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984B1 - 가정용 데이타 버스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정용 데이타 버스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984B1
KR0150984B1 KR1019940007241A KR19940007241A KR0150984B1 KR 0150984 B1 KR0150984 B1 KR 0150984B1 KR 1019940007241 A KR1019940007241 A KR 1019940007241A KR 19940007241 A KR19940007241 A KR 19940007241A KR 0150984 B1 KR0150984 B1 KR 0150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data bus
control system
bus
centr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7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544A (ko
Inventor
정영호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07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0984B1/ko
Publication of KR950030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9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13Details regarding a bus control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97Interconnection with othe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이 발명은 가정용 데이타 버스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가정용 데이타 버스 제어 시스템은 국제적으로 규격화되어 있는 가정용 디지탈 버스와 홈 자동화 버스가 데이타 호환장치인 게이트 웨이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메인 콘트롤러가 데이타 버스를 총괄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 메인 콘트롤러는 중앙처리장치, 타이머, 메모리 키보드, 전산 통신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원격으로 집안내의 전기기구들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전화기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각 전기기구들을 원하는 시간에 동작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이 가정용 데이타 버스 제어 시스템은 최근 개발되는 홈 자동화 시스템에 매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정용 데이타 버스 제어 시스템
제1도는 종래의 가정용 데이타 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회로도.
제2도는 이 발명에 따른 가정용 데이타 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회로도.
제3도는 제2도에서의 메인 콘트롤러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게이트 웨이(Gate Way) 20 : 메인 콘트롤러
13,23 : 전화기 31 : 전산 통신기(MODEM)
32 : 키보드 33 : 중앙처리장치(CPU)
34 : 메모리 35 : 디스플레이 장치
36 : 타이머
이 발명은 가정용 데이타 버스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용 디지탈 버스(Domestic Digital Bus ; 이하 D2B라 약칭함)와 홈 자동화 버스(Home Automation Bus ; 이하 HAB라 약칭함)와의 연결시 메인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버스를 통제할 수 있는 가정용 데이타 버스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 가정마다 가전제품 및 전기기구들을 편리하게 조작하기 위해 D2B와 HAB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유럽 및 일본에서는 1989년 IEC(국제전자/전기 규격형화)에서 이미 규격화되어 있는 D2B가 상용되고 있고, 그에 따라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HAB와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콘트롤러를 이용함으로써 이용방법을 확장하고자 하는 노력이 부단히 진행되어 왔다.
그 일예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게이트 웨이(Gate Way)를 D2B와 HAB 사이에 접속되게 하여 양 신호 데이타의 호환을 도모하도록 구성된 데이타 버스 시스템이다.
제1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가정용 데이타 버스 시스템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HAB(100)는 전화기를 통제수단으로 이용하여 원거리에서도 전화를 걸어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보조장치를 내장하여 원하는 시간에 특정 기기의 동작이 가능하게 데이타 버스로써 각 구성요소, 예를 들면 전등(11), 주방기구(12)등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반면, D2B는 주로 오디오/비디오(A/V) 기기, 예를들면 오디오 기기(14), TV(15), VTR(16)등을 제어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제어대상을 추가하고자 할 경우 리모트 콘트롤러와 각 기기의 콘트롤러 사이의 약속된 명령어를 추가해야 하기 때문에 콘트롤러의 수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콘트롤러의 수정은 제작비용 및 그에 소요되는 시간적 낭비등의 문제점을 야기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에서도 HAB의 규격을 정하고 아울러 D2B와의 연결이 가능토록 하고 있으나, HAB는 전화기를 이용한 동작이 주류인 반면 D2B는 리모트 콘트롤러나 개별 스위치를 이용한 동작이 많으므로 이들이 함께 연결될 경우 사용상에 많은 불편한 점은 극복될 수 없었다. 즉, D2B를 통한 HAB 동작 또는 그 반대의 경우, 조작기기가 서로 다르고 각 조작기가 동작할 수 있는 기기가 제한되어 있어 전술한 바와같은 추가상의 문제가 발생된다.
이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D2B와 HAB가 연계되었을 때 이들을 전체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데이타 버스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특징은, 가정용 디지탈 버스와 홈 자동화 버스를 연결하여 종합적으로 데이타 버스를 제어하는 가정용 데이타 버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해당 작동기구들을 갖는 상기 가정용 디지탈 버스와 자동화 버스사이에 연결되어 데이타를 호환시키는 데이타 호환수단과; 상기 데이타 호환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각 작동기구들을 전체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콘트롤 수단과 ; 상기 콘트롤 수단에 명령신호를 입력시킬 수 있는 명령신호 입력수단으로 구성된 점에 있다.
이하, 이 발명에 따른 가정용 데이타 버스 제어 시스템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이 발명에 따른 가정용 데이타 시스템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여기서는 전술한 종래의 가정용 데이타 시스템을 나타낸 제1도와 동일 구성에 대한 부호는 그대로 인용하기로 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가정용 전기기구인 전등(11), 주방기기(12)등이 데이타 버스와 접속되어 있고, 아울러 데이타 호환 연결수단인 게이트 웨이(10)을 통하여 오디오/비디오 기기인 오디오 기기(14), TV(15), VTR(16)이 접속되어 있다. 메인 콘트롤러(20)는 전화기(23)를 통하여 전달된 신호에 따라 전술한 가정용 전기기구와 오디오/비디오 기기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도는 제2도에서의 메인 콘트롤러(20)의 내부 회로도이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현재의 시간, 날짜를 알려주는 타이머(36), 동작내용과 콘트롤러 자체의 운용을 위한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담길 메모리(34), 전화선으로부터의 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는 전산 통신기(MODEM ; 31), 버스의 상태 및 동작내용을 문자 및 도형으로 보여줄 디스플레이 장치(35)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수신하여 제어 및 연산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CPU)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가정용 데이타 버스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전화나 키보드(32)를 통해 원하는 동작시간, 날짜 및 동작기기를 기록하면 중앙처리장치(33)는 메모리(34)에 이를 기억시키고, 각 기기의 상태를 중앙처리장치(33)를 통하여 확인한 후 수시로 디스플레이 장치(35)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시킨다. 중앙처리장치(33)의 검출에 의해 선택된 동작기기가 작동되지 않고 있다고 판명되면, 중앙처리장치(33)는 D2B 라인 커넥터를 경유하여 동작 제어신호를 보낸다. 일예로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LDP ; 도시되지 않음)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LDP의 파워·온 및 플레이 명령어가 전달되고, 동시에 TV의 파워·온 및 레이저 디스크의 화면을 CRT에 표시하도록 입력 전환시키는 입력 전환 명령어가 전달되며, 아울러 오디오 앰프의 입력 전환 명령어 등이 D2B를 통해 전달됨으로써 콘트롤러의 키보드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 어느 수단을 통해서도 용이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2도에서 알 수 있듯이, 전화기(23)가 종래의 데이타 버스 제어 시스템과는 다르게 메인 콘트롤러(20)에 접속되어 있어, 예약 및 명령어 전달이 외부에서도 가능함은 물론, 메인 콘트롤러에 새로운 명령어를 지정시켜 주기만 하면 부가적으로 제어대상을 확대할 수도 있고, 기존의 명령체계외에 부가적인 명령어를 실행시킬 수도 있게 된다. 그 예로써, 오디오 기기의 베이스(base) 음량을 늘리는 것, 야간인 경우 전등의 빛 강도를 줄이는 것, 전자 구동식 커텐을 달아 감상적 분위기를 살리는 등의 제어가 용이하게 변경 실시 가능하다. 물론, 기존 명령어의 대폭 수정도 가능하며, 전술한 전화기(23)에 전산 통신기(31)를 이용하여 현재 이용 가능한 천리안, 하이텔,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접속시킬 수 있어 단말기로의 역할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무실에서도 개인용 컴퓨터를 통하여 집안내의 전자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이 발명에 따른 가정용 데이타 버스 제어 시스템은 가정내의 데이타 버스가 변경될 경우에도 용이하게 대처할 수가 있고, 부가적인 명령어를 쉽게 추가할 수도 있으며, 리모트 콘트롤러, 키보드, 전화기를 통해서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전화기를 통한 전산 통신기(MODEM)로의 응용등의 적용범위 확대가 훨씬 광범위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이 설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이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

  1. 가정용 디지탈 버스와 홈 자동화 버스를 연결하여 종합적으로 데이타 버스를 제어하는 데이타 버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 해당 작동기구들을 갖는 상기 가정용 디지탈 버스와 자동화 버스사이에 연결되어 데이타를 호환시키는 데이타 호환수단; 상기 데이타 호환수단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명령신호에 따라 연산 및 제어를 행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현재의 시간, 날짜를 알려주는 타이머;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되어 동작내용과 콘트롤러 자체의 운용을 위한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저장된 메모리; 전화선으로부터 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입력된 명령을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전송하는 전산 통신기;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되어 버스의 상태 및 동작내용을 문자 또는 도형으로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명령신호를 입력시킬 수 있는 명령신호 입력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데이타 버스 제어 시스템.
KR1019940007241A 1994-04-07 1994-04-07 가정용 데이타 버스 제어 시스템 KR0150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7241A KR0150984B1 (ko) 1994-04-07 1994-04-07 가정용 데이타 버스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7241A KR0150984B1 (ko) 1994-04-07 1994-04-07 가정용 데이타 버스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544A KR950030544A (ko) 1995-11-24
KR0150984B1 true KR0150984B1 (ko) 1998-11-02

Family

ID=19380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7241A KR0150984B1 (ko) 1994-04-07 1994-04-07 가정용 데이타 버스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09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2496A (ko) * 1996-11-12 1998-08-17 이데이 노부유키 전송 방법, 수신 방법 및 전자 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2496A (ko) * 1996-11-12 1998-08-17 이데이 노부유키 전송 방법, 수신 방법 및 전자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544A (ko) 199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2233B1 (en) Device controller with low power standby mode
CN102088356B (zh) 用于在数字生活网络联盟网络中降低功耗的方法和设备
KR20010077303A (ko)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킹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용 방법
CA2080052A1 (en) Appliance control system providing out-of-context usage
CN103092097A (zh) 一种基于智能电视机的家电控制方法及系统
WO2016117261A1 (ja) 制御装置、制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制御装置の制御方法、制御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被制御装置
CN1801868A (zh) 手机遥控器及其相应组合装置
CN103176446A (zh) 基于机顶盒的家电控制方法及系统
KR0150984B1 (ko) 가정용 데이타 버스 제어 시스템
CN100472577C (zh) 一种具备综合遥控器功能的移动通信终端机及其设定方法
KR100819582B1 (ko) 네트워크 어댑터
KR20050073435A (ko) 티비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57114B1 (ko)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애프터서비스 방법
JP2006005628A (ja) 家電機器の制御方法
KR100425109B1 (ko) 세탁기의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CN213303645U (zh) 录音设备
KR20040084631A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0542945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JP2005107606A (ja) 移動ソフトウエアを用いた情報機器の省電力制御システム
JP2003158783A (ja) リモコン装置
KR20010025590A (ko) 인터넷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장치 및 방법
JP2004266923A (ja) 遮断器を備えたテーブルタップ及び家庭電気製品の制御方法
KR20060115415A (ko) Ip 셋톱박스에서 빠른 채널 전환을 위한 채널 정보 처리장치 및 방법
KR200353402Y1 (ko) 패스워드 설정 플러그
KR20050058799A (ko) 인터넷 냉장고의 홈 서버와 클라이언트간 네트워크전환장치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