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653B1 - Door's open/close control circuit of an elevator - Google Patents

Door's open/close control circuit of an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653B1
KR0150653B1 KR1019930020662A KR930020662A KR0150653B1 KR 0150653 B1 KR0150653 B1 KR 0150653B1 KR 1019930020662 A KR1019930020662 A KR 1019930020662A KR 930020662 A KR930020662 A KR 930020662A KR 0150653 B1 KR0150653 B1 KR 0150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lay
contact
circuit
oper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06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50011312A (en
Inventor
이정구
Original Assignee
김회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회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회수
Priority to KR1019930020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0653B1/en
Publication of KR950011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3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653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제어회로에 관한것으로, 이는 엘리베이터가 정지시 도어를 열림 대기 하고 있는 동안에 탑승자가 도어 닫힘 버튼을 누름으로써,엘리베이터 기동 빈도수가 증가하며, 전력소비가 증가하고, 도어 닫힘 버튼이 없을 경우 운전수부 운전과 같은 전용운전 모드가 안되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circuit of an elevator, which occupants press the door closing button while waiting for the door to open when the elevator is stopped, elevator start-up frequency increases, power consumption increases, door closed button If there is no there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at the dedicated operation mode such as the driver hand operation.

이에 따른 본 발명은 하나의 버튼구성과, 이 버튼을 탑승자가 누르면 내부 시켄스로 전용운전 모드 이외의 경우는 도어열림 버튼으로 인식하고, 전용운전 모드에서는 도어 닫힘 버튼으로 인식하여 불간섭 시간내에 도어 닫힘으로 인한 엘리베이터의 기동 빈도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이고, 또한 버튼 한개의 조작으로 운전수부 운전과 같은 전용운전 모드의 동작을 병행할수가 있는 성과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utton configuration, and when the passenger presses this button, the internal sequence is recognized as the door open button except for the exclusive operation mode, and in the exclusive operation mode, the door is closed and the door is closed within the non-interference time. Sin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requency of starting the elevator due to reduc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there is also the result that can be performed in the operation of the dedicated operation mode, such as operation of the driver unit by the operation of a single button.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제어회로Elevator door open and close control circuit

제1도는 일반적인 도어 모터 구동회로도.1 is a general door motor driving circuit diagram.

제2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제어회로도.2 is a conventional elevator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circuit diagram.

제3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제어회로도.3 is an elevator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circuit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SDE : 안전 도어 엣지 리미트 스위치SDE: Safety Door Edge Limit Switch

DOR, DCR, DORb, DCRa : 릴레이 및 이의 접점DOR, DCR, DORb, DCRa: Relays and their contacts

T1, T1a, T1b: 타이머 및 그 접점T 1 , T 1a , T 1b : Timer and its contacts

FCR, FCRa : 플리커 릴레이 및 이의 접점FCR, FCRa: Flicker Relay and its Contact

ASa, ASb1, 2: 전용운전 모드 선택시 온되는 릴레이의 a, b접점ASa, ASb 1, 2 : contacts a and b of the relay turned on when the dedicated operation mode is selected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일 버튼 조작으로 엘리베이터 도어를 개, 폐시켜 불간섭 시간내에 도어 닫힘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기동 빈도수와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circui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vator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circuit to open and close the elevator door by a single button operation to reduce the frequency of elevator starting and power consumption due to the door closing within the non-interference time. will be.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도어 개, 폐에 따른 모터 구동회로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M)에 인가되는 3상 전원선(R, S, T)에 각각 도어열림 및 닫힘용 릴레이의 a접점(OPa1-OPa3)(CLa1-CLa3)이 게재된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도어 열림용 릴레이 동작시 이의 a접점(OPa1-OPa3)을 통해 3상 전원(R, S, T)이 인가되어 도어를 열림방향으로 모터(M)가 구동하고, 도어 닫힘용 릴레이 동작시 이의 a접점(CLa1-CLa3)을 통해 역3상 전원(R, S, T)이 인가되어 도어를 닫힘 방향으로 모터(M)가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는 그 구동모터의 정, 역제어를 통해 달성됨을 알 수 있다.In general, the motor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levator door is a contact (a) of the rela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to the three-phase power lines R, S, and T applied to the motor M, as shown in FIG. OPa 1 -OPa 3 ) (CLa 1 -CLa 3 ) has a published configuration. Therefore, the three-phase power supply (R, S, T) is applied through its contact a (OPa 1- OPa 3 ) when the door opening relay is operated to drive the motor M in the opening direction, and the door closing relay. In operation, the reverse three-phase power (R, S, T) is applied through its contact a (CLa 1- CLa 3 ) so that the motor (M) is driven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door.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levator door is achieved through forward and reverse control of the driving motor.

상기 모터 구동회로에 따른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제어회로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도어모터(M)를 열림, 닫힘 방향으로 지령 회전시키는 릴레이 코일(OP)(CL) 및 이의 b접점(OPb1-OPb4)(CLb1)과, 도어 열림 완료점을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의 b접점(OLT)과, 도어 닫힘 완료점을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의 a접점(Gate)과, 도어 열림, 닫힘 버튼(DOD)(DCB)에 의한 릴레이 코일(DO)(DC) 및 이의 a, b접점(DOb1, DOa1)(DCb1)과, 도어 열림 대기시간 타이머(T1) 및 이의 a접점(T1a)과 운전모드 선택스위치(SW)와 이에 따른 릴레이 코일(AS) 및 이의 b접점(ASb1,ASb2)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Conventional elevator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the motor drive circuit is a relay coil (OP) (CL) and the b contact (OPb 1 ) thereof for command rotation of the door motor (M) in the open, closed direction as shown in FIG. OPb 4 ) (CLb 1 ), b contact (OLT) of the limit switch to detect the door open completion point, a contact (Gate) of the limit switch to detect the door closing completion point, and door open and close buttons ( Relay coil (DO) (DC) by DOD) (DCB) and its a, b contacts (DOb 1 , DOa 1 ) (DCb 1 ), door open waiting time timer (T 1 ) and its a contact (T 1) It is composed of a) and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switch (SW), according to the relay coil (AS) and its b contacts (ASb 1 , ASb 2 ), the operation relationship thereof is as follows.

엘리베이터가 목적층에 도달하면 도어존 접점(DZ)이 온됨과 동시에 도어 열림 지령 릴레이 코일(OP)이 여자되어 그 a접점들(OPa1- OPa3)을 폐로시키고 제1도의 도어모터는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열림방향으로 구동한다.When the elevator reaches the target floor, the door zone contact (DZ) turns on and the door open command relay coil (OP) is excited to close the contacts a (OPa 1 -OPa 3 ) and the door motor of FIG. Drive the door in the open direction.

이렇게 그 도어가 완료점까지 완전히 열리면 도어 완전 열림감지 리미트 스위치의 b접점(OLT)이 오프되고 도어 열림 지령 릴레이 코일(OP)이 소자되어 그 a 접점들(OPa1 - OPa3)을 개로시킴으로써 도어모터(M)는 정지한다.When the door is completely opened to the completion point, the contact b of the door open detection limit switch (OLT) is turned off and the door open command relay coil (OP) is decomposed to open the a contacts OPa1 to OPa3 to open the door motor ( M) stops.

이때, 상기 도어 열림 지령 릴레이(OP)의 b접점(OPb4)은 다시 폐로되고 타이머(T1)는 불가섭 시간의 소정의 시간이 경과 할 때까지 온되지 않고 있다가 불간섭 시간이 경과되면 온되어 그 a접점(T1)을 폐로한다. 이에 따라 도어 열림 지령 릴레이 코일(DO)이 여자되어 그 a접점(DOa1)을 폐로함으로써 도어 닫힘 지령 릴레이 코일(CL)을 여자시켜 제1도의 도어모터(M)를 도어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At this time, the b contact OPb 4 of the door open command relay OP is closed again, and the timer T 1 is not turned on until a predetermined time of the invasive time has elapsed, but when the non-interference time has elapsed. The a contact point T 1 is closed. Accordingly, the door opening command relay coil DO is excited to close the contact a DOa 1 to close the door closing command relay coil CL to rotate the door motor M of FIG. 1 in the door closing direction.

여기서, 불간섭 시간이라 함은 엘리베이터가 목적층에 도달하여 도어를 오픈시킨후 닫힐 때까지의 승, 하객을 위한 최적의 시간을 의미한다. 이는 상기 타이머에 설정되어 있다.Here, the non-interference time means the optimal time for passengers and passengers until the elevator reaches the target floor and opens and closes the door. This is set in the timer.

이후, 도어 닫힘 완료 리미트 스위치의 a접점(Gate)이 온되면 스위치 릴레이 코일(GA)이 여자되어 그 b접점(GAb1)을 개로시킴으로써 도어 닫힘 릴레이 코일(CL)을 소자시켜 도어모트(M)를 정지시킨다.Subsequently, when contact a (Gate) of the door closing completion limit switch is turned on, the switch relay coil GA is excited to open the door contact relay coil CL by opening the contact b (GAb 1 ) so that the door remote (M). To stop.

한편, 전용 운전모드인 경우 전용 운전모드 선택 스위치(SW)를 온하면 전용 운전모드 릴레이 코일(AS)이 여자되어 그 b접점(ASb1, ASb2)을 개로함으로써 타이머(T1)는 무효가 되어 도어 열림 대기시간은 도어 닫힘 버튼(DCB)을 누를 때 까지가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dedicated operation mode, if the dedicated operation mode selection switch SW is turned on, the dedicated operation mode relay coil AS is excited and the timer T 1 is invalidated by opening the b contacts ASb 1 and ASb 2 . The door open wait time is until the door close button (DCB) is pressed.

이때, 도어 닫힘 버튼(DCB)을 누르면 도어 닫힘 릴레이 코일(DC)이 여자되고 타이머(T1)와 병렬로 접속된 그 a접점(DCa1)에 의해 닫힘 지령 릴레이 코일(CL)이 여자되어 도어를 닫힘 방향으로 구동하고, 도어가 닫힘중에 버튼(DCB) 에서 손을 떼면 전용운전 모드(타이머가 무효)에서는 도어 닫힘 릴레이 코일(DC)이 자기 유지되지 않아 도어 열림 릴레이 코일(DO)은 소자되고 이에 따라 도어 닫힘 릴레이 코일(CL)도 소자되어 도어 열림 지령 릴레이 코일(OP)을 여자시킴으로써 도어모트(M)를 열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At this time, when the door closing button DCB is pressed, the door closing relay coil DC is excited and the close command relay coil CL is excited by the contact a DCa 1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timer T 1 to open the door. Drive in the closing direction and release the button (DCB) while the door is closed, the door opening relay coil (DO) is demagnetized because the door closing relay coil (DC) does not self hold in the exclusive operation mode (timer is invalid). Accordingly, the door closing relay coil CL is also demagnetized to rotate the door motor M in the opening direction by exciting the door opening command relay coil OP.

또한, 정상 운전모드에서는 도어 열림 대기시간에 도어 닫힘 버튼(DCB)을 누르면 도어 닫힘 릴레이 코일(DC)이 여자되고 그 a접점(DCa2)을 통해 자기 유지됨으로써 한 번의 버튼 조작만으로도 도어를 계속 닫힘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normal operation mode, when the door closing button (DCB) is pressed during the door opening waiting time, the door closing relay coil (DC) is excited and self-holds through the contact a (DCa 2 ) so that the door is kept closed with only one button operation. You can switch to the direction.

이때, 도어 열림 버튼(DOB)을 누르거나, 안전도어 엣지 리미트 스위치의 b접점(SDE)이 오프되면 도어 열림 릴레이 코일(DO)이 소자되어 닫힘 지령 릴레이 코일(CL)을 소자시키거나 도어 열림 지령 릴레이 코일(OP)을 여자시켜 도어는 열림방향으로 회로가 형성된다.At this time, when the door open button (DOB) is pressed or the b contact (SDE) of the safety door edge limit switch is turned off, the door open relay coil (DO) is demagnetized to deactivate the closed command relay coil (CL) or the door open command. The circuit is formed in the opening direction by exciting the relay coil OP.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제어회로는 엘리베이터가 열림 대기하고 있는 동안에 탑승자가 도어 닫힘 버튼을 누름으로써 엘리베이터 기동 빈도수가 증가하며, 전력소비가 증가하고, 도어 닫힘 버튼이 없을 경우 운전수부 운전과 같은 전용운전 모드가 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elevator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circuit increases the frequency of elevator start-up by the occupant pressing the door closing button while waiting for the elevator to open, power consumption increases, and when there is no door closing butt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dedicated operation mode does not work.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인 불간섭 시간내에 도어 닫힘 버튼 조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기동 빈도수 증가로 전력소비와 이를 없앨 경우의 전용운전이 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제어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vator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circuit for preventing power consumption and exclusive operation in case of eliminating it by increasing the frequency of elevator start-up by operating the door closing button within the non-interference time, which is a problem of the prior art. There is a purpose.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Specific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제어회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어 완전 열림 검출 스위치의 b접점(OLT)과, 엘리베이터의 착상 위치 정지 검출접점(DZ)과 도어 닫힘 릴레이의 b접점(DOb1) 및 도어 닫힘 지령 릴레이의 b접점(CLb1)과 도어 열림 지령 릴레이 코일(OP)로 구성되는 제1 회로(1)와; 도어 완전 닫힘 검출 스위치의 a접점(Gate)과, 도어 완전 닫힘 검출신호를 제공하는 릴레이(GA)로 구성되는 제2 회로(2)와; 상기 릴레이(GA)의 b접점(GAb1)과 도어 재열림 릴레이(DO)의 a접점(DOa1)과 도어 열림 지령 릴레이(OP)의 b접점(OPb1) 및 도어 닫힘 지령 릴레이(CL)로 구성된 제3회로(3)와; 안전도어 엣지 리미트 스위치의 b접점(SDE)과, 상기 도어 열림 지령 릴레이(OP)의 b접점(OPb2)과, 타이머(T1)의 b접점과 도어 재닫힘 릴레이(DC)의 a접점(DCa)이 병렬 연결된 자기 유지회로와, 도어 재열림 릴레이(DO)로 구성되는 제4 회로(4)와; 상기 도어 열림 지령 릴레이(OP)의 b접점(OPb3)과, 상기 릴레이(GA)의 b접점(GAb2)과, DCR 릴레이의 a접점(DCRa)과, 도어 재닫힘 릴레이(DC)로 구성되는 제5 회로(5)와; 상기 도어 열림 지령 릴레이(OP)의 a접점(OPa)과 전용 운전모드 릴레이(AS)의 b접점(ASb1)과 도어 열림 대기시간 제어용 타이머(T1)로 구성되는 제6 회로(6)와; 상기 도어 열림 대기시간 제어용 타이머(T1)의 a접점과, 상기 도어 열림 지령 릴레이(OP)의 b접점(OPb4)과, 플리커 릴레이(FCR)로 구성되는 제회로(7)와; 상기 플리커 릴레이(FCR)의 a접점(FCRa)과 버튼 내장 램프(L)로 구성되는 제8 회로(8)와; 전용 운전모드 릴레이(AS)의 b접점(ASb2)과 직렬 연결된 DOR 릴레이를 포함하는 DOR 회로(9-1)와, 전용 운전모드 릴레이(AS)의 a접점(ASa)과 직렬 연결된 DCR 릴레이를 포함하는 DCR 회로(9-2)와, 상기 DOR 및 DCR 회로를 상호 병렬 연결하고 그 병렬단에 직렬 접속된 도어 열림/닫힘 버튼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9 회로(9)및; 전용 운전모드 선택 스위치(SW)와 전용 운전모드 릴레이(AS)로 구성되는 제10 회로를 포함한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vator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contact b of the door open detection switch (OLT), the landing position stop detection contact (DZ) of the elevator and the contact b of the door closing relay (DOb 1). And a first circuit (1) composed of a contact b (CLb 1 ) of the door closing command relay and a door opening command relay coil (OP); A second circuit (2) comprising a contact Gate of the door full close detection switch and a relay GA for providing a door full close detection signal; The relay (GA) b contact b contact of (GAb 1) and the doors re-open relay (DO) of a contact (DOa 1) and a door open command relay (OP) of the (OPb 1) and door close command relay (CL) A third circuit composed of; B contact SDE of the safety door edge switch, b contact OPb 2 of the door open command relay OP, b contact of the timer T 1 and a contact of the door reclosing relay DC. A fourth circuit (4) composed of a self-maintaining circuit connected in parallel with DCa) and a door reopening relay (DO); It consists of a b-contact (OPb 3) and, b contact (GAb 2) and, in the DCR relay contact a (DCRa) and the door member closing the relay (DC) of the relay (GA) of the door open command relay (OP) A fifth circuit 5; A sixth circuit 6 comprising a contact point OPa of the door open command relay OP, b contact ASb 1 of the dedicated operation mode relay AS, and a timer T 1 for controlling the door open waiting time; ; A circuit 7 comprising a contact point a of the door opening waiting time control timer T 1 , a contact point b of the door opening command relay OP OPb4 and a flicker relay FCR; An eighth circuit (8) comprising a contact point (FCRa) of the flicker relay (FCR) and a lamp with a button (L); The DOR circuit 9-1 including the DOR relay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b contact ASb 2 of the dedicated operation mode relay AS and the DCR relay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a contact ASa of the dedicated operation mode relay AS A ninth circuit (9) comprising a DCR circuit (9-2) comprising; and a door open / close button switch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in parallel with the DOR and DCR circuits; And a tenth circuit including a dedicated operation mode selection switch SW and a dedicated operation mode relay AS.

상기에서 열거된 본 발명의 구성수단중 제2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수단은 동일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한다.The same means as shown in FIG. 2 of the constituen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listed above perform the same function and role.

상기 도어 완전열림 검출 스위치의 b접점(OLT)은 엘리베이터 도어가 목적층에 도착한 후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면 개로되는 접점이다. 또한, 상기 착상위치 정지 검출 접점(DZ)은 엘리베이터가 착상위치(도어 존)에 정지하면 그 접점이 폐로하는 접점이다. 상기 도어 열림 지령 릴레이 코일(OP)과 연동하는 a접점(OPa1- OPa3)은 제1도의 도어모터(M)의 3상 전원선에 각기 연결된다.The b contact OLT of the door open detection switch is an open contact when the door is completely opened after the elevator door reaches the target floor.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stoppage position stop detection contact point DZ is a contact point that the contact point closes when the elevator stops at the stoppage position (door zone). The contacts a (OPa 1 to OPa 3 ) interlocked with the door open command relay coil OP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three-phase power line of the door motor M of FIG. 1.

상기 도어 완전닫힘 검출 스위치의 a접점(Gate)은 엘리베이터 도어가 개방된후 다시 완전히 닫히면 폐로되는 접점이다.The contact a of the fully closed door detection switch is closed when the elevator door is completely closed again.

상기 안전도어 엣지 리미트 스위치의 b접점(SDE)은 평상시에는 폐로된 상태에 놓여 있다가 도어가 닫히는 중에 인체 등에 접촉되면 개로하는 접점이다.The b contact SDE of the safety door edge limit switch is normally closed and then opened when the door contacts the human body while the door is closed.

상기 버튼 내장 램프(L)와 도어 열림/닫힘 버튼 스위치(DOB/DCB)는 하나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The button built-in lamp (L) and the door open / close button switch (DOB / DCB)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one is formed integrally.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제어회로의 작동관계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elevator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정상 운전모드에서 엘리베이터가 목적층에 도달하면 착상위치 정치 검출 접점(DZ)과 도어 완전 열림 검출 스위치(OLT)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온되고, 도어 닫힘 지령 릴레이(CL)와 도이 재 열림 릴레이(DO)는 오프 상태에 있게 되어 도어 열림 지령 릴레이(OP)가 동작하게 된다.First, when the elevator reaches the target floor in the normal operation mode, the landing position stop detection contact point (DZ) and the door full open detection switch (OLT) are turned on when the door is closed, and the door closing command relay (CL) and the door are reopened. The relay DO is in an off state so that the door open command relay OP is operated.

이에 따라 제1도에서와 같이 도어 열림 지령 릴레이(OP)의 온으로 이의 a접점(OPa1- OPa3)이 온되어 3상 전원(R, S, T)의 공급으로 도어모터(M)가 구동하여 도어를 열리게 함과 동시에 도어 열림 상태를 이의 a접점(OPa: 제3도)과 전용 운전모드 선택신호가 없는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있는 릴레이(AS)의 b접점(ASb1)을 통해 제6회로의 타이머(T1)에 인가되나, 이 타이머(T1)는 도어 열림에서 열림 완료될 때 까지 불간섭 시간 동안 온되고, 이 상태는 도어 열림이 완료되어 도어 열림 지령 릴레이(OP) 및 이의 a접점(OPa)이 오프되어도 불간섭 시간동안 온 상태로 유지한후 오프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1, the contact a (OPa 1 -OPa 3 ) of the door open command relay OP is turned on so that the door motor M is supplied by supplying the three-phase power R, S, and T. Drive to open the door, and at the same time, the door is opened through contact a (OPa: FIG. 3) and contact b (ASb 1 ) of the relay AS which is in an off state without a dedicated operation mode selection signal. It is applied to the timer T 1 of six circuits, but this timer T 1 is turned on for the non-interference time from the door opening to the completion of the opening, and this state is the door opening command relay OP and its Even if the contact a OPa is off, it is turned off after being kept on for the non-interference time.

이때 타이머(T1)의 불간섭 시간동안 이의 a접점(T1a)을 통해 플리커 릴레이(FCR)를 온시켜 버튼(BUT)에 내장된 램프(L)가 소정 주기로 점멸 구동된다.At this time, the flicker relay FCR is turned on through a contact T 1 a of the timer T 1 to turn on the lamp L built in the button BUT at a predetermined cycle.

이후, 도어 열림이 완료되면 도어 완전 열림 검출 스위치(OLT)가 오프되어 도어 열림 지령 릴레이(OP) 및 이의 a접점(OPa1- OPa3)이 오프되므로 3상전원(R, S, T)의 차단과 동시 모터(M)가 정지하여 도어 열림 동작을 완료하게 됨과 동시에 제6 회로의 a접점(OPa)이 오프되어 타이머(T1) 및 이의 a접점(T1a)과, 플리커 릴레이(FCR) 및 이의 a접점(FCRa)도 오프되어 버튼(BUT) 내장 램프(L)를 소동시킨다.Subsequently, when the door is opened, the door full open detection switch (OLT) is turned off so that the door open command relay (OP) and its contact a (OPa 1 -OPa 3 ) are turned off so that the three-phase power (R, S, T) Simultaneously with the shut-off, the motor M stops and the door opening operation is completed,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act a OPa of the sixth circuit is turned off, so that the timer T 1 and its contact a T 1 a and the flicker relay FCR ) And its a contact (FCRa) are also turned off to cause the button (BUT) built-in lamp (L) to be disturbed.

이때, 도어 완전 닫힘 검출 스위치(Gate)는 도어가 열려 있는 동안에는 오프 상태로 있게 되므로 릴레이(DOR)의 b접점(DORb)과, 안전 도어 엑지 리미트 스위치(SDE) 및 도어 열림 지령 릴레이(OP)의 b접점(OPb2)과 그리고 타이머(T1)의 b접점(T1b)을 통한 도어 재 열림 릴레이(DO)는 온상태로 있게된다.At this time, the door fully closed detection switch (Gate) is in the off state while the door is open, so the contact point (DORb) of the relay (DOR), the safety door open limit switch (SDE) and the door open command relay (OP) The door reopening relay DO via the b contact OPb 2 and the b contact T 1 b of the timer T 1 remains in the ON state.

한편, 도어 재 열림 릴레이(DO)의 a접점(DOa1)의 온으로 도어 완전 닫힘 검출 스위치(Gate)의 b접점(GAb1)과, 도어 열림 지령 릴레이(OP)의 b접점(OPb1)을 통해 도어 닫힘 지령 릴레이(CL)가 구동되어 제1도의 a접점(CLa1- CLa3)을 통한 역상 3상전원에 의해 모터(M)를 역 구동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door re-open contact b of the relay (DO) of a contact (DOa 1) on the door fully closed detection switch (Gate) b contact (GAb 1) and a door open command relay (OP) of the (OPb 1) The door closing command relay CL is driven through the motor to reversely drive the motor M by the reverse phase three-phase power source through the a contacts CLa 1 to CLa 3 of FIG. 1.

이에 따라 도어는 닫힘 방향으로 폐방되며, 도어 닫힘이 완료되면 도어 완전 닫힘 검출 스위치(Gate)가 온되어 릴레이(GA)온시킴과 동시에 이의 b접점(BAb1)을 오프시켜 도어 닫힘 지령 릴레이(CL)도 오프하게 된다.Accordingly, the door is closed in the closing direction, and when the door is closed, the door fully closed detection switch (Gate) is turned on to turn on the relay (GA) and at the same time, the b contact (BAb 1 ) is turned off to close the door closing command relay (CL). ) Will also be off.

따라서, 이때에는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가 되므로 엘리베이터는 곧바로 기동에 들어가게 된다.Therefore, at this time, since the door of the elevator is completely closed, the elevator immediately starts up.

또한, 만약 정상 운전모드에서 엘리베이터 도어가 닫히는 중에 인체 등의 물체가 도어에 접촉하면 제4 회로(4)의 안전 도어 엣지 리미트 스위치의 b접점(SDE)이 개로되어 도어 재 열림 릴레이(DO)을 소자시키고, 이에 따라 제3 회로3)의 a접점(DOa1)이 개로되어 도어 닫힘 지령 릴레이(CL)을 소자시킴으로써 역시 도어모터(M)를 정지시킨다.In addition, if an object such as a human bod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oor while the elevator door is closed in the normal operation mode, the b contact SDE of the safety door edge limit switch of the fourth circuit 4 opens to open the door reopening relay DO. The a contact DOa 1 of the third circuit 3 is opened so that the door closing command relay CL is deactivated, so that the door motor M is also stopped.

정상 운전모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9 회로(9)의 도어 열림/닫힘 버튼 스위치(DOB/DCB)를 누르면 9-1회로의 DOR 릴레이 코일이 여자되어 제4 회로의 b접점(DORb)을 개로함으로써 도어 재 열림 릴레이(DO)이 소자되어 제3 회로의 a접점(DOa1)은 개로되고 제1 회로의 b접점(DOb1)은 폐로됨으로써 이는 전술한 착상위치 정지 검출접점(DZ)의 동작조건으로 되어 도어를 재열림에서 닫힘에 이르기 까지 반복 동작하게 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door open / close button switch (DOB / DCB) of the ninth circuit 9 in the normal operation mode, the DOR relay coil of the 9-1 circuit is excited to open the b contact DORb of the fourth circuit. a contact (DOa 1) of the door re-opens relay (DO) are elements third circuit is open-circuit, and contact b (DOb 1) of the first circuit is closed by being which operation of the aforementioned implantation sites still detection contact (DZ) conditions The door is repeatedly operated from reopening to closing.

또한, 상기한 전용 운전모드 상태에서 제10 회로의 전용 운전모드 선택 스위치(SW)를 작동하면 AS 릴레이 코일이 여자되어, 도어 열림 동작은 상기한 도어 열림 동작과 같이 이루어 진다.In addition, when the dedicated operation mode selection switch SW of the tenth circuit is operated in the dedicated operation mode state, the AS relay coil is excited, and the door open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door opening operation.

이에 따라 AS 릴레이가 여자되어 있으므로 제6 회로의 타이머(T1)가 동작하지 않게 되어 도어는 도어 닫힘 버튼을 눌러야만 닫히게 되는데, 즉 도어 열림/닫힘 버튼 스위치(DOB/DCB)를 작동시키면 DCR 릴레이 코일이 여자되어 이의 a접점(DCRa)과 도도어 열림 지령 릴레이(OP)의 b접점(OPb3) 및 GA 릴레이의 b접점(GAb2)을 통해 도어 닫힘 및 열림 릴레이 코일(DC)(DO)를 여자시킨다.Accordingly, since the AS relay is excited, the timer T 1 of the sixth circuit does not operate and the door is closed only by pressing the door close button. That is, when the door open / close button switch (DOB / DCB) is operated, the DCR relay The coil is excited and the door closed and open relay coil (DC) (DO) through its contact a (DCRa) and contact b (OPb 3 ) of the door open command relay (OP) and contact b (GAb 2 ) of the GA relay. Woman.

이때의 도어 열림 지령 릴레이(OP)와, 도어 완전 닫힘 검출 스위치(Gate), 릴레이(DOR), 안전 도어 엣지 리미트 스위치(SDE)는 오프 상태로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door open command relay OP, the door full close detection switch Gate, the relay DOR, and the safety door edge limit switch SDE are in an off state.

따라서, 이후의 도어 닫힘 동작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게 되며, 이때 도어닫힘 동작이 완료될 때 까지 도어 열림/닫힘 버튼 스위치(DOB/DCB)를 누르고 있어야 하는데, 만약 이와같은 상태에서 버튼(DOB/DCB)에서 손을 떼면 릴레이(DCR), 도어 닫힘 및 열림 릴레이(DC)(DO), 도어 닫힘 지령 릴레이(CL)가 오프되어 모터(M)는 정지하게 됨과 동시에 전술한 착상위치 정지 검출접점(DZ)의 동작조건이 성립되어 도어의 재 열림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Therefore, the subsequent door closing operation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in which case the door open / close button switch (DOB / DCB) must be pressed until the door closing operation is completed, and in this state, the button (DOB / DCB) ), Relay (DCR), door close and open relay (DC) (DO), door close command relay (CL) are turned off, and motor (M) stops, and at the same time, ) Operating condition is established and the door is reopen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버튼 구성과 이 버튼을 탑승자가 누르면 내부 시퀀스로 전용운전 모드 이외의 경우는 도어 열림 버튼으로 인식하고, 전용 운전모드에서는 도어 닫힘 버튼으로 인식하여 불간섭 시간내에 도어 닫힘으로 인한 엘리베이터의 기동 빈도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줄이고, 또한 버튼 한 개의 조작으로 전용 운전모드의 동작을 병행할수가 있는 성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button configuration and when the passenger presses this button, the internal sequence is recognized as the door open button except for the exclusive operation mode, and in the exclusive operation mode, the door is closed and the door is closed within the non-interference time. Since the frequency of startup of the elevator can be reduced due to the clos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and the operation of the dedicated operation mode can be performed in parallel with a single button operation.

Claims (1)

도어 완전 열림 검출 스위치의 b접점(OLT)과, 엘리베이터의 착상 위치 정지 검출접점(DZ)과 도어 닫힘 릴레이의 b접점(DOb1) 및 도어 닫힘 지령 릴레이의 b접점(CLb1)과 도어 열림 지령 릴레이 코일(OP)로 구성되는 제1 회로(1)와; 도어 완전 닫힘 검출 스위치의 a접점(Gate)과, 도어 완전 닫힘 검출신호를 제공하는 릴레이(GA)로 구성되는 제2 회로(2)와; 상기 릴레이(GA)의 b접점(GAb1)과 도어 재열림 릴레이(DO)의 a접점(DOa1)과 도어 열림 지령 릴레이(OP)의 b접점(OPb1) 및 도어 닫힘 지령 릴레이(CL)로 구성된 제3회로(3)와; 안전도어 엣지 리미트 스위치의 b접점(SDE)과, 상기 도어 열림 지령 릴레이(OP)의 b접점(OPb2)과, 타이머(T1)의 b접점과 도어 재닫힘 릴레이(DC)의 a접점(DCa)이 병렬 연결된 자기 유지회로와, 도어 재열림 릴레이(DO)로 구성되는 제4 회로(4)와; 상기 도어 열림 지령 릴레이(OP)의 b접점(OPb3)과, 상기 릴레이(GA)의 b점점(GAb2)과, DCR 릴레이의 a접점(DCRa)과, 도어 재닫힘 릴레이(DC)로 구성되는 제5 회로(5)와; 상기 도어 열림 지령 릴레이(OP)의 a접점(OPa)과 전용 운전모드 릴레이(AS)의 b접점(ASb1)과 도어 열림 대기시간 제어용 타이머(T1)로 구성되는 제6 회로(6)와; 상기 도어 열림 대기시간 제어용 타이머(T1)의 a접점과, 상기 도어 열림 지령 릴레이(OP)의 b접점(OPb4)과, 플리커 릴레이(FCR)로 구성되는 제7회로(7)와; 상기 플리커 릴레이(FCR)의 a접점(FCRa)과 버튼 내장 램프(L)로 구성되는 제8 회로(8)와; 전용 운전모드 릴레이(AS)의 b접점(ASb2)과 직렬 연결된 DOR 릴레이를 포함하는 DOR 회로(9-1)와, 전용 운전모드 릴레이(AS)의 a접점(ASa)과 직렬 연결된 DCR 릴레이를 포함하는 DCR 회로(9-2)와, 상기 DOR 및 DCR 회로를 상호 병렬 연결하고 그 병렬단에 직렬 접속된 도어 열림/닫힘 버튼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9 회로(9)및; 전용 운전모드 선택 스위치(SW)와 전용 운전모드 릴레이(AS)로 구성되는 제10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제어회로.Door Fully b contact (OLT) of the opening detection switch and, b contact of the implantation sites still detection contact (DZ) and the door closing relay elevator (DOb 1) and a door contact b of the closing command relay (CLb 1) and a door open command A first circuit 1 composed of a relay coil OP; A second circuit (2) comprising a contact Gate of the door full close detection switch and a relay GA for providing a door full close detection signal; The relay (GA) b contact b contact of (GAb 1) and the doors re-open relay (DO) of a contact (DOa 1) and a door open command relay (OP) of the (OPb 1) and door close command relay (CL) A third circuit composed of; B contact SDE of the safety door edge switch, b contact OPb 2 of the door open command relay OP, b contact of the timer T 1 and a contact of the door reclosing relay DC. A fourth circuit (4) composed of a self-maintaining circuit connected in parallel with DCa) and a door reopening relay (DO); Consists of a b-contact (OPb 3) and, b more (GAb 2) and, in the DCR relay contact a (DCRa) and the door member closing the relay (DC) of the relay (GA) of the door open command relay (OP) A fifth circuit 5; A sixth circuit 6 comprising a contact point OPa of the door open command relay OP, b contact ASb 1 of the dedicated operation mode relay AS, and a timer T 1 for controlling the door open waiting time; ; A seventh circuit (7) including a contact point of the door opening waiting time control timer (T 1 ), a b contact point (OPb4) of the door opening command relay (OP), and a flicker relay (FCR); An eighth circuit (8) comprising a contact point (FCRa) of the flicker relay (FCR) and a lamp with a button (L); The DOR circuit 9-1 including the DOR relay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b contact ASb 2 of the dedicated operation mode relay AS and the DCR relay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a contact ASa of the dedicated operation mode relay AS A ninth circuit (9) comprising a DCR circuit (9-2) comprising; and a door open / close button switch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in parallel with the DOR and DCR circuits; Elevator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circuit comprising a tenth circuit consisting of a dedicated operation mode selection switch (SW) and a dedicated operation mode relay (AS).
KR1019930020662A 1993-10-06 1993-10-06 Door's open/close control circuit of an elevator KR01506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0662A KR0150653B1 (en) 1993-10-06 1993-10-06 Door's open/close control circuit of an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0662A KR0150653B1 (en) 1993-10-06 1993-10-06 Door's open/close control circuit of an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312A KR950011312A (en) 1995-05-15
KR0150653B1 true KR0150653B1 (en) 1998-10-15

Family

ID=19365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0662A KR0150653B1 (en) 1993-10-06 1993-10-06 Door's open/close control circuit of an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065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243B1 (en) * 2009-12-04 2012-03-27 한국마사회 Apparatus for power control for starting gate of horse racing
KR101293034B1 (en) * 2012-05-30 2013-08-0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Elevator control panel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120530A (en) 2018-04-16 2019-10-24 정성훈 Cat litter made of soy bean pure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20210041196A (en) 2019-10-07 2021-04-15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Elevator with door closing time output modu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243B1 (en) * 2009-12-04 2012-03-27 한국마사회 Apparatus for power control for starting gate of horse racing
KR101293034B1 (en) * 2012-05-30 2013-08-0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Elevator control panel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120530A (en) 2018-04-16 2019-10-24 정성훈 Cat litter made of soy bean pure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20210041196A (en) 2019-10-07 2021-04-15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Elevator with door closing time output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312A (en) 199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0653B1 (en) Door's open/close control circuit of an elevator
CN106337618A (en) Manipulation Assisting Control Apparatus
JPH11206182A (en) Motor-driving device and power window device
JP3794564B2 (en) Power control device
US4330782A (en) Fully-automatic antenna driving device
JP2530370B2 (en) Elevator call registration device
KR0124342Y1 (en) A circuit for controlling the door of a railcar
JPH05149054A (en) Opening controller for car door
JP2001040940A (en) Device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automatic door
KR100188155B1 (en) Circuit for controlling window for a car by using a silicon control rectifier
JPH0714606Y2 (en) Automatic door closing device
JP3024535B2 (en) Power supply system for sliding door
JPS6021057A (en) Copying device
JP2569988B2 (en) Elevator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970010999B1 (en) Power-window controlling apparatus
KR920008771Y1 (en) Controlling circuit for air compressor
SU1554098A2 (en) Device for controlling electric motor
JP3036227U (en) Elevator equipment
KR9600022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mergency rescue
RU2023845C1 (en) Device for control of drives of vehicle doors
JPH09228736A (en) Control device for slide door closer device
JPH06539Y2 (en) Automatic door controller
JPH0235828B2 (en)
JPH0750385Y2 (en) Elevator door controls
KR940000680Y1 (en) Ac elevator electricity failure rescue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