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837B1 - 차량의 냉각수 누출감지 및 경보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냉각수 누출감지 및 경보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837B1
KR0150837B1 KR1019950053919A KR19950053919A KR0150837B1 KR 0150837 B1 KR0150837 B1 KR 0150837B1 KR 1019950053919 A KR1019950053919 A KR 1019950053919A KR 19950053919 A KR19950053919 A KR 19950053919A KR 0150837 B1 KR0150837 B1 KR 0150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coolant
cooling water
passag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3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4533A (ko
Inventor
장재영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53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0837B1/ko
Publication of KR970044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4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8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14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01P11/18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concerning coolant pressure, coolant flow, or liquid-coolant 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25/00Measuring
    • F01P2025/70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31/00Fail safe
    • F01P2031/18Detecting fluid lea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31/00Fail safe
    • F01P2031/20Warn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37/00Cont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엔진의 각 부위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수가 냉각장치의 고장 또는 파손으로 누출될 때에 이를 신속히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엔진의 동작상태를 제어하여 냉각수의 부족에 의한 엔진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냉각수 누출감지 및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냉각수를 엔진의 냉각수통로에 유입되도록 하는 보조탱크에 냉각수의 수량을 감지하는 수량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수량 감지센서로 부터 감지된 신호를 엔진제어부에 인가하여 비교판단한 후 차속 및 인젝터등의 주변장치를 제어하며, 엔진에 구비된 냉각수통로에 비상 탱크를 별도로 접속설치하여 엔진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냉각수누출시 냉각수통로에 냉각수를 공급하도록 하므로써 수량감지센서로 부터 감지된 수량에 해당하는 신호를 받아 엔진제어부에서 비교판단하여 비상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냉각수가 냉각수통로에 인가되도록 하는 동시에, 엔진제어부가 엔진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차속 및 인젝터등의 주변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냉각수의 누출시 신속히 엔진의 과열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냉각수 누출감지 및 경보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 누출감지장치를 나타낸 개략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냉각수통로 12 : 보조탱크
14 : 수량감지센서 16 : 엔진제어부
18 : 엔진 20 : 비상탱크
22 : 솔레노이드 24 : 삼로솔레노이드
26 : 바이패스통로
본 발명은 자동차의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엔진의 각 부위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수가 냉각장치의 고장 또는 파손으로 누출될 때에 이를 신속히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엔진의 동작상태를 제어하여 냉각수의 부족에 의한 엔진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냉각수 누출감지 및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을 구성하는 실린더블록과 실린더헤드에는 엔진과열을 방지하는 냉각장치가 구비되어 냉각수통로를 따라 냉각수가 흐르므로써 실린더벽, 밸브시트, 밸브가이드, 연소실 등과 접촉되어 실린던내에서 혼합기가 연소될 때 발생된 고온을 흡수하여 정상운전을 할 수 있는 온도로 유지시키며, 상기 냉각작용으로 인해 흡수된 열에 의해 고온상태로 된 냉각수는 라디에이터를 통해 다시 냉각되어 냉각수통로를 따라 순환하게 되어 있는데 종래의 냉각장치에는 냉각수의 온도상승만을 감지하여 계기판에 표시하는 단일기능만이 구비되어 있었다.
따라서 라디에이터 및 냉각수통로가 부식등에 의해 파손되어 냉각수가 누출될 때에는 냉각수의 누출상태를 감지하는 장치가 없어 운전자가 이를 알 수 없게 되므로 냉각수의 누출에 따른 냉각수량의 저하에 의해 엔진 과열 또는 엔진고착이 발생되어 주행이 불가능한 상태로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수가 누출되면 이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신속히 경고음을 발생시키며 엔진의 과열을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냉각수 누출감지 및 경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각수를 엔진의 냉각수 통로에 유입되도록 하는 보조탱크에 냉각수의 수량을 감지하는 수량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수량감지센서로 부터 감지된 신호르 엔진제어부에 인가하여 비교판단한 후 차속 및 인젝터등의 주변장치를 제어하며, 엔진에 구비된 냉각수통에 비상탱크를 별도록 접속설치하여 엔진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냉각수누출시 냉각수통로에 냉각수를 공급하도록 하므로써 수량감지센서로 부터 감지된 수량에 해당하는 신호를 받아 엔진제어부에서 비교판단하여 비상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냉각수가 냉각수통로에 인가되도록 하는 동시에, 엔진제어부가 엔진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차속 및 인젝터등의 주변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냉각수를 엔진의 냉각수통로(10)에 유입되도록 하는 보조탱크(12)에 설치되어 냉각수의 수량을 감지하는 수량감지센서(14)와, 상기 수량감지센서(14)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받아 비교판단하여 차속 및 인젝터 등의 주변장치를 제어하는 엔진제어부(16)와, 엔진(18)에 구비된 냉각수통로(10)에 접속되도록 착설되며 엔진제어부(16)의 제어에 의해 냉각수통로(10)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비상탱크(20)와, 상기 비상탱크(20)에 착설되며 엔진제어부(16)의 제어에 의해 개폐동작을 하는 솔레노이드배브(22)와, 상기 냉각수통로(10)및 바이패스통로(26)의 유입로에 장착되며 엔진제어부(16)의 제어에 의해 냉각수통로(10) 또는 바이패스통로(26)를 개폐동작시키는 삼로솔레노이드밸브(24)와, 상기 엔진제어부(16)에 접속되어 인가된 신호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음발생부(28)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냉각수를 냉각장치인 엔진의 냉각수통로(10) 및 라디에이터(30)에 유입되도록 하는 보조탱크(12)에 냉각수의 수량을 감지하는 수량감지센서(14)를 설치하고, 상기 수량감지센서(14)는 감지된 신호를 엔진제어부(16)에 인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탱크(12)의 근접위치에는 비상싱태일 때 냉각장치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비상탱크(20)를 장착하고, 상기 비상탱크(20)로 부터 냉각 장치의 냉각수통로(10)로 냉각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로에는 엔진제어부(16)에 의해 개폐동작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밸브(22)가 설치된다.
상기 냉각장치에서 엔진(18)의 물재킷(도시안됨)을 통과하면서 가열된 냉각수는 라디에이터(30)로 보내어져 냉각시키게 되는데, 엔진(18)으로 부터 라디에이터(30)로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각수통로에는 냉각수가 라디에이터(30)를 통과하지 않고 직접 엔진(18)으로 재 순환되도록 하는 별도의 바이패스통로(26)를 형성시킨다.
상기 엔진(18)측으로 부터 라디에이터(30) 및 바이패스통로(26)측으로 냉각수가 유입되도록 두개의 통로로 분리되는 냉각수통로에는 엔진제어부(16)에 의해 개폐동작이 제어되는 삼로솔레노이드밸브(24)가 착설되어 엔진(18)에서 가열된 냉각수를 라디에이터(30)로 보내어 냉각시키거나 또는 라디에이터(30)를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통로(26)를 통해 직접 엔진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즉, 상기 엔진제어부(16)는 수량감지센서(14)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받아 비교판단하여 냉각수가 부족하거나 또는 누출상태임이 판단되면 즉시 비상탱크(20)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22)를 작동시켜 비상탱크(20)에 저장된 냉각수를 엔진(18)및 라디에이터(30)에 공급되도록 하고, 특히 냉각수가 누출상태일 때에는 삼로솔레노이드밸브(24)를 작동시켜 냉각수가 라디에이터(30)로 흐르지 못하게 라디에이터측 통로를 닫은 후 바이패스통로(26)를 오픈시켜 냉각수가 바이패스통로(26)를 통해 엔진측으로 순환되도록 하여 냉각수의 누출을 최소화하게 된다.
제3도를 통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수량감지센서(14), 솔레노이드밸브(22), 삼로솔레노이드밸브(24)및 경고음발생부(28)가 접속된 엔진제어부(16)는 시동키이(도시안됨)가 온 절환되었는가를 판단(S1)하고, 시동키이가 온상태이면 냉각수량이 과다한가를 판단(S2)하며, 냉각수량이 과다하면 냉각수를 감량시키는 음성신호를 경고음발생부(28)를 통해 외부에 내보내게 된다(S3).
상기 단계(S2)에서 냉각수량이 과다하지 않으면 냉각수의 보충이 필요한가를 판단(S4)하고 ,냉각수의 보충이 필요하면 경고음발생부(28)를 통해 냉각수를 보충시키는 음성신호를 외부에 내보낸다(S5).
상기 단계(S4)에서 냉각수의 보충이 필요하지 않으면 냉각수량이 점진적으로 감소되고 있는가를 판단(S6)하고, 상기 단계(S6)에서 냉각수량이 점진적으로 감소되고 있으면 솔레노이드밸브(22)를 오픈시켜 비상탱크(20)의 냉각수를 냉각수통로에 공급(S7)한다.
상기 단계(S7)다음에는 삼로솔레노이드밸브(24)의 라디에이터(30)방향을 닫고 바이패스통로(26)방향을 오픈시킨다(S8).
상기 단계(S8)다음에는 냉각수의 누출상태를 경고음발생부(28)를 통하여 외부에 알리게 된다(S9).
상기 단계(S9)다음에는 차속 및 점화시기를 설정값이하로 감소및 지연시키고 에어컨을 오프시키며 쿨링팬을 하이상태로 조절한다(S10).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고안은 냉각수를 엔진의 냉각수통로에 유입되도록 하는 보조탱크에 냉각수의 수량을 감지하는 수량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수량감지센서로 부터 감지된 신호를 엔진제어부에 인가하여 비교판단한 후 차속 및 인젝터등의 주변장치를 제어하며, 엔진에 구비된 냉각수통로에 비상탱크를 별도로 접속설치하여 엔진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냉각수누출시 냉각수통로에 냉각수를 공급하도록 하므로써 비상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냉각수가 냉각수통로에 인가되도록 하는 동시에, 엔진제어부가 엔진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차속 및 인젝터등의 주변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냉각수의 누출시 신속히 엔진의 과열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냉각수를 엔진의 냉각수통로(10)에 유입되도록 하는 보조탱크(12)에 설치되어 냉각수의 수량을 감지하는 수량감지센서(14)와, 상기 수량감지센서(14)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받아 비교판단하여 차속 및 인젝터등의 주변장치를 제어하는 엔진제어부(16)와, 엔진(18)에 구비된 냉각수통로(10)에 접속되도록 착설되며 엔진제어부(16)의 제어에 의해 냉각수통로(10)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비상탱크(20)와, 상기 비상탱크(20)에 착설되며 엔진제어부(16)의 제어에 의해 개폐동작을 하는 솔레노이드밸브(22)와, 상기 냉각수통로(10)및 바이패스통로(26)의 유입로에 장착되며 엔진제어부(16)의 제어에 의해 냉각수통로(10) 또는 바이패스통로(26)를 개폐동작시키는 삼로솔레노이드 밸브(24)와, 상기 엔진제어부(16)에 접속되어 인가된 신호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음발생부(2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냉각수 누출감지 및 경보시스템.
KR1019950053919A 1995-12-22 1995-12-22 차량의 냉각수 누출감지 및 경보시스템 KR0150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3919A KR0150837B1 (ko) 1995-12-22 1995-12-22 차량의 냉각수 누출감지 및 경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3919A KR0150837B1 (ko) 1995-12-22 1995-12-22 차량의 냉각수 누출감지 및 경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533A KR970044533A (ko) 1997-07-26
KR0150837B1 true KR0150837B1 (ko) 1998-10-01

Family

ID=19442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3919A KR0150837B1 (ko) 1995-12-22 1995-12-22 차량의 냉각수 누출감지 및 경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08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434A (ko) 2018-04-10 2019-10-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분 검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302B1 (ko) * 2001-09-11 2004-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험용 엔진의 냉각수 유입 검출장치
KR100410767B1 (ko) * 2001-09-29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엔진의 연소가스 누출 실험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434A (ko) 2018-04-10 2019-10-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분 검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533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87346B1 (en) Cooling device for vehicle
KR910001521B1 (ko) 차량발전기와 기관용 시동전동기의 냉각장치
KR0150837B1 (ko) 차량의 냉각수 누출감지 및 경보시스템
KR100250041B1 (ko) 자동차의 부동액 농도 자동 조절장치 및 방법
KR100250040B1 (ko) 냉각수를 자동으로 보충하는 라디에터 리저버 탱크장치 및 방법
KR19980047782U (ko) 차량의 히터 성능 증대 장치
KR19990017926A (ko) 자동차의 엔진과열 경고 및 냉각수 자동 보충장치
KR0151466B1 (ko) 차량의 냉각수 순환장치
KR19980035229A (ko) 수냉식 엔진의 냉각장치
KR100285266B1 (ko) 자동차의써모스탯고장경고시스템
KR960007744Y1 (ko) 자동차 라디에이터의 냉각 보충장치
KR200170895Y1 (ko) 차량용 냉각장치
KR0131123Y1 (ko) 연료탱크 냉각장치
KR19990027136U (ko) 자동차의 냉각수 검출장치
KR0164148B1 (ko) 엔진 실린더의 흡기 온도 하강장치
KR19980076344A (ko) 엔진의 냉각수 유동 제어장치
KR20040092506A (ko) 바이메탈 밸브가 형성된 엔진의 가변 냉각 시스템
KR19980062585U (ko) 차량 냉각장치의 오류감지장치
KR19980016911A (ko) 엔진의 과열 방지장치
KR0153723B1 (ko) 조위계 센서를 이용한 자동차의 엔진냉각수 량 표시 장치
KR19980038549A (ko) 차량 엔진의 단품시험시 냉각수 온도조절장치
KR20020046526A (ko) 수온조절기 고착시 엔진의 오버히트 방지장치
KR200147155Y1 (ko) 라디에이터의 고장 감지장치
KR19990051110A (ko) 차량용 라디에이터 송풍팬 구동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22549A (ko) 자동차용 엔진오일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