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1763B1 - 베니어판 상승장치 - Google Patents

베니어판 상승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1763B1
KR0151763B1 KR1019950035243A KR19950035243A KR0151763B1 KR 0151763 B1 KR0151763 B1 KR 0151763B1 KR 1019950035243 A KR1019950035243 A KR 1019950035243A KR 19950035243 A KR19950035243 A KR 19950035243A KR 0151763 B1 KR0151763 B1 KR 0151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eer
protrusion
veneer plate
holding memb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5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353A (ko
Inventor
가주야 가와이
Original Assignee
하세가와 가쮸지
가부시기가이샤 메이난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세가와 가쮸지, 가부시기가이샤 메이난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하세가와 가쮸지
Priority to KR1019950035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1763B1/ko
Publication of KR970020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1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17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7/00Wood-turning machines; Equipment therefor
    • B27C7/04Devices for centering or chuck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5/00Machines designed for producing special profiles or shaped work,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27C5/02Machines with table
    • B27C5/06Arrangements for clamping or feed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1/00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 B27D1/04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to produce plywood or articles made therefrom; Plywood she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neer Processing And Manufacture Of Plywood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베니어판 상승장치는 예각의 선단을 갖는 돌자체와, 퇴적된 베니어판의 표층에 접하는 규제저부를 가지고 상기 돌자체의 상기 규제 저부로부터의 돌출량을 규제하며, 베니어판을 관통하는 경우는 한자의 베니어판 두께와 대략 동일한 치수만큼 이 돌자체를 돌출시켜 유지하는 유지부재와, 상기 유지부재를 베니어판의 위쪽과 상기 베니어판의 표층 사이를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수단과, 상기 상하이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로 구성되고, 상기 유지부재는 상하이동수단에 의해 베니어판의 윗쪽으로 이동 될 시에 상기 돌자체의 돌출량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베니어판 상승장치
제1도는 종래의 베니어판 상승장치를 베니어판의 섬유직교방향에서 본 설명도.
제2도는 종래의 베니어판 상승장치를 베니어판의 섬유직교방향에서 본 부분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베니어판 상승장치의 전체도.
제4도는 제3도의 요부확대도로서 유지수단(9)과 접속부재(11)를 절단한 일부 단면도.
제5도는 제4도를 V-V선에서 절단하여 볼때 유지수단(9)및 연결부재(11)를 절단한 일부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니어판상승장치의 작동을 설명한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베니어판상승장치의 작동을 설명한 도면.
제8도는 제1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의 수평이동수단의 변경예의 설명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이 따른 베니어판 상승장치를 섬유직교방향에서 본 설명도.
제10도는 베니어판 섬유직교방향에서 볼 때 유지부재(15) 및 접속부재(11)를 절단한 제4도의 베니어판상승장치의 일부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XI-XI에서 절단하여 볼 때 유지부재(15) 및 접속부재(11)를 절단한 일부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베니어판 상승장치에 있어서 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베니어판 상승장치에 있어서 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로서 베니어판섬유 직교방향에서 본 베니어판 상승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5도는 XV-XV 선에서 절단하여 볼 때 제14도의 베니어판 상승장치의 도면.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로서 베니어판섬유 직교방향에서 본 베니어판 승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7도는 XVII-XVII 선에서 절단하여 볼 때 제16도의 베니어판 상승장치의 도면.
제18도는 제3실시예를 베니어판 섬유직교방향에서 볼 때 유지부재(3) 및 연결부재(51)를 절단한 일부단면도.
제19도는 제18도의 일부확대도.
본 발명은 베니어판 상승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베니어판을 한장씩 돌자체(突刺體)롤 관통하여 들어올리는 장치로서 일본국 실용신안공개소 57-15775호 공보에 기재된 장치가 공지되어있다. 상기 장치는 예를들면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구조로서 스토퍼(2) 에서 침형상의 돌자체(1)가 베니어판의 두께와 동일한 치수로 돌출하고, 실린더에서 스토퍼(2) 및 돌자체(1)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퇴적되어 있는 베니어판의 섬유방향 중 한쪽 단부를 관통하여 들어올린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즉,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베니어판(5)을 관통하여 들어올릴 때 베니어판의 섬유 직교방향은 강도가 약하므로 돌자체(1)의 근원(根元)을 지지점으로 아래로 늘어지지만 베니어판의 섬유방향은 강도가 강하므로 자제중력이 큰 베니어판의 섬유방향에 중앙부측(제2도의 경우는 좌측)이 아래로 늘어지며, 그 결과 단부측(제2도의 경우 우측)은 상방향으로 접혀 상승한다. 그 때문에 돌자체(1)의 근원으로부터 베니어판의 섬유방향에서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 스토퍼(2)의 X부를 지지점으로하여 돌자체(1)로부터 베니어판(1)이 빠지게 되며, 그 결과 돌자체(1)에 의해 베니어판(5)에 가해지는 유지력이 약해져 돌자체(1)로부터 베니어판이 떨어지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베니어판을 관통하는 돌자체의 근원을 지지점으로하여 베니어판의 섬유방향의 중앙부측이 아래로 늘어지고 단부측은 상방향으로 접혀 올라가도 상기 근원으로부터 베니어판 섬유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지지점이 발생하지 않는 형태로 돌자체 와 베니어판의 관계를 구성함으로써 그 지레의 원리에 의해 돌자체로부터 베니어판이 빠지는 힘이 작용하지 않도록하여 돌자체에 의해 베니어판에 가해지는 유지력이 약하게 되거나 또는 돌자체로부터 베니어판이 낙하하는 경우가 거의 없는 베니어판 상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퇴적된 베니어판을 표층에서 들어올리는 장치에 있어서, 예각의 선단을 갖는 돌자체와, 표층의 베니어판과 접하고 돌자체의 관통량을 규제하는 규제저부를 가지며, 베니어판이 관통될 경우 베니어판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게 돌자체를 관통시키면서 베니어판을 유지하는 유지부재와, 유지부재를 베니어판의 위쪽과 상기 표층 면 사이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수단과, 상하이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로 구성되고, 상하이동수단에 의해 유지부재가 베니어판 위로 이동할 경우 유지부재가 돌자체의 돌출길이를 증대시킨다.
전술한 베니어판 상승장치에 있어서, 유지부재에 상하방향가이드부, 최상위치규제부 및 최하위치규제부를 설치하고, 상하방향가이드부로 안내되는 피가이드부와 상기 양 규제부에 의해 최상위치 및 최하위치가 규제되는 피상한규제부 및 피하한규제부를 설치하고, 피가이드부 및 상하방향가이드부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베니어판 상승장치로서, 전술한 장치외에도 상하 방향가이드부와 피가이드부가 상호 결합하여 이동할 수도 있다.
또, 유지부재와 상하이동수단 사이에 접속수단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상위치규제부는 접속부재 상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지부재에는 그 예각의 선단에 나사부가 형성되며, 최상위치피규제부가 바람직하게는 평탄면으로 형성된다. 최상위치규제부는 최상위치피규제부와 한점에서 접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돌자체는 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베니어판 상승장치에 있어서는, 퇴적된 베니어판을 표층에서 들어올리고, 예각의 선단을 갖는 돌자체와, 표층의 베니어판과 접하고 돌자체의 관통량을 규제하는 규제저부를 가지며, 베니어판이 관통될 경우 베니어판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게 돌자체를 관통시키면서 베니어판을 유지하는 유지부재와, 유지부재를 베니어판의 위쪽과 상기 표층 면 사이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수단과, 상하이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로 구성되고, 하단부의 규제저부에는 베니어판 섬유직교방향으로 뻗으면서 규제저부 부근에 위치하는 최소한 한개의 표면이 배치되어 베니어판 섬유직교방향으로 상승할 경우 이 규제저부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예에 따르면, 퇴적된 베니어판을 표층에서 들어올리는 베니어판 상승장치에 있어서는 예각의 선단을 갖는 돌자체와, 표층의 베니어판과 접하고 돌자체의 관통량을 규제하는 규제저부를 가지며, 베니어판이 관통될 경우 베니어판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게 돌자체를 관통시키면서 베니어판을 유지하는 유지부재와, 유지부재를 베니어판의 위쪽과 상기 표층면 사이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수단과, 상하이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로 구성되고, 베니어판섬유방향으로 돌자체는 유지부재와 최소한 동일한 치수를 갖는다.
베니어판이 돌자체를 통해 퇴적된 베니어의 표층으로부터 상승할 경우 섬유방향으로 베니어판의 중앙부측이 베니어를 관통하는 돌자체의 지지축으로서의 근원을 중심으로 늘어지고, 베니어판의 단부측이 위쪽으로 올라간다.그러나, 베니어의 섬유방향으로 돌자체의 근원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지지점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돌자체에 의해 지레원리에 의한 힘이 베니어판에 가해지지 않는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는 청구항1의 발명에 관한 실시예, 제4실시예 및 제5실시예는 청구항2의 발명에 관한 실시예, 제6실시예는 청구항3의 발명에 관한 실시예이다. 먼저, 제1실시예(청구항1의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제3도 내지 제7도에 따라 설명한다. 제3도는 베니어판 섬유직교방향에서 본전체도, 제4도는 베니어판 섬유직교방향에서 볼 때 유지부채(9) 및 연결부재(11)를 절단한 일부단면도, 제5도는 제4도를 V-V 선에서 본 것으로서, 유지부재(9) 및 연결부재(11)를 절단한 일부단면도이다. 제6도는 돌자체(7)에서 베니어판(5)을 관통할 경우 유지부재(9) 및 연결부재(11)를 절단한 일부단면도, 제7도는 돌자체(7)에서 관통한 베니어판(5)을 상승시킬 경우의 유지부재(9) 및 연결부재(11)를 절단한 일부단면도이다.
4는 베니어판을 퇴적하는 승강대, 5는 승강대(4)에 퇴적된 베니어판이고, 섬유방향은 제3도에 있어서 좌우방향이다. 6은 기기체, 17은 상하이동수단인 실린더로서 그 피스톤로드는 회전방지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19는 기기체(6)에 대략 수평이동가능하게 부착된 이동대이고, 상하이동실린더(17)의 실린더 튜브가 부착되어 있다. 21은 수평이동수단인 수평이동실린더이고, 그 실린더 튜브는 기기체(6)에 그리고 피스톤로드는 이동대(19)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25는 베니어판의 유무를 검지하기 위한 광전관 또는 리미트 스위치 등의 검지기, 31은 다음 공정으로 베니어판(5)을 반출하기 위한 반출롤이며, 회전가능(도시생략)하게 기기체(6)에 부착되고 또한 모터(도시생략)가 연결되어 있다 . 39는 반출롤(31)로서 베니어판(5)을 지지하는 작용을 하는 한편 암(3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암(35)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기체(6)에 고정된 축(33)을 회전중심으로서 타격실린더(3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11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하이동실린더(17)의 피스톤로드에 부착되고, 후술하는 돌자체(7)의 최상위치를 규제하는 최상위치규제부(11a)를 갖는 연결부재로서 후술하는 유지부재(9)의 일부를 구성한다. 7은 예각의 선단(7e)을 갖는 돌자체로서, 피가이드부(7c, 7d), 피상한규제부(7g) 및 피하한규제부(7f)로 구성되어 있다. 9는 돌자체(7)의 관통량을 규제하는 규제저부(9b)를 갖는 유지부재이고, 또 상하방향가이드부(9c, 9d) 및 최하위규제부(9e)로 구성되어 돌자체(7)와 유지부재(9)가 피가이드부(7c, 7d) 및 상하방향가이드부(9c, 9d)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고, 또 피상한규제부(7g)와 최상위치규제부(11a)가 접촉한 상태(제6도)에서, 돌자체(7)의 예각의 선단(7e)은 베니어판(5)의 대략 두께에 상당하는 길이만큼, 규제저부(9b)에서 상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 돌자체(7)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나사(7a)가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돌자체(7)의 양측으로부터 나사가 삽입되기에 적합한 간격으로 조정된다. 또 다수의 상하이동실린더(17)가 이동대(19)의 베니어판 섬유직교방향으로 배치되고(도시생략), 각각에 연결부재(11), 유지부재(9), 돌자체(7)가 설치되어 있다. 또, 베니어판의 유무를 나타내는 검지기(25)의 검지신호에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같이 상하이동실린더(17), 수평이동실린더(21) 및 타격실린더(37)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도시생략)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초기상태는 제3도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상하이동실린더(17) 및 수평이동실린더(21)의 피스톤로드는 각각 축소되고, 타격실린더(37)의 피스톤로드는 신장한다. 또, 베니어판(5)이 퇴적된 승강대(4)는 적절한 검출장치(도시생략)로서 높이가 제어되고 있으므로 퇴적된 베니어판(5)의 표면은 항상 적절한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돌자체(7)는 베니어판(5)의 섬유방향좌측단부의 위쪽에 위치하며, 이 위치를 상승대위치라 한다. 또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돌자체(7)의 자체중력으로 피하한규제부(7f)와 최하위치규제부(9e)가 접하고 있다. 또한 제어기로부터의 신호는 검지기(25)의 베니어판의 유무를 나타내는 검지기(25)의 검지신호에 따라서, 타이머 등의 지연장치(도시생략)을 통해서, 상하이동실린더(17), 수평이동실린더(21) 및 타격실린더(37)의 각 피스톤로드의 신장 또는 축소에 필요한 시간이 설정되고, 또한 각 작동순서에 따라서 제어기로부터 출력된다.
초기상태에서는 검지기(25)로부터 베니어판 유무의 검지신호가 제어기에 송달된다. 그리고, 제어기로부터의 신호로 상하이동실린더(17)의 피스톤로드를 신장시키고, 이것이 유지부재(9)의 하강을 가능하게 한다. 그 결과 돌자체(7)의 예각의 선단(7e)이 베니어판(5)에 접하지만 돌자체(7)는 베니어판(5)에 가압되어 유지부재(9) 내를 상하방향 가이드부(9c, 9d)에 따라서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돌자체(7)의 피상한규제부(7g)가 최상위치규제부(11a)에 접하면 이동이 규제되며, 또한 유지부재(9)가 하강하면 돌자체(7)의 예각의 선단(7e)이 베니어판(5)에 관통하고, 유지부재(9)의 규제저부(9b)가 베니어판(5)의 표면에 접한다. 이후 유지부재(9)가 약간 하강하여도 유지부재(9)와 베니어판(5)과의 상대위치는 변하지 않으므로 돌자체(7)에서 베니어판(5)이 한장씩만 관통(제6도참조)할 수 있다.
상하이동실린더(17)의 피스톤로드의 신장종료후, 제어기로부터의 신호로 상하이동실린더(17)의 피스톤로드를 축소시키면, 유지부재(9)가 상승하여 유지부재(9)의 규제저부(9b)가 베니어판(5)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된다. 또 유지부재(9)가 상승하면 돌자체(7)의 피하한규제부(7f)가 유지부재(9)의 최하위규제부(9e)에 접하고, 돌자체(7)가 베니어판(5)을 관통한 상태로 상승(제7도)한다. 즉, 베니어판(5)은 규제저부(9b)로부터 분리된 위치에서 돌자체(7)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된다. 그 때 베니어판(5)은 제7도의 우측이 섬유방향 중앙이므로 우측이 늘어지고, 좌측이 접혀지지만 상기 상태로 베니어판(5)이 관통되므로 돌자체(7)의 근원으로부터 베니어판 섬유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지지점이 발생하지 않으며, 지레의 원리에 의해 돌자체(7)로 부터 베니어판(5)을 빼내는 힘은 작용하지 않는다.
상하이동실린더(17)의 피스톤로드의 축소종료후, 제어기로부터의 신호에서 수평이동실린더(21)의 피스톤로드를 신장시키고, 이동대(19), 상하이동실린더(17), 돌자체(7) 및 상승한 베니어판(5)을 삽입 대기위치(제3도의 2점쇄선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검지기(25)에서 베니어판이 있다는 검지신호가 제어기로 전달되고, 제어기로부터의 신호로 타격롤(39)의 피스톤로드가 축소된다. 그 결과 타격롤(39)의 하강에 의해 베니어판(5)은 돌자체(7)로부터 빠지고, 반입롤(31)과 타격롤(39)에 의해 협지되어, 다음 공정으로 반출된다. 다음에, 타격실린더(37)의 피스톤로드의 축소종료후 제어기로부터의 신호로 수평이동실린더(21)의 피스톤로드를 축소시키고, 이동대(19), 상하이동실린더(17) 및 돌자체(7)를 상승대기위치(제3도의 실선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베니어판(5)의 다음 공정으로서의 반출이 종료하면, 검지기(25)에서 베니어판이 없음을 나타내는 검지기신호가 제어기로 송달된다. 이어서 제어기로부터의 신호로 타격실린더(37)의 피스톤로드를 신장시키고, 초기상태로 복귀한다. 이상과 같은 작용의 반복에 의해 베니어판을 순차 상승반출하고 있다.
또, 어떤 원인으로 돌자체(7)에 의해 베니어판(5)이 관통하지 않는 경우 이동대(19) 및 그 밖의 것을 삽입대기위치로 이동시켜도 검지기(25)로부터 베니어판의 존재를 나타내는 검지신호가 송출된다. 이때는 제어기로부터의 신호로 초기상태로 복귀하고, 다시 반복하여 동일한 동작을 시킨다.
이상과 같이 제1실시예에 의하면 베니어판(5)을 관통한 돌자체(7)의 근원을 지지점으로하여 베니어판의 섬유방향의 중앙부측은 늘어져 아래로 내려오고, 단부측은 상향으로 접혀 상승하지만 돌자체(7)의 근원으로부터 베니어판 섬유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지지점이 발생하지않으므로 지레의 원리에 의해 돌자체(7)로부터 베니어판(5)을 빼내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돌자체(7)에 의한 베니어판(5)의 유지력이 약해지게되거나 돌자체(7)로부터 베니어판(5)이 빠지는 경우가 거의 없다.
제2실시예(청구항1의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제9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9도는 베니어판섬유직교방향에서 볼 경우의 일부도이다. 또 제1실시예와 비교하면 상하이동실린더(17)에서 상하이동되는 부재 이외의 부재는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29는 예각의 선단(29d)을 갖는 돌자체로서, 피가이드부(29a), 피하한규제부(29b) 및 피상한규제부(29c)를 포함하는 긴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27은 유지부재로서 돌자체(29)의 관통길이를 규제하는 규제저부(27a)를 갖는다. 그리고, 돌자체(29)와 유지부재(27)를 상대적으로 대략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하방향가이드부 및 최상위치규제부로서의 돌자체 상한용 볼트(27c)와 상하방향가이드부 및 최하위치규제부로서의 돌자체 하한용볼트(27b)가 돌자체(29)의 긴구멍을 통과하고, 유지부재(27)에 돌자체(29)가 상하이동가능하게 되는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또, 피상한규제부(29c)와 돌자체상한용볼트(27c)가 접한 상태에서 돌자체(29)의 예각의 선단(29d)은 베니어판(5)의 대략 두께 만큼에 상당하는 길이로 규제저부(27a)에서 하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와 같이 제어기로부터의 신호로 상하 이동실린더(17)의 피스톤로드를 신장시키면 유지부재(27)가 하강하고, 돌자체(29)의 예각의 선단(29d)이 베니어판(5)에 접하지만 돌자체(29)는 베니어판(5)에 가압되고, 돌자체 상한용 볼트(27c) 및 돌자체하한용볼트(27b)에 따라서 상하이동한다. 그 결과 돌자체(29)의 긴구멍하부의 피상한규제부(29c)가 돌자체 상한용볼트(27c)에 접하면 돌자체(29)의 이동이 규제되고, 또 유지부재(27)가 더욱 하강하면 돌자체(29)의 예각의 선단(29d)이 베니어판(5)에 관통하며, 유지부재(27)의 규제저부(27a)가 베니어판(5)의 표면에 접한다. 이후 유지부재(27)가 약간 하강하여도 유지부재(27)와 베니어판(5)과의 상대적 위치는 변하지 않으며, 돌자체(29)는 베니어판(5)을 한장씩만 관통할 수 있다.
상하이동실린더(17)의 피스톤로드의 신장종료후 제1실시예와 같이 제어기로부터의 신호로 상하 이동실린더(17)의 피스톤로드를 축소시키면, 유지부재(27)가 상승하여 유지부재(27)의 규제저부(27a)가 베니어판(5)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된다. 또, 유지부재(27)가 상승하면 돌자체하한용볼트(27b)가 돌자체(29)의 긴구멍 상부의 피하한규제부(29b)에 접하고, 돌자체(29)가 베니어판(5)을 관통한 상태로 상승한다. 즉 베니어판(5)은 규제저부(27a)로부터 분리된 위치에서 돌자체(29)에 의해 관통된 상태가 된다. 또 베니어판(5)은 제9도의 우측이 섬유방향중앙이므로 우측이 아래로 늘어지고, 좌측이 접혀지지만 상기 상태로 베니어판(5)이 관통하므로 돌자체(29)의 근원으로부터 베니어판 섬유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지지점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에따라 지레의 원리에 의해 돌자체(29)로부터 베니어판(5)을 빼내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제2실시예에 의하면 베니어판(5)을 관통하지 않는 돌자체(29)의 근원을 지지점으로하여, 베니어판의 섬유방향의 중앙부측은 늘어져 아래로 쳐지며, 단부측은 상향으로 접혀 상승하지만 돌자체(29)의 근원으로부터 베니어판 섬유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지지점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지레의 원리에 의해 돌자체(29)로부터 베니어판(5)을 빼내는 힘은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돌자체(29)에 의한 베니어판(5)의 유지력이 약해지거나 돌자체(29)로 부터 베니어판(5)이 낙하하는 경우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제3실시예(청구항1의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제18도 및 제19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8도는 베니어판 섬유직교방향에서 본 연결부재(51) 및 유지부재(53)를 절단한 일부단면도, 제19도는 제18도의 일부확대도이다. 또 제1실시예와 비교하면, 상하이동실린더(17)로 상하 이동하는 부재이외의 부재는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51은 상하이동실린더(17)의 피스톤로드에 부착되고 후술하는 돌자체(61)의 최상위치를 규제하는 볼록형상의 최상위치규제부(51a)를 갖는 연결부재로서 후술하는 유지부재(53)의 일부를 구성한다. 61은 예각의 선단(61e)을 갖는 돌자체로서 피가이드부(61c, 61d), 피하한규제부(61b) 및 피상한규제부(61a)로 구성된다. 또한 53은 돌자체(61)의 관통량을 규제하는 규제저부(53b)를 갖는 유지부재로서, 상하방향가이드부(53c, 53d) 및 최상위치규제부(53e)로 구성되고, 돌자체(61)와 유지부재(53)가 피가이드부(61c, 61d) 및 상하방향가이드부(53c, 53d)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돌자체(61)와 유지부재(53)가 연결되고, 또 피상한규제부(61a)와 최상위치규제부(51a)가 접한 상태(제19도에 2점쇄선으로 도시한 상태)에서 돌자체(61)의 예각의 선단(61e)은 베니어판(5)의 대략 두께에 상당하는 길이로 규제저부(53b)에서 아랫쪽 방향으로 돌출한다.
이와같은 구성에서는 제1실시예와 같은 제어기로부터 신호로 상하이동실린더(17)의 피스톤로드를 신장시키면, 유지부재(53)가 하강하고, 돌자체(61)의 예각의 선단(62e)이 베니어판(5)에 접하지만 돌자체(61)는 베니어판(5)에 가압되어 유지부재(53) 내를 상하방향가이드부(53c, 53d)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고, 돌자체(61)의 피상한규제부(61a)의 대략 중심이 최상위치규제부(51a)의 볼록형상에 접하면(제1도에 2점쇄선으로 도시한 상태) 이동이 규제되고, 또한 유지부재(53)가 더욱 하강하면 돌자체(61)의 예각의 선단(61e)이 회전하면서 베니어판(5)에 관통하여 유지부재(53)의 규제저부(53b)가 베니어판(5)의 표면에 접한다. 이후 유지부재(53)가 약간 하강하여도 유지부재(53)와 베니어판(5)과의 상대위치는 변하지 않으며, 돌자체(61)로 베니어판(5)을 한장씩만 관통할 수 있다.
상하이동실린더(17)의 피스톤로드의 신장종료후 제1실시예와 같이 제어기로부터의 신호로 상하이동실린더(17)의 피스톤로드를 축소시키면 유지부재(53)가 상승한다. 그 결과 유지부재(53)의 규제저부(53b)가 베니어판(5)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된다. 또 유지부재(53)가 상승하면 최상위치규제부(53e)가 돌자체(61)의 회전을 방지하면서 피하한규제부(61b)의 외주부에 접하여 돌자체(61)가 베니어판(5)을 관통한 상태로 상승한다. 즉, 베니어판(5)은 규제저부(53b)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돌자체(61)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된다. 또, 베니어판(5)은 제18도의 우측이 섬유방향 중앙이므로 우측이 아래로 늘어지고 좌측이 접혀 상승하지만 상기 상태로 베니어판(5)이 관통되므로 돌자체(61)의 근원으로부터 베니어판 섬유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지지점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지레의 원리에 의해 돌자체(61)로부터의 베니어판(5)을 빼내는 힘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같이 제3실시예에 의하면, 베니어판(5)을 관통하는 돌자체(61)의 근원을 지지점으로하여, 베니어판의 섬유방향의 중앙부측이 아래로 늘어지고 단부측이 상향으로 접히지만 돌자체(61)의 근원으로부터 베니어판 섬유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지지점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지레의 원리에 의해 돌자체(61)로부터 베니어판(5)을 빼내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돌자체(61)에 의한 베니어판(5)의 유지력이 약해지거나 돌자체(61)로부터 베니어판(5)이 빠지는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또 돌자체(61)에 관통된 베니어판(5)을 돌자체(61)의 회전을 억제한 상태에서 상승시키므로 베니어판(5)에 대한 유지력이 돌자체(61)의 나사에 의해 보다 강력하게 된다.
또,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청구항1의 발명에 관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하 힘방향 가이드부, 최상위치규제부 및 최하위치규제부는 유지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 다른 부재에 형성한 후 유지부재에 부착할 수도 있다.
제4실시예(청구항2의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제10도, 제11도, 제12도 및 제1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0도는 베니어판 섬유직교방향에서 본 유지부재(15)및 연결부재(11)를 절단한 일부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를 XI-XI 선에서 볼때 유지부재(15) 및 연결부재(11)를 절단한 일부단면도, 제12도는 돌자체(13)에 베니어판(5)을 관통할 경우 유지부재(15)및 연결부재(11)를 절단한 일부단면도, 제13도는 돌자체(13)에서 관통한 베니어판(5)을 상승시킨 경우의 유지부재(15)및 연결부재(11)를 절단한 일부단면도이다. 또 제1실시예와 비교하면 상하이동실린더(17)에서 상하이동시키는 부재 이외의 부재는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11은 상하이동실린더(17)의 피스톤로드에 부착된 연결부재, 29는 돌자체로서 예각의 선단(13b)및 헤드(13c)를 가지고 있다. 15는 유지부재이고, 하단부에는 베니어판섬유직교방향으로 돌자체(13)의 관통량을 규제하는 규제저부(15b)(제11도 참조), 베니어판 섬유방향으로 상승함에 따라 상호 멀어지는 면(15a)(제10참조)을 구비하고, 또한 돌자체(13)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6각헤드세트나사인 돌자체회전방지부재(13a)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유지부재(15)와 연결부재(11)에서 돌자체(13)의 헤드(13c)를 유지한 상태에서는 돌자체(13)의 예각의 선단(13b)이 베니어판(5)의 대략 두께에 상당하는 길이 만큼 규제저부(15b)에서 아랫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서는 제1실시예와 같이 제어기로부터의 신호로 상하이동실린더(17)의 피스톤로드를 신장시키면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돌자체(13)가 베니어판(5) 한장에 관통된다. 따라서 규제저부(15b)는 베니어판(5)의 표면에 접하지만 상호 멀어지는 면(15a)이 베니어판(5)에 접하지 않는다.
상하 이동실린더(17)의 피스톤로드의 신장종료후 제1실시예와 같이 제어기로부터의 신호로 상하이동실린더(17)의 피스톤로드를 축소시키면, 유지부재(15)가 상승하여 돌자체(13)가 베니어판(5)을 관통한 상태로 상승(제13도 참조)한다. 이 경우 베니어판(5)은 제13도의 우측이 섬유방향 중앙이므로 우측이 늘어지고, 좌측이 접혀서 올라가 상태로 상승하지만 유지부재(15)의 면(15a)은 베니어판 위에 위치하고, 상향으로 충분한 간격을 가지고 멀어지므로 베니어판(5)의 표면이 유지부재(15)의 멀어지는 면(15a)에 접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상태로 베니어판(5)이 관통하므로 돌자체(13)의 근원으로부터 베니어판섬유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지지점이 발생하지 않으며, 지레의 원리에 의해 돌자체(13)로부터 베니어판(5)이 빠지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또, 제4실시예에는 연결부재(11), 유지부재(15) 및 돌자체(13)가 별개의 개체로 되어 있지만 이들을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제4실시예에 의하면, 베니어판(5)을 관통하는 돌자체(13)의 근원을 지지점으로하여 베니어판의 섬유방향의 중앙부측은 늘어져 아래로 내려가고, 단부측은 상향으로 접혀 올라가지만 돌자체(13)의 근원으로부터 베니어판 섬유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지지점이 발생하지 않고, 지레의 원리에 의해 돌자체(13)로부터 베니어판(5)의 유지력이 약해지거나 돌자체(13)로부터 베니어판(5)이 빠지는 경우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제5실시예(청구항2의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제14도 및 제15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4도는 베니어판 섬유직교방향에서 본 일부도, 제15도는 제14도의 XV-XV 선에서 본 도면이다. 또 제1실시예와 비교하면 상하이동실린더(17)에서 상하이동되는 부재이외의 부재는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41은 침형상의 돌자체로서 한쪽에 예각의 선단(41b)을 가지고 있다. 43은 유지부재로서, 하단부에는 베니어판 섬유직교방향으로 돌자체의 관통량을 규제하는 규제저부(43b)(제15도 참조) 및 베니어판의 섬유방향에서 상방향으로 멀어지는 며(43a)(제14도 참조)을 구비하고, 또 돌자체(41)를 유지하기 위한 6각형헤드시트나사(41a)를 구비한다. 그리고, 유지부재(43)에는 돌자체(41)를 유지한 상태에서 돌자체(41)의 예각의 선단(41b)이 베니어판(5)의 대략 두께에 상당하는 길이로 규제저부(43b)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한다.
이와같은 구성에서는 제1실시예와 같이 제어기로부터의 신호로 상하 이동실린더(17)의 피스톤을 신장시키면 돌자체(41)가 베니어판(5) 한장에 관통된다. 따라서, 규제저부(43b)는 베니어판(5)의 표면에 접하지만 멀어지는 면(43b)이 베니어판(5)에 접하지 않는다.
상하 이동실린더(17)의 피스톤로드의 신장종료후 제1실시예와 같이 제어기로부터의 신호로 상하이동실린더(17)의 피스톤로드를 축소시키면 유지부재(43)가 상승하고, 돌자체(41)가 베니어판(5)을 관통한 상태로 상승한다(제14도 참조). 이 때 베니어판(5)은 제13도의 우측이 섬유방향 중앙이므로 우측이 늘어지고, 좌측이 접힌 상태로 상승하지만 유지부재(43)의 멀어지는 면(43a)이 베니어판의 섬유방향에서 상향으로 멀어지므로 베니어판(5)의 표면이 유지부재(43)의 멀어지는 면(43a)에 접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와같은 상태로 베니어판(5)이 관통하므로 돌자체(41)의 근원으로부터 베니어판 섬유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지지점이 발생하지 않으며, 지레의 원리에 의해 돌자체(41)로 부터 베니어판(5)이 빠지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또, 제5실시예에서는 유지부재(43) 및 돌자체(41)가 별체이지만 이들을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제5실시예에 의하면 베니어판(5)을 관통하는 돌자체(41)의 근원을 지지점으로 하고, 베니어판의 섬유방향의 중앙부측은 아래로 늘어지며, 단부측은 상향으로 접혀 상승하지만 돌자체(41)로부터의 근원으로부터 베니어판 섬유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지지점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지레의 원리에 의해 베니어판(51)이 빠지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돌자체(41)에 의한 베니어판(5)의 유지력이 약하게 되고, 또는 돌자체(41)로부터 베니어판(5)이 빠지는 경우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제6실시예(청구항의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제16도 및 제17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6도는 베니어판 섬유직교방향에서 본 부분도, 제17도는 제16도의 D-D선를 따라 취한 도면이다. 또, 제1실시예와 비교하면 상하이동실린더(17)에서 상하이동되는 부재이외의 부재는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11은 상하이동실린더(17)의 피스톤로드에 부착한 연결부재, 16은 돌자체로서 예각의 선단(16a)을 갖는다. 14는 돌자체(16)를 아랫쪽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배치된 유지부재이며, 이 유지부재(14)와 돌자체(16)의 경계선에서 베니어판 섬유직교방향으로 돌자체(16)의 관통량을 규제하는 규제저부(14a)(제17도 참조)를 설치하고, 또 유지부재(14)의 베니어판 섬유방향의 크기를 경계선의 돌자체(16)의 섬유방향이 크기 이하로 형성하며,또 돌자체(16)의 예각의 선단(16a)은 베니어판(5)의 대략 두께에 상당하는 길이로 규제저부(14a)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한다.
이와같은 구성에서는 제1실시예와 같이 제어기로부터의 신호로 상하이동실린더(17)의 피스톤로드를 신장시키면 돌자체(16)가 베니어판(5) 한장을 관통한다. 또한, 규제저부(14a)는 베니어판(5)의 표면에 접하지만 그 외에는 베니어판(5)에 접하지 않는다.
상하이동실린더(17)의 피스톤로드의 신장종료후 제1실시예와 같이 제어기로부터의 신호로 상하이동실린더(17)의 피스톤로드를 축소시키면 유지부재(43)가 상승하고, 돌자체(16)가 베니어판(5)을 관통한 상태로 상승(제16도참조)한다. 이때, 베니어판(5)은 제13도의 우측이 섬유직교방향 중앙이므로 우측이 늘어지고 좌측이 접힌상태로 상승하지만 유지부재(14)의 베니어판 섬유직교방향의 크기가 경계선의 돌자체(16)의 섬유방향의 크기 이하로 형성되므로 베니어판(5)이 돌자체(16)의 근원으로부터 베니어판 섬유방향으로 분리된 위치로 접하는 부재가 없다. 따라서, 상기 상태로 베니어판(5)이 관통되므로 돌자체(16)의 근원으로부터 베니어판 섬유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지지점이 발생하지 않고 이 원리에 의해 돌자체(16)로부터 베니어판(5)이 빠지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또, 제6실시예는 유지부재(14)및 돌자체(16)가 일체로 되지만 그들을 별개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제6실시예에 의하면 베니어판(5)을 관통하는 돌자체(16)의 근원을 지지점으로하여, 베니어판의 섬유방향의 중앙부측은 아래로 늘어지고 단부측은 위쪽으로 접혀지지만 지레의 원리에 의해 돌자체(16)로부터 베니어판(5)을 빼내는 힘은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돌자체(16)에 의해 베니어판(5)의 유지력이 약해지거나 돌자체(16)로부터 베니어판(5)이 빠지는 경우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또, 제1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에 따른 상하이동수단은 공기실린더, 유압실린더 또는 크랭크 등의 어느 한쪽이라도 좋다.
또, 제1실시예로부터 제6실시예에 따른 돌자체는 침형상, 못형상 또는 판형상 등 어느 것도 가능하다.
또, 제1실시예로부터 제6실시예에서는 검지기의 검지신호에 따라서 제어기로부터의 신호가 출력되지만 상기 검지신호 대신 다음 공정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제어기로부터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제1실시예로부터 제6실시예에서는 돌자체가 상하이동 및 수평이동을 하지만 다음과 같이 할 수도 있다. 즉,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승대기위치에 검지기(25)및 진공식 흡착부재(23)를 배치한다. 따라서, 돌자체(7)의 작동은 상하이동만을 행하고, 관통된 베니어판(5)은 돌자체(7)가 상승함에 따라 흡착부재(23)에 흡입된다. 또, 돌자체(7)가 더욱 상승하면 베니어판(5)은 돌자체(7)로부터 빠지고, 흡착부재(23)에만 흡입된다. 동시에 검지기(25)의 베니어판(5) 존재 검지신호가 제어기에 송달된다. 이어서, 제어기로부터의 신호로 진공식 흡착부재(23)를 적절한 수평이동수단으로 수평이동(화살G방향)시키고, 베니어판(5)을 다음 공정으로 반출할 수도 있다.
또, 상하이동수단인 상하이동실린더는 유지부재에 직접연결할 수도 있고, 다른 부재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니어판을 관통하는 돌자체의 근원을 지지점으로서 베니어판의 섬유방향의 중앙부측은 아래로 늘어지고, 단부측은 윗쪽으로 접히지만 돌자체의 근원으로부터 베니어판 섬유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지지점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지레의 원리에 의해 돌자체로부터 베니어판이 빠지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돌자체에 의한 베니어판의 유지력이 약해지거나 돌자체로부터 베니어판이 빠지는 경우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Claims (6)

  1. 퇴적된 베니어판을 표층에서 상승시키는 베니어판 상승장치에 있어서, 예각의 선단을 갖는 돌자체와, 퇴적된 베니어판의 표층에 접하는 규제저부를 가지고 상기 돌자체의 상기 규제저부로부터의 돌출량을 규제하며, 베니어판을 관통하는 경우는 한장의 베니어판 두께와 대략 동일한 치수만큼 이 돌자체를 돌출시켜 유지하는 유지부재와, 상기 유지부재를 베니어판의 위쪽과 상기 베니어판의 표층 사이를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수단과, 상기 상하이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로 구성되고, 상기 유지부재는 상하이동수단에 의해 베니어판의 윗쪽으로 이동될 시에 상기 돌자체의 돌출량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판 상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재에 상하방향가이드부, 최상위치규제부 및 최하위치규제부를 설치하고, 한쪽이 돌자체에 상기 상하방향가이드로 안내된 피가이드부와 상기 양규제부에 의해 최상위치 및 최하위치를 규제하는 상한피규제부 및 하한피규제부를 설치하고, 또 상기 돌자체와 이 유지부재가 피가이드부 및 상하방향가이드부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이 돌자체와 이유지부재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판 상승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방향가이드부와 상기 피가이드부는 상호 결합되는 동시에 움직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판 상승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재는 상기 상하이동수단과의 사이에 연결부재를 가지고, 상기 최상위치규제부는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돌자체는 최소한 그 예각의 선단부에 나사가 형성되고, 그 상한피규제부는 평탄탄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최상위치규제부는 상기 상한피규제부에 점접촉하여 상기 돌자체를 축회전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판 상승장치.
  5. 최적된 베니어판을 표층에서 상승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예각의 선단을 갖는 돌자체와, 하단부에는 퇴적된 베니어판의 표층에 접하는 규제저부를 가지고 상기 돌자체의 상기 규제저부로부터 한장의 베니어판의 두께와 대략 동일한 치수로 상기 돌자체를 관통시켜 유지하는 유지부재와, 유지부재를 베니어판의 위쪽과 상기 표층의 면 사이를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수단과, 상기 상하이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기로 구성되고, 상기 유지부재의 하단에서, 상기 규제저부는 베니어판의 섬유직교방향으로 연장하는 최소한 한면이 배치되고, 상기 최소한 한면은 상기 규제저부에 인접하면서 베니어판 섬유방향으로 상승함에 따라 규제저부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판 상승장치.
  6. 퇴적된 베니어판을 표층에서 상승시키는 상승장치에 있어서, 예각의 선단을 갖는 돌자체와, 하단부에는 퇴적된 베니어판의 표층에 접하는 규제저부를 가지고 상기 돌자체의 상기 규제저부로부터 한장의 베니어판의 두께와 대략 동일한 치수로 상기 돌자체를 관통시켜 유지하는 유지부재와, 유지부재를 베니어판의 위쪽과 상기 표층의 면 사이를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수단과, 상기 상하이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기로 구성되고, 상기 돌자체는 최소한 상기 유지부재와 같은 섬유방향치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니어판 상승장치.
KR1019950035243A 1995-10-13 1995-10-13 베니어판 상승장치 KR0151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5243A KR0151763B1 (ko) 1995-10-13 1995-10-13 베니어판 상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5243A KR0151763B1 (ko) 1995-10-13 1995-10-13 베니어판 상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353A KR970020353A (ko) 1997-05-28
KR0151763B1 true KR0151763B1 (ko) 1998-10-01

Family

ID=19430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5243A KR0151763B1 (ko) 1995-10-13 1995-10-13 베니어판 상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176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353A (ko)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1763B1 (ko) 베니어판 상승장치
CN206067214U (zh) 一种用于电路板字符、图形、二维码激光刻印设备
JP4560146B2 (ja) 金型取付装置
CN108275541A (zh) 一种可调节舒适度的电梯及控制方法
JP3835932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KR20200002092U (ko) 타공장치
JP3466704B2 (ja) ベニヤ単板持ち上げ装置
JP2002176812A (ja) 球根植付け機
CN115110900B (zh) 一种井道内打孔机器人
JP2983922B2 (ja) 穿孔装置
CN108908509A (zh) 一种木板侧边打孔装置
CN1278030A (zh) 上开门振筒式衣物透洗机隔层架的自动升降装置
CN221544967U (zh) 一种扒缝机的顶臂驱动装置
JP3786478B2 (ja) ゴルフボールの自動ティーアップ装置
KR0123802B1 (ko) 횡편기에 있어서 캐리지의 캠 제어기구
JP3466716B2 (ja) ベニヤ単板持ち上げ装置
CN218754809U (zh) 一种提升机电动定位装置
CN219469107U (zh) 一种飞达吸嘴浮动控制机构
CN218573125U (zh) 一种纤维水泥复合墙板加工用粉尘收集装置
CN221190657U (zh) 瓷砖缓冲堆叠装置
CN114960420B (zh) 一种可自拆换车架的桥梁桁架检查车
CN220415294U (zh) 一种动力猫道
JPH0338187Y2 (ko)
CN211201075U (zh) 一种刮平机的调水平垂直机构
JPH0227256B2 (ja) Pitsukuatsupusoch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