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2473B1 - 전화기에 있어서 무선마이크 및 가라오케 실현방법 - Google Patents

전화기에 있어서 무선마이크 및 가라오케 실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2473B1
KR0152473B1 KR1019950019481A KR19950019481A KR0152473B1 KR 0152473 B1 KR0152473 B1 KR 0152473B1 KR 1019950019481 A KR1019950019481 A KR 1019950019481A KR 19950019481 A KR19950019481 A KR 19950019481A KR 0152473 B1 KR0152473 B1 KR 0152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karaoke
telephone
wireless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9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132A (ko
Inventor
김종광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19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2473B1/ko
Publication of KR970009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2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24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08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transmitter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전화기에 있어서 기능원격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통해 원격 무선마이크 및 가라오케기능을 실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원격제어및 무선마이크로 사용하고 고정장치의 응답녹음 장치를 경음악 재생부로 사용하여 휴대장치에서 송신하는 음성신호를 고정장치에서 수신하여 선택된 반주 및 경음악과 믹싱하여 추가로 연결된 전축의 증폭기에 의해 스피크로 출력함으로써 가정에서 누구나 쉽게 가라오케기능을 구현함은 물론 강의장에서 무선마이크 기능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화기의 고기능 및 다기능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휴대장치와 고정장치로 구성되는 무선응답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고정장치에서는 상기 휴대장치와 내선통화채널을 구성하여 자동착신되어 상기 휴대장치에서 송출되는 음성신호를 오디오 시스템의 증폭부를 통해 증폭되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구성됨.
[발명의 중요한 용도]
무선전화기의 가라오케 실현방법

Description

전화기에 있어서 무선마이크 및 가라오케 실현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도.
제2도는 제1도의 휴대ㆍ고정장치 및 증폭부의 구체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에서의 처리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에서의 처리흐름도.
본 발명은 전화기에 있어서 원격기능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통해 원격 무선마이크 및 가라오케기능을 실현하는 전화기에 있어서 무선마이크 및 가라오케 실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격 무선 마이크 및 가라오케기능은 오디오 시스템에 널리 사용되어 왔지만, 전화기에 사용된 예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원격제어 및 무선마이크로 사용하고 고정장치의 응답녹음 장치를 경음악 재생부로 사용하여 휴대장치에서 송신하는 음성신호를 고정장치에서 수신하여 선택된 반주 및 경음악과 믹싱하여 추가로 연결된 전축의 증폭기에 의해 스피크로 출력함으로써 가정에서 누구나 쉽게 가라오케기능을 구현함은 물론 강의장에서 무선마이크 기능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화기의 고기능 및 다기능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기연결 개략도이다.
고정장치(20)와 휴대장치(10)를 구비한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20)와 전축(40)사이의 연결잭(101,102)에 무선음성신호 및 가라오케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케이블(30)을 연결한다.
제2도는 제1도의 휴대장치(10) 및 고정장치(20)와 전축(40)의 증폭부의 구체회로도이다. 이는 본건 특허와 동일 출원인에 의해 특호로 출원된 특허출원번호 제94-33729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음을 밝혀 둔다.
제2도(2a)는 본 발명을 위해 특별한 구성요소를 원하지는 않으나, (2b)는 본 발명을 위해 중앙처리장치(150)에서 발생되는 반주음 발생데이타에 의해 노래반주음을 발생하는 반주음 발생부(190)와, 상기 스피커(230)와 음성기용 녹음재생부(240) 사이에 전축(40)의 입력단자로 하는 잭(220)으로 구성한 것이 다르다. (2c)는 전축(40)의 증폭단의 구체회로도로서, 반주음신호를 이퀼라이즈 증폭하는 이퀼라이즈 증폭부(250)와, 상기 이퀼라이즈 증폭부(250)의 출력을 전치증폭하는 프리앰프(260)와, 상기 프리앰프(260)의 출력을 스피커(280)로 출력하도록 증폭하는 메인증폭부(270)로 구성된다.
제3도는 제4도의 휴대장치간 관계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20)에서의 가라오케 기능처리 기능처리 흐름도로서, (4a)과정에서 CPU(80)는 대기상태에 있는지를 체킹한다. 상기 (4a)과정에서 대기상태에 있을 때, (4b)과정에서 키매트릭스부(60)를 통해 기능선택 키입력을 받아 가라오케기능 선택키 입력일 때 (4d) 과정에서 고정장치(20)및 휴대장치(10)의 RF송수신부(90, 170)를 통해 (3b), (3c)과정을 거치면서 고정장치(20)와 휴대장치(10) 간 데이타 송수신채널을 잡는다. 상기 제3도의 (3c)또는 제4도의 (4e)과정에서 채널이 잡혀지면 (4f) 과정에서 휴대장치(10)에서 명령제어 데이타를 송신하고, 고정장치(20)의 CPU(15)는 (3d)과정에서 휴대장치910)의 송신데이타 수신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3d)과정에서 데이타가 수신되었을 시 (4g)과정에서 휴대장치(10)의 키매트릭스부(60)에서 가라오케 기능선택 키입력을 받아 (4h)과정에서 확인한후 맞으면 (4i)과정에서 고정장치(20)로 송출한다. 이때, (3f)과정에서 고정장치(20)의 CPU(150)는 휴대장치(10)로부터 노래반주 선택 명령데이타를 수신했는지를 체킹한다. 상기 (3f)과정에서 수신했을 때, 상기 고정장치(20)의 CPU(150)는 해당기능부에 명령하여 해당 노래반주를 선택하도록 하여 출력토록 하며, 휴대장치(10) 의 마이크에 입력되는 음성과 함께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3h)과정에서 사용자는 스피커(SPK A, SPK B)에서 출력되는 사용자는 발음내용과 선택된 노래반주를 선택 청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3f)과정에서 노래반주 선택명령 데이타가 수신되지 않았을 시 (3i)과정에서 경음악 선택명령 데이타가 수신되었는지를 체킹한다. 상기 ( 3i) 과정에서 경음악 선택명령 데이타가 수신되었을 때 (3j)과정에서 해당 경음악이 선곡 출력되도록 하여 음성도 함께 출력되도록 하여 (3k)과정에서 사용자는 스피커(SPK A, SPK B)에서 출력되는 사용자의 발음내용과 선택된 고정장치(20)의 경음악을 청취한다. 상기(3i)과정에서 경음악 선택명령 데이타가 수신되지 않았을 때 (31)과정에서 휴대장치(10)로부터 무선마이크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당 기능부를 제어하며, (3m)과정에서 사용하는 스피커(SPK A, SPK B)에서 휴대장치(10)의 무선마이크음을 듣는다.
그리고 상기 제4도 (4j) 과정에서 사용자는 가라오케 기능수행을 멈추기 위해 휴대장치(10)의 가라오케 실행완료 명령키를 입력하고, (4k)과정에서 확인하여 맞으면(41)과정에서 휴대장치(10)와 고정장치(20) 중 대기상태로 한다. 그리고, (4j) 과정에서 사용자는 가라오케 기능수행을 멈추고자 휴대장치(10)의 키메트릭스부(60)를 통해 가라오케 실행완료 명령키를 입력하면, (4k)과정에서 이를 확인하고, (41)과정에서 고정장치(20)와 휴대장치(10)를 대기상태로 복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를 원격제어 및 무선마이크로 사용하고 고정장치의 응답녹음장치를 경음악 재생부로 사용하여 휴대장치에서 송신하는 음성신호를 고정장치에서 수신하여, 선택된 반주 및 경음악과 믹싱하여 추가로 연결된 전축의 증폭기에 의해 SPK로 출력함으로써 가정에서 누구나 쉽게 가라오케기능을 구현함은 물론 강의장에서 무선마이크기능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화기의 고기증 및 다기능화한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휴대장치와 고정장치로 구성되는 무선응답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의 채널을 잡아 송신데이타를 수신한후 노래 반주 선택 데이타인지를 확인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노래 반주 선택 데이타일때 노래반주를 선택하여 음성과 함께 출력토록 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노래 반주 선택 데이타가 아닐때 경음악 선택 명령데이타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경음악 선택 명령데이타일때 해당 경음악을 선택하여 사용자의 발음 내용과 선택된 고정장치의 경음악을 청취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 있어서 무선마이크 및 가라오케 실현방법.
  2. 휴대장치와 고정장치로 구성되는 무선응답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에서 가라오케 기능이 선택될시 상기 고정장치와 채널을 잡아 가라오케 기능 실현을 위한 데이타를 무선으로 통신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가라오케 기능 실현데이타를 받은 고정장치는 가라오케기능을 수행하되, 휴대장치로부터 가라오케 기능 완료키 입력이 있을때가지 실행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 있어서 무선 마이크 및 가라오케 실현방법.
KR1019950019481A 1995-07-04 1995-07-04 전화기에 있어서 무선마이크 및 가라오케 실현방법 KR0152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9481A KR0152473B1 (ko) 1995-07-04 1995-07-04 전화기에 있어서 무선마이크 및 가라오케 실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9481A KR0152473B1 (ko) 1995-07-04 1995-07-04 전화기에 있어서 무선마이크 및 가라오케 실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132A KR970009132A (ko) 1997-02-24
KR0152473B1 true KR0152473B1 (ko) 1998-11-02

Family

ID=19419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9481A KR0152473B1 (ko) 1995-07-04 1995-07-04 전화기에 있어서 무선마이크 및 가라오케 실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24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548B1 (ko) * 2004-08-24 2006-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마이크 장치 및 그 구현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548B1 (ko) * 2004-08-24 2006-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마이크 장치 및 그 구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132A (ko) 1997-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4077B1 (en) Wearable headset with self-contained vocal feedback and vocal command
JP3262727B2 (ja) イヤホン
US678210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ound
US75327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oIP telephony call announcement
CN107633849A (zh) 蓝牙设备音量调整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20286538A1 (en) Earphone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JPH0591584A (ja) イヤホン
JP4569414B2 (ja) 音声出力装置
KR0152473B1 (ko) 전화기에 있어서 무선마이크 및 가라오케 실현방법
WO2001019060A1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speaker dependent audio adjustment
KR100469847B1 (ko) 다기능 오디오폰
KR100640409B1 (ko) 휴대전화의 통합 이어폰 연결장치
CN212967100U (zh) 一种线性麦克风阵列的会议平板
KR200218614Y1 (ko) 오디오 입출력장치
JP2006157558A (ja) 携帯端末装置
KR19990046770A (ko) 송,수화기능을갖는핸드폰용이어폰
JP2001069198A (ja) オーディオ機能付携帯電話機とそのパソコンインタフェース方式
KR200252624Y1 (ko) 휴대폰의 이어마이크로폰과 음향기기의 리모콘에연결하여 동시 또는 각각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착탈분리형 만능 제어장치
KR200274628Y1 (ko) 휴대용 음향 기기 및 무선 전화기 공용 헤드폰
KR200305260Y1 (ko) 이어폰형 핸즈프리나 음향기기용 이어셋/헤드셋과 함께사용 가능한 발광모듈
JP2004015166A (ja) 携帯電話装置
KR200255401Y1 (ko) 휴대폰및 음향기기에 동시사용할수 있는 착탈 분리형이어마이크로폰 만능제어장치
KR20030076041A (ko) 휴대용 오디오 기기를 위한 핸즈프리 겸용 리모콘
KR200271663Y1 (ko) 휴대 음향 기기와 휴대폰의 오디오 신호 연결 장치
JP4725491B2 (ja) 外部スピーカ利用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