각내에 링거신호가 착신될 시 링거음을 뮤트시킴으로써, 심야시간이나 조용한 분위기를 유지하여야 할 장소에서 링소리로 인한 사용자의 불쾌감을 해소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팩시밀리의 링착신음 뮤트회로에 있어서, 전화라인으로부터 수신되는 착신음을 입력하여 링신호를 검출하는 링검출수단과, 링제어를 위한 예약시간을 입력하기 위한 키신호 및 링뮤트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키신호와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신호를 발생하는 키입력수단과, 상기 링검출수단으로부터 검출된 링검출신호를 입력하여 링뮤트모드로 설정되어 있을시 설정된 예약시간내에 링뮤트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과, 전화라인으로부터 링착신시 링거음을 발생하는 링거음 발생수단과, 상기 링거음 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링거음을 상기 제어수단의 링뮤트 제어신호에 의해 링검음을 뮤트시키는 스위칭수단과, 예약된 시각에 링착신이 있을시 링거음을 뮤트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예약시각을 저장하는 메모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2. 팩시밀리에서 시간예약에 의한 링 뮤트방법에 있어서, 링 뮤트모드를 설정하고 링음을 뮤트시키기 위한 시각을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링뮤트를 위한 시각을 등록한 후 링착신 시 상기 등록한 링음을 뮤트시키기 위한 시각일 시 링음을 뮤트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예약에 의한 링 뮤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과정은, 시각설정키 입력시 링뮤트 모드 설정 요구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링뮤트 모드 설정 요구 메시지를 표시한 후 링뮤트모드 설정키를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링뮤트 모드 설정키를 입력한 후 링뮤트 시작시간과 링뮤트 종료시간을 입력하여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예약에 의한 링 뮤트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음 뮤트과정은 링착신 시 링뮤트모드 설정유무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링뮤트모드로 설정되어 있을시 타이머로부터 현재시각을 읽어들이는 과정과, 상기 읽어들인 현재시각이 상기 등록된 링뮤트 시작시각과 종료시간내 있을시 링음을 뮤트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예약에 의한 링 뮤트방법.
  5. 팩시밀리에서 시간예약에 의한 링 뮤트방법에 있어서, 시각설정키 입력시 링뮤트 모드 설정 요구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링뮤트 모드 설정 요구 메시지를 표시한 후 링뮤트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링뮤트 모드를 설정한 후 링뮤트 시작시간과 링뮤트 종료시간을 입력하여 저장하는 과정과, 링착신 시 링뮤트 모드 설정유무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링뮤트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시 현재 시각이 상기 등록된 예약시간내에 있을시 링뮤트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링음을 뮤트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50007516A 1995-03-31 1995-03-31 시간예약에 의한 링뮤트회로 및 방법 KR0153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7516A KR0153861B1 (ko) 1995-03-31 1995-03-31 시간예약에 의한 링뮤트회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7516A KR0153861B1 (ko) 1995-03-31 1995-03-31 시간예약에 의한 링뮤트회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512A KR960036512A (ko) 1996-10-28
KR0153861B1 true KR0153861B1 (ko) 1998-11-16

Family

ID=19411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7516A KR0153861B1 (ko) 1995-03-31 1995-03-31 시간예약에 의한 링뮤트회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38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512A (ko) 1996-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3861B1 (ko) 시간예약에 의한 링뮤트회로 및 방법
KR100222779B1 (ko) 전화기에서 전화벨 음량 조절 방법
KR19990001882A (ko) 전화기에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안내하는 방법
KR19980084987A (ko) 통신단말기에서 다수의 알람 등록방법
KR0184490B1 (ko) 일반전화기에서 호출자 식별 데이타를 이용한 벨음량 조절방법
KR19980065571A (ko) 음성인식에 의해 통화수행 가능한 전화기 및 그 운용방법
KR950005978B1 (ko) 전화기의 버튼음성 발성방법
KR100217798B1 (ko) 버튼출력전화기의 버튼정정장치
KR100214338B1 (ko) 팩시밀리 장치에서 전화/팩시밀리모드시 의사 링 발생방법
KR100255615B1 (ko) 유,무선전화기의착신음조절및자동응답기능수행방법
JPH0548702A (ja) 音声着呼機能付音声ダイヤル装置
KR970009546B1 (ko) 사설교환기의 국선선로선택을 위한 다이얼링 장치 및 그 방법
KR0154459B1 (ko) 병렬연결된 전화기의 상호 호출장치 및 그 방법
KR100480295B1 (ko) 전화단말장치의 링음 발생방법
KR100428584B1 (ko) 전화단말장치의 링음량 가변방법
KR960011703B1 (ko) 에러 톤 발생 제어 방법
KR0184497B1 (ko)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송출메세지 녹음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191342B1 (ko) 전화기의 예약시각 자동 알람방법
KR100387047B1 (ko)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벨 볼륨 개별 조절방법
KR960039802A (ko) 동시 통화 방지용 전화기
KR970064099A (ko) 전화기의 전화벨 시간예약 시스템
KR960027981A (ko) 병렬연결된 전화기의 발신예약 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21365A (ko) 수신된 다이얼링 톤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35240A (ko) 페이져에서 수신 전화번호 음성 출력 방법
JPH07107142A (ja) 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