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705B1 - 충격하중 센서 - Google Patents

충격하중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3705B1
KR0153705B1 KR1019950006447A KR19950006447A KR0153705B1 KR 0153705 B1 KR0153705 B1 KR 0153705B1 KR 1019950006447 A KR1019950006447 A KR 1019950006447A KR 19950006447 A KR19950006447 A KR 19950006447A KR 0153705 B1 KR0153705 B1 KR 0153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load sensor
movable member
impact load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6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치카즈 미야모토
Original Assignee
다카다 요시유키
에스엠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다 요시유키, 에스엠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다 요시유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7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01P15/0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 G01P15/135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by making use of contacts which are actuated by a movable inertial m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4Suspension or damp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 Special Convey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싱내에 배치되어 스프링 또는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가동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자체에 가해지는 과도한 충격하중에 따른 가동부재의 변위가 통전 또는 비통전상태로 변환되는 충격하중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통전 또는 비통전 상태는 스프링 또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초과하는 충격하중이 가동부재에 가해지고 있는 것을 알려준다. 충격하중 센서는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예컨대 쇼크 업소버의 충격흡수성능의 저하를 확실하게 검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충격하중 센서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격하중 센서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격하중 센서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충격하중 센서의 종단면도.
제4도는 제1,2 또는 3도에 도시된 충격하중 센서중 어느 하나의 충격하중 센서가 장착된 공작물 이송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70,100 : 충격하중 센서 16,74,110 : 센서몸체
18,72,102 : 부착면 20 : 부착부재
22,24,92,94,122,124 : 단자 28,80,114 : 이동부재
30,82 : 조절나사 34a,34b,88a,88b : 금속 스트립
40 : 공작물 이송장치 44,60,68 : 쇼크 업소버
46,50 : 슬라이드 테이블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쇼크 업소버의 충격흡수성능이 정상적으로 기능하고 있는 지 여부를 검출하는 충격하중 센서에 관한 것이다.
[관련기술의 설명]
기계, 장치 등에 있어서 부재와 부재가 서로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 쇼크 업소버가 사용되어왔다. 특히, 쇼크 업소버는 기계, 장치 등의 변위가능한 부재들이 다른 부재와 충돌할 때의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 스프링의 탄성력, 가스의 기체 압력 등을 이용한다. 충격 에너지의 흡수를 통하여 쇼크 업소버는 다른 구성요소로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계, 장치 등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해준다.
일반적으로 제조되는 기계, 장치 등은 그 쇼크 업소버가 정상적으로 가능한다는 가정하에 강도 및 사양이 결정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다. 만약 쇼크 업소버의 충격흡수성능이 떨어지면, 물체와의 충돌시에 발생되는 충격 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에 기계, 장치 등은 가해지는 충격이 기계, 장치 등의 구성요소의 소정 강도 및 사양을 초과함에 따라 파손되거나 고장을 일으키게 된다.
하나의 해결책으로서 쇼크 업소버의 충격흡수성능 저하를 검출하기 위해 기계, 장치 등의 변위가능한 부재상에 가속도센서를 설치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가속도 센서는 대단히 고가이고, 함께 결합되는 기계, 장치 등의 제조단가를 증대시키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못하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쇼크 업소버의 충격흡수성능 저하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단순한 메카니즘으로 이루어진 염가의 충격하중 센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계, 장치 등에 장착된 쇼크 업소버의 충격흡수성능이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지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쇼크 업소버의 충격흡수성능이 정상적으로 기능하는지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쇼크 업소버와 합체되어 있는 기계, 장치 등이 파손되거나 고장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여, 기계, 장치 등의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해주는 센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상에 장착이 적합한 부착면을 가진 케이싱, 이 케이싱상에 장착된 한쌍의 단자 및, 도체로 되어 있고 케이싱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미리 정해진 수준을 초과하여 가해지는 충격하중에 따라 변위됨으로써 단자들이 서로 도통 또는 비도통 상태가 되도록 하여 신호를 발생시키게 하는 미리 정해진 중량을 갖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충격하중 센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특징 그리고 장점은 한 예로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는 첨부 도면과 관련한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격하중 센서(10)는 측패널에 형성된 나사구멍(12)과 이 나사구멍(12)에 대향하여 내부에 형성된 공동(14)을 갖는 센서몸체(16), 센서몸체(16)에 고정되어 공동(14)을 닫고 있으며 장치로의 부착을 위해 센서몸체(16)로부터 먼 쪽으로 면한 부착면(18)을 가지고 있는 부착부재(20), 및 부착부재(20)의 각각의 대향 외부측면상에 배치되어 있고 서로 절연된 관계로 떨어져 있는 한쌍의 단자(22,24)를 포함하고 있다. 센서몸체(16)와 부착부재(20)는 합성수지와 같은 전기절연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싱으로서의 역할도 한다.
충격하중 센서(10)는 또한 공동(14)에 수용된 스프링(26), 공동(14)내에 배치되어 있고 단자(22,24)를 서로 도통접속시키기 위해 통상 스프링(26)에 의해 가압되어 X축선을 따라 화살표(X1)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있는 소정의 중량을 갖는 이동부재(28), 나사구멍(12)에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공동(14)내에 스프링시트로서 배치되어 조절나사(30) 회전시 스프링(26)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해 스프링(26)과 맞물림상태로 유지되는 헤드를 가지고 있는 조절나사(30), 및 조절나사(30)를 그 회전위치에 유지하기위해 센서몸체(16)의 외부에 조절나사(30)에 나사 결합된 잠금너트(32)를 포함하고 있다. 이동부재(28)는 금속과 같은 전기도체로 이루어져 있다.
부착부재(20)는 통상 이동부재(28)와 접촉상태로 유지되는, 부착면(18)에 대향한 면상에서 한쌍의 이격된 금속 스트립(34a,34b)을 구비하고 있다. 금속 스트립(34a,34b)은 각각의 리드선(36a,36b)을 통하여 각각의 단자(22,24)에 도통접속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충격하중 센서(10)의 작동이 제1도 및 제4도를 참조로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작물 이송장치(40)와 같은 기계 또는 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X축선과 동일한 X축선을 따라 이동가능한 슬라이드 테이블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쇼크 업소버(44)를 가지고 있다. 충격하중 센서(10)는 접착제, 나사 등과 같은 부착수단에 의해 공작물 이송장치(40)의 끝판(42a)에 설치되어 있다. 특히, 충격하중 센서(10)가 X축선을 따른 화살표(X2)로 표시된 방향으로의 하중(F; 물체에 가해진 역학적 에너지를 포함한다)을 검출하기 위하여, 부착면(18)은 X축선에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Y축선을 따라 놓여있다.
공작물 이송장치(40)는 아래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작물 이송장치(40)는 기본적으로 X축선을 따라 슬라이드 테이블(46)을 이동시키는 제1액추에이터(48)와 X축선과 직각을 이루는 Y축선을 따라 슬라이드테이블(50)을 이동시키는 제2액추에이터(52)를 포함하고 있다. 제2액추에이터(52)는 고정판(63)을 통해 슬라이드 테이블(46)의 상부면상에 장착되어 있다. 공작물(도시되지않음) 파지를 위해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한쌍의 핸드(52a,52b)를 가지고 있는 척(54)은 슬라이드 테이블(50) 끝에 장착되어 있다.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48,52)는 포트로부터의 압력유체 공급에 따라 슬라이드 테이블(46,50)을 이동시키는 유체실린더 또는 전원으로부터의 전류공급에 따라 슬라이드 테이블(46,50)을 이동시키는 모터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액추에이터(48)는 긴 베이스(55), X축선을 따라 긴 베이스(55)의 길이방향으로 변위되도록 베이스(55)상에 장착되어 있는 슬라이드 테이블(46), X축선을 따라 슬라이드 테이블(46)을 안내하도록 베이스(55)상에 장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있는 한쌍의 평행로드(56a,56b), 및 슬라이드 테이블(46)의 변위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슬라이드 테이블(46)에 맞물림되도록 베이스(55)의 각각의 대향 끝에 장착되어 로드(56a,56b)의 대향 끝에 결합되어 있는 한쌍의 정지블록(58a,58b)을 가지고 있다. 쇼크 업소버(44)는 슬라이드 테이블(46)이 정지블록(58a)에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기위해 정지블록(58a)내에 장착되어 있다. 끝판(42a)은 정지블록(58a)의 외부면에 부착되어 있다.
제2액추에이터(48)는 긴 베이스(62), Y축선을 따라 긴 베이스(62)의 길이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베이스(62)상에 장착되어 있는 슬라이드 테이블(50), Y축선을 따라 슬라이드 테이블(50)을 안내하도록 베이스(62)상에 장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한쌍의 평행 로드(64a,64b), 및 슬라이드 테이블(50)의 화살표(Y1)로 표시된 방향으로의 변위를 제한하기 위해 슬라이드 테이블(50)에 맞물림되도록 베이스(62) 끝에 장착되어 로드(64a,64b) 끝에 결합되어 있는 정지판(66)을 가지고 있다. 쇼크 업소버(68)는 슬라이드 테이블(50)이 정지판(66)에 충돌할 때 방향(Y1)으로 발생되는 하중을 흡수하기 위해 슬라이드 테이블(50) 끝에 장착되어 있다.
충격하중 센서(10)가 공작물 이송장치(40)상에 설치된 후, 조절나사(30)는 드라이버로 돌려져 이동부재(28)를 가압하는 스프링(26)의 탄성력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26)의 탄성력이 조절되면, 광범위한 하중값 중에서 충격 하중 센서(10)에 의해 검출되는 하중(F)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스프링(26)의 탄성력은 충격하중 센서(10)가 공작물 이송장치(40)상에 설치되기 전에 조절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전원(도시되지 않음)은 단자(22,24) 사이에서 접촉되어 통전된다.
쇼크 업소버(44)의 충격흡수성능이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동안, 미리 설정된 스프링의 탄성력은 슬라이드 테이블(46)이 정지블록(58a)에 충돌할 때 방향(X2)으로 가해지는 하중(F)보다 크다. 그러므로, 이동부재(28)는 스프링(26)이 탄성력의 작용하에서 부착부재(20)상에 시트되고 그에 따라 부착부재(20)와 접촉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전기도체로 형성된 이동부재(28)는 금속 스트립(34a,34b)에 접속되며, 따라서 단자(22,24)는 이동부재(28)를 통해 서로 도통상태가 된다.
쇼크 업소버(44)의 충격흡수성능이 떨어져 정상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면, 쇼크업소버(44)는 슬라이드 테이블(46)이 정지블록(58a)에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슬라이드 테이블(46)이 정지블록(58a)에 충돌하면 부착면(18)에 방향(X2)로 가해지는 하중(F)이 너무 커져서 미리 설정된 스프링(26)의 탄성력을 넘어서게 된다. 슬라이드 테이블(46)과 정지블록(58a)의 충돌맞물림시, 이동부재(28)는 부착부재(20)로부터 방향(X2)으로 간격이 떨어져, 단자(22,24)가 서로 비도통상태가 되게 한다. 이 때, 충격하중 센서(10)는 리드선(69)을 통하여 콘트롤러(도시되지 않음)로 신호를 보낸다. 콘트롤러는 신로를 검출하여 공작물 이송장치(4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쇼크 업소버(44)가 고장난 것을 작업자에게 알리기 위해 경보 유니트 또는 발광소자에 신호를 보낸다.
선택에 따라, 콘트롤러는 충격하중 센서(10)로부터의 신호를 계수하여, 소정의 계수값에 도달했을 때 공작물 이송장치(40)를 멈추기 위한 신호를 출력시킬 수도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제2실시예에 따른 충격하중 센서(70)를 도시한다.
충격하중 센서(70)는 그 한쪽 측면상에 부착면(72)을 갖는 센서몸체(74), 센서몸체(74)에 형성된 챔버(76)내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스프링(78,79), 소정의 중량을 가지고 있으며 제1 및 제2 스프링(78,79)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환형이동부재(80), 챔버(76)내에 스프링시트로서 배치되어 있으며 조절나사(82) 회전시 제1 및 제2 스프링(78,79)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해 제2스프링(79)과 맞물림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헤드를 가진 조절나사(82), 및 조절나사(82)를 회전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센서몸체(74)외부에서 조절나사(82)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잠금너트(84)를 포함하고 있다.
챔버(76)는 제1 및 제2스프링(78,79) 사이에 위치하는 환형의 단이 진 벽(86)을 가지고 있으며, 환형이동부재(80)는 통상 제1 및 제2스프링(78,79)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환형의 단이 진 벽(86)상에 시트된다. 한쌍의 이격된 금속 스트립(88a,88b)은 환형의 단이 진 벽(86)상에 장착되어, 통상 환형이동부재(80)와 접촉상태로 유지된다. 금속 스트립(88a,88b)은 각각의 리드선(90a,90b)을 통하여 센서몸체(74)의 외부측면상에 장착된 한쌍의 단자(92,94)에 접속되어있다. 환형부재(96)는 이동부재(80)와 일치하여 변위되도록 이동부재(80)와 인접하여 센서몸체(74) 둘레에 배치되어 있다. 이동부재(80)는 금속과 같은 전기도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환형부재(96)와 이동부재(80)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는 자성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충격하중 센서(70)의 작동이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충격 하중센서(70)는 제4도에 도시된 공작물 이송장치(40)에 결합되어 있으며, 공작물 이송장치(40)의 구조 및 작동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충격하중 센서(70)는 쇼크 업소버(60)가 장착되어 있는 정지블록(58b)에 부착된 끝판(42b)상에 장착되어 있다. 부착면(72)는 X축선에 수직하게 연장되어있는 Y축선을 따라 놓여있다.
그리고, 조절나사(82)는 드라이버로 돌려져 이동부재(80)를 가압하여, 단이 진벽(86)상에 시트된 상태로 유지시켜주는 제1 및 제2스프링(78,79)의 탄성력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그다음, 전원(도시되지 않음)이 단자(92,94) 사이에서 접속되어 통전된다.
쇼크 업소버(60)의 충격흡수성능이 정상적으로 기능하는동안, 제1 및 제2스프링(78,79)에 의해 지지되는 이동부재(80)는 단이 진 벽(86)상에 시트되어 금속 스트립(88a,88b)과 전기적으로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단자(92,94)는 이동부재(80)를 통하여 서로 도통접속된다.
쇼크 업소버(60)의 충격흡수성능이 떨어져 정상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면, 슬라이드 테이블(46)이 정지블록(58b)에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슬라이드 테이블(46)이 정지블록(58b)에 충돌할 때, 방향(X1)으로 부착되면(72)에 가해지는 하중(F)이 너무 커져서 제2스프링(79)의 탄성력을 넘어서게 된다. 슬라이드 테이블(46)과 정지블록(58b)의 충돌맞물림시, 이동부재(80)는 단이진 벽(86)으로부터 방향(X1)으로 간격이 떨어져, 단자(92,94)가 서로 비도통상태가 되게 한다. 이 때 충격하중 센서(70)는 콘트롤러로 신호를 보낸다. 콘트롤러는 신호를 검출하여 공작물 이송장치(4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쇼크 업소버(60)가 고장난 것을 작업자에게 알리기 위해 경보 유니트 또는 발광소자에 신호를 보낸다.
이동부재(80)가 변위될 때 환형부재(96)도 또한 자기력의 작용하에서 이동부재(80)와 완전 일치상태로 변위된다. 환형부재(96)의 이와 같은 변위는 쇼크 업소버(60)가 정상기능하지 못하는 것을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준다. 환형부재(96)가 변위되지 않은 경우 충격하중 센서(70)로부터의 신호가 콘트롤러에 보내지면 작업자는 예컨대 리드선(90a,90b)의 단선 또는 이동부재(80)와 금속 스트립(88a,88b) 사이의 접촉불량으로 인해 센서에 어떤 문제가 생긴 것을 인지하게 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충격하중 센서(100)를 도시한다.
충격하중 센서(100)는 절연재료로 형성되어 부착면(102)을 갖는 제1블록(104)과 나사구멍(106)을 갖는 제2블록(108)을 포함하고 있는 센서몸체(110) 그리고 제1 및 제2블록(104,108)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안내판(112)에 의해 지지되는 소정 중량의 이동부재(114)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블록(104,108)은 전기도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안내판(112)은 절연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부재(114)는 화살포로 표시된 방향으로 선회가능한 선회체(116), 선회체(116)로 부터 연장되어 안내판(112)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암(118), 및 지지암(118)에 접합되어 제2블록(108)에 형성된 나사구멍(106)에 나사결합되는 나사(120)로 구성되어 있다. 이동부재(114)는 스프링강과 같은 전기도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지지암(118)은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나사(120)는 제2블록(108)에 유지되어 있는 잠금너트(121)에 의해 정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선회체(116)와 안내판(112)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암(118)의 길이(A)는 나사(120)가 자체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한쌍의 이격된 단자(122,124)는 센서몸체(110)의 외부측표면상에 장착되어 있다. 특히, 단자(122)는 센서블록(108)의 외부측표면상에 배치되어, 리드선(126)을 통하여 제2블록(108)내의 나사구멍(106) 둘레에 배치된 금속링(128)에 도통접속되어 있다. 단자(124)는 제1블록(104)의 외부측표면상에 배치되어, 리드선(130)을 통하여 제1블록(104)의 내부벽면상에 배치된 금속링(132)에 도통접속되어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른 충격하중 센서(100)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충격하중 센서(100)는 제4도에 도시된 공작물 이송장치(40)에 결합되어 있으며, 공작물 이송장치(40)의 구조 및 작동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충격하중 센서(100)는 슬라이드 테이블(50)과 맞물림가능한 정지판(66)상에 장착되어 있다. 부착면(102)은 슬라이드 테이블(50)이 변위되는 방향인 Y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여 있으므로, 충격하중 센서(100)는 정지판(66)과 충돌맞물림되도록 방향(Y1)로 변위될 때 가해지는 하중(F)을 검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나사(120)는 드라이버로 돌려져 길이(A)를 적절한 값으로 조절하게 되어 있다. 전원(도시되지 않음)은 단자(122,124) 사이에서 접속되어 통전된다.
쇼크 업소버(68)의 충격흡수성능이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동안, 충격은 쇼크 업소버(68)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감쇄되며, 지지암(118)을 통하여 안내판(112)에 의해 지지되는 선회체(116)는 링(132)과 접촉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단자(122,124)는 서로 도통접속되어 있지 않다.
쇼크 업소버(68)의 충격흡수성능이 떨어져 정상기능을 못하게 되면, 쇼크 업소버(68)는 슬라이드 테이블(50)이 로드(64a, 64b)를 따라 방향(Y1)으로 이동하던중 정지블록(66)에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슬라이드 테이블(50)이 정지블록(66)에 충돌하면 이 블록과 평행한 부착면(101)에 방향(Y1)으로 가해지는 하중(F)이 과도해진다. 슬라이드 테이블(50)과 정지블록(66)의 충돌 맞물림시 선회체(116)는 안내판(112)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암(118)부분의 둘레에서 화살표 즉, 화살표(Y1,Y2)로 표시된 방향으로 선회된다.
선회체(116)는 이 때 링(132)과 접촉하게 되어 단자(122,124)를 서로 도통접속시키게 된다. 이 때, 충격하중 센서(100)는 콘트롤러로 신호를 보낸다. 콘트롤러는 신호를 검출하여 쇼크 업소버(68)의 충격흡수성능이 떨어지거나 정상기능을 못하게 되었는 지를 판단하여, 공작물 이송장치(40)의 작동정지신호를 보낸다.
본 발명의 임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하게 도시 및 설명되어 있기는 하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6)

  1. 장치상에 장착되기에 적합한 부착면을 가진 케이싱, 상기 케이싱상에 장착된 한쌍의 단자, 상기 케이싱내에 배치된 스프링, 및 도체로 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내에 배치되어 미리 정해진 수준을 초과하여 가해지는 충격하중에 따라 변위됨으로써 상기 단자들이 서로 도통 또는 비도통상태가 되도록 하여 신호를 발생시키게 하는, 미리 정해진 중량을 갖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서 상기 스프링이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단자에 대하여 가압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하여 변위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단자들이 도통 또는 비도통 상태가 되도록 하여 신호를 발생시키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하중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하중 센서는 상기 장치상에 장착된 쇼크 업소버의 충격 흡수성능이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지 여부를 상기 신호에 근거하여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하중 센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프링 탄성력의 작용하에서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단자와 접촉하도록 유지시키는 힘을 조절하기 위한 하중설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중설정수단은 상기 케이싱상에 지지된 조절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하중 센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의 일체적 말단 끝부분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하중설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하중 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면은 상기 충격하중이 가해지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거나 평행하게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하중 센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와 일치상태로 변위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변위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변위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의 적어도 하나는 자성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하중 센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이 전기절연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하중 센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공간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단자는 상기 공간에서 노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단자와 접촉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하중 센서.
  9. 장치상에 장착되기에 적합한 부착면을 가진 케이싱; 상기 케이싱상에 장착된 한쌍의 단자; 및 도체로 되어 있고, 미리 정해진 수준을 초과하여 가해지는 충격하중에 따라 변위되도록 상기 케이싱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미리 정해진 중량을 갖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한쌍의 단자중의 하나와 일정한 접촉관계를 갖도록 유지된 선회체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충격하중에 따라 선회하여 상기 단자중의 다른 하나와 접촉하게 되고, 그 결과 상기 단자들이 도통 또는 비도통 상태가 되도록 하여 신호를 발생시키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하중센서.
  10. 장치상에 장착되기에 적합한 부착면을 가지며, 그 내부에 규정된 공간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상에 장착된 한싸의 단자; 및 도체로 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내에 배치되어 미리 정해진 수준을 초과하여 가해지는 충격하중에 따라 변위됨으로써 상기 단자들이 서로 도통 또는 비도통상태가 되도록 하여 신호를 발생시키게 하는, 상기 공간내에 수용되고 미리 정해진 중량을 갖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는, 상기 공간내에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의 상기 케이싱의 하나의 벽표면상에서 상호 평행하게 나란한 관계에 있고 상기 이동부재의 접속표면과 대향하는 관계에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가 이동하여 두단자와 도통 또는 비도통 상태가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하중센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하중센서는 상기 장치상에 장착된 쇼크 업소버의 충격흡수성능이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지 여부를 상기 신호에 근거하여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하중센서.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내에 배치된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하여 변위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하중센서.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스프링 탄성력의 작용하에서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단자와 접촉하도록 유지시키는 힘을 조절하기 위한 하중설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중설정수단은 상기 케이싱상에 지지된 조절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하중센서.
  14.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의 일체적 말달 끝부분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하중설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하중센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와 일치상태로 변위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변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위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의 적어도 하나는 자성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하중센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이 전기절연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하중센서.
KR1019950006447A 1994-03-25 1995-03-25 충격하중 센서 KR01537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56248A JPH07260602A (ja) 1994-03-25 1994-03-25 センサ
JP94-56248 1994-03-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3705B1 true KR0153705B1 (ko) 1998-12-01

Family

ID=13021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6447A KR0153705B1 (ko) 1994-03-25 1995-03-25 충격하중 센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35630A (ko)
JP (1) JPH07260602A (ko)
KR (1) KR0153705B1 (ko)
CN (1) CN1111013A (ko)
DE (1) DE19509931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6179A (en) * 1997-12-22 2000-03-14 Bridgestone/Firestone, Inc. Air spring containing an active device and a suspension assembly and method using
DE19915260C5 (de) * 1999-04-03 2009-06-04 Robert Bosch Gmbh Linearantrieb
US6820458B2 (en) * 2000-05-04 2004-11-23 Key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force sensor
US7161476B2 (en) 2000-07-26 2007-01-09 Bridgestone Firestone North American Tire, Llc Electronic tire management system
US8266465B2 (en) 2000-07-26 2012-09-11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 LLC System for conserving battery life in a battery operated device
FR2830620B1 (fr) * 2001-10-05 2004-01-16 Thales Sa Dispositif de securisation du deplacement d'un organe mobile
EP2806259B1 (en) * 2013-05-24 2019-08-14 Ansaldo Energia Switzerland AG Sensor mounting attachment
CN104236760B (zh) * 2014-09-10 2016-05-04 江苏科技大学 一种拉力试验机的弹簧力值传感器
KR101923524B1 (ko) * 2016-11-18 2018-11-30 (주)호원 근접센서장치
DE102017218873A1 (de) * 2017-10-23 2019-04-25 Inelta Sensorsysteme Gmbh & Co. Messeinrichtung für automatisierte Schweißeinrichtungen, insbesondere für Roboter-Schweißzangen
CN113720563A (zh) * 2020-05-25 2021-11-30 泰克元有限公司 测试处理器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68010A (de) * 1965-12-31 1969-01-31 Akad Gorniczo Hutnicza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der Stösse an Schwingungsmaschinen
US3549169A (en) * 1966-07-01 1970-12-22 Eaton Yale & Towne Inflatable safety device
FR2008454A1 (ko) * 1968-05-14 1970-01-23 Cieno Armando
FR2044666A1 (ko) * 1969-05-16 1971-02-26 Paris Et Du Rhone Ste
US3654410A (en) * 1970-12-08 1972-04-04 Aerodyne Controls Corp Pivoted inertia switch self-orienting along a line of deceleration in a prescribed angular pattern
US5282387A (en) * 1990-11-02 1994-02-01 Takata Corporation Shock sensor
US5212357A (en) * 1991-08-14 1993-05-18 Hamlin, Inc. Extended minimum dwell shock sensor
DE69218124T2 (de) * 1991-12-02 1997-08-07 Tokin Corp Aufprallsensor
US5339071A (en) * 1993-03-26 1994-08-16 Ira Eckhaus Shock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509931A1 (de) 1995-10-19
CN1111013A (zh) 1995-11-01
DE19509931C2 (de) 2000-10-05
JPH07260602A (ja) 1995-10-13
US5535630A (en) 1996-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3705B1 (ko) 충격하중 센서
CA2081491A1 (en) Housing for cable mounted power line monitoring device
KR20000062299A (ko) 전기액츄에이터
CA1323082C (en) Electric or electronic position sensor device
CA2660280A1 (en) Safety systems for power equipment
JP2007532336A (ja) 電気的なスイッチ装置を備える過負荷防止装置
GB2158806A (en) Safety device for manipulated appliances for switching off the motor drive in the event of a collision
KR20050043941A (ko) 접촉식 프로브
US4922066A (en) Environmentally protected switch for dynamoelectric machines
US5775750A (en) Robotic collision detection bumper
US3639710A (en) Trigger switch for motor vehicle safety devices
JPH0357401B2 (ko)
KR20110020959A (ko) 이송로봇의 이송암
US5449868A (en) Vacuum bottle contactor tip pressure adjuster
GB2106077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utomated machines
CN108280958B (zh) 一种用于高温设备的旋转工位报警装置
CN221176005U (zh) 阀位感应限位开关
CN108761322B (zh) 一种断路器特性测试工装及方法
JPH11333656A (ja) 工作機械の主軸ヘッド部衝突防止装置
CN111390969A (zh) 减振系统及具有其的机器人
RU2760150C1 (ru) Инерционный датчик
CN114103886B (zh) 一种用于洗车机的防撞设备
CN220854134U (zh) 一种汽车座椅传感器检测装置
CN216926971U (zh) 一种绝缘胶皮检测装置
CN211904614U (zh) 一种工件缺口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