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519B1 - 좌변기 물탱크의 절수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 물탱크의 절수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519B1
KR0150519B1 KR1019950009337A KR19950009337A KR0150519B1 KR 0150519 B1 KR0150519 B1 KR 0150519B1 KR 1019950009337 A KR1019950009337 A KR 1019950009337A KR 19950009337 A KR19950009337 A KR 19950009337A KR 0150519 B1 KR0150519 B1 KR 0150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pening
closing plate
closing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9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997A (ko
Inventor
이학영
Original Assignee
이학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학영 filed Critical 이학영
Priority to KR1019950009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0519B1/ko
Publication of KR960037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5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9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han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2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oilet Suppl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1.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좌변기 물탱크의 개폐판과 개페레버뭉치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분야.
기존 좌변기 물탱크를 해체하지 않고 개폐판과 개폐레버 뭉치만을 누구나 손쉽게 교체하여 절수형 좌변기 물탱크로 개선코져함.
3. 그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좌변기 물탱크의 개폐판 자체를 상,하로 이중화 시켜 밑에 위치하는 큰 개폐판 중앙에 상하로 연통하는 소배수구를 형성하고 그위에 작은 개폐판이 놓이게하여 대변시는 이중화된 레버뭉치의 레버를 아래로 돌림으로써 작은 개폐판이 수압에 의해 큰 개폐판위에 밀착된 상태로 큰개폐판이 들어올려져 부구화됨에 따라 물이 전량 배출되고, 소변시는 레버를 위로 돌려 작은 개폐판만 들어올리도록하여 레버 작동간 하부에 부착된 부구위의 양만큼의 물만을 배출토록 한것으로 기존 좌변기 물탱크를 해체하지않고 레버뭉치와 개폐판만을 손쉽게 교체하여 절수형으로 개선토록 한것이다.
4. 발명의 용도
좌변기 물탱크 및 물의량을 차등 배출할 필요가 있는 물탱크류.

Description

좌변기 물탱크의 절수장치
본 발명은 좌변기 물탱크의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좌변기에 공급되는 용수의 공급량을 대,소변에 따라 조절가능하게 하여 절수효과를 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도 좌변기 물탱크로부터 좌변기에 공급되는 용수의 공급량을 대, 소변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으나, 이들은 대부분이 물탱크에서 좌변기로 공급되는 용수의 배수관을 이중으로 배관하여 구성하거나 물탱크를 이중으로 구성하여 각각 배수되게 한 것으로, 그 구성이 복잡하고 설치 및 제작비가 고가함은 물로 많은 부품수를 필요로 하여 내구성과 작동성이 불안정하며, 특히 물탱크 자체의 구조를 필연적으로 변경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으로 그 실용성을 인정받지 못하였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존 물탱크 자체의 구조를 변경할 필요가 없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기존 좌변기와 물탱크에 적용하여 대, 소변에 따라 용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매우 효율적인 절수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작용상태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췌 사시도.
제5,6도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물탱크 2 : 본체
3 : 작동레버 4 : 작동간
5 : 조립축관 6 : 아암부
7 : 누름판 8 : 배수구
9 : 부작동간 10 : 하향수직부
11 : 축공 12 : 지지축
13 : 부구 14,14' : 견인줄
15 : 주개폐판 15a : 힌지축
16 : 부개폐판 16a : 힌지축
17 : 배수공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함 사시도, 도2, 3은 본 발명의 작용상태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용수공급관측에 볼스탑밸브(도새랭략)가 연결되어 물탱크(1)내로 용수를 자동 급수하고, 물탱크(1) 저부 일측에는 좌변기와 연결되고 개폐수단이 설치된 배수구(8)가 형성되어 작동레버(3)의 조작으로 배수구(8)를 개폐작동함으로써 물탱크(1)내의 용수를 좌변기로 배수하게 하는 통상의 구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배수구(8)상에 부개폐판(16)이 힌지결합된 주개폐판(15)을 설치하여 대,소변에 따라 상기 주,부개폐판(15,16)을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대,소변에 따라 용수를 대,소량으로 조절하여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한것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물탱크(1) 전면 외측의 작동레버(3)는 회동 방향에 따라 주,부개폐판(15,16)을 개폐작동하는 물탱크(1)내의 작동간(4)과 연결하되, 상기 작동레버(3)와 작동간(4)은 물탱크(1)의 본체(2)에 인서트되는 조립축관(5)상에 끼움축설하여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간(4)은 선단에 주개폐판(15)의 일단과 견인줄(14)로서 연결되는 아암부(6)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작동간(4)의 아암부(6)는 배수구(8)측에 힌지축(15a)으로 힌지결합된 주개폐판(15)의 일단과 견인줄(14)로서 연결되어 상기 견인줄(14)의 견인작용으로 주개폐판(15)이 상향 각운동되어 배수구(8)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되며, 주개폐판(15)의 상부 배수공(17)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공(17)을 개폐하는 부개폐판(16)은 주개폐판(15)상면에 힌지축(16a)으로 힌지결합되어 각운동됨으로써 주개폐판(15)의 배수공(17)을 개폐작동하여 배수작용을 행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부개폐판(16)은 작동간(4)상의 누름판(7)에 의해 각운동되는 부작동간(9)과 견인출(14')로서 연결되어 개폐작동하게 되는 것인바, 이하, 부개폐판(16)과 이를 개폐작동하는 부작동간(9)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도6과 같이 상기 부작동간(9)은 일단이 부개폐판(16)과 견인줄(14')로 연결되며 타단은 작동간(4)의 누름판(7) 하측에 위치되어 하향으로 수직 절곡된 하향수직부(10) 하단에 부구(13)가 결합된다.
그리고, 부작동간(9)상에는 축공(11)이 형성되어 물탱크(1)의 조립축관(5)일측에 고정되는 지지축(12)의 일단이 끼움축설되어 상기 지지축(12)에 축공(11)이 회전축설된 부작동간(9)이 상기 지지축(12)을 축으로 하여 양측이 상하 각운동되게 하는 바, 상기 부작동간(9)은 축공(11)에 결합된 지지축(12)을 중심으로하여 부개폐판(16)과 견인줄(14')로서 연결되는 선측보다 작동간(4)의 누름판(7) 하측에 위치되는 후측을 보다 연장되게(길게) 형성하여 누름판(7)의 누름작동시 지지축(12)에 축설된 축공(11)을 중심으로 한 선축이 용이하게 상향 각운동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주,부개폐판(15,16)은 힌지축(15a,16a)의 결합위치를 상호 달리하여 개폐방향이 반대방향으로 되게 구성함으로써 원활한 개폐작동을 도모토록 하고, 상기 주개폐판(15)은 통상과 같이 부구화에 의하여 물탱크(1)내의 용수가 완전 배수될 때까지 닫히지 않도록 하며, 이와 같은 주개폐판(15)상의 배수공(17)에 결합되는 부개폐판(16)은 상기 부구화되는 주개폐판(15)과는 달리 전혀 부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오로지 견인줄(14')의 견인작용과 일단에 결합된 부구(13)의 부력에 의해서만 개폐작동되게 한다.
상기 주개폐판(15)의 배수공(17)을 개폐하는 부개폐판(16)의 개폐작동을 견인줄(14)의 견인작용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작동간(4) 일단과 부개폐판(16)을 비교적 팽팽한 긴장상태의 견인줄(14')로서 연결토록 한다.
즉, 부개폐판(16)이 주개폐판(15)의 배수공(17)을 폐쇄한 상태에서 부개폐판(16)과 부작동간(9)간을 팽팽한 긴장상태의 견인줄(14')로서 연결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작동레버(3)의 회동방향에 따라 주,부개폐판(15,16)이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물탱크(1)내의 용수가 대,소량으로 구분되어 좌변기측으로 공급되는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의 작용과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물탱크(1)내에 볼스탑밸브가 결합된 공급관(도시생략)을 통하여 공급되는 용수는 부개폐판(16)과 연결되는 부작동간(16)의 부구(13)가 용수에 충분히 잠기는 수위로 공급된다.
즉, 역으로 부개폐판(16)과 연결된 부작동간(9)의 부구(13)가 충분히 감기는 수위로 용수가 물탱크(1)내로 공급되어 채워지게 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용수가 부구(13)를 소정 깊이로 침강시킨 상태의 수위로 물탱크(1)내에 채워지더라도 부작동간(9)은 작동간(4)의 누름판(7)에 의해 상향 작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되므로 용수에 잠긴 부구(13)에 부력이 작용하더라도 이의 부력에 의해 부작동간(9)과 부구(13)는 전술한 작동간(4)의 누름판(7)에 의해 고정되어 외력에 의하지 않고서는 상방으로 유동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볼스탑밸브가 설치된 공급관을 통하여 용수가 물탱크(1)내로 자동급수되는 작용은 일반적인 것이며, 이와 같이 용수가 자동 공급되는 상태에서 작동레버(3)를 일방(A)으로 회동하면 상기 작동레버(3)와 물탱크(1)의 조립축관(5)측으로 연결된 작동간(4) 선측의 아암부(6)가 상향 각운동되어 상기 아암부(6)와 연결된 견인줄(14)에 의해 주개폐판(15)이 일측 힌지축(15a)을 축으로 상향 개방 작동되어 용수가 배수된다.
즉, 작동레버(3)를 (A)방향으로 젖혀 주면 상기 작동레버(3)와 연결된 작동간(4) 일측의 아암부(6)가 상향 작동되면서 견인줄(14)을 당겨주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견인줄(14)은 팽팽한 긴장상태로 되면서 주개폐판(15)을 배수구(8)로부터 개방하여 물탱크(1) 내부의 용수를 좌변기로 배수, 공급하게 된다.
물론, 이때는 주개폐판(15)의 부구화에 의하여 용수가 완전 배수되기 전까지 주개폐판(15)이 닫히지 않고 용수가 완전 배수되고 나면 자중에 의해 배수구(8)를 폐쇄하게 되는 것으로써, 이와 같이 주개폐판(15)을 개방하는 경우에는 비교적 많은 용수량을 필요로 하는 주로 대변시 등에 조작레버(3)를 일방(A)으로 회동하여 대량의 용수를 배수, 공급하게 된다.
한편, 소변시 등에는 비교적 적은 량의 용수를 공급키 위하여 작동레버(3)를 타방(B)으로 회동하여 부개폐판(16)을 개방시키게 된다.
즉, 적은 량의 용수를 배수, 공급하고자 할시는 조작레버(3)를 전술과 반대방향(B)으로 젖혀주게 되면 작동간(4)이 하향 각운동하여 작동간(4)의 누름판(7)이 지지축(12)에 축설된 축공(11)을 중심으로 한 부작동간(9)의 일측을 하향시켜서 반대측을 상향 각운동시키게 된다.
물론, 이때 작동간(4)의 아암부(7)는 하향 각운동하게 되므로 이의 선단에서 주개폐판(15)과 연결된 견인줄(14)은 더욱 느슨한 상태가 되어 주개폐판(15)의 개폐작동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작동레버(3)를 (B)방향으로 회동하여 작동간(4)의 누름판(7)으로 부작동간(9) 일측을 하향시켜 선측을 상향 회동시켜주면 상기 부작동간(9)선측과 견인줄(14')로 연결된 부개폐판(16)이 주개페판(15)상의 힌지축(16a)을 중심으로 주개폐판(15)의 배수공(17)을 개방하여 상기 배수공(17)을 통하여 용수가 배수구(8)측으로 배수, 공급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와 같이 부작동간(9) 선측이 상향으로 들려지게 됨에 따라 축공(11)을 중심으로 한 부작동간(9) 후측은 하향작동되어 이의 하향수직부(10) 하단에 결합된 부구(13)가 상방으로 이동 위치하며, 여기서 용수에 잠겨진 상태의 부구(13)에 작용되는 부력은 당연히 부구(13)를 수면위로 떠받치는 힘으로 팽팽한 긴장상태의 견인줄(14')과 연결된 부작동간(9) 선측을 상향 작동된 상태로 유지시키고, 이에 따라 팽팽한 긴장상태의 견인줄(14')과 연결된 부개폐판(16)의 개방상태를 함께 유지시켜 용수가 배수공(17)을 통하여 배수되게 한다.
이와 같이 용수가 지속적으로 배수되다가 도6과 같이 용수가 어느정도 배수되어 부구(13)가 수면상으로 노출되는 높이로 수위가 낮아지면 상기 수면상에서 용수의 부력에 의해 떠받쳐지는 부구(13)는 부개폐판(16)을 통하여 배수되는 용수에 의해 그 용수의 수위와 함께 그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면서 서서히 하강하게 된다.
즉, 부구(13)는 수면상에서 부력에 의한 부상(浮上)상태를 유지하여 수위에 따라 그 높이가 낮아지면서 하강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부구(13)의 하강작용은 상기 부구(13)가 설치된 부작동간(4) 선단과 팽팽한 긴장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견인줄(14')이 부개폐판(16)의 개방상태를 유지시켜 상기 부구(13)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부작동간(9) 선측과 연결된 견인줄(14')에 의해 더 이상 개방상태가 유지되지 않는 상태, 곧 부개폐판(16)이 주개폐판(15)의 배수공(17)을 폐쇄하는 상태까지 부구(13)가 하강되지 않는 한 부개폐판(16)의 개방상태를 수위에 따라 점진적으로 유지시키면서 배수공(17)을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부구(13)는 부개폐판(16)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부개폐판(16)의 용수 공급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함께 수행함으로써 물탱크(1)의 용수를 전부 배수하지 않고 부구(13)가 설치된 높이까지만 비교적 소량의 용수만을 주개폐판(15)의 배수공(17)을 통하여 배수케 되는 것으로, 상기 작동간(4)의 누름판(7) 하측에 부작동간(9)의 하향수직부(10)에 결합된 부구(13)의 높이 조절로 소량으로 배수코져 하는 용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용수가 일부 배수되고 나면 통상과 같이 용수공급관측에 설치된 볼스탑밸브의 부구가 하강하게 될 것이므로 다시 적량의 용수가 물탱크(1)로 급수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간편한 구성으로 대,소변시에 따라 용수의 배수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 대,소변에 관계없이 물탱크(1)내의 용수 전부가 공급되는 폐단을 방지하여 유용한 절수효과를 득하게 되는 것이며, 특히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와 작동방법으로서 기존 물탱크(1)의 주조변경없이 단지 개폐판과 개폐레버의 작동뭉치 등으로 구성되는 개폐수단만을 교체하여 절수효과를 도모하게 되어 그 실익적 가치가 대단히 우수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바 외에도 기존 물탱크(1)의 구조 변경없이 비교적 간편하게 실시하여 절수효과 등의 상당한 경제적 이익을 득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용수공급관측에 볼스탑밸브가 연결되어 용수가 자동 급수되며 저부에는 좌변기와 연결되고 개폐수단이 설치된 배수구(8)가 형성되어 작동레버(3)의 조작으로 배수구(8)를 개폐작동함으로써 물탱크(1)내의 용수를 좌변기로 배수하는 통상의 좌변기 물탱크 구조에 있어서, 물탱크(1) 외측의 작동레버(3)와 연동되는 작동간(4)과, 상기 작동간(4) 일측의 아암부(6)과 견인줄(14)로 연결되어 배수구(8)를 개폐하는 주개폐판(15)과, 물탱크(1) 본체(2)에 고정되는 지지축(12)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축(12)을 축으로 일측이 작동간(4)의 누름판(7) 하측에 위치되어 누름판(7)의 누름작동으로 선측이 상향 각운동되는 부작동간(9)과, 상기 누름판(7) 하측에 위치되는 부작동간(9)에 수직하향 형성되어 하단에 부구(13)결합되는 하향수직부(10)와, 상기 부작동간(9) 선축과 긴장상태의 견인줄(14')로서 연결되어 주개폐판(15)상의 배수공(17)을 개폐하는 부개폐판(1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물탱크의 절수장치.
KR1019950009337A 1995-04-17 1995-04-17 좌변기 물탱크의 절수장치 KR0150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9337A KR0150519B1 (ko) 1995-04-17 1995-04-17 좌변기 물탱크의 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9337A KR0150519B1 (ko) 1995-04-17 1995-04-17 좌변기 물탱크의 절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997A KR960037997A (ko) 1996-11-19
KR0150519B1 true KR0150519B1 (ko) 1998-10-15

Family

ID=19412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9337A KR0150519B1 (ko) 1995-04-17 1995-04-17 좌변기 물탱크의 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05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6844A (ko) * 2019-08-05 2021-02-17 주식회사 현무 물탱크배수관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6844A (ko) * 2019-08-05 2021-02-17 주식회사 현무 물탱크배수관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997A (ko) 1996-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6024A (en) Flushing controller for toilet
US4922556A (en) Flushing means
CA2014019C (en) Accelerated rim wash for a toilet
KR0150519B1 (ko) 좌변기 물탱크의 절수장치
KR100477981B1 (ko) 자연배출 및 절수형 양변기의 작동 메카니즘
WO2022242007A1 (zh) 浮筒装置及控制浮筒及时下落的方法和进水阀、排水阀
US4842011A (en) Flushing means
KR0150520B1 (ko) 좌변기 물탱크의 절수장치
US4184215A (en) Toilet flushing apparatus
KR200344345Y1 (ko)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
KR200237149Y1 (ko) 수세식 변기
KR200198086Y1 (ko) 양변기용 절수구
KR100315980B1 (ko) 양변기 저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
CN215211341U (zh) 一种浮筒装置及进水阀和排水阀
KR100349496B1 (ko) 양변기용 로우 탱크의 개폐밸브.
CN2447414Y (zh) 马桶水箱的两段式冲水装置
KR200243351Y1 (ko) 자연배출식 수세식 변기의 오동작 방지장치
JP3007503U (ja) 水洗トイレの節水装置
KR880004454Y1 (ko) 양변기용 배수 조절장치
KR200206146Y1 (ko) 양변기의 절수장치
KR200271612Y1 (ko) 절수형 양변기
KR0131347Y1 (ko) 변기용 절수기
JP2537956Y2 (ja) 水洗式大便器
KR200229787Y1 (ko)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KR100523950B1 (ko) 양변기의 저수 및 배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