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386B1 - 충전용 밧데리의 쾌속 충전 모드 변환회로 - Google Patents

충전용 밧데리의 쾌속 충전 모드 변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386B1
KR0149386B1 KR1019950035599A KR19950035599A KR0149386B1 KR 0149386 B1 KR0149386 B1 KR 0149386B1 KR 1019950035599 A KR1019950035599 A KR 1019950035599A KR 19950035599 A KR19950035599 A KR 19950035599A KR 0149386 B1 KR0149386 B1 KR 0149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utput
battery
comparator
compens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5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4435A (ko
Inventor
서맹호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35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9386B1/ko
Publication of KR970024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4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3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용 밧데리 전압차 검출 방식을 이용하여 누설 전류에 의한 영향을 보상하는 충전용 밧데리의 쾌속 충전 모드 변환 회로에 관한 것으로, 밧데리의 충전시 완충되기 전후 시점에서 기준 전압과 밧데리 전압의 차를 증폭하는 전압차 증폭부와, 상기 전압차 증폭부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으로 하여 누설 전류로 증가되는 전압차를 보상하기 위한 전압 보상부와, 밧데리의 완충후 상기 전압차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전압차 증폭부와 전압 보상부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전압차 증폭부와 전압 보상부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으로 하여 상기 전압보상부의 정상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비교부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발생되는 완충 이전의 초기 펄스를 제거하여 출력하기 위한 정상 동작 감지 및 초기 펄스 제거부와, 상기 비교부와 정상 동작 김지 및 초기 펄스 제거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전압 보상부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에만 최종 출력 전압을 출력하는 로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충전용 밧데리의 쾌속 충전 모드 변환 회로
제1도는 밧데리의 충전 및 온도 특성 곡선을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종래의 쾌속 충전 모드 변환 회로의 회로도.
제3도는 제2도의 각 부분의 전압 파형도.
제4도는 본 쾌속 충전 모드 변환 회로의 회로도.
제5도는 제4도의 각 부분의 전압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압차 증폭부 11,21: 연산 증폭기
20: 전압 보상부 30: 비교부
31,41: 비교기 40: 정상 동작 감지 및 초기 펄스 제거부
42,52: 래치 50: 로직부
51: 앤드 게이트 R1,R2,R3,R4: 저항
C1,C2,C3: 캐패시터
본 발명은 충전용 밧데리의 쾌속 충전 모드 변환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밧데리 전압차 검출 방식을 이용하여 누설 전류에 의한 영향을 보상하는 충전용 밧데리의 쾌속 충전 모드 변환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밧데리의 충전 및 온도 특성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현제에는 충전용 밧데리(Chargeable Battery)를 사용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전원 공급용 충전용 밧데리의 쾌속 충전과 장시간 사용, 그리고 긴 밧데리 수명등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밧데리의 종류, 특성, 사용 방법, 및 충전 방식에 따라 결정되는 요소이다.
밧데리의 충전 및 온도 특성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밧데리가 완충된 이후에는 충전전류를 계속 공급한다 해도 자연 방전을 하게 되고, 밧데리의 온도는 완충 시점부터 급격하게 상승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충전 방법은 밧데리의 쾌속 충전과 수명에 매우 큰 영향을 주는데, 밧데리를 충전함에 있어 쾌속 충전을 하게 되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밧데리가 완충된 이후 과충전이나 온도의 급격한 상승에 의한 밧데리수명이 단축되거나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완충되기 이전에 충전을 중단한다면 밧데리의 용량을 충분히 사용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밧데리의 메모리 효과로 인해 밧데리의 용량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완충된 이후에도 계속 충전을 해도 밧데리는 자연 방전을 한다.
그러므로 쾌속 충전을 하되 밧데리 수명을 단축시키지 않으면서 밧데리의 용량을 충분히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밧데리가 완충된 이후 밧데리의 과충전이나 내부 온도가 급상승하기전의 범위에서 충전을 차단하고 밧데리에 자연 방전되는 만큼의 전류량만을 공급하는 트릭클 모드(TRICKLE MODE)로 전환해야 한다.
제2도는 종래의 쾌속 충전 모드 변환 회로의 회로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각 부분의 전압 파형도이다.
종래의 쾌속 충전 모드 변환 회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밧데리 전압(Vbatt)을 비반전(+)입력으로 출력을 반전 입력으로 하는 연산 증폭기(1), 연산 증폭기(1)의 출력을 비반전(+) 입력으로 하는 연산 증폭기(2), 연산 증폭기(2)의 출력단에 에노우드가 연결되고 연산 증폭기(2)의 반전 입력단(-)에 캐소우드가 연결된 다이오드(D11), 다이오드(D11)의 캐소우드와 접지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R11)과 캐패시터(C11), 다이오드(D11)의 캐소우드와 애노우드에 병렬로 연결된 캐패시터(C21), 연산 증폭기(1)의 출력단에 연결된 직류 전원(Vel), 직류 전원(Vel)과 접지에 연결된 저항(R12), 및 직류 전원(Vel)에 (+)단자가 연결되고 다이오드(D11)의 캐소우드에 (-)단자가 연결되어 최종 출력 전압(Vout)을 출력하는 비교기(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쾌속 충전 모드 전환 회로의 동작을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쾌속 충전을 수행하는 쾌속 충전 구간(t0-t1)에서는 다이오드(D11)가 도통하여 캐패시터(C11)에 충전되는 전류(I41)는 다이오드(D11)의 캐소우드로 흐르는 전류(I21)와 연산 증폭기(2)의 반전 입력단자(-)로 부터 흐르는 전류(I11)의 합이 된다.
여기서, △t는 충전 시간이고, △ Vbatt는 △Vbl과 같다.
또한, 밧데리가 완층된는 시점(t1)에서는 밧데리의 전압(Vbatt)이 전압(Vbl), 및 비교기(3)의 (-)단자로의 입력 전압(Vc1)과 같아진다.
다음으로, 완충구간(t1-t2)에서는 완충 시점(t1)에서 다이오드(D11)가 오프되고 캐패시터(C11)가 방전을 하여 캐패시터(C21)로 전류(I31)가 흐르고 캐패시터(C21)에서 전압 강하(Vc21)가 일어난다.
식 (1)(2)를 식(3)에 대입하면
또한 비교기(3)에서 비교되는 시점(t2)에서 비교기(3)의 (+) 입력단자의 입력 전압(Vdl)과 (-)단자 입력 전압(Vcl)이 같아지므로
이 되고 이로부터 직류전원(Vel)과 캐패시터(C21)의 전압(VC21)이 같아지는 것을 얻는다.
따라서 Vel = VC21이 되고, 이에 식 (4)를 대입하여 정리하면
이는 누설 전류가 없을때(I51 = 0)의 △V가 되고, 만일 누설전류가 있다면 (I51 ≠ 0일 때)
이 되므로
가 되어
로 △V가 증가하므로 시점(t2)에서 비교기(3)의 최종 출력 전압(Vout)이 하이가 되어 트리클 모드로 전환되어야 하는데 설정했던 범위를 벗어나 시점(t2')에서 출력 전압(Vout)이 하이가 되므로 과충전이나 온도 상승에 의한 밧데리 손상이 될 수 있다.
즉,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설 전류의 유무에 따라 비교기(3)의 (-)단자의 입력 전압(Vc1)의 파형과 그때의 전압(△V) 의 차이로 인해 트리클모드로 전환하는 시간의 차이를 볼 수 있다.
다시말해서 종래의 쾌속 충전 모드 변환 회로는 캐패시터(C11)기 완전하지 않아 누설 전류가 흐르면 이에 의한 전압차(△V)가 증가하여 과충전이되거나 온도가 상승한 후에 충전을 중단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눈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밧데리가 완충된 이후 자연방전하는 전압을 감지하여 과충전이나 온도 상승이 일어나기 이전으로 설정된 전압차 만큼 밧데리의 전압이 떨어지면 충전을 중단하고 트리클 모드로 전환하여 누설 전류에 의한 영향을 보상하기 위한 충전용 밧데리의 쾌속충전 모드 변환 회로를 제공함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충전용 밧데리의 쾌속 충전 모드 변환 회로는 밧데리의 충전시 완층되기 전후 시점에서 기준 전압과 밧데리 전압의 차를 증폭하는 전압차 증폭부와, 상기 전압차 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으로 하여 누설 전류로 증가되는 전압차를 보상하기 위한 전압 보상부와, 밧데리의 완충후 상기 전압차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전압차 증폭부와 전압 보상부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전업차 증폭부와 전압 보상부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으로 하여 상기 전압보상부의 정상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비교부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발생되는 완충 이전의 초기 펄스를 제거하여 출력하기 위한 정상 동작 감지 및 초기 펄스 제거부와, 상기 비교부와 정상 동작 감지 및 초기 펄스 제거부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전압 보상부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에만 최종 출력 전압을 출력하는 로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밧데리 쾌속 충전 모드 변환 회로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압차 증폭부(10), 전압 보상부(20), 비교부(30), 정상 동작 감지 및 초기 펄스 제거부(40), 및 로직부(50)로 구성된다.
전압차 증폭부(10)는 밧데리의 충전시 완충되기 전후 시점에서 기준 전압(Vref)과 밧데리 전압의 차를 증폭하는 것으로, 입력되는 밧데리의 전압(Vbatt)과 기준 전압(Vref)의 차를 증폭시켜 전압 보상부(20)와 정상 동작 감지 및 초기 펄스 제거부(40)로 출력하는 차동 증폭기(11)와, 밧데리의 전압(Vbatt)의 입력단과 차동 증폭기(11)의 비반전 입력단(+)에 연결된 저항(R1)과, 차동 증폭기(11)의 비반전 입력단(+)과 접지에 연결된 저항(R2)과, 차동 증폭기(11)의 반전 입력단(-)과 출력단에 연결된 저항(R2)과, 차동 증폭기(11)의 반전 입력단(-)과 기준 전압(Vref) 입력단에 연결된 저항(R1)과, 저항(R1)과 접지에 연결되어 기준 전압(Vref)을 인가하는 전원으로 구성된다.
전압 보상부(20)는 전압차 증폭부(10)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으로 하여 누설 전류로 증가되는 전압차(△V)를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 전압차 증폭부(10)의 연산 증폭부(11)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Va)을 비반전 입력단(+)의 입력으로 하는 비교부(30)와 정상 동작 감지 및 초기 펄스 제거부(40)에 출력단이 연결된 연산 증폭기(21)와, 연산 증폭기(21)의 출력단에 애노우드가 연결되고 반전 입력단(-)에 캐소우드가 연결된 다이오드(D1)와, 다이오드(D1)에 병렬 연결된 캐패시드(C3)와, 다이오드(D1)의 캐소우드에 저항(R3)을 통해 일단이 연결되고 접지에 타단이 연결된 캐패시터(C2)와, 연산 증폭기(21)의 반전 입력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캐패시터(C1)와, 캐패시터(C1)의 타단에 연결된 전압(V1)으로 구성된다.
비교부(30)는 밧데리의 완충후 전압차(△V)를 감지하기 위해 전압차 증폭부(10)와 전압 보상부(20)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비교하는 것으로, 전압차 증폭부(10)의 연산 증폭기(11)의 출력단에 (+)단자가 연결된 전원(V2)과, 전원(V2)의(-)단자와 접지에 연결된 저항(R4), 전원(V2)의 (-)단자에 (+)단자가 연결되고 전압 보상부(20)의 연산 증폭기(21)의 출력단에(-)단자가 연결되어 전원(V2)에 의해 강하되어 입력되는 전압차 증폭부(10)의 연산 증폭기(11)의 출력 전압을 전압 보상부(20)의 연산 증폭기(21)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과 비교하여 로직부(50)로 출력하는 비교기(31)로 구성된다.
정상 동작 감지 및 초기 펄스 제거부(40)는 전압차 증폭부(10)와 전압 보상부(20)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으로 하여 전압 보상부(20)의 연산 증폭기(21)의 정상 동작을 감지하고, 비교부(30)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발생되는 완충 이전의 초기 펄스를 제거하여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전압차 증폭부(10)의 연산 증폭기(11)의 출력단에 (-)단자가 연결되고 전압 보상부(20)의 연산 증폭기(21)의 출력단자에 (+)단자가 연결되어 전압차 증폭부(10)의 연산 증폭기(11)와 전압 보상부(20)의 연산 증폭기(21)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41)와, 비교기(41)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래치하여 로직부(50)로 출력하는 래치(42)로 구성된다.
로직부(50)는 비교부(30)와 정상 동작 감지 및 초기 펄스 제거부(40)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전압 보상부(20)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에만 최종 출력 전압(Vout)을 출력하는 것으로, 비교부(30)의 비교기(31)와 정상 동작 감지 및 초기 펄스 제거부(40)의 래치(42)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는 하여 논리곱하는 앤드 게이트(51)와, 앤드 게이트(51)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래치하여 최종 출력 전압(Vout)을 출력하는 래치(5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밧데리의 쾌속 충전 모드 변환 회로의 동작을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밧데리의 쾌속 충전 모드 변환 회로는 누설 전류(I6)에 의해 △V가 증가하는 현상을 보상하기 위해 두가지로 누설 전류를 보상한다.
하나는 연산 증폭기(11)에서 밧데리 전압(Vbatt)과 설정된 기준 전압(Vref)의 차이를 저항(R1,R2)을 이용하여 R2/R1의 비율로 증폭함으로써 캐패시터(C2)에 충방전되는 전류의 양을 증가시켜 누설 전류의 영향을 보상하는 것으로, 밧데리의 완충 시점 전후인 시점 ( t1-t5)을 기준 전압(Vref)을 설정하여 확대하여 본다는 의미이다. 이때 기준 전압(Vref )은 밧데리 전압(Vbatt)보다 크게 설정된다.
전압차 증폭부(10)의 연산 증폭기(11)의 출력전압(Va)을 구하면
으로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밧데리 전압(Vbatt)의 전압 기울기 보다 연산 증폭기(11)의 출력전압(Va)이 중폭되었으므로 그 기울기가 더큼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캐패시터(C2)에서 충방전되는 전류(I5)는
로 부터 △Vb 가 커지므로 전류(I5)가 증가된다.
결국 종래의 밧데리의 쾌속 충전 모드 변환 회로보다 충방전 전류가 현저하게 커지므로 상대적으로 누설 전류의 영향은 작아진다.
누설 전류보상을 위한 또 다른 것은 캐패시터(C2)의 누설 전류로 △V가 증가하는 현상을 캐패시터(C1)을 이용하여 캐패시터(C1)의 누설 전류로 보상하는 것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캐패시터(C2)의 충방전 전류(I5)는
완충후의 전류(I4)는
인데,
일때 비교부(30)의 비교기(31)의 비교 시점이 되므로 결국
여기서 캐패시터(C3)의 전압(Vc3)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위의 식(5)(6)을 식(8)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가 된다. 그리고
이고, △Vref 는 0이므로,
위의 식(7), 식(9), 식(10)을 대입하여 정리하면
가 된다.
여기서 △V = R1/R2 × △V' 이다. 결국 밧데리 전압(Vbatt)을 증폭하여 전류를 증가시켜 누설 전류의 영향을 아주 작게 한후 거기에 캐패시터(C1)를 통한 누설전류를 보상해 주므로써 전체적으로 누설 전류로 인한 △V 증가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모든 식들이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전압 보상부(20)의 연산 증폭기(21)가 정상 동작을 한다는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만일 전원(V1)의 전압이 높아져서 전압(Vb)이 연산 증폭기(11)의 출력전압(Va)의 최고치보다 크다면 연산 증폭기(21)는 동작하지 않게 되고, 전원(V1)의 전압이 낮아져서 연산 증폭기(11)의 출력 전압(Va)의 최고치보다 작으면 전류(I1)가 역으로 흘러 오동작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전압 보상부(20)의 연산 증폭기(21)가 정상 동작하기 위한 전원(V1)은 다음과 같다.
에 있어야 하며,
로 설정하여야 한다.
제5도에서 완층되기 전후의 시점은 t1에서 t5가 되는 시점으로 기준 전압(Vref)을 설정하므로써 결정된다.
시점(t1)이 되면 연산 증폭기(11)의 출력 전압(Va)이 중가하기 시작하여 시점(t5)에서 다시 제로가 된다. 또한, 시점(t1)에서 전원(V1)에 의한 전압(Vb)이 전압차 증폭부(10)의 연산 증폭기(11)의 출력전압(Va)보다 높아 전압 보상부(20)의 연산 증폭기(21)는 동작하지 않다가 연산 증폭기(11)의 출력 전압(Va)의 전압이 증가하여 전압(Vb)와 같아지는 시점(t2)에서 정상동작을 하여 전압(Vc)도 정상 전압을 갖게 된다.
이후 시점(t3)에서 완충이 되고 나면 캐패시터(C3)를 통한 전압 강하로 전압(Vc) 은 급격하게 감소하고, 비교부(30)의 비교기(31)에서 전원(V2)에 의한 전압(Vd)과 비교된다. 그리고 정상 동작 감지 및 초기 펄스 제거부(40)의 비교기(41)는 전압 보상부(20)의 연산 증폭기(21)의 정상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연산 증폭기(21)가 정상 동작을 하면 밧데리가 완층되기 이전까지는 전압(Vc)이 연산 증폭기(11)의 출력전압(Va)보다 크게 되어 비교기(41)의 출력은 시점(t2')에서 하이가 되고 래치(42)에 의해 하이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또한, 비교기(31)의 출력 전압(V3)과 래치(42)의 출력 전압(V4)은 앤드 게이트(51)를 통해 논리곱된후 래치(52)를 통해 유지되어 최종 출력된다.
결국 최종 출력 전압(Vout)은 비교기(31)의 출력 전압(V3)과 래치(42)의 출력 전압(V4)이 모두 하이가 될 때 하이가 되며, 이후 래치(52)를 통해 계속 하이 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므로 밧데리가 완충되기 이전에 비교부(30)의 비교기(31)의 초기 펄스는 무시되고 밧데리가 완충된 이후△V를 감지한 사점(t3')에서 최종 출력 전압(Vout)은 하이가 되고 쾌속 충전 모드를 트리클 모드로 전환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충전용 밧데리의 쾌속 충전 모드 변환 회로는 밧데리가 완충된 이후 자연 방전하는 전압을 감지하여 과충전이나 온도 상승이 일어나기 이전에 충전을 중단하고 밧데리가 자연 방전되는 만큼의 전류량만을 공급하는 트리클 모드로 전환하여 내부 온도 상승으로 인한 밧데리의 수명 단축 현상을 제거하고 밧데리의 용량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밧데리의 충전시 완충되기 전후 시점에서 기준전압(Vref)과 밧데리전압의 차를 증폭하는 전압차 증폭부(10)와, 상기 전압차 증폭부(10)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으로 하여 누설전류로 증가되는 전압차(△V)를 보상하기 위한 전압 보상부(20)와, 밧데리의 완충후 상기 잔압차(△V)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전압차 증폭부(10)와 전압 보상부(20)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30)와, 상기 전압차 증폭부(10)와 전압 보상부(20)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입력으로하여 상기 전압 보상부(20)의 정상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비교부(30)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에 발생되는 완충 이전 초기 펄스를 제거하여 출력하기 위한 정상 동작 감지 및 초기 펄스 제거부(40)와, 상기 비교부(30)와 정상 동작 감지 및 초기 펄스 제거부(40)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전압 보상부(20)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에만 최종 출력 전압(Vout)을 출력하는 로직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밧데리의 쾌속 충전 모드 변환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차 증폭부(10)는 입력되는 밧데리의 전압(Vbatt)과 기준 전압(Vref)의 차를 증폭시켜 상기 전압 보상부(20)와 정상 동작 감지 및 초기 펄스 제거부(40)로 출력하는 차동 증폭기(1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밧데리의 쾌속 충전 모드 변환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보상부(20)는 상기 전압차 증폭부(10)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비반전 입력단자(+)의 입력으로 하고 상기 비교부(30)와 정상 동작 감지 및 초기 펄스 제거부(40)에 출력단이 연결된 연산 증폭기(21)와, 상기 연산 증폭기(21)의 출력단에 애노우드가 연결되고 반전 입력단(-)에 캐소우드가 연결된 다이오드(D1)와, 상기 다이오드(D1)에 병렬 연결된 제 1 캐소우드(C3)와, 상기 다이오드(D1)의 캐소우드와 접지에 연결된 제2 캐패시터(C2)와, 상기 연산 증폭기(21)의 반전 입력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제3 캐패시터(C1)와, 상기 제3 캐패시터(C1)의 타단에 연결된 전원(V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밧데리의 쾌속 충전 모드 변환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30)는 상기 전압차 증폭부(10)의 출력단에 연결된 전원(V2)과, 상기 전원(V2)에 의해 강하되어 입력되는 상기 전압차 증폭부(10)의 출력 전압을 상기 전압 보상부(20)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로직부(50)로 출력하는 비교기(3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밧데리의 쾌속 충전 모드 변환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동작 감지 및 초기 펄스 제거부(40)는 상기 전압차 증폭부(10)와 상기 전압 보상부(20)로 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기(41)와, 상기 비교기(41)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래치하여 상기 로직부(50)로 출력하는 래치(4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밧데리의 쾌속 충전 모드 변환 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부(50)는 상기 비교부(30)와 정상 동작 감지 및 초기 펄스 제거부(40)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논리곱하는 앤드 게이트(51)와, 상기 앤드 케이트(51)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래치하여 최종 출력 전압(Vout)을 출력하는 래차(52)를 포함하여 구성되느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용 밧데리의 쾌속 충전 모드 변환 회로.
KR1019950035599A 1995-10-16 1995-10-16 충전용 밧데리의 쾌속 충전 모드 변환회로 KR0149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5599A KR0149386B1 (ko) 1995-10-16 1995-10-16 충전용 밧데리의 쾌속 충전 모드 변환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5599A KR0149386B1 (ko) 1995-10-16 1995-10-16 충전용 밧데리의 쾌속 충전 모드 변환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435A KR970024435A (ko) 1997-05-30
KR0149386B1 true KR0149386B1 (ko) 1998-12-15

Family

ID=19430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5599A KR0149386B1 (ko) 1995-10-16 1995-10-16 충전용 밧데리의 쾌속 충전 모드 변환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93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20315A (zh) * 2016-02-26 2016-06-29 成都雅骏新能源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动态温差的动力电池快速直流充电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20315A (zh) * 2016-02-26 2016-06-29 成都雅骏新能源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动态温差的动力电池快速直流充电方法
CN105720315B (zh) * 2016-02-26 2018-03-16 成都雅骏新能源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动态温差的动力电池快速直流充电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435A (ko) 199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8038A (en) Portable electric equipment and rechargeable built-in batteries
JP5253366B2 (ja) 過電圧過渡コントローラ
KR100881487B1 (ko) 전지 충전 방법, 전지 충전 회로 및 전지를 갖는 휴대전자 기기
US6373225B1 (en) Charge circuit that performs charge control by comparing a plurality of battery voltages
US7045990B2 (en) Portable device having a charging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for use in the charging circuit of the same
US7816892B2 (en) Battery charger for preventing charging currents from overshooting during mode transition and method thereof
US7663375B2 (en) Battery voltage detecting circuit
JPH10136578A (ja) バッテリ充電装置
JP4767766B2 (ja) 電池管理システム及び電池管理方法
US20050007075A1 (en) Battery charger circuits using constant current/constant voltage mode using maintenance offset current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7268520B2 (en) Sense amplifier for use with wake-up charging current
KR0151495B1 (ko) 배터리 충전 모드 제어 회로
US7449865B2 (en) Battery charger for preventing both overshoot charging currents and overcharged battery voltage during mode transitions and method thereof
KR0149386B1 (ko) 충전용 밧데리의 쾌속 충전 모드 변환회로
KR0145619B1 (ko) 니켈카드뮴/니켈수소합금 배터리의 급속 충전을 위한 -델타v 검출 회로
EP3893353B1 (en) Battery polarity determination circuit, charger, and electronic device
KR960039523A (ko) 니켈카드뮴/니켈수소합금 배터리의 -∧v 검출을 이용한 금속 충전 시스템
JP5313643B2 (ja) 電池診断装置
KR0151494B1 (ko) 충전 가능한 배터리의 충전 모드 변환 회로
KR100486345B1 (ko) 충전모드변환회로
KR0151496B1 (ko) 충전기의 -△v 검출회로
KR920007743Y1 (ko) 과도 충전전류 제한용 테이프 쾌속 충전회로
JPS6244032A (ja) 二次電池充電制御回路
JPH07111737A (ja) 充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5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