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791B1 - 자동차의 주행가능거리 산출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주행가능거리 산출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3791B1
KR0153791B1 KR1019940008873A KR19940008873A KR0153791B1 KR 0153791 B1 KR0153791 B1 KR 0153791B1 KR 1019940008873 A KR1019940008873 A KR 1019940008873A KR 19940008873 A KR19940008873 A KR 19940008873A KR 0153791 B1 KR0153791 B1 KR 0153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amount
vehicle
time
rem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8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9753A (ko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주용
Priority to KR1019940008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3791B1/ko
Publication of KR950029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9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7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9/00Measuring volume flow relative to another variable, e.g. of liquid fuel for an engine
    • G01F9/02Measuring volume flow relative to another variable, e.g. of liquid fuel for an engine wherein the other variable is the speed of a vehicle
    • G01F9/023Measuring volume flow relative to another variable, e.g. of liquid fuel for an engine wherein the other variable is the speed of a vehicle with electric, electro-mechanic or electron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6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economical dri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40Control modes
    • B60L2260/50Control modes by future state prediction
    • B60L2260/52Control modes by future state prediction drive range estimation, e.g. of estimation of available travel 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4Data processing systems or methods, management, admin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행가능거리 산출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료탱크의 주입구에는 주입되는 연료량을 검출할 수 있는 바람개비센서를 설치하고, 연료의 소모량은 엔진의 연료분사기를 통해 배출되는 량으로 검출하여 그 결과를 표시기에 나타내 줌으로써, 운전자가 연료탱크내의 잔여연료량을 정확히 알수 있고, 또 연료 분사기를 통해 배출된 연료의 소모량과 차량속도센서를 통해 검출한 차량의 주행거리 및 속도의 변화값으로 소모된 연료량에 따른 평균연비를 계산하여 잔여연료로 최대 주행가능거리를 정확히 산출 표시해 줌으로써 안전운행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음은 물론 경제적인 자동차의 운행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주행가능거리 산출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주행가능거리 산출장치의 블럭 구성도.
제2도는 (a)-(b)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들로서,
(a)는 자동차의 시동이 걸린때 수행되는 메인 플로우챠트.
(b)는 연료탱크에 주입되는 연료량에 의한 현재의 연료량을 계산하는 플로우 챠트.
(c)는 시동이 꺼진후 소모연료를 계산하여 현재의 잔여연료량을 계산하는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람개비 센서 2 : A/D 변환기
3 : 연료소모량 검출부 4 : 차량속도 검출부
5 : RAM 6 : ROM
7 : 타이머 8 : 마이컴
9 : 표시기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탱크에 연료를 주입시킬 시 소정의 센서를 이용하여 그 연료 주입량을 산출하고, 엔진의 연료분사기 및 차량속도센서를 통해서는 소모된 연료량과 연비를 계산하여 잔여연료에 의한 최대 주행가능거리를 자동으로 산출하여 이를 소정의 표시기등을 통해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주행가능거리 산출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에서는 그 대부분이 연료탱크내에 잔존하는 연료량을 부우게로된 연료 게이지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방식, 즉 연료탱크내의 부우게 위치변화를 전압값으로 변화시켜 소정의 눈금게이지 또는 막대 그래픽형 디지털 표시기를 구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성은 연료탱크내의 잔여연료량 검출이 대략적인 값에 불과하고, 또 도로의 여건등에 따른 연료탱크의 기울기에 따라 서로 다른 잔여연료량이 표시됨은 물론 잔여연료량에 따른 주행가능거리를 정확히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탱크내에 주입되는 연료량을 주입구에 설치한 바람개비센서를 통해 검출하고, 그의 소모량은 엔진의 연료분사기를 통해 배출되는 량으로 검출하여 그 결과를 표시기에 나타내 주므로서 운전자가 연료탱크내의 잔여연료량을 정확히 알수 있는 자동차의 주행가능거리 산출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료분사기(Injector)를 통해 배출된 연료의 소모량과 차량 속도센서를 통해 검출한 차량의 주행거리 및 속도의 변화값으로 소모된 연료량에 따른 평균연비를 계산하여 잔여연료로 최대한 주행할 수 있는 거리를 정확히 산출해 낼 수 있는 자동차의 주행가능거리 산출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주행가능거리 산출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자동차의 제어시스템의 구성함에 있어서, 자동차 연료탱크의 주입구에 설치되어 연료의 주입량을 아날로그의 신호로 검출해내는 바람개비센서(1)와; 상기 바람개비센서(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의 연료 주입량을 디지털신호로 변환시켜 마이컴(8)에 인가시켜주는 A/D변환기(2)와; 연료분사기에서 배출되는 연료의 소모량을 전기적인 펄스로 검출하는 연료소모량 검출부(3)와; 소정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차량속도 검출부(4)와; 최초의 연료량, 소모된 연료량 및 잔여연료량 등과 같은 소정의 데이터들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RAM(5)과; 연비, 주행가능거리 및 잔여연료량등의 계산프로그램을 포함한 각종 데이터가 기억되는 ROM(6)과; 상기 각부에서 입력되는 소정의 데이터들을 입력받고 타이머(7)의 제어를 받아 각 데이터의 연산을 포함한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마이컴(8)과; 상기 마이컴(8)의 제어를 받아 연비, 주행가능거리 및 잔여연료량등을 문자나 숫자로 표시해 주는 표시기(9)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도의 (a)-(c)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로서, 연료탱크의 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연료량과 연료탱크내의 잔여연료량을 합하여 총연료량을 산출해 내는 초기연료량 산출루틴과; 자동차의 시동이 걸려져 연료분사기가 작동되면 그의 출력펄스를 계수하면서 시동전의 연비, 잔여연료량 및 그에 따른 주행가능거리를 표시기에 표시해준 다음 차량속도 검출부(4)를 통해 자동차가 정지상태에 있는지 출발 및 주행중인지를 검출하여 각각의 상태에 대응되는 잔여연료량 산출서브루틴 및 연비, 잔여연료량으로의 주행가능거리 산출서브루틴을 수행하는 연산루틴과; 자동차의 시동이 꺼진후, 현재까지 소모된 연료량을 읽어들여 잔여연료량을 산출해 내는 정지후 잔여연료량 산출루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산루틴중 자동차의 정지시 잔여연료량 산출루틴은 차량속도 검출부(4)에서 소정의 출력신호가 발생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부터의 시간(Yt)을 계수하면서 출발 및 주행중에 계수한 소정시간 데이터(Xt)를 클리어시키고 상기에서 계수한 정지상태의 시간이 일정시간(예를 들어 1분)이 되면 그때의 잔여 연료량을 산출하여 RAM(5)에 기억시킴과 동시에 표시기(9)를 통해 그 량을 나타내주고 정지시간(Yt)을 클리어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연산루틴중 자동차의 출발 및 주행시 연비, 잔여연료량 및 주행가능거리 산출루틴은 차량속도 검출부(4)에서 소정의 출력신호가 발생되면 그때 부터의 시간(Xt)을 계수하면서 정지중에 계수한 소정시간 데이터(Yt)를 클리어시키고 상기에서 계수한 출발 및 주행상태의 시간이 일정시간(예를 들어 1분)이 되면 그때까지 소모된 연료량 및 주행거리에 따른 평균연비와 현재까지 소비되고 남은 잔여연료량 및 그 연료량으로 최대한 주행할 수 있는 주행가능거리를 산출하여 RAM(5)에 기억시킴과 동시에 표시기(9)를 통해 상기의 데이터들을 나타내주고 출발 및 주행시간(Xt)을 클리어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차의 연료가 떨어져 연료탱크에 연료를 주입시키면 그의 주입구에 설치된 바람개비센서(1)에서 이를 검출하여 아날로그의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바람개비센서(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신호의 연료 주입량은 A/D변환기(2)를 통해 소정의 디지털신호로 변환되어 마이컴(8)에 인가되므로 상기 마이컴(8)에서는 현재 주입되고 연료의 주입량을 정확히 인식하고 이 데이터를 RAM(5)내에 기억되어 있는 잔여연료량과 합하여 전체 재고량으로서 재차 RAM(5)에 기억시킨다.
또한, 상기 연료탱크내에 주입된 연료의 소비량은 연료분사기를 통해 엔진내로 분사되는 연료의 소모량을 전기적인 펄스로 변환시켜 주는 연료소모량 검출부(3)에 의해 검출되어 마이컴(8)에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마이컴(8)은 ROM(6)에 기억된 소정의 프로그램을 지원받아 RAM(5)에 기억되어 있는 연료의 총 잔여량에서 상기 연료소모량 검출부(3)에서 출력되는 펄스값을 빼내는 공식에 의해 잔여연료량을 계속 산출하여 수시로(예를 들어 1분단위) RAM(5)에 기억시킴과 동시에 표시기를 통해 나타내 주므로서 운전자가 종래의 방식에 비해 보다 정확한 잔여연료량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마이컴(8)은 차량속도 검출부(4)에서 소정의 출력신호가 발생되는지의 여부에 의해 자동차가 정지중, 출발 준비중 또는 주행중인지를 계속 검출하여 소모되는 연료량과 주행거리에 따른 평균연비 및 잔여연료량으로서 주행할 수 있는 최대주행가능거리등을 산출해 낸다.
즉, 자동차의 시동이 걸려지면 상기 마이컴(8)은 ROM(6)과 RAM(5)의 출력데이타에 의거하여 시동전에 자동차가 주행하면서 소모한 연료량 및 거리에 따른 평균연비와 지금까지 소모되고 남은 잔여연료량 및 그 잔여연료로서 상기 평균연비 대비 주행가능 거리를 산출하여 표시기(9)에 표시해준 다음, 차량 속도 검출부(4)를 통해 자동차가 정지상태에 있는지 출발 및 주행중인지를 검출하여 각각의 상태에 대응되는 연산루틴을 수행한다.
상기에서 차량속도 검출부(4)의 출력을 검출한 결과 자동차가 정지중으로 판명되면, 자동차가 정지되기 시작한 상태에서부터의 시간(Yt)을 계속 계수함과 동시에 출발 및 주행중에 계수한 소정시간 데이터(Xt)를 클리어시킨 후, 상기 정지상태의 시간(Yt)이 일정시간(예를 들어 1분)이 되면 그때까지의 잔여연료량을 산출하여 RAM(5)에 일시 기억시킴은 물론 표시기(9)를 통해 그 잔여연료량을 나타내 줌으로써 운전자는 이 표시기(9)에 나타나는 문자 및 숫자를 통해 연료탱크내에 남아 있는 잔여연료량을 정확히 알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차량속도 검출부(4)를 통해 검출한 결과 자동차가 출발 및 주행중으로 판명되면, 그때 부터의 주행시간(Xt)을 계수하면서 정지중에 계수한 소정의 데이터(Yt)를 클리어 시킨 다음, 상기에서 계수한 출발 및 주행시간(Xt)이 일정시간(예를 들어 1분)이 되면 그때까지 주행된 거리 및 소모된 연료량에 따른 평균연비와 현재의 잔여 연료량 및 그 잔여연료량을 이용하여 최대한 주행할 수 있는 주행가능거리(즉, 상기에서의 평균연비로 잔여연료량을 나눈값)를 산출하여 RAM(5)에 기억시킴과 동시에 표시기(9)를 통해 나타내 줌으로써, 운전자가 자동차를 주행시키면서도 지금까지의 연비와 잔여연료량 및 주행가능거리를 명확히 알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자동차가 소정장소에 주차되고 엔진이 꺼지면, 상기 마이컴(8)은 지금까지 소모된 연료량을 읽어들여 잔여연료량을 산출한 후 표시기에 나타내 줌으로써 운전자는 연료통에 남아 있는 잔여연료량을 미리 습득할 수 있어 다음에 그 자동차를 운행하고 자할시 주행거리에 따른 잔여연료를 판단하여 주유할 곳을 대략 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탱크내에 주입되는 연료량을 주입구에 설치한 바람개비센서를 통해 검출하고, 그의 소모량은 엔진의 연료분사기를 통해 배출되는 량으로 검출하여 그 결과를 표시기에 나타내 줌으로써 운전자가 연료탱크내의 잔여연료량을 정확히 알 수 있고, 또 연료분사기를 통해 배출된 연료의 소모량과 차량속도센서를 통해 검출한 차량의 주행거리 및 속도의 변화값으로 소모된 연료량에 따른 평균연비를 계산하여 잔여연료로 최대 주행가능거리를 정확히 산출 표시해 줌으로써 안전운행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음은 물론 경제적인 자동차의 운행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연료탱크의 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연료량과 연료탱크내의 잔여연료량을 합하여 총연료량을 산출해 내는 초기연료량 산출루틴과; 자동차의 시동이 걸려져 연료분사기가 작동되면 그의 출력펄스를 계수하면서 시동전의 연비, 잔여연료량 및 그에 따른 주행가능거리를 표시기에 표시해준 다음 차량 속도 검출부(4)를 통해 자동차가 정지상태에 있는지 출발 및 주행중인지를 검출하여 각각의 상태에 대응되는 잔여연료량 산출서브루틴 및 연비, 잔여연료량으로의 주행가능거리 산출서브루틴을 수행하는 연산루틴과; 자동차의 시동이 꺼진후, 현재까지 소모된 연료량을 읽어들여 잔여연료량을 산출해 내는 정지후 잔여연료량 산출루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주행가능거리 산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루틴중 자동차의 정지시 잔여연료량 산출루틴은, 차량속도 검출부(4)에서 소정의 출력신호가 발생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부터의 시간(Yt)을 계수하면서 출발 및 주행중에 계수한 소정시간 데이터(Xt)를 클리어시키고 상기에서 계수한 정지상태의 시간이 일정시간(예를 들어 1분)이 되면 그때의 잔여연료량을 산출하여 RAM(5)에 기억시킴과 동시에 표시기(9)를 통해 그 량을 나타내 주고 정지시간(Yt)을 클리어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주행가능거리 산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루틴중 자동차의 출발 및 주행시 연비, 잔여연료량 및 주행가능거리 산출루틴은, 차량속도 검출부(4)에서 소정의 출력신호가 발생되면 그때 부터의 시간(Xt)을 계수하면서 정지중에 계수한 소정시간 데이터(Yt)를 클리어시키고 상기에서 계수한 출발 및 주행상태의 시간이 일정시간(예를 들어 1분)이 되면 그때까지 소모된 연료량 및 주행거리에 따른 평균연비와 현재까지 소비되고 남은 잔여연료량 및 그 연료량으로 최대한 주행할 수 있는 주행가능거리를 산출하여 RAM(5)에 기억시킴과 동시에 표시기(9)를 통해 상기의 데이터들을 나타내주고 출발 및 주행시간(Xt)을 클리어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주행가능거리 산출방법.
  4. 자동차의 제어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자동차 연료탱크의 주입구에 설치되어 연료의 주입량을 아날로그의 신호로 검출해 내는 바람개비센서(1)와; 상기 바람개비센서(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의 연료 주입량을 디지털신호로 변환시켜 마이컴(8)에 인가시켜 주는 A/D변환기(2)와; 연료 분사기에서 배출되는 연료의 소모량을 전기적인 펼스로 검출하는 연료소모량 검출부(3)와; 소정자동차의 주행속도를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차량속도 검출부(4)와; 최초의 연료량, 소모된 연료량 및 잔여연료량등과 같은 소정의 데이터들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RAM(5)과; 연비, 주행가능거리 및 잔여연료량등의 계산프로그램을 포함한 각종 데이터가 기억되는 ROM(6)과; 상기 각부에서 입력되는 소정의 데이터들을 입력받고 타이머(7)의 제어를 받아 각 데이터의 연산을 포함한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마이컴(8)과; 상기 마이컴(8)의 제어를 받아 연비, 주행가능거리 및 잔여연료량등을 문자나 숫자로 표시해 주는 표시기(9)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주행가능거리 산출장치.
KR1019940008873A 1994-04-26 1994-04-26 자동차의 주행가능거리 산출방법 및 그 장치 KR0153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8873A KR0153791B1 (ko) 1994-04-26 1994-04-26 자동차의 주행가능거리 산출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8873A KR0153791B1 (ko) 1994-04-26 1994-04-26 자동차의 주행가능거리 산출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9753A KR950029753A (ko) 1995-11-24
KR0153791B1 true KR0153791B1 (ko) 1998-12-01

Family

ID=19381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8873A KR0153791B1 (ko) 1994-04-26 1994-04-26 자동차의 주행가능거리 산출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37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918B1 (ko) * 2013-12-26 2015-05-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주행가능거리 표시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918B1 (ko) * 2013-12-26 2015-05-1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주행가능거리 표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9753A (ko) 199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1409B2 (en) Continuous driving mileage calculation control system and calculation control method
JPH0260965B2 (ko)
EP0119485B1 (en) Fatigue alarm system and method for an automotive vehicle driver
KR0153791B1 (ko) 자동차의 주행가능거리 산출방법 및 그 장치
US5497323A (en) Trip computer with retroactive reset
KR960005907B1 (ko) 자동차의 연료상태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192765B1 (ko) 자동차에 장착된 주행연비 모니터링장치
KR19980068828A (ko) 차량용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JPH0567164B2 (ko)
KR19980016459A (ko) 다기능 계기판
JPH1090036A (ja) 自動車の燃費算出システム
KR960000393Y1 (ko) 자동차의 연비 표시장치
KR0166276B1 (ko) 오도메터 자동 리셋 장치
JPS6316697B2 (ko)
JPS59220417A (ja) 燃料残量検出装置
CN115638854A (zh) 一种液位计算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系统及装置
KR19980060568A (ko) 차량의 오일 교체시기 경보방법
KR100216837B1 (ko) 자동차의 주행정보 디스플레이장치
KR19980023636A (ko) 차량 연비 자동 디스플레이 방법
KR970005813A (ko) 자동차의 주행가능거리 출력장치
KR19980019828A (ko) 자동차의 연료 소모량 측정 방법
KR19980031465A (ko) 차량의 주행가능거리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231551B1 (ko) 자동차의 연료소비율 산출장치
KR20060016604A (ko) 차량의 주행 가능 거리 측정 방법
KR19980059245A (ko) 전기 차량용 주행정보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