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2124B1 - 조합형 경면 및 확산 화상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 Google Patents

조합형 경면 및 확산 화상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2124B1
KR0152124B1 KR1019940030734A KR19940030734A KR0152124B1 KR 0152124 B1 KR0152124 B1 KR 0152124B1 KR 1019940030734 A KR1019940030734 A KR 1019940030734A KR 19940030734 A KR19940030734 A KR 19940030734A KR 0152124 B1 KR0152124 B1 KR 0152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ogram
cell
cells
angle region
holograph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0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4659A (ko
Inventor
이.뤼드 죤
제이. 버가다모 마이클
비. 어퍼 리챠드
티. 스미쓰 로날드
Original Assignee
완다 케이. 덴슨-로우
휴우즈 에어크라프트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완다 케이. 덴슨-로우, 휴우즈 에어크라프트 컴퍼니 filed Critical 완다 케이. 덴슨-로우
Publication of KR950014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2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21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5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aesthetic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corative trim, partition wall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mounted in the vicinity, e.g. in the middle, of a rear window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6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 G03H1/30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discrete holograms on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02Reconstruction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02Recording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03H2001/0439Recording geometries or arrangements for recording Holographic Optical Element [HO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76Holographic printer
    • G03H2001/0482Interference based prin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6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 G03H2001/2605Arrangement of the sub-holograms, e.g. partial overlapping
    • G03H2001/261Arrangement of the sub-holograms, e.g. partial overlapping in optical contact
    • G03H2001/2615Arrangement of the sub-holograms, e.g. partial overlapping in optical contact in physical contact, i.e. layered hol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Diffracting Gratings Or Hologram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의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에 사용되는 홀로그램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 홀로그램 구조물은 재구성 광선을 제공하는 조명 광원(30)과, 비중첩 홀로그램 셀과 비홀로그램 셀로 된 제1열(31)과, 비중첩홀로그램 셀과 비홀로그램 셀로 된 제2열(32)를 포함한다. 제1열의 각 홀로그램 셀은 재구성 광선의 일부의 회절에 따라 제1소정 각도 영역에 가시성인 경면 화상을 생성하고, 제2열의 각 홀로그램 셀은 재구성 광선의 일부의 회절에 따라 제2소정 각도 영역에 가시성인 확산 화상을 생성한다. 제1 및 제2홀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경면 화상과 확산 화상은 정지등 조명부를 구성한다.

Description

조합형 경면 및 확산 화상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제2도는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의 경우 현재의 수직 및 수평 요구 조건을 칸델라 단위로 도시한 광도 분포 그래프.
제3도는 제1도의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의 홀로그램들 중 하나에서의 셀들의 배치 관계를 도시한 선도.
제4도는 제1도의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의 홀로그램들 중 다른 하나에서의 셀들의 배치 관계를 도시한 선도.
제5a도 및 제5b도는 제3도의 홀로그램의 홀로그램 셀들 각각의 재생 특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
제6a도 및 제6b도는 제4도의 홀로그램의 홀로그램 셀들 각각의 재생 특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
제7도는 경면 화상들을 생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협각 홀로그램을 구성하는 노출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
제8도는 제7도의 노출 시스템에 사용되는 구형 렌즈 열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
제9도는 제7도의 노출 시스템에서 홀로그램 셀들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마스크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
제10도는 경면 화상들을 생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광각 홀로그램을 구성하는 노출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
제11도는 제10도의 노출 시스템에 사용되는 홀로그래픽 광요소 열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
제12도는 제10도의 노출 시스템에서 홀로그램 셀들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마스크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
제13도는 제10도의 노출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마스크식 홀로그래픽 광요소 열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
제14도는 확산 화상들을 생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협각 홀로그램을 구성하는 노출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
제15도는 제14도의 노출 시스템에 사용되는 구형 렌즈 열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
제16도는 제14도의 노출 시스템에서 확산 스크린의 출력부를 차단하는데 사용되는 마스크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
제17도는 제14도의 노출 시스템에서의 홀로그램 셀들의 영역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마스크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
제18도는 확산 화상들을 생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광각 홀로그램을 구성하는 노출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
제19도는 제18도의 노출 시스템에 사용된 마스크 및 배플의 정면도.
제20도는 제19도의 노출 시스템에 사용된 마스크 및 배플의 평면도.
제21도는 제18도의 노출 시스템에서 홀로그램 셀들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마스크를 도시한 개략도.
제22도는 제7도, 제10도, 제14도 및 제18도의 노출 시스템에 따라 제조된 홀로그램 원형부들의 홀로그램 복제부들을 만들기 위한 복제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B1 : 재구성 광선 L : 선 광원
S : 점광원 30 : 광원
31 : 제1홀로그램 또는 열 32 : 제2홀로그램 또는 열
50 : 노출 마스크 조립체 51 : 마스크 지지판
60 : 홀로그래픽 기록조립체 61 : 홀로그래픽 기록층
63 : 유리판 153a : 홀로그래픽 광요소
153b : 마스크 252 : 확산 스크린
본 발명은 차량의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홀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요로하는 광도 및 각도 도달 범위를 효과적으로 만족시켜주는 홀로그램 및 이러한 홀로그램을 기록하는 노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미합중국 규정에는 자동차의 후방부에 설치된 표준 정지등 이외에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CHMSL)을 요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 장착식 정지등은 제동중인 차량을 뒤따르는 운전자에게 자동차 제동 표시기들의 가시성을 극대화시키도록 의도된 것이며, 대개 자동차의 후면 유리에 장착되어 있다.
상부 장착식 정지등은 대개 표준 볼록 렌즈, 적색 필터, 조명 백열전구 및 반사체가 하우징내에 수납된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 하우징은 대개 자동차 후면 유리의 상부 또는 하부에 인접해서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크기가 큰 하우징은 운전자의 후방 시야를 부분적으로 방해하며 자동차의 설계에도 제한을 가하게 된다.
또한,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은 후방 시야 문제를 어느 정도 줄이거나 없애기 위하여 후방 데크와 스포일러 및 루프와 같은 자동차의 본체부에 일체화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지등은 복잡하며 자동차의 설계에 제한을 가하기도 한다.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도 정지등 규정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개발되어 왔다.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홀로그램을 사용함에 있어서는 종래의 정지등에 의해 제공되는 외관과 유사한 볼록한(lenticulated) 외관을 갖는 출력부를 얻도록 고려해야 한다.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홀로그램을 사용함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또 다른 사항은 최소 전력을 사용하는 재구성 광원을 사용하면서 광도 및 각도 도달 범위에 대한 규정 요건들을 만족시키기 어렵다는 것이다. 광도 및 각도 도달 범위에 대한 요건들은 대개, 한정된 중앙 각도 영역에 걸쳐 광도를 정하는 정량적인 측면과, 한정된 중앙 각도 영역의 수평 성분보다 큰 수평 각도 영역에 걸쳐 가시성을 필요로 하는 정성적인 측면을 포함한다. 상기 규정들은 전체 각도 도달 범위의 중앙부에 더 밝은 영역을 반드시 요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정지등의 볼록한 출력부와 유사한 외관을 갖는 출력부를 제공하는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을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최소 전력을 소비하는 재구성 광원을 사용하면서 광도 및 각도 도달 범위에 관한 규정 요건들을 용이하게 만족시켜주는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장점 및 그밖의 장점들은 본 발명의 홀로그래픽 정지등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데, 이 시스템은 재구성 광선을 제공하는 광원과, 비중첩 홀로그램 셀들과 비홀로그램 셀들로 된 제1열과, 비중첩 홀로그램 셀들과 비홀로그램 셀들로된 제2열을 포함한다. 제1열의 각 홀로그램 셀은 재구성 광선중 일부의 회절에 따라 제1소정 각도 영역에 가시성인 경면 화상을 생성하고, 제2열의 각 홀로그램 셀은 재구성 광선중 일부의 회절에 따라 제2소정 각도 영역에 가시성인 확산 화상을 생성한다. 제1 및 제2홀로그램들에 의해 생성된 경면 화상들 및 확산 화상들은 정지등 조명부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들에 대해서는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 도면을 참조한 이후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후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서,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다.
제1도에는, 홀로그램 조립체(20)과 광원(30)을 포함하고 있는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이하 때로는 CHMSL로 약칭하기도 함)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본원에서 이후에 설명하게 될 제1 및 제2박층 체적체 전달 홀로그램을 갖는 이 홀로그램 조립체(20)은 자동차의 후면 유리(211)의 내부 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달리, 이 홀로그램 조립체(20)은 후면 유리(211)의 근처에 적절히 위치한 개개의 판(substrate)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광원(30)은 홀로그램 조립체(20)의 전방이면서 운전자의 후방 시계 각도를 벗어난, 예컨대 자동차의 후면 유리(211)의 하부 부분에 인접한 통상 수평인 후방 데크의 아래에 위치하고, 홀로그램 조립체(20)의 전체 홀로그램(31,32)를 발광시켜 재구성 광선(reconstruction beam)을 형성한다.
홀로그램 조립체의 전체 홀로그램(31,32)는 광원(30)에 의해 조명될 때 적절한 수직 및 수평 시계 영역(viewing field)에 걸쳐 자동차의 후방으로부터 식별될 수 있는 적절한 복합 화상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이후의 설명에서 각도 도달 범위(즉, 광선 출력부가 식별될 수 있는 각도 영역) 뿐만 아니라 구성에 관하여 전체 홀로그램(31,32)를 설명할 것이므로 설명의 편이상 각도 영역은 통상 홀로그램이 설치된 형상을 따르게 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것처럼, 각도 영역(angular field) 및 각도 도달 범위(angular coverage)라는 용어는 홀로그램 셀(cell)에 의해 광선이 회절되는 모든 영역, 즉 회절된 광선이 보일 수 있는 각도 영역을 가리키는 것이다. 홀로그램의 각도 범위는 홀로그램의 출력 광선이 보일 수 있는 각도 영역을 한정하는 것이므로 홀로그램의 회절 출력이 이 각도 범위 및 추가적인 번짐 영역(blurring)으로 한정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홀로그램 조립체의 홀로그램은 홀로그램이 장착되어 있는 차량의 후방으로부터 식별될 수 있는 회절 조명을 생성하도록 형상화되어 이들의 각도 영역은 차량으로부터 후방으로 멀리 연장되게 된다.
광원(30)은 수정 할로겐 전구와 같은 백열등(15)와, 홀로그램 조립체(20)에 재구성 광선을 제공하도록 백열등(15)의 필라멘트와 상호 작용하는 반사체(17)과, 차단 파장이 대략 600nm인 고주파 투과 필터(19)를 포함하고 있다. 도식적인 예에서, 반사체(17)은 거의 조준된(collimated) 재구성 광선을 생성하도록 백열등(15)와 상호 작용하는 포물선형 반사체를 구비하고 있다. 사람의 시각이 파장에 따라 민감하기 때문에 홀로그램 조립체의 홀로그램에 의해 제공된 화상은 대략 610 내지 620nm 사이의 임의의 최고 강도(peak intensity)를 적색으로 인식할 것이다. 이 백열등(15)가 제동 페달을 밟을 때 작동되도록 자동차의 제동등 작동회로에 연결되어 있다.
제2도에는,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의 중앙을 통과하는 중앙 수평 평면(H)에 대해 위로 10도 및 아래로 5도, 그리고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의 중앙을 통과하는 중앙 수직 평면에 대해 좌,우로 각각 10도로써 한정되는 중앙의 소정 각도 영역에 관하여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의 각도 영역에 대한 조명 강도(단위는 칸델라)를 도시하는 선도가 개시되어 있고, 이는 미연방 자동차 안전 표준 제108호(MVSS 108이라고도 함)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종축을 에워싸고 있다. 선도 상의 숫자는 이들 각도 영역에서의 최소 조명 강도를 칸델라 단위로 나타내고 있고, 전체 각도 영역은 소정의 각도 위치에서 최대 160 칸델라를 받고 있다.
본원에서 중앙 각도 영역에 대한 요구 조건이라 불리는 전술한 정량적 요구 조건 외에도, 중앙의 수직 평면의 측면(즉, 서로 거울상이 되는 2개의 수평 각도 영역) 상에서 45도 각도의 수평 각도 범위에 걸쳐 중앙 수평 평면내에서 정지등이 식별되어야 하는 정성적 요구 조건이 있다. 예를 들어, 이 정성적 요구 조건은 대략 1 칸델라의 조명 강도를 요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중앙 수직 평면의 측면 상의 45도 각도의 범위에 걸친 중앙 수평 평면의 식별성에 관한 이러한 요구 조건은 본원에서는 광각(wide angle) 수평 요구 조건이라고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홀로그램(31,32)는 발광원(30)에 의해 제공된 재구성 광선은 갖는 조명에 따라 다른 여러 각도 영역으로 광선을 회절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각 홀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회절된 광선은 예를 들어 로고나 영문자와 같은 인식가능한 패턴으로 정렬된 밝은 영역(bright area)과, 흐린 또는 어두운 영역(dimmer or dark area)을 포함한다.
제3도에는, 다른 홀로그램(32)가 박판 형성되기 이전의 홀로그램(31)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시된 표면은 차량에 설치될 때 후방을 향하는 표면이 된다. 이 홀로그램은 동일한 크기를 갖는 비중첩의 인접한 밝은 홀로그램 및 흐린 홀로그램 셀(cell) 또는 면(facet) C(i,j)의 사각형 배열 또는 격자(grid)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흐린 홀로그램 셀은 소형 홀로그램 및 비홀로그램의 열로 구성된 중간톤 홀로그램(half-tone hologram)를 포함한다. 제3도에 비해 칭선의 사각형으로 도시된 각 홀로그램 셀은 이 홀로그램 셀들을 구성하는 모든 면 C(i,j)에서 동일한 소정의 각도 범위를 갖는 회절된 출력 광선을 발생시킨다. 즉, 각 홀로그래픽 셀의 회절된 출력 광선은 소정한 각도 범위내에서 가시성이며, 이 각도 범위는 제1홀로그램(31)의 각 홀로그램 셀에 대하여 거의 동일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3도의 홀로그램의 밝은 홀로그램 셀들과 흐린 홀로그램 셀들은 홀로그램이 재구성 광선에 의해 조명될 때, 예를 들어 로고와 같은 밝고 흐린 영역들의 인식가능한 패턴을 생성하도록 소정 패턴으로 배열되어 있다. 밝은 영역들은 밝은 홀로그램 셀들에 의해 생성되고 흐린 영역들은 흐린 홀로그램 셀들에 의해 생성된다.
이와 달리, 비홀로그램 셀은 제3도의 홀로그램(31)의 흐린 홀로그램 셀들에 대체시킬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3도의 밝은 홀로그램 셀과 비홀로그램 셀들은 홀로그램이 재구성 광선에 의해 조명될 때 로고와 같은 밝은 영역 및 어두운 영역들의 인식가능한 패턴을 생성시키도록 소정 패턴으로 배열된다. 밝은 영역은 밝은 홀로그램 셀에 의해 생성되고, 어두운 영역은 비홀로그램 셀에 의해 생성된다.
참고적으로, 도면내의 C(i,j)의 상부 열은 이것이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에 설치된 홀로그램 조립체내에 위치될 때 홀로그램(31)의 상부를 포함하고, 이렇게 됨으로써 셀의 각 열은 통상 수평으로 정렬된다. 이렇게 배치됨으로써 차량내에 설치될 때 통상 수평으로 정렬되는 셀의 평행 모서리는 상부 및 하부 모서리로 칭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부 모서리는 도면의 상부에 아주 인접하게 되고 설치시에 후면 유리의 상부에 아주 인접하게 된다. 또한, 상부 및 하부 모서리에 수직한 셀의 평행 모서리는 측면 모서리로 칭하여 진다. 이 셀 C(i,j)는 동일한 크기이며, 셀의 폭은 상부 및 하부 모서리를 따라 측정되고, 셀의 높이는 측면 모서리중의 하나를 따라 측정된다.
제4도에는, 다른 홀로그램(31)이 박판 형성되기 이전의 홀로그램(32)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시된 표면은 차량에 설치될 때 차량의 외부를 향하는 표면이 된다. 이 홀로그램은 동일한 크기를 갖는 비중첩의 인접한 밝은 홀로그램 및 흐린 홀로그램 셀 또는 면 F(i,j)의 사각형 배열 또는 격자를 포함하고 있다. 밝은 홀로그램 셀들은 제4도의 비해칭선의 사각형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흐린 홀로그램 셀들은 해칭선의 사각형으로 표시되어 있다. 제4도에서 비해칭선의 사각형으로 도시된 각 홀로그램 셀은 이 홀로그램 셀들을 구성하는 모든 면 F(i,j)에서 거의 동일한 소정의 각도 범위를 갖는 회절된 출력 광선을 생성시킨다. 즉, 각 홀로그래픽 셀의 회절된 출력 광선은 소정한 각도 범위내에서 가시성이며, 이 각도 범위는 제2홀로그램 셀의 각 홀로그램 셀에 대하여 거의 동일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4도의 홀로그램의 밝은 홀로그램 셀들과 흐린 홀로그램 셀들은 홀로그램이 재구성 광선에 의해 조명될 때, 예를 들어 로고와 같은 밝은 영역 및 흐린 영역들의 인식가능한 패턴을 생성하도록 소정 패턴으로 배열되어 있다. 밝은 영역들은 밝은 홀로그램 셀들에 의해 생성되고 흐린 영역들은 흐린 홀로그램 셀들에 의해 생성된다.
이와 달리, 비홀로그램 셀을 제4도의 홀로그램(32)의 흐린 홀로그램 셀들에 대체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제4도의 밝은 홀로그램 셀과 비홀로그램 셀들은 홀로그램들이 재구성 광선에 의해 조명될 때 로고와 같은 밝은 영역 및 어두운 영역들의 인식가능한 패턴을 생성시키도록 소정 패턴으로 배열된다. 밝은 영역은 밝은 홀로그램 셀에 의해 생성되고, 어두운 영역은 비홀로그램 셀에 의해 생성된다.
참고적으로, 도면내의 홀로그램 셀 F(i,j)의 상부 열은 이것이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에 설치된 홀로그램 조립체내에 위치될 때 홀로그램(32)의 상부를 포함하고, 이렇게 됨으로써 홀로그램 셀의 각 열은 통상 수평으로 정렬된다. 이렇게 배치됨으로써 차량내에 설치될 때 통상 수평으로 정렬되는 셀의 평행 모서리는 상부 및 하부 모서리로 칭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부 모서리는 도면의 상부에 아주 인접하게 되고 설치시에 후면 유리의 상부에 아주 인접하게 된다. 또한, 상부 및 하부 모서리에 수직한 셀의 평행 모서리는 측면 모서리로 칭한다. 이 셀 F(i,j)는 동일한 크기이며, 셀의 폭은 상부 및 하부 모서리를 따라 측정되고, 셀의 높이는 측면 모서리 중의 하나를 따라 측정된다.
일례로써, 제1 및 제2홀로그램의 각각의 밝은 훌로그램과 흐린 홀로그램(또는 비홀로그램) 패턴들은 한 홀로그램의 밝은 영역과 흐린 (또는 어두운) 영역들이 각각 다른 홀로그램 안의 흐린 (또는 어두운) 영역과 밝은 영역인 다른 홀로그램의 음화(negativ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홀로그램 안의 흐린(또는 어두운) 영역에 의해 형성된 로고는 다른 홀로그램 안의 밝은 영역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홀로그램(31,32)중 하나의 홀로그램 면 또는 셀의 각각은 제2도에 도시된 중앙의 입체각 영역, 즉 수평면에 대해 상부로 10도 및 하부로 5도의 상부 및 하부 한계치와, 차량의 종축 방향과 평행한 수직 평면의 양 측면으로 10도의 한계치를 갖는 입체각을 포함하는 각도 범위로 광선을 회절시키도록 형성화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이 입체각 영역은 홀로그램 셀 중앙을 통과하는 직선과 중심이 일치하고, 수평면 위로 대략 2.5도의 범위이고, 그리고 차량의 종축방향과 평행한 수직 평면 상에 있다. 다른 홀로그램의 각 홀로그램 셀은 두 홀로그램의 조합이 수평 광각 요구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중앙의 입체각 영역의 어느 한 측면상의 2개의 수평 영역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수평 영역은 때때로 수평 외주연 각도 영역이라 한다.
홀로그램 각도 도달 범위를 정밀 각도로 설명하면 실제 범위는 비이상적인 재구성 광선에 의해 발생된 번짐 현상에 의해 구성한 각도 범위보다 약간 크게 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두 홀로그램 셀을 각도 도달 범위내에서 간격없이 인접된 각각의 비중첩 각도 도달 범위를 갖도록 구성하는 범위까지는 실제적으로는 번짐 현상에 의해 각도 도달 범위내에 중첩될 것이다.
설명의 편이를 위하여, 중앙의 입체각 영역으로 광선을 회절시키는 홀로그램은 때때로 협각(narrow angle) 홀로그램으로 칭하고, 다른 홀로그램은 광각 홀로그램으로 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홀로그램(31,32)들 중 하나에서의 각 셀은 경면 화상을 생성하고 다른 홀로그램은 확산 화상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협각 홀로그램이 경면 화상을 생성하는 경우에 각 홀로그램의 협각 홀로그램은 차단된 점 광원 화상을 생성하고 광각 홀로그램은 확산 화상을 생성한다. 역으로, 광각 홀로그램은 경면 화상들을 생성하는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협각 홀로그램은 확산 화상들을 생성하는 형상을 취하게 된다. 제1홀로그램(31)의 홀로그램 셀들은 광선을 거의 동일한 소정의 각도 영역 안으로 각각 회절시키며, 제2홀로그램(32)의 셀들은 광선을 홀로그램(31)의 홀로그램 셀들의 소정 각도 영역과는 다른 거의 동일한 소정의 각도 영역 안으로 회절시킨다.
각 홀로그램(31,32)내의 셀의 개수와 각 홀로그램내의 셀의 배치는 각 홀로그램의 전체 포맷의 전체 형상 및 크기와 선택될 셀 크기에 따르며, 셀 크기는 외관 형상과, 밝은 영역 및 흐린 (또는 어두운) 영역의 패턴 특성, 그리고 생산의 용이성과 같은 인자들을 고려하여 선택된다. 본원에서 추가로 설명하는 것처럼, 본 발명은 셀 폭가 이미 축소된 셀의 높이와의 비율이 미연방 자동차 안전 표준 제108호를 만족하는 경면 화상을 생성하는 홀로그램 셀을 고려하고 있다. 홀로그램 셀의 치수를 더 고려하면 특정 자동차 설계와 조화되도록 셀의 크기를 정하는 것과 함께 밝은 영역 및 흐린 (또는 어두운) 영역의 인식가능한 패턴의 적절한 해결책이 이루어지도록 셀의 크기를 정하는 것에 까지 이른다.
제1홀로그램(31)이 확산 화상을 생성하는 광각 홀로그램을 포함하고 제2홀로그램(32)가 경면 화상을 생성하는 협각 홀로그램을 포함하는 도식적 예의 경우에, 제2홀로그램(32)의 각 홀로그램 셀 F는 재구성시 각 셀 F(i,j)가 수평면에 대해 상부로 10도이고 하부로 5도인 상부 및 하부 한계치와, 차량의 종축 방향에 평행한 수직 평면의 어느 한 측면으로 10도의 한계치를 갖는 입체각 영역을 포함하는 각도 영역으로 확산(diverging) 광선을 방사하는 차단된 점 광원의 화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도식적 예에 부가하여, 제1홀로그램(31)의 각 홀로그램 셀 C는 중앙의 입체각 영역의 어느 한 측면 상의 2개의 외주연 각도 영역을 구성하는 각도 범위로 확산 광선을 방사하는 확산기의 화상을 생성한다. 예컨데, 양 외주연 입체각 영역은 수평면에 대해 상부로 대략 5도 및 하부로 대략 5도인 상부 및 하부 한계치를 갖는다. 한 외주연 각도 영역은 차량의 종축 방향에 평행한 수직 평면의 일 측면에서 10도 내지 45도 사이이고, 다른 각도 영역은 수직 평면의 다른 측면에서 10도 내지 45도 사이가 된다.
제1홀로그램(31)에 경면 화상을 생성하는 광각 홀로그램을 포함하고 제2홀로그램(32)가 확산 화상을 생성하는 협각 홀로그램을 포함하는 또 다른 설명적 예에서, 제2홀로그램(32)의 각 홀로그램 셀 F는 재구성시 각 셀 F가 중앙의 각도 영역 안으로 광선을 방사하도록 구성되고, 제1홀로그램(31)의 각 홀로그램 셀 C는 재구성시 각 셀 C가 중앙의 각도 영역 양측면 상의 2개의 외주연 영역 안으로 확산 광선을 방사하는 차단된 선 광원 화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설명적 예에 의하면, 경면 홀로그램 셀은 생성된 점 광원 및 선 광원의 화상이 홀로그램 조립체의 전방(차량의 전방)에 또는 홀로그램 조립체의 후방(차량 뒤의 주시자를 향하는 방향)에 있도록 형상화된다.
경면 홀로그램 셀이 회절시키는 입체각 범위는 홀로그램 셀의 치수와 점 광원 및 선 광원의 대응 셀로부터의 거리에 의해 제어된다. 미연방 자동차 안전 표준 제108호에 따른 중앙의 입체각 영역에 대한 요구 조건이 수직 각도의 정도를 규정하기 때문에 경면 협각 홀로그램 셀에서 셀 폭에 대한 미리 축소된 셀 높이의 비율은 중앙의 입체각 영역의 수평 각도의 폭(spread)에 대한 수직 각도의 폭의 비율에 대응하도록 선택되고, 점 광원의 거리는 특정의 중앙 수직 및 수평 폭에 대한 요구 조건을 만족하도록 선정된다.
경면 광각 홀로그램 셀에서는, 셀 폭과 셀로부터 선 광원의 거리는 미연방 자동차 안전 표준 제108호에 따른 수평 광각의 특정 수평 각도 폭에 대한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선정되고, 몇몇 수직 각도 폭은 이상적인 재구성 광원보다 작게 마련된다. 이와 달리, 선 광원 화상의 수직 각도 폭은 수직 방향으로 적은 동력을 유입시킴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5a도 및 제5b도에는, 경면 협각 홀로그램 셀 F의 측면도 및 상부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예를 들어 이 경우에 제2홀로그램(32)는 설치된 홀로그램 조립체 내로 향할 때의 경면 협각 홀로그램과 이에 의해 생성된 회절된 출력 광선 P를 포함하고 있다. 제5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광선 P의 상부 및 하부 경계는 겉보기(apparent) 점 광원 S 및 홀로그램 셀의 상부 모서리에 의해 형성된 상부 평면 TP와, 겉보기 점 광원 및 홀로그램 셀의 하부 모서리에 의해 형성된 하부 평면 RP에 의해 결정된다. 상부 평면 TP와 하부 평면 BP는 이들 평면이 도면의 평면에 직교성(orthogonal)을 갖기 때문에 제5a도에 직선으로 도시된다. 실선으로 도시된 평면 TP, BP의 일부분은 재생 광선의 한계치를 나타내고, 반면에 점선으로 도시된 이러한 평면의 일부분은 겉보기 점 광원 S로부터 방사되는 가상 광선의 상부 및 하부 한계치를 나타낸다. 제5b도에 도시된 것처럼, 출력 광선 P의 측면 경계는 겉보기 점 광원 S 및 홀로그램 셀의 좌측 모서리에 의해 형성된 좌측 평면 LP와, 겉보기 점 광원 S 및 홀로그램 셀의 우측 모서리에 의해 형성된 우측 평면 BP에 의해 결정된다. 좌측 평면 LP와 우측 평면 RP는 이 평면들이 도면의 평면에 대해 직교성을 가지므로 제5b도에 실선으로 도시된다. 제5a도에서와 같이, 실선으로 도시된 평면 LP, RP의 일부분은 재생 광선의 측면 한계치를 나타내고, 반면에 점선으로 도시된 평면 LP, RP의 일부분은 겉보기 점 광원 S로부터 방사되는 가상 광선의 측면 한계치를 나타낸다.
제5a도 및 제5b도로부터, 겉보기 점 광원 S가 경면 협각 홀로그램 셀 F의 측면들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중심이 설정되어 있으면 출력 광선 P의 각도 범위와 홀로그램 셀에 대한 이러한 각도 범위의 배치는 겉보기 점 광원 S의 위치와 홀로그램 셀의 재구성에 의해 제어되는 홀로그램 셀 폭 및 대현하는 홀로그램 셀 높이(즉, 각도 범위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평면 상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홀로그램 셀의 높이)의 비율에 따르게 된다. 특히, 각 홀로그램 셀 F는 초점으로부터 발산하여 방사되는 물체 광선(object beam)에 노출되고 홀로그램 기록층에서 차단된다. 겉보기 점 광원 S의 위치를 한정하는 물체 광선 초점의 위치와 대현하는 높이에 대한 셀 폭과의 비율은 소정의 각도 범위를 셀에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제1홀로그램(31)이 경면 화상을 생성하는 광각 홀로그램을 포함하는 특정예에 대하여, 생성된 회절 광선 BL, BR과 함께 설치된 홀로그램 조립체 안을 향할 때 홀로그램(31)의 경면 협각 홀로그램 셀 C의 측면도 및 상부 평면도가 각각 제6a도 및 제6b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6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각 홀로그램의 좌측 및 우측 출력 광선 BL, BR의 상부 및 하부 경계는 홀로그램 셀의 상부 모서리를 둘러싸는 상부 수평 평면 TP와, 홀로그램 셀의 하부 모서리를 둘러싸는 하부 평면 BP에 의해 결정된다. 상부 평면 TP와 하부 평면 BP는 이러한 평면들이 도면의 평면에 대해 직교성을 갖기 때문에 제6a도에 직선으로 도시된다. 실선으로 도시된 평면 TP, BP의 일부분은 재생 광선 한계치를 나타내고, 점선으로 도시된 이러한 평면의 일부분은 겉보기 선 광원 L로부터 방사되는 가상 광선의 상부 및 하부 한계치를 나타낸다. 좌측 출력 광선 BL의 측면 경계는 겉보기 선 광원 L 및 셀의 좌측 모서리에 의해 형성되는 좌측 평면 LP와, 셀의 중앙을 통과하는 수직평면의 좌측으로 10도 치우친 평면 LP'에 의해 결정된다. 우측 출력 광선 BR의 측면 경계는 겉보기 선 광원 L 및 셀의 우측 모서리에 의해 형성되는 우측 평면 RP와, 셀의 중앙을 통과하는 수직 평면의 우측으로 10도 치우친 평면 RP'에 의해 결정된다. 평면 LP, LP' ,RP, RP'는 이 평면들이 도면의 평면에 대해 직교성을 가지므로 제6b도에 실선으로 도시된다. 제6a도에서와 같이, 실선으로 도시된 평면 LP, LP', RP, RP'의 일부분은 회절광의 측면 한계치를 나타내고, 반면에 점선으로 도시된 이러한 평면의 일부분은 겉보기 선 광원 L로부터 방사되는 가상 광선의 측면 한계치를 나타낸다. 추가로 설명하는 것처럼 평면 LP, LP', RP, RP'은 경면 광각 홀로그램 셀 C를 구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물체 광선의 적절한 차단에 의해 형성된다.
확산 협각 홀로그램 셀의 각도 도달 범위는 생성된 화상이 확산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경면 협각 홀로그램에 대한 경우를 도시한 제5a도 및 제5b도에서와 거의 동일하다. 확산 광각 홀로그램 셀의 각도 도달 범위는 생성된 화상이 확산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경면 광각 홀로그램에 대한 경우를 도시한 제6a도 및 제6b도에서와 거의 동일하다.
제1홀로그램(31)이 재구성 광원(30)에 가장 인접하고 광각 홀로그램을 포함하는 특정 예에 관하여, 광각 홀로그램은 대부분의 재구성 조명이 현저히 밝은 출력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 협각 홀로그램을 통과시키기에 상대적으로 비효율적인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광각 홀로그램은 이상적인 재구성 조명의 경우에 대략 30 내지 40%의 효율을 가질 수 있으며, 협각 홀로그램은 이상적인 재구성 조명인 경우에 적어도 90%의 효율을 가질 수 있다.
광각 홀로그램이 상대적으로 높은 효율을 갖도록 설계된다는 점에서, 제2홀로그램(32)는 광각 홀로그램으로 설계되어야 하고, 제1홀로그램은 협각 홀로그램으로 설계되어야 하며, 이들 양 홀로그램은 이상적인 재구성 조명의 경우에 적어도 90%인 상대적으로 높은 효율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조건들은 협각 홀로그램의 회절된 출력이 광각 홀로그램의 회절된 출력보다 상당히 커야 한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협각 홀로그램을 상대적으로 효율적으로 제조하여 재구성 광원에 아주 근접하게 위치시킴으로써 이 협각 홀로그램은 재구성 조명의 대부분을 회절시킴으로써 조명 강도 요구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대부분의 재구성 조명이 협각 홀로그램에 의해 회절되므로 광각 홀로그램에 사용가능한 재구성 조명은 현저히 감소되고 이상적인 조명의 경우에 적어도 90%의 상대적으로 높은 효율을 갖는다.
협각 홀로그램 및 광각 홀로그램의 연속 처리에 관한 상술한 양 실시예에 대하여 광각 홀로그램 셀과 협각 홀로그램 셀들이 중첩되는 실시예의 재회절에 의한 손실을 고려해야만 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광각 홀로그램 셀과 협각 홀로그램 셀이 중첩되고, 광각 홀로그램이 재구성 광원에 아주 인접한 실시예에서, 협각 및 광각 홀로그램의 각도 범위내에서의 제한된 중첩과 광각 홀로그램이 상대적으로 낮은 효율을 갖기 때문에 회절된 광선의 아주 소량이 협각 홀로그램에 입사되게 된다. 그러므로, 회절된 광선의 소량만이 협각 홀로그램에 의해 재회절된다.
협각 홀로그램 셀과 광각 홀로그램 셀들이 중첩되고 협각 홀로그램이 재구성 광원에 가장 인접해 있는 실시예에서, 미연방 자동차 안전 표준 제108호에 규정된 협각 중앙 영역내의 회절광의 상당한 양은 광각 홀로그램 상에 입사된다. 그러나, 광각 홀로그램은 광량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므로, 광선은 중앙 각도 영역으로 회절되고 협각 홀로그램에 의해 회절된 광선의 재회절량은 감소된다.
각 홀로그램이 밝은 홀로그램 셀과 흐린 홀로그램 셀의 열로 구성되고, 한 홀로그램의 밝은 홀로그램 셀과 흐린 홀로그램 셀 패턴이 다른 홀로그램의 밝은 홀로그램 셀과 흐린 홀로그램 셀 패턴의 음화인 실시예에서는, 재회절량은 감소된다. 각 홀로그램이 홀로그램 셀과 비홀로그램 셀의 열로 구성되고 한 홀로그램의 홀로그램 셀과 비홀로그램 셀 패턴이 다른 홀로그램의 홀로그램 셀과 비홀로그램 셀 패턴의 음화인 실시예에서는 재회절이 발생되지 않는다.
각각의 제1 및 제2홀로그램(31, 32)는 그 안에 형성된 홀로그램 셀의 출력이 밝은 홀로그램 셀들이 형성된 영역 안에 형성된 출력보다 덜 밝도록 흐린 홀로그램으로 선택된 영역이 비간섭성 광으로 중간톤(half-tone) 예비 노출을 받는 적절한 홀로그래픽 기록층으로부터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흐린 홀로그래픽 셀을 형성하는 중간톤 영역을 제외하고는 불투명한 필름형 마스크는 홀로그래픽 기록층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표식 작용 유체(index matching fluid)의 얇은 층으로 이에 표식 작용된다. 종래 기술에 따라, 마스크의 중간톤 영역들은 각각 매우 적은 불투명 소영역들과 투명 소영역들의 패턴을 포함하는 영역들이다. 그러면, 마스크는 중간톤 영역의 투명 소영역에 인접한 홀로그램 기록층의 영역들의 감도가 줄도록 하여 홀로그램을 형성할 수 없도록 비간섭 광으로 조명된다. 다시 말해, 마스크의 중간톤 영역에 인접한 홀로그램 기록층의 영역들이 중간톤 방법으로 감도가 감소되어, 흐린 홀로그램 셀이 형성되는 홀로그램 층의 영역들에 대하여 마스크 중간톤 영역의 매우 적은 불투명 소영역에 의해 보호된 영역들만이 홀로그램을 갖게 된다. 그 결과, 흐린 홀로그램 셀 안에서 셀의 일부에 홀로그램이 형성되고, 이러한 부분은 매우 적은 소영역으로 구성된다.
각 홀로그램(31, 32)가 홀로그램 및 비홀로그램 셀들의 열을 포함하는 한, 비홀로그램 셀은 비홀로그램 셀을 내장한 영역을 비간섭성 광에 노출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예를 들어, 비홀로그램 셀을 형성하는 투명 영역을 제외한 불투명한 필름형 마스크는 홀로그래픽 기록층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표식 작용 유체의 얇은 층에 의해 표식 작용된다. 그러면, 마스크는 마스크에 의해 덮혀지지 않은 홀로그램 기록층의 영역들의 감도가 감소되어 홀로그램이 그안에 형성되지 않도록 비간섭성 광으로 조명된다.
흐린 홀로그램 셀 또는 비홀로그램 셀들을 형성하도록 적절히 감도를 감소시킨 후에, (실시예에 따른 밝은 그리고 흐린, 또는 밝은 것만의) 홀로그램 셀을 홀로그램 형성 노출광에 의해 형성시킨다. 홀로그램내의 모든 홀로그램 셀은 동일하게 회절되도록 노출될 수 있거나, 또는 설치된 홀로그램 조립체의 곡률 또는 조명 광원의 비조준(non-collimation)성과 같은 특정 요구 조건에 따라 상이한 회절특성을 갖도록 노출될 수 있다. 더욱이, 홀로그램내의 홀로그램 셀은 한번에 하나 또는 다수의 셀이 노출될 수도 있다.
제7도에 의하면, 열을 이루고 있는 다수의 비인접 셀을 각각 노출시키는 연속 노출에 의해 협각 홀로그램의 경면 홀로그램 셀을 기록하기 위한 노출 시스템 또는 설정 장치가 설명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노출 설정 장치는 조준 광선 CB1과 함께 도시된 바와 같이, 제8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평철 구형 렌즈(53a)의 수평 선형 열(53)을 포함하고 있다. 이 평철 구형 렌즈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준 광선 CB1을 향하는 곡면을 갖고 있으며, 협각 홀로그램의 홀로그램 셀의 물체 광선의 소정의 수직 및 수평 각도 폭을 생성하기 위하여 각 평철 구형 렌즈(53a)에 필요로 하는 크기에 의해 결정되는 수평 방향으로의 중심과 중심의 간격 S1을 갖는다. 더욱이, 이 중심 간격 S1은 인접한 셀의 전체 개수의 중심 거리와 동일하다. 이 노출 설정 장치는 또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식 마스크(51)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홀로그램의 홀로그램(31, 32)의 셀 각각에 대해 동일한 크기의 균일하게 이격된 투명 영역(51a)를 제외하고는 불투명하며, 평철 렌즈(53a)와 동일한 중심 간격 S1을 갖도록 평철 구형 렌즈(53a)와 정렬되어 있다. 투명 영역의 개수는 평철 렌즈(53a)의 개수와 동일하다.
제7도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에 의하면, 홀로그래픽 기록 조립체(60)은 노출 차단 조립체(50) 아래에 배치되게 된다. 이 홀로그래픽 기록 조립체(60)은 유리판(63)과, 이 유리판(63) 상에 배치된 홀로그래픽 기록층(61)과, 이 홀로그래픽 기록층(61) 위에 배치된 얇은 덮개층(65)와, 그리고 유리판(63)의 바닥에 인접하며 표식 작용 유체(73)의 층에 의해 표식 작용되는 광 흡수층(71)을 구비한다. 이 노출 차단 조립체(50)은 마스크(51)과 마스크 지지판(55)로 구성된다. 홀로그래픽 기록 조립체(60)과 노출 차단 조립체는 노출 마스크(51)과 표식 작용 유체(57)의 아주 얇은 층에 의해 분리되어 상호 대향하는 얇은 덮개층(65)와 함께 정렬된다.
설명적인 예에 의하면, 홀로그래픽 기록 조립체(60)은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홀로그램의 셀에 대응하는 영역들이 마스크 투명 영역(51a)의 아래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예컨대 컴퓨터 구동식 모터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된다. 마스크 투명 영역에 의해 덮히지 않는 셀에 대한 조명을 제한하기 위해 마스크 및 차단판은 기존의 오일 입구 홈통(trough)의 불투명 상부 덮개의 개구에 고정되고, 이 상부 덮개는 충분히 커서 마스크 투명 영역(51a) 아래의 홀로그래픽 기록층의 일부분만 홀로그램 기록층의 모든 노출 위치에 대한 재구성 조명에 노출되는 것을 보장해 준다.
물체 광선 OB는 구형 렌즈(53)을 통과하는 조준 광선 CB1의 일부에 의해 생성되고, 각각의 초점 F 아래로 수렴되고, 이어서 마스크 투명 영역(51a)에 의해 덮혀지지 않는 홀로그램 기록층의 홀로그램 형성 셀에 대한 발산하는 물체 광선 OB를 제공하도록 확산하게 된다. 제6a도 및 제6b도에 대해 전술한 기하학적 고려사항에 근거하여 홀로그램 형성 셀의 크기와 마스크 투명 영역에 대한 구형 렌즈 열의 위치는 설치된 홀로그램의 경사에 따라 이미 축소되는 것을 고려하여 최종적인 홀로그램 셀의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의 소정의 각도 범위를 생성하도록 선택된다.
노출용 기준 광선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부터 조명되는 CHMSL의 설명적인 예에 근거한 각도를 갖는 조준 광선 CB1의 일부로써 구성된다. CHMSL 홀로그램의 상부는 도면의 평면에 수직한 홀로그램 기록층의 좌측 모서리에 대응하게 된다.
마스크 투명 영역(51a)에 의해 덮혀지지 않는 셀의 노출은 홀로그래픽 기록 조립체를 마스크 투명 영역 아래의 셀에 대응하는 홀로그램 기록층의 영역에 위치시키고 평철 구형 렌즈 열 및 조준 광선 CB2를 통해 재구성 조명과 함께 차단되지 않은 셀을 조명함으로써 달성된다. 홀로그램이 밝은 홀로그램 셀과 흐린 홀로그램 셀들의 열을 포함하는 특정 실시예에서, 홀로그램은 밝은 홀로그램 셀이 되도록 구성된 영역들의 전체 포맷을 가로질러 그리고 흐린 홀로그램 셀들이 되도록 구성된 영역의 매우 적은 중간톤의 소영역 안에 형성된다. 홀로그램이 밝은 홀로그램 셀들과 비홀로그램 셀들의 열을 포함하는 실시예에서는, 홀로그램은 의도한 비홀로그램 셀들의 영역들이 비간섭성 조명으로 노출을 감소시킴으로써 감도가 감소되므로 홀로그램 셀이 되도록 구성된 홀로그램 기록층의 영역들 안에만 형성될 수 있다.
설명적인 예에 의하면, 이 셀의 열은 연속적으로 노출되고, 이 각 열의 셀내에 최종적으로 이 열을 형성하는 셀의 부분 조합(subset)이 연속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크 투명 영역들 사이의 간격이 3개의 셀이 되는 특정예의 경우에, 임의의 i 번째 열에서 홀로그램 기록 조립체는 j가 1, 4, 7, 10 등과 일치하는 셀 C(i,j)로 구성되는 제1셀의 부분 조합을 덮지 않도록 이동될 수 있다. 홀로그램 기록 조립체가 고정된 후에 이 제1셀의 부분 조합은 재구성 조명으로 노출될 수 있다. 홀로그램 기록 조립체는 j가 2, 5, 8, 11 등과 일치하는 셀 C(i,j)로 구성되는 제2셀의 부분 조합을 덮지 않도록 이동될 수 있다. 홀로그램 기록 조립체가 고정된 후에 이 제2셀의 부분 조합은 홀로그램 형성 조명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 열에 한 셀씩 홀로그램 기록 조립체를 표식하고 재구성 광선으로 덮히지 않은 셀을 노출시키는 절차는 소정의 열에 있는 모든 셀을 홀로그램 형성 조명에 노출시키기에 필요한 만큼 계속 반복된다. 주어진 열 내의 모든 셀 영역이 홀로그램 형성 조명으로 조명되더라도, 홀로그램은 감도가 감소되지 않았던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열 내의 셀의 개수와, 마스크내의 투명 영역의 개수와, 그리고 마스크 투명 영역 사이의 간격에 따라 이후의 표식 위치의 하나 이상에 있어서 덮히지 않은 셀의 개수는 제1표식 위치내의 덮이지 않은 셀의 개수보다 적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홀로그램 기록 조립체가 마스크에 대해 이동하고 물체 광선 형성 렌즈가 정지해 있고 기준 광선이 조준 광선을 포함하는 전술한 절차에 있어서, 각 셀은 거의 동일한 기준 광선의 입사적으로 노출되고, 이 경우에 이 기준 광선 각도는 셀의 중앙을 관통하며 조준 광선 CB2의 중심축에 평행한 직선 및 셀의 평면 사이에서 형성된다. 비조준 기준 광선 형태가 이용되는 경우에, 이 기준 광선의 각도는 모든 셀에서 동일하지만, 대응하는 비조준 재생 광선 형태에 대한 재생 광선 각도는 모든 셀에서 동일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거의 동일한 입사각을 갖는 각각의 기준 광선으로 재구성되면 밝기가 감소하게 된다. 재생 광원을 기준 광선에 보다 유사하게 하기 위해, 이 기준 광선 입사각은 각 셀에 대한 기준 광선 입사각이 모든 셀에 대한 재생 광선 입사각에 근접시키도록, 예컨대 스미쓰 등에 의해 1992년 12월 22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저소음 투사식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홀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한 개선된 기술이고 본 출원인에게 양도되어 현재 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07/995, 11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셀의 각 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10도에는, 각 열에 있는 다수의 균일하게 이격된 비인접 셀 각각이 노출되도록 일련의 노출에 의해 확산 협각 홀로그램의 경면 홀로그램 셀의 기록을 위한 노출 설정 장치가 설명적 예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제10도의 노출 시스템은 제7도의 노출 시스템과 유사하며,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 노출 시스템의 차이점으로는, 홀로그래픽 광요소(153a)의 선형 열(153)이 조준된 재구성 광선 RB에 의해 재구성된다는 것과 필름형 마스크(151)이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영역(151a)를 제외하고는 불투명하다는 것이다. 홀로그래픽 광요소의 재구성 광선 입사 표면은 제11도에 도시되어 있다. 각 홀로그래픽 광요소(153a)는 간단한 원통형 렌즈 (즉, 이의 출력부가 반응 원통형 렌즈의 출력부에 필적함)를 포함하며, 예컨대 이의 원통축은 제10도의 평면과 평행하게 된다. 각 홀로그래픽 광요소(153a)의 출력 광선은 홀로그램 기록층에 입사되는 광선이 상기 도면의 평면에 수직한 축을 따라 발산하도록 이 도면의 평면에 평행한 선 초점 L에 수렴하고 계속해서 발산하는 광선을 포함한다. 이 홀로그래픽 광요소는 광각 홀로그램에 필요한 수평 각도 폭을 얻기에 충분하도록 마스크 투명 영역(151a)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 홀로그래픽 광요소(153a)와 마스크 투명 영역(151a)는 마스크 투명 영역에 의해 덮혀지지 않는 홀로그램 영역에서 이러한 광선의 교차없이도 마스크 투명 영역에 의해 덮혀지지 않는 영역에서의 수직 및 수평 각도 폭을 생성하도록 각 홀로그래픽 광요소(153a)에 필요한 간격 량에 의해 결정되는 중심대 중심의 간격 S2로 서로 정렬된다. 다시 말해서, 이 홀로그래픽 광요소(153a)는 이들의 출력 광선이 마스크 투명 영역(151a)에 의해 덮혀지지 않은 홀로그램 영역에서 중첩되지 않도록 서로 분리되어야 한다. 더욱이, 이 중심 대 중심의 간격 S2는 전체 개수의 인접한 홀로그램 셀의 중심 대 중심의 간격과 동일하다. 외주연 수평 영역에 대하여 광각 홀로그램의 회절을 제한하기 위하여, 마스크(153b)는 물체 광선 조명이 선택된 각도 영역 안에 위치하도록 홀로그래픽 광요소(153a)상에 위치한다. 각 마스크(153b)는 이에 부딛치는 홀로그래픽 광요소의 수직 범위를 연장시키고, 예를 들어 미연방 자동차 안전 표준 제108호에 규정된 것처럼 중심의 어느 한 측면상에 수평으로 10도 연장된 중앙 각도 영역과 같은 소정 각도 영역으로부터 물체 광선 조명을 차단하도록 선택된 측면 범위를 갖는다. 이 방식에서 광각 홀로그램에 의해 중앙의 입체각 영역 안으로 회절된 광량은 감소하며, 따라서 협각 홀로그램과의 중첩각을 거의 갖지 않는다.
설명적 예에 의하면, 제10도의 노출 설정 장치에 따라 제조된 외주연 수평 영역 홀로그램의 셀 열은 제7도의 노출 설정 장치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표식 작용 방법으로 노출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광각 홀로그램의 각 홀로그래픽 셀은 예컨대 수렴 광선으로 조명되는 원통형 렌즈의 출력 광선을 포함하는 물체 광선과 함께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설치된 수평 방향으로는 적절한 각도 폭을 갖고 수직 방향으로는 작은 각도 폭을 제공하는 광선을 생성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다소 작은 구형 능력(spherical power)을 갖는 원통형 렌즈에 필적하는 홀로그래픽 광요소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경면 광각 홀로그램은 중앙 각도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 안의 물체 광선 조명을 제한하도록 그 위에 위치한 적절한 마스크와 함께 제8도의 노출 설정 장치의 홀로그래픽 광요소로 대체될 수 있는 원통형 렌즈의 선형 열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4도에서, 도식적으로 도시된 설정 장치는 각 열에 있는 다수의 비인접 홀로그램 셀의 각각이 노출되도록 일련의 노출에 의해 확산 협각 홀로그램 셀을 기록하기 위한 노출 설정 장치이다. 이 노출 설정 장치는 조준 광선 CB1로 조명되는 확산 스크린(252)의 차단된 출력 광선을 수용하는 평철 구형 렌즈(253a)의 수평 선형 열(253)을 포함한다. 확산 스크린(252)는 이 스크린의 출력부측에서 본 도면인 제15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평철 구형 렌즈(253a)들의 초점 길이 만큼 이 렌즈들로부터 변위되어 있다. 확산 스크린(252)의 출력 광선은 마스크(254)의 출력부 측에서 본 도면인 제16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투명 영역(254a)의 수평 선형 열을 제외하고는 불투명한 필름형 마스크(254)에 의해 차단된다. 평철 구형 렌즈(253)의 만곡면들은 제14도에 도시된 것처럼 확산 스크린 쪽으로 향한다. 마스크 투명 영역(254a)는 노출되는 홀로그래픽 기록층에 형성될 전체 개수의 인접 셀들과 같은 중심 대 중심의 간격 S3을 갖도록 구형 렌즈(253a)와 정렬된다. 도시의 편이를 위하여, 확산 스크린(252)의 차단된 출력 광선가 평철 구형 렌즈(253a)의 출력 광선은 중심선으로 도시하였다.
노출 설정 장치는 제17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필름형 마스크(251)을 사용하는데, 이 마스크는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홀로그램(31, 32)의 각 셀과 동일한 크기이고 평철 렌즈(253a)와 동일한 중심 대 중심의 간격을 갖도록 평철 구형 렌즈(253a)에 나란히 균일하게 이격된 투명 영역(251a)를 제외하고는 불투명하다. 투명 영역의 개수는 평철 렌즈(253a)의 개수와 동일하다. 평철 구형 렌즈(253a)들과 마스크 투명 영역(254a)들 및 마스크 투명 영역(253a)들의 수평 중심대 중심의 간격 S3은 미연방 자동차 안전 표준 제108호에 규정된 중앙 각도 영역에 대응하는 각도 폭을 갖는 물체 광선 OB를 생성하도록 마스크 투명 영역의 치수가 선정되는 각 평철 구형 렌즈들의 크기 또는 초점수를 충분히 수용해야 한다. 특히, 확산 스크린(252)가 평철 구형 렌즈들의 초점 길이만큼 이 렌즈들로부터 변위되어 있기 때문에 각 렌즈는 대응 마스크 투명 영역(254a)에 의해 덮히지 않는 확산 스크린의 부분 상에 각 지점의 출력 광선을 시준하며, 따라서 차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마스크의 크기 및 렌즈들의 초점수는 물체 광선 OB의 각도 폭을 정하게 된다. 홀로그래픽 기록 필름과 평철 렌즈 사이의 간격은 각 마스크 투명영역(253a)가 대응 평철 렌즈로부터의 광으로 완전히 충전되도록 그리고, 홀로그래픽 기록층은 덮히지 않은 영역에서의 평철 렌즈의 출력부들의 중첩을 피하도록 선정된다.
제14도에 특히 양호하게 도시된 것처럼, 홀로그래픽 기록 조립체(60)은 제7도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노출 마스크 조립체(50) 아래에 배열된다. 홀로그래픽 기록 조립체(60)은 유리판(63)과 이 유리판(63) 상에 배열된 홀로그래픽 기록층(61)과 이 홀로그래픽 기록층(61)에 걸쳐 배열된 얇은 덮개층(65) 및 유리판(63)의 바닥부에 인접한 광 흡수층(71)을 포함하며 표식 작용 유체(73)의 층에 의해 유리판에 표식 작용된다. 노출 마스크 조립체(50)은 마스크(51)과 마스크 지지판(55)로 구성된다. 홀로그램 기록 조립체(60)과 노출 마스크 조립체(50)은 노출 마스크(51)과 서로 면하는 얇은 덮개층(65)와 같은 방향을 취하고 표식 작용 유체(57)의 매우 얇은 층에 의해 분리된다.
도식적인 예에서, 홀로그래픽 기록 조립체(60)은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홀로그램의 셀들에 대응하는 영역들이 마스크 투명 영역(51a) 아래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컴퓨터 구동식 모터에 의해 가동될 수 있다. 마스크 투명 영역에 의해 덮히지 않은 셀들에의 조명을 제한하기 위하여 마스크와 마스크 판은 종래의 오일 입구 홈통(69)의 불투명 상부 덮개의 개구에 고정되며, 여기에서 상부 덮개는 마스크 투명 영역(51a) 아래에 있는 홀로그램 기록층의 부분만이 홀로그램 기록층의 모든 노출 위치에 대하여 구성 조명에 노출되도록 충분히 크다.
노출용 기준 광선은 조준 광선 CB2의 부분들을 포함하며 그 각도는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로부터 조명되는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의 도식적인 예에 기초한다.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홀로그램의 상부는 도면의 평면에 수직한 홀로그램 기록층의 좌측 모서리에 대응한다.
도식적인 예에서, 제14도의 노출 설정 장치에 따라 제조된 확산 협각 홀로그램의 셀 열은 제7도의 노출 설정 장치에 대하여 상술한 것과 같은 표식 방식으로 노출된다.
홀로그램 기록층이 마스크에 대해 이동하고 물체 광선 형성 렌즈가 정지해 있고 기준 광선이 고정 조준 광선을 포함하는 전술한 절차에 있어서, 각 셀은 거의 동일한 기준 광선의 입사각으로 노출되고, 이 경우에 이 기준 광선 각도는 셀의 중앙을 관통하며 조준 광선 CB2의 중심축에 평행한 직선 및 셀의 평면 사이에서 형성된다. 비조준 기준 광선 형태가 이용되는 경우에, 이 기준 광선의 각도는 모든 셀에서 동일하게 되지만, 대응하는 비조준 재생 광선 형태에 대한 재생 광선 각도는 모든 셀에서 동일하지 않게 되고, 그럼으로써 거의 동일한 입사각을 갖는 각각의 기준 광선으로 재구성되면 밝기가 감소하게 된다. 재생 광원을 기준 광선에 보다 유사하게 하기 위해, 이 기준 광선 입사각은 각 셀에 대한 기준 광선 입사각이 모든 셀에 대한 재생 광선 입사각에 근접시키도록, 예컨대 스미쓰 등에 의해 1992년 12월 22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저소음 투사식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홀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한 개선된 기술이고 본 출원인에게 양도되어 현재 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07/995,11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셀의 각 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18도는 각 열에 있는 다수의 균일하게 이격된 비인접 셀 각각이 노출되도록 일련의 노출에 의해 확산 광각 홀로그램의 확산 광각 홀로그램 셀의 기록을 위한 노출 설정 장치가 설명적 예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제18도의 노출 시스템은 제14도의 노출 시스템과 유사하며,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 노출 시스템의 차이점으로는 램버티안(lambertian) 스크린(352)가 조준 광선 CB1로 조명되고 그 출력 광선이 필름형 마스크(354)와 배플(356)들에 의해 차단된다는 것이며, 이 마스크와 배플들은 마스크의 출력부 측에서 본 제19도 및 마스크(354)와 배플(356)들을 위에서 본 제20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 마스크(354)는 중심 대 중심의 간격 S4를 갖는 불투명 영역(354b)에 의해 분리되는 마스크 투명 영역(354a)의 수평 선형 열을 제외하고는 불투명하며, 상기 간격은 노출될 홀로그래픽 기록층에 형성되는 인접 셀들의 전체 개수와 동일하고, 배플(356)들은 조준 광선 CB1의 광축에 나란하게 마스크 투명 영역(345a) 상에 중심을 취한다. 도시의 편이를 위하여 램버티안 스크린(352)의 차단된 출력부는 상징적인 중심선으로 도시하였다.
제21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필림형 마스크(351)을 사용하는 제18도의 노출 설정 장치는 광각 홀로그램의 각 셀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균일하게 이격된 마스크 투명 영역(351a)들 이외에는 불투명하며, 불투명 영역(354b)에서와 동일한 중심 대 중심의 간격 S4를 갖도록 마스크(354)의 불투명 영역(354b)와 나란하다. 마스크 투명 영역(351a)의 개수는 불투명 영역(354b)의 개수와 동일하다. 마스크(354)와 배플(356)들은 홀로그래픽 기록층에 인접한 마스크 투명 영역(351a)를 각각 조명하는 물체 광선을 생성하도록 협동작용한다. 각 물체 광선은 중앙의 해칭영역의 양측면 상에 수평 및 수직으로 분포하는 광선을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각 물체 광선의 각도 폭은 마스크(354)의 마스크 투명 영역(354a)들 사이의 중심 대 중심의 수평 간격과, 마스크 투명 영역(154a)들의 높이와, 마스크(354)와 홀로그래픽 기록층에 인접한 마스크 투명 영역(351a)로부터의 램버티안 스크린의 간격에 의해 제어되며, 반면에 해칭 영역의 각도 범위는 마스크(354)의 중간 불투명 영역(354b)의 폭과, 마스크(154)와 램버티안 스크린의 간격에 의해 제어된다. 각 물체 광선의 각도 영역은 양 홀로그램들의 조합에 수평 광각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중앙 입체각 영역의 양측면 상의 2개의 수평 영역에 대응하도록 제어된다.
도식적인 예에 의하면, 제18도의 노출 시스템에 따라 제조된 확산 광각 홀로그램의 셀 열은 제7도의 노출 설정 장치에 대하여 상술한 것과 같은 표식 방식으로 노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도의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의 홀로그램(31, 32)는 제7도 및 제13도의 노출 시스템 중 하나를 사용하여 제조된 협각 홀로그램 원형부와 제11도 및 제17도의 노출 시스템 중 하나를 사용하여 제조된 광각 홀로그램 원형부로부터 만들어진 홀로그램 복제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협각 홀로그램 원형부와 광각 홀로그램 원형부는 각각 별도의 복제부들을 만들도록 별개로 복제될 수 있거나, 또는 복합 홀로그램을 만들도록 함께 적층되어 복제될 수 있다. 이들 경우에, 협각 홀로그램 원형부와 광각 홀로그램 원형부의 효율은 홀로그램 복제부들이 필요한 효율들을 제공하도록 선정될 필요가 있다.
제22도에 의하면, 상술한 노출 시스템에 따라 각각 제작된 홀로그램 원형부들로부터 홀로그램 복제부를 제작하기 위한 복제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복제 시스템은 원형부 홀로그램(111), 이 원형부 홀로그램으로부터 최소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인접 홀로그래픽 기록층(113), 및 표식 작용 유체(115)의 얇은 매개층을 구비하고 있다. 홀로그래픽 기록층(113)이 불투명 지지층(119)에 의해 지지되는 반면에 이 원형부 홀로그램은 유리판(117)에 의해 지지된다. 사용시, 원형부 홀로그램(111)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기준 광선에 필적하는 복제기준 광선 RB는 원형부 홀로그램(111)의 재구성에 필요한 적절한 광선 각도를 생성시키는 각도로 유리판을 향하게 된다. 이 복제 기준 광선은 유리판(117)을 통과하고 원형부 홀로그램(111)에 의해 부분적으로 회절된다. 원형부 홀로그램으로부터의 회절 광선 및 비회절 광선은 홀로그램 복제부를 제작하기 위해 홀로그래픽 기록층내에서 간섭된다.
협각 홀로그램 복제부의 최대 효율에 대해서는, 협각 홀로그램 원형부로 사용되는 협각 홀로그램은 듀폰사의 HRF 600 광 중합체 홀로그래픽 기록층의 경우 1:1 광선 비율을 갖도록 50%의 효율을 가져야 한다. 30 내지 40% 범위의 효율을 갖는 광각 홀로그램의 경우 광각 홀로그램이 재구성 광원(30)에 아주 인접하게 위치하는 실시예에서, 광각 홀로그램 원형부를 사용하는 광각 홀로그램은 듀폰사의 HRF 600 광 중합체 홀로그래픽 기록층의 경우 대략 10 내지 20%의 효율을 가져야 한다. 적어도 90%의 효율을 갖는 광각 홀로그램 복제부의 경우 협각 홀로그램이 재구성 광원(30)에 아주 인접하게 위치하는 실시예에서, 광각 홀로그램 원형부를 사용하는 광각 홀로그램은 듀폰사의 HRF 600 광 중합체 홀로그래픽 기록층의 경우 대략 50%의 효율을 가져야 한다.
상술한 것처럼, 협각 홀로그램 원형부와 광각 홀로그램 원형부는 각각의 개별 복제부를 제작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복제될 수 있고, 또는 제1광각 홀로그램 및 제2홀로그램(31, 32) 대신에 이용될 수 있는 복합 홀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해 서로 박판으로 형성되어 복제될 수 있다. 제20도의 복제 시스템은 협각 홀로그램 원형부 및 광각 홀로그램 원형부를 홀로그램 원형부(111)로 이용함으로써 복합 홀로그램 복제부를 이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최종적인 복제 홀로그램에 있어서, 광각 홀로그램 셀 및 협각 홀로그램 셀이 중첩된다.
복합 복제부를 제작함에 있어서, 협각 및 광각 홀로그램 원형부의 효율들은 한 홀로그램 원형부로부터 회절된 광선이 협각 홀로그램 셀과 광각 홀로그램 셀이 중첩된 실시예에서 교차 변조 노이즈(cross-modulation noise) 홀로그램을 생성하기 위해 다른 홀로그램 원형부로부터 회절된 광선과 간섭할 수 있으므로 적절히 선택되어야 한다. 복합 홀로그램 복제부를 구성함에 있어 물체 광선을 구비하는 양 홀로그램 원형부의 회절된 출력 광선을 감소시킴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완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듀폰사 HRF 600 광 중합체 홀로그래픽 기록층의 경우에 있어서, 대략 25%인 협각 홀로그램 원형부의 효율과 대략 5%인 광각 홀로그램 원형부의 효율은 교차 변조 노이즈 홀로그램을 감소시키고, 반면에 이 복제부의 소정의 회절 방향으로의 효율에 대한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유지시킨다. 각 홀로그램 원형부가 홀로그램 및 비홀로그램 셀들로 구성되고, 협각 홀로그램의 홀로그램 셀 및 비홀로그램 셀 패턴이 광각 홀로그램의 홀로그램 셀 및 비홀로그램 셀 패턴의 음화인 실시예에서는, 교차 변조 노이즈 홀로그램이 거의 발생되지 않으며, 각 홀로그램 원형부는 약50%의 효율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복제 방법에서, 각 원형부 홀로그램은 홀로그램 및 비홀로그램 셀의 소정 패턴을 갖고 있다. 별도의 협각 및 광각 복제부를 별도의 홀로그램 원형부로부터 제작하는 복제 공정의 다른 방법으로, 복제부 홀로그램은 소정 비홀로그램 셀을 형성하도록 홀로그래픽 기록층을 미리 노출시키고, 그 후에 홀로그램 원형부의 모든 셀이 홀로그램 셀인 적절한 홀로그램 원형부를 이에 복제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비홀로그램 셀은 예비 노출의 감도를 감소시킴으로써 형성되므로 홀로그램은 홀로그램 셀이 형성된 홀로그래픽 기록층의 영역에만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홀로그램 조립체가 설명을 위하여 실상(orthoscopic image)을 제공하는 경면 화상 홀로그램으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허상(pseudoscopic image)을 제공하는 경면 화상 홀로그램을 또한 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홀로그램 조립체의 홀로그램(31, 32)중의 경면 화상 홀로그램은 이 홀로그램의 원래의 상부가 바닥부에 있고 최초에 차량의 내부를 향하는 홀로그램 표면이 이제는 차량의 외부를 향하도록 수평축에 대해 180도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회전된 경면 화상 홀로그램의 각 셀은 마치 수렴 광선이 셀의 경계에 의해 차단되는 것처럼 결정되는 수평 및 수직 폭을 갖고서 홀로그램의 뒤쪽(즉,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한 점 광원 또는 선 광원의 화상을 형성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단일 협각 홀로그램을 제1도의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에 홀로그램 조립체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외주연 영역의 범위는 산란 조명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제1 및 제2홀로그램 중 하나 또는 두 개 모두는 모든 홀로그램 셀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모든 홀로그램 셀들을 포함하도록 홀로그램의 구성시에 예비 노출 감소 단계를 생략함으로써 가능해진다.
필요로 하는 전력을 최소로 하면서 전반적으로 요구되는 광도 및 각도 도달 범위에 대한 요구 조건들을 충족하는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에 대해 이상과 같이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의 홀로그램 표면은 기존의 정지등의 외관과 유사한 블록한 외관을 형성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고, 각각의 홀로그램 층을 각각의 홀로그램 복제부 층에 개별적으로 복제함으로써 또는 다수의 홀로그램 층을 단일 층을 갖는 홀로그램 복제부에 복제함으로써 효율적인 제작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이 비록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한 것이지만, 이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이후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한정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상기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도 가능하다.

Claims (28)

  1. 차량용의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에 있어서, 재구성 광선을 제공하기 위한 광원(30)과, 비중첩 홀로그램 셀과 비홀로그램 셀로 구성되고 각 홀로그램 셀은 상기 재구성 광선의 일부의 회절에 따라 제1소정 각도 범위내에서 가시성인 경면 화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밝은 영역과 어두운 영역의 패턴을 생성하도록 제1소정 패턴으로 배열된 제1열(31)과, 비중첩 홀로그램 셀과 비홀로그램 셀로 구성되고 각 홀로그램 셀은 상기 재구성 광선의 일부의 회절에 따라 제2소정 각도 범위내에서 가시성인 확산 화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밝은 영역과 어두운 영역의 패턴을 생성하도록 제2소정 패턴으로 배열된 제2열(3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홀로그램들에 의해 생성된 경면 화상과 확산 화상이 정지등 조명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홀로그램 및 비홀로그램 셀로 된 제1열이 제1홀로그램 층에 형성되고 홀로그램 및 비홀로그램 셀로 된 제2열이 제2홀로그램 층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홀로그램 층이 서로 적층식으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홀로그램 및 비홀로그램 셀로 된 제1열과 홀로그램 및 비홀로그램 셀로 된 제2열이 단일 홀로그램 층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시 정지등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정 각도 영역이 수직 및 수평 연장부를 갖는 중앙 각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소정 각도 영역이 상기 중앙 각도 영역의 한 측면상에 수평인 제1 및 제2외주연 각도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제1열의 각 홀로그램 셀이 마스크 점 광원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소정 각도 영역이 수직 및 수평 연장부를 갖는 중앙 각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소정 각도 영역이 상기 중앙 각도 영역의 어느 한 측면상에 수평인 제1 및 제2외주연 각도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제1열의 각 홀로그램 셀가 마스크 선 광원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
  8. 차량용의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에 있어서, 재구성 광선을 제공하기 위한 광원(30)과, 비중첩 밝은 홀로그램 셀과 흐린 홀로그램 셀로 구성되고 각 홀로그램 셀은 상기 재구성 광선의 일부의 회절에 따라 제1소정 각도 범위내에서 가시성인 경면 화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밝은 영역과 흐린 영역의 패턴을 생성하도록 제1소정 패턴으로 배열된 제1열(31)과, 비중첩 밝은 홀로그램 셀과 흐린 홀로그램 셀로 구성되고 각 홀로그램셀은 상기 재구성 광선의 일부의 회절에 따라 제2소정 각도 범위내에서 가시성인 확산 화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밝은 영역과 흐린 영역의 패턴을 생성하도록 제2소정 패턴으로 배열된 제2열(3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홀로그램들에 의해 생성된 경면 화상과 확산 화상이 정지등 조명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밝은 홀로그램 셀 및 흐린 홀로그램 셀로 된 제1열이 제1홀로그램 층에 형성되고, 밝은 홀로그램 셀 및 흐린 홀로그램 셀로 된 제2열이 제2홀로그램 층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홀로그램 층이 서로 적층식으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밝은 홀로그램 셀 및 흐린 홀로그램 셀로 된 제1열과 밝은 홀로그램 셀 및 흐린 홀로그램 셀로 된 제2열이 단일 홀로그램 층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정 각도 영역이 수직 및 수평 연장부를 갖는 중앙 각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소정 각도 영역이 상기 중앙 각도 영역의 한 측면상에 수평인 제1 및 제2외주연 각도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열의 각 홀로그램 셀이 마스크 점 광원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
  13.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소정 각도 영역이 수직 및 수평 연장부를 갖는 중앙 각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소정 각도 영역이 상기 중앙 각도 영역의 어느 한 측면상에 수평인 제1 및 제2외주연 각도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제1열의 각 홀로그램 셀이 마스크 선 광원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
  15. 차량용의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에 있어서, 재구성 광선을 제공하기 위한 광원(30)과, 비중첩 밝은 홀로그램 셀과 흐린 홀로그램 셀로 구성되고 각 홀로그램 셀은 상기 재구성 광선의 일부의 회절에 따라 제1소정 각도 범위내에서 가시성인 경면 화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밝은 영역과 흐린 영역의 패턴을 생성하도록 제1소정 패턴으로 배열된 제1열(31)과, 비중첩 밝은 홀로그램 셀과 비홀로그램 셀로 구성되고 각 홀로그램 셀은 상기 재구성 광선의 일부의 회절에 따라 제2소정 각도 범위내에서 가시성인 확산 화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밝은 영역과 어두운 영역의 패턴을 생성하도록 제2소정 패턴으로 배열된 제2열(3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홀로그램들에 의해 생성된 경면 화상과 확산 화상이 정지등 조명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밝은 홀로그램 셀 및 흐린 홀로그램 셀로 된 제1열이 제1홀로그램 층에 형성되고, 밝은 홀로그램 셀 및 비홀로그램 셀로 된 제2열이 제2홀로그램 층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홀로그램 층이 서로 적층식으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밝은 홀로그램 셀 및 흐린 홀로그램 셀로 된 제1열과 밝은 홀로그램 셀 및 비홀로그램 셀로 된 제2열이 단일 홀로그램 층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정 각도 영역이 수직 및 수평 연장부를 갖는 중앙 각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소정 각도 영역이 상기 중앙 각도 영역의 한 측면상에 수평인 제1 및 제2외주연 각도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제1열의 각 홀로그램 셀이 마스크 점 광원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
  20.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소정 각도 영역이 수직 및 수평 연장부를 갖는 중앙 각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소정 각도 영역이 상기 중앙 각도 영역의 어느 한 측면상에 수평인 제1 및 제2외주연 각도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제1열의 각 홀로그램 셀이 마스크 선 광원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
  22. 차량용의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에 있어서, 재구성 광선을 제공하기 위한 광원(30)과, 비중첩 밝은 홀로그램 셀과 비홀로그램 셀로 구성되고 각 홀로그램 셀은 상기 재구성 광선의 일부의 회절에 따라 제1소정 각도 범위내에서 가시성인 경면 화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밝은 영역과 어두운 영역의 패턴을 생성하도록 제1소정 패턴으로 배열된 제1열(31)과, 비충접 밝은 홀로그램 셀과 흐린 홀로그램 셀로 구성되고 각 홀로그램 셀은 상기 재구성 광선의 일부의 회절에 따라 제2소정 각도 범위내에서 가시성인 확산 화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밝은 영역과 흐린 영역의 패턴을 생성하도록 제2소정 패턴으로 배열된 제2열(3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홀로그램들에 의해 생성된 경면 화상과 확산 화상이 정지등 조명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밝은 홀로그램 셀 및 비홀로그램 셀로 된 제1열이 제1홀로그램 층안에 형성되고, 밝은 홀로그램 셀 및 흐린 홀로그램 셀로 된 제2열이 제2홀로그램 층안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홀로그램 층이 서로 적층식으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
  24. 제22항에 있어서, 밝은 홀로그램 셀 및 비홀로그램 셀로 된 제1열과 밝은 홀로그램 셀 및 흐린 홀로그램 셀로 된 제2열이 단일 홀로그램 층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정 각도 영역이 수직 및 수평 연장부를 갖는 중앙 각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소정 각도 영역이 상기 중앙 각도 영역의 한 측면상에 수평인 제1 및 제2외주연 각도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제1열의 각 홀로그램 셀이 마스크 점 광원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
  27.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소정 각도 영역이 수직 및 수평 연장부를 갖는 중앙 각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소정 각도 영역이 상기 중앙 각도 영역의 어느 한 측면상에 수평인 제1 및 제2외주연 각도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제1열의 각 홀로그램 셀이 마스크 선 광원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래픽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시스템.
KR1019940030734A 1993-11-22 1994-11-22 조합형 경면 및 확산 화상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KR0152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155,318 US5497251A (en) 1993-11-22 1993-11-22 Combination specular and diffuse image CHMSL
US08/155,318 1993-11-22
US8/155,318 1993-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659A KR950014659A (ko) 1995-06-16
KR0152124B1 true KR0152124B1 (ko) 1999-05-01

Family

ID=22554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0734A KR0152124B1 (ko) 1993-11-22 1994-11-22 조합형 경면 및 확산 화상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497251A (ko)
JP (1) JP2579130B2 (ko)
KR (1) KR0152124B1 (ko)
CA (1) CA213594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1148B2 (en) * 2000-01-07 2002-07-1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Volume holographic diffusers
JP4501474B2 (ja) * 2004-03-16 2010-07-14 Tdk株式会社 ホログラフィック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8132678A1 (en) * 2007-05-01 2008-11-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ar lighting unit for generating a beam of light and a holographic 3d image
US8317379B2 (en) * 2008-02-01 2012-11-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ar lighting unit for generating a beam of light and a holographic 3D image
WO2011008473A1 (en) 2009-06-29 2011-01-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guide and light source incorporating same
KR102441571B1 (ko) * 2017-10-12 2022-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리어 램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122007A5 (ko) * 1971-01-14 1972-08-25 Thomson Csf
US4677629A (en) * 1985-09-30 1987-06-3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Means for phase locking the outputs of a surface emitting laser diode array
US4807978A (en) * 1987-09-10 1989-02-28 Hughes Aircraft Company Color display device and method using holographic lenses
US5186533A (en) * 1990-01-30 1993-02-16 Nissan Motor Co., Ltd. Lamp arrangement for motor vehicle
US5106174A (en) * 1990-04-16 1992-04-21 Hughes Aircraft Company Ideal distribution CHMSL hologram with double exposure technique
US5196951A (en) * 1991-06-26 1993-03-23 Hughes Aircraft Company Reflection holograms without transmission ghosts
US5291316A (en) * 1991-09-27 1994-03-01 Astronautics Corporation Of America Information display system having transparent holographic optical element
US5289298A (en) * 1992-12-22 1994-02-22 Hughes Aircraft Company Multiplex grating holographic floodlit center high mounted stopl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79130B2 (ja) 1997-02-05
US5497251A (en) 1996-03-05
CA2135940C (en) 1998-09-22
KR950014659A (ko) 1995-06-16
JPH07205716A (ja) 1995-08-08
CA2135940A1 (en) 1995-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02990C (en) Holographic full color data retrieval and projection system
US5303129A (en) Lamp arrangement for motor vehicle
US5455747A (en) Vehicle lighting device
KR950002502B1 (ko) 홀로그래픽 자동차 정지등 시스템 및 홀로그램 기록방법
CN110177711B (zh) 照明装置
US20190265500A1 (en) Illumination device
KR0152125B1 (ko) 이중 화상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US5289298A (en) Multiplex grating holographic floodlit center high mounted stoplight
KR0152124B1 (ko) 조합형 경면 및 확산 화상 중앙 상부 장착식 정지등
US5495227A (en) Multiple format holographic CHMSLS
EP0654688B1 (en) Combination specular and diffuse image CHMSL
US5387989A (en) Modified technique for fabricating low noise floodlit CHMSL holograms
JP3076238B2 (ja) 車両用信号灯具
US5333071A (en)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EP0653650A1 (en) Dual image chmsls
JP2579131B2 (ja) 拡散イメージを使用した二重イメージ中央高位置制動灯
JPH08272328A (ja) 屋外用発光表示器
EP4153904A1 (en) Illumination device, method and system
GB2609762A (en) Illumination device, method and system
JPH0939651A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