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973B1 - 다공질유리 미생물 담체, 이를 사용한 폐수처리방법 및 폐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다공질유리 미생물 담체, 이를 사용한 폐수처리방법 및 폐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973B1
KR0149973B1 KR1019950004317A KR19950004317A KR0149973B1 KR 0149973 B1 KR0149973 B1 KR 0149973B1 KR 1019950004317 A KR1019950004317 A KR 1019950004317A KR 19950004317 A KR19950004317 A KR 19950004317A KR 0149973 B1 KR0149973 B1 KR 0149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wastewater treatment
microbial carrier
wastewater
microb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4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101A (ko
Inventor
이준영
최춘식
Original Assignee
최영증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증,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영증
Priority to KR1019950004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9973B1/ko
Publication of KR960034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9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섬유, 유리분말 또는 이들 재료와 세라믹 분말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되는 소결재료와, 상기 소결재료의 소결온도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가용성 물질을 혼합하여 소정의 미생물 담체 형태로 성형하여 소결시킨 후, 가용성 물질을 용해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공질유리 미생물 담체를 사용하여 통상의 생물막 유동층 폐수처리장치에 사용함으로써 생물막 유동층 폐수처리방법과, 상기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생물막 고정상 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공질유리 미생물 담체, 이를 사용한 폐수처리방법 및 폐수처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통상의 생물막 유동층 폐수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생물막 고정상 폐수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담체별 SCOD 제거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담체별 SBOD 제거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응처리조 2 : 폐수유입구
3 : 처리수 유출구 4 : 공기주입구
5 : 세척수 유입구 6 : 세척수유출구
7 : 마이크로펌프 8 : 유량계
9 : 디퓨저 10 : 충전여과상
본 발명은 다공질유리 미생물 담체, 이를 사용한 폐수처리방법 및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물학적 폐수처리에서 미생물 담체로 사용하는 다공질유리 담체, 이 다공질유리 담체를 미생물 부착수단으로 사용하는 생물막 유동층 폐수처리방법 및 이 다공질유리 담체를 사용하는 생물막 고정상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물학적 폐수처리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활성오니법, 생물막법, 안정화 연못법 등과 같은 호기적 처리법, 소화법 등과 같은 혐기적 처리법이 알려져 있다.
또한, 생물학적 폐수처리방법은 반응처리조 내에서의 미생물의 증식상태에 따라 부유증식법과 부착증식법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부유증식법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활성슬러지법을 들 수 있고, 부착증식법으로는 생물막 고정상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생물막 고정상법에 사용되는 장치에는 생물막 고정상 폐수처리 장치 및 고정화 미생물 유동층 폐수처리장치를 들 수 있다. 상기 고정화 미생물 유동층 폐수처리장치 또는 생물막 유동층 반응기(Fluidized Bed Biofilm Reactor)는 비표면적이 넓은 매체(media) 또는 담체에 미생물을 부착시킴으로써 반응기(반응처리조)내에 포함된 미생물의 농도를 높여서 생물학적으로 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에 사용된다. 이러한 생물막 유동층 반응기는 미생물 담체를이용하여 반응기내에 포함된 미생물의 농도(Biomass)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활성슬러지법과 같은 부유미생물을 이용하는 방법에 비해 좁은 부지의 처리시설로도 높은 처리효율을 나타낼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아울러 이러한 생물막 유동층 반응기는 증식속도가 낮은 미생물도 담체에 부착되어 씻겨내려가지 않으므로 처리가능한 생물종이 다양하고 그만큼 먹이연쇄가 복잡하여 안정된 생태계를 구성함으로써 수질변동에 대한 적응력도 강하다. 특히, 질화세균이나 탈질세균의 증식이 증대되므로 활성슬러지법에 비해 질소제거율이 높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활성슬러지법은 현재 널리 사용되고는 있으나 유지관리가 어렵고 슬러지 팽화(imbibition)로 인해 처리수의 수질이 나빠질 수 있으며, 유입부하의 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미생물 담체를 이용하는 생물막 고정상법은 유지관리가 쉽고 수온이나 부하변동에 영향이 적으며 슬러지 팽화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활성슬러지법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유기물의 제거효율이 높고 슬러지의 발생량이 적어서 설비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아도 좋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종래,이러한 생물막 유동층 반응기에서 미생물을 부착, 고정시키는 담체로는 다당류, 불활성 단백질, 합성수지, 합성고분자 및 모래 또는 세라믹스 분말, 활성탄, 산호초등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미생물 고정화 담체는물리, 화학적으로 안정된 비활성물질로서 비표면적이 커서 미생물의 부착용량이 높으면서 아울러 값싸고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상기한 생물막 고정상 폐수처리장치에 사용되는 미생물 담체(Media)로서 갖추어야 할 조건에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것들을 예로 들 수 있다. 즉, 담체의 비표면적이 커서 미생물의 보유용량이 크며, 기공률이 높아서 반응처리조의 실용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물리적으로나 화학적으로 안정되어 충분한 강도를 나타내며 담체로부터 유해한 물질이 용출되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적절한 표면거칠기를 가져서 미생물의 부착성이 우수하고 충분한 비중을 지녀서 역세척시 반응처리조에서 담체가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종래, 이러한 생물막 고정상 폐수처리장치에 사용되는 미생물 담체로는 쇄석이나 자갈등이 사용되었으며, 최근에는 화학적으로 안정한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등과 같은 플라스틱 또는 합성고무등으로 되어 벌집 또는 실타래형상, 스폰지매트형상, 또는 원통상의 격자형태 등으로 이루어져 기공률이나 표면적이 큰 형태로 성형한 것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미생물 담체들은 전술한 바와 같은 담체로서의 요구성능을 충분히 만족시킬 만한 수준은 아니다. 즉, 미생물의 부착성이 낮아서 안정된 처리수질을 얻기까지 상당한 처리시간을 요한다거나, 공간폐쇄로 인한 수질의 악화우려가 있고, 비중이 낮아서 역세척시에는 담체가 부상하기 쉽고, 처리효율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들이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이미 큰 개방기공용적을 갖는 다공질 소결유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특허(특허 제 75635호)를 받았으며, 이 특허방법에 따르면, 소정 길이로 절단된 유리섬유와, 이 유리 섬유의 소결온도 보다 높은 융점을 가지며 규정된 입도를 가지는 분말상의 가용성 물질을 혼합하여 성형한 후, 유리섬유의 전이점과 융점 사이의 온도에서 일정시간 가열하여 유리섬유를 부분적으로 소결, 융착시키고, 이 소결품을 서냉시킨 후, 가용성 물질을 용출, 제거하여 상기한 미생물 담체로 사용할 수 있는 다공질 소결유리가 얻어진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한 다공질 유리는 물리화학적으로 안정된 물성을 나타내는 것은 물론, 기공률이 높고 균일하며, 비표면적이 높고 성형품의 기계적 강도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출원인의 이러한 다공질 유리성형품을 전술한 생물막 유동층 폐수처리장치와 생물막 고정상 폐수처리장치의 미생물 담체로 사용할 경우에 담체로서의 요구성능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생물막 고정상법에 사용되는 미생물 담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출원인의 선행발명인 다공질 유리가 물리화학적으로 안정되고, 충분한 기공률 및 비표면적을 구비하며, 적절한 비중과 내구성 및 강도를 구비한 점에 착안하여 이를 미생물 담체로 사용하여 효율좋고 경제적인 생물학적 폐수처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섬유, 유리분말 또는 이들 재료와 세라믹 분말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되는 소결재료와, 상기 소결재료의 소결온도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가용성 물질을 혼합하여 소정의 미생물 담체 형태로 성형하여 소결시킨 후, 가용성 물질을 용해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미생물 담체가 추가로 소정의 크기로 분쇄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유리섬유는 길이가 20 내지 5000㎛인 것을 사용하고, 상기 가용성 물질은 입경이 50 내지5000 ㎛인 것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미생물 담체는 원통체 또는 래시그(Raschig)링 형상 또는 입상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미생물 담체는 입경이 0.2 내지 5㎜인 입상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미생물 담체를 미생물 부착수단으로 사용하는 폐수처리 방법 및 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라, 미생물이 부착된 입상체의 다공질유리 미생물 담체를 포함되어 있는 반응처리조 내로 피처리 폐수를 유입시키고, 소정시간 체류시키면서 주기적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폭기하면서 정화처리하고, 처리수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막 유동층 폐수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라, 반응처리조와; 상기 반응처리조 내로 피처리 폐수를 유입시키는 폐수유입구와; 피처리수가 처리되어 배출되는 처리수 유출구와; 상기 반응처리조 내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와; 상기 반응처리조의 역세척용 세척수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응처리조 내에, 유입된 폐수가 통과하도록 배치되며, 미생물 부착용 다공질유리 미생물 담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충전여과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막 고정상 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담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존의 미생물 담체로 사용되고 있는 것과 비교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생물막 유동층 폐수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 장치는 반응처리조(1)와 반응처리조(1) 내에 폐수유입구(2)와 처리수 유출구(3)가 배치되고, 상기 반응처리조(1)의 저면에는 유량계(8)를 거쳐서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주입구(4)로 구성된다.
하기 표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라 사용되는 본 발명의 다공질 유리와, 종래의 산호초 및 활성탄의 구조와 물성을 보여주는 도표이고, 하기 표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라 사용되는 유기합성폐수의 조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라 사용되는 다공질 유리담체는 입경이 1 내지 50㎛인 유리섬유를 20 내지 5000㎛의 길이로 절단하여 소결재료로 사용하고, NaCl, Na2SO4, Li2SO4, MgSO4, K2SO4중에서 선택되는 가용성 물질을 사용하여 이들을 적절히 혼합하여 소결한 후, 가용성 물질을 제거하여 다공성 유리를 제조한 후, 이를 0.2 내지 5㎜의 소정의 입자크기로 분쇄한 것이다. 하기 표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라 각각의 미생물 담체를 15%(전체 반응조의 실용적에 대한 비율임)씩 투여하고 체류시간을 2시간, 1시간, 40분, 20분으로 하여 유출입수를 분석한 결과 얻어진 처리효율을 나타낸다. 하기 표3에서, TCODCR의 경우에는 각 담체 모두 체류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처리효율이 증가되고, 체류시간이 2시간일 경우에 산호초와 가공질 유리는 90% 이상의 처리효율을 나타낸다. SCODCR의 경우에는 체류시간에 관계없이 각 담체 모두 90% 이상의 높은 처리효율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TCODCR과 SCODCR은 K2Cr2O7을 사용한 환류방법인 표준방법에 의한 COD측정방법으로서, TCOD는 총 화학적 산소요구량(Total COD)이고, SCOD는 용해성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soluble) 이다.
종래의 미생물 담체인 산호초는 다공질 소결유리와 같이 높은 기공률을 갖고 있어 미생물의 부착능력이 뛰어나 단기간내에서 폐수처리능력은 양호하지만, 산호초를 구성하고 있는 CaCO3성분이 물에 녹아서 폐수처리 반응처리조 내에서 재석출되게 되는데, 산기관에 재석출되는 경우에는 폭기를 방해하여 폐수처리장치의 장기간 연속가동을 저해한다.
또한, 종래의 미생물 담체인 활성탄은 높은 비표면적을 갖고 있어 미생물의 부착능력은 좋으나, 겉보기 비중이 물에 비해 너무 낮아서 활성탄의 부유현상으로 인하여 반응처리조 내에서의 상하유동을 방해하여, 대형 폐수처리장치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라 사용되는 다공질 유리담체는 생물막 유동층 폐수처리방법에서 종래에 사용되었던 산호초 담체나 활성탄 담체와 동등 이상의 담체성능을 나타냄으로써 이들은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리, 화학적으로 안정된 물성을 나타내며, 높은 기공률과 비표면적을 구비하고, 적절한 비중과 내구성 및 강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질유리로 된 미생물 담체를 생물막 유동층 반응기에 적용함으로써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생물막 유동층 폐수처리장치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다공질 유리 담체와 종래의 담체의 폐수처리효율을 비교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생물막 고정상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반응처리조(1)의 상부에는 마이크로 펄프(7)에 연결된 피처리폐수의 유입구(2)와, 세척수 유출구(6)가 배치되고, 상기 반응처리조(1)의 내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질유리 담체로 채워진 충전여과상(10)이 배치된다. 상기 반응처리조(1)의 하부에는 처리수 유출구(3)와 세척수 유입구(5)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반응처리조(1)의 저면에는 유량계(8)에 연결되는 공기주입구(4)가 배치되고 그 선단에는 디퓨져(diffuser)(9)가 배치되어 상기 반응처리조(1)내에 폭기용 공기를 도입하도록 구성된다. 실제로 실험에 사용된 반응기는 직경 6.5㎝, 높이 120㎝, 작동부피 2ℓ의 투명아크릴로 제작되고, 역세척과 수두손실(head loss) 및 거품발생을 고려하여 50㎝ 정도 여유고를 둔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라 사용되는 다공질유리 담체는 입경이 1 내지 50 ㎛인 유리섬유를 20 내지 5000㎛의 길이로 절단하여 소결재료로 사용하고, NaCl, NaSO, LiSO, MgSO, KSO중에서 선택되는 가용성 물질을 사용하여 이들을 적절히 혼합하여 소결한 후, 가용성 물질을 제거하여 제조된 것이다. 본 발명의 다공질유리 담체의 형태는 서로 다른 크기의 원통형과 격자형으로 성형하여 실험한다. 이와 비교되는 비교예로서는 대한제작소에서 제조된 PVDC제 스폰지(이하 스폰지라 칭함)와, 선경건설에서 제조된 상품명 비올렛(Biolette)(이하 비올렛이라 칭함)을 사용한다. 하기 표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라 사용되는 미생물 담체의 구조와 물성을 보여주는 도표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라 사용되는 인공폐수의 조성은 상기 표2와 같다.
본 실험중 SOCD 및 SBOD의 제거효율의 실험결과는 하기 표5와 같으며, 첨부된 제3도와 제4도는 이의 그래프이다. 하기 표5의 실험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의 미생물 담체 중 G-2, G-3 및 G-4는 비교예인 다른 담체에 비해 짧은 체류시간에서 우수한 SCOD(용해성 화학적 산소요구량, Soluble Chemical Oxygen Demand) 및 SBOD(용해성 생화학적 산소요구량, Soluble Biochemical Oxygen Demand) 제거율을 나타내고, 체류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거의 동등한 제거율을 나타낸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볼때에는 처리효율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담체로 종래의 담체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일반적으로, BOD는 비용해성 BOD(BOD)와 용해성 BOD(BOD)의 총합을 의미한다].
하기 표6은 반응처리조 내의 체류시간이 1시간인 경우의 미생물의 부착량을 나타내는 TSS치에 대한 실험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충전여과상 상부의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G-1, G-2 및 G-3 담체의 TSS치는 비교예인 스폰지나 비올렛에 비해 약간 낮은 수치를 보이나, 충전여과상 하부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높이에 따른 미생물 부착량의 감소율은 작게 나타나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미생물 부착성을 보인다. 여기에서, TTS는 총현탁 고형물(Total Suspended Solids)로서, 폐수를 표준여과관을 통해 거른다음, 105℃에서 1시간, 기상 건조시켜 측정된 고형물 농도를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G-4 담체의 경우에는 상하부의 미생물 부착량이 모두 비교예들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높이에 따른 감소율도 적어서 미생물 부착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다.
전체적으로 볼때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미생물 담체는 비교예의 담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미생물 농도에 비해 유기물 제거율이 높아서 슬러지의 생성은 적은 반면 유기물의 처리효율을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인 생물막 고정상 폐수처리장치는 역세척시에 세척수를 반응처리조로 주입하면, 스폰지와 비올렛은 세척수와 함께 부상하는 현상이 일어나서 역세척이 곤란하여 별도의 담체 보관장치가 필요한 반면, 본 발명의 다공질 유리 담체는 하기 표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큰 비중을 지녀서 별다른 담체 보관장치가 없이도 역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리, 화학적으로 안정된 물성을 나타내며, 높은 기공률과 비표면적을 가져서 미생물의 보유용량이 우수하며, 특히 적절한 비중과 강도를 구비하여 역세척이 용이하며 장기간 사용할 수 있어서 경제적인 생물학적 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와 이를 이용한 생물막 고정상 폐수처리장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와 제2 실시형태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공질유리 미생물 담체는 기존의 담체와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생물막 유동층 폐수처리장치와 생물막 고정상 폐수처리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9)

  1. 유리섬유, 유리분말 또는 이들 재료와 세라믹 분말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되는 소결재료와, 상기 소결재료의 소결온도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가용성 물질을 혼합하여 소정의 미생물 담체 형태로 성형하여 소결시킨 후, 가용성 물질을 용해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담체가 소정의 크기로 분쇄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는 길이가 20 내지 5000㎛인 것을 사용하고, 상기 가용성 물질은 입경이 50 내지 5000㎛인 것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담체는 원통체 또는 래시그(Raschig)링 형상 또는 입상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담체는 입경이 0.2 내지 5㎜인 입상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
  6. 미생물이 부착된 입상체의 미생물 담체가 포함되어 있는 반응처리조 내로 피처리 폐수를 유입시키고, 소정시간 체류시키면서 주기적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폭기하면서 정화처리하여, 처리수를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생물막 유동층 폐수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한 미생물 담체로서, 유리섬유, 유리분말 또는 이들 재료와 세라믹 분말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되는 소결재료와, 상기 소결재료의 소결온도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가용성 물질을 혼합하여 소정의 미생물 담체 형태로 성형하여 소결시킨 후, 가용성 물질을 용해 추출하여 제조되는 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유리 미생물 담체는 입경이 0.2 내지 5㎜인 입상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막 유동층 폐수처리방법.
  8. 반응처리조와, 상기 반응처리조 내로 피처리 폐수를 유입시키는 폐수 유입구와; 피처리수가 처리되어 배출되는 처리수 유출구와; 상기 반응처리조 내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구와; 상기 반응처리조의 역세척용 세척수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폐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응처리조 내에 미생물 담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충전여과상이 유입된 폐수가 통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미생물 담체로서 유리섬유, 유리분말 또는 이들 재료와 세라믹 분말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소결 재료와, 상기 소결재료의 소결온도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가용성 물질을 혼합하여, 소정의 미생물 담체 형태로 성형하여 소결시킨 후, 가용성 물질을 용해 추출하여 제조되는 폐수처리용 미생물 담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막 고정상 폐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유리 미생물 담체가 원통형 또는 래시그(Raschig)링형상 또는 입상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막 고정상 폐수처리장치.
KR1019950004317A 1995-03-03 1995-03-03 다공질유리 미생물 담체, 이를 사용한 폐수처리방법 및 폐수처리장치 KR0149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4317A KR0149973B1 (ko) 1995-03-03 1995-03-03 다공질유리 미생물 담체, 이를 사용한 폐수처리방법 및 폐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4317A KR0149973B1 (ko) 1995-03-03 1995-03-03 다공질유리 미생물 담체, 이를 사용한 폐수처리방법 및 폐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101A KR960034101A (ko) 1996-10-22
KR0149973B1 true KR0149973B1 (ko) 1999-03-30

Family

ID=19409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4317A KR0149973B1 (ko) 1995-03-03 1995-03-03 다공질유리 미생물 담체, 이를 사용한 폐수처리방법 및 폐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99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2623B2 (en) 2015-06-29 2018-08-2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Inorganic material for removing harmful substance from wastewater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method for wastewater treat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2623B2 (en) 2015-06-29 2018-08-2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Inorganic material for removing harmful substance from wastewater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method for wastewater trea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101A (ko) 1996-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66473C (en) Integrated hydroponic and fixed-film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CN101918325B (zh) 槽外设置型膜分离活性污泥法
BR112016027241B1 (pt) Sistema e métodos de tratamento de água contaminada
JPH06509274A (ja) 流体の処理方法及び装置
FI103275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jätevesien puhdistamiseksi biologisesti
US8088278B2 (en) Wastewater filtering medium
WO2003043941A1 (fr) Appareil et procede de traitement des eaux usees organiques
KR0149973B1 (ko) 다공질유리 미생물 담체, 이를 사용한 폐수처리방법 및 폐수처리장치
CA2357907A1 (en) Bacteria growth apparatus for use in multi chamber biological reactor used after a settling tank or solids removal apparatus
CN101287682A (zh) 在各个阶段包括特殊处理的saf系统和方法
KR100873052B1 (ko) 개방형 오폐수 및 하수 처리장치
JP2584386B2 (ja) 生物ろ過方法および装置
KR100632386B1 (ko) 고분자 복합재료로 구성된 미생물막 담체,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생물학적 오/폐수 처리와 악취가스의 생물학적 여과 방법
EP0075297B1 (de) Verfahren zur biologischen Denitrifikation von Abwasser
JPS63310696A (ja) 廃水処理生物膜担体
KR100547463B1 (ko) 황 충전 mbr 반응기를 이용한 포기조내 질소제거 장치
JPH0416297A (ja) 廃水の固定床型活性汚泥処理用固定化担体と廃水処理方法
JP2000246272A (ja) 汚水の窒素除去方法
KR100304068B1 (ko) 생물막 여과법을 이용한 생물학적 수처리장치와 수처리방법(sbf)
KR100399549B1 (ko) 간이 상수도 고도처리 및 오,폐수 중수처리 장치의 탄소섬유 복합재를 이용한 필터의 제조방법
KR100464243B1 (ko) 활성탄을 함침시킨 발포폴리프로필렌 여재와 그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생물막 여과장치
KR100583063B1 (ko) 셀롤로즈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미생물 고정화 제품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고정화 제품
JPH11197682A (ja) 環境浄化用造粒物
Naguib Biological nutrient removal of municipal wastewater using two hybrid moving bed membrane bioreactors and a conventional membrane bioreactor
AU694681B2 (en) Filtration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