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361B1 - 자동차의 흡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흡기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361B1
KR0149361B1 KR1019930029322A KR930029322A KR0149361B1 KR 0149361 B1 KR0149361 B1 KR 0149361B1 KR 1019930029322 A KR1019930029322 A KR 1019930029322A KR 930029322 A KR930029322 A KR 930029322A KR 0149361 B1 KR0149361 B1 KR 0149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take
intake pipe
control unit
accelerator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9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151A (ko
Inventor
송호인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30029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9361B1/ko
Publication of KR950019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3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유입되는 공기중의 불순물을 분리하는 에어 클리너가 설치되는 흡기관을 보유하는 자동차의 흡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한 흡기관(2)에 리이드 밸브(6)를 설치하여 관로(10)와 연통시켜 에어 컴프레셔(8)에서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며, 이 관로(10)에 전자제어 유닛에 의해 온/오프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12)를 설치하여 고속, 고부하시 온 상태로 제어되어 압축공기를 흡기관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한 흡기관(2)에 전자제어 유닛에 의해 구동하는 블로워(14)를 설치하여 가속페달(16)의 밟힘량에 따라 회전속도를 조절토록 하여 흡기효율을 증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흡기 시스템.

Description

자동차의 흡기 시스템
도면은 본 발명에 의한 흡기 시스템을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흡기관 4 : 에어 클리너
6 : 리이드 밸브 8 : 에어 컴프레셔
10 : 관로 12 : 솔레노이드 밸브
14 : 블로워 16 : 가속페달
18 : 가동부재 22 ; 고정전극
본 발명은 자동차의 흡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출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흡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자동차의 흡기 시스템은 실린더내의 피스톤이 하강함에 의해 발생되는 부압으로 유입되는 대기중의 불순물을 분리하는 에어 클리너와, 청정의 공기를 연소실내로 유도하는 흡기관과, 이 흡기관에 연결되는 스로틀 바디와, 이 바디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속페달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스로틀 밸브 및 이 스로틀 바디내로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분사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흡기 시스템은, 가속페달과 스로틀 밸브가 가속 케이블로 연결되고, 또 가속페달이 링크를 개재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복잡함을 피할 수 없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의 흡기 시스템은 실린더내의 부압에 의해 대기가 유입되므로 대기 유입시 소음을 줄이기 위한 리조네이터를 설치하여야 한다.
그리고 연소실로 유입되는 흡기의 양은 실린더내의 부압에 의해 결정되므로 흡기효율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어 출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 제한될 수 밖에 없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간단하며 흡기효율을 높여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흡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유입되는 공기중의 불순물을 분리하는 에어 클리너가 설치되는 흡기관을 보유하는 자동차의 흡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한 흡기관에 리이드 밸브를 설치하여 관로와 연통시켜 에어 컴프레셔에서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며, 이 관로에 전자제어 유닛에 의해 온/오프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여 고속, 고부하시 온 상태로 제어되어 압축공기를 흡기관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한 흡기관에 전자제어 유닛에 의해 구동하는 블로워를 설치하여 가속페달의 밟힘량에 따라 회전속도를 조절토록 하여 흡기효율을 증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흡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
도면은 본 발명에 의한 흡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흡기관(2)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에어 클리너(4)와, 이 흡기관(2)에서 리이드 밸브(6)를 통하여 연통설치되는 에어 컴프레셔(8)를 포함한다.
상기한 에어 컴프레셔(6)는 엔진의 구동력으로 흡입공기를 압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압축된 공기는 관로(10)를 통하여 흡기관(2)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관로(10)에는 솔레노이드 밸브(12)가 설치되어 압축된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 솔레노이드 밸브(12)의 개폐작용은 전자제어 유닛(ECU)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흡기관(2)에는 블로워(14)가 설치되어 있는 데, 이 블로워(14)는 전자제어 유닛(ECU)의 전기적 출력 신호에 의해 임펠러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전자제어 유닛(ECU)은 상기한 솔레노이드 밸브(12)와 블로워(14)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신호로 가속페달(16)의 밟힘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무부하 공회전시 임펠러는 정지된 상태이므로 이 임펠러와 블로워(14)의 하우징 내면이 약간의 간격을 띄우고 설치됨으로서 공기의 흐름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가속폐달(16)은 페달판체의 아래측에 가동부재(18)를 설치하고 있으며 배터리(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고정전극(22)을 케이싱(24)내에 설치하여 가변저항을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가동부재(18)는 전자제어 유닛(ECU)의 입력단으로 연결되어 가동부재(18)가 이동한 양(가속페달의 밟힘량)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흡기 시스템은,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듯이 흡기관(2)에 스로틀 밸브가 설치되지 않고 있으며, 가속페달(20)을 통하여 스로틀 밸브의 개도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지도 않다.
즉 종래의 흡기 시스템과 전혀 다른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구조의 흡기 시스템은 엔진이 구동을 시작하면 에어 컴프레셔(8)가 구동하면서 대기를 흡입하여 압축시키게 된다.
이때 엔진이 무부하 공회전상태이면 전자제어 유닛(ECU)은 블로워(14)를 정지시키고, 솔레노이드 밸브(12)를 오프시켜 압축된 공기는 흡기관(2)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유입되는 공기의 양과 연료량은 엔진을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최소의 양이 되므로 엔진은 흡입, 압축, 폭발, 배기행정을 반복하는 싸이클을 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속페달(16)을 밟게 되면, 가동부재(18)가 고정전극(22)과 접촉되는데, 이때 가속페달의 밟힘량에 따라 전자제어 유닛(ECU)으로 전달되는 신호가 가변된다.
이때 전달되는 신호와 이미 설정된 데이터 값을 비교하여 전자제어 유닛(ECU)은 블로워(14)를 작동시키면서 임펠러의 회전속도를 조절한다.
즉 가속페달(16)의 밟힘량이 적은 때에는 블로워(14)의 임펠러 회전속도를 느리게 하고, 가속페달의 밟힘량이 증가하면 비례하여 블로워의 임펠러 회전속도를 빠르게 하여 실린더내로 유입되는 흡기의 속도를 매우 빠르게 함으로서 흡기의 충진효율을 높이게 된다.
이때 솔레노이드 밸브(12)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제어하면서 에어 컴프레셔(8)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관로(10)를 통하여 흡기관(2)측으로 공급하게 된다.
그러면 이 압축공기는 흡기관(2)에 설치된 리이드 밸브(6)를 밀고 흡기관(2)내로 진입하면서 에어 클리너(4)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와 함께 연소실로 공급되는 데 이때 블로워(14)가 구동을 하면서 더욱 흡기의 속도르 ㄹ빠르게 하므로 실린더내로 유입되는 흡기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즉 충전효율이 높아지게 되는데, 이러한 작용으로 폭발행정시 압축비르 ㄹ높일 수 있게 되므로 과급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흡기 시스템은, 가속페달과 연동되는 스로틀 밸브가 없고 이 가속페달과 연결되는 링크 및 가속 케이블이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간단하며 에어 컴프레셔에 의해 압축된 공기를 연소실내로 유입하면서 임펠러를 회전시켜 흡기의 속도를 더욱 빠르게 할 수 있으므로 압축비를 높일 수 있어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유입되는 공기중의 불순물을 분리하는 에어 클리너가 설치되는 흡기관을 보유하는 자동차의 흡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한 흡기관(2)에 리이드 밸브(6)를 설치하여 관로(10)와 연통시켜 에어 컴프레셔(8)에서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며, 이 관로(10)에 전자제어 유닛에 의해 온/오프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12)를 설치하여 고속, 고부하시 온 상태로 제어되어 압축공기를 흡기관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한 흡기관(2)에 전자제어 유닛에 의해 구동하는 블로워(14)를 설치하여 가속페달(16)의 밟힘량에 따라 회전속도를 조절토록 하여 흡기효율을 증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흡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가속페달에는 가동부재가 설치됨과 아울러 이 가동부재와 접촉하여 저항값을 변화시키는 고정전극이 설치되어 전자제어 유닛으로 가속페달의 밟힘량을 전기적 신호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흡기 시스템.
KR1019930029322A 1993-12-23 1993-12-23 자동차의 흡기 시스템 KR0149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9322A KR0149361B1 (ko) 1993-12-23 1993-12-23 자동차의 흡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9322A KR0149361B1 (ko) 1993-12-23 1993-12-23 자동차의 흡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151A KR950019151A (ko) 1995-07-22
KR0149361B1 true KR0149361B1 (ko) 1998-10-01

Family

ID=19372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9322A KR0149361B1 (ko) 1993-12-23 1993-12-23 자동차의 흡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93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2760B1 (ko) * 1997-10-07 2000-11-15 류원영 자동차의흡기촉진장치
KR100611504B1 (ko) * 2004-07-28 2006-08-17 넥스 디 주식회사 슈퍼차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151A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5101A (en) Electronic turbocharger wastegate controller
KR100488774B1 (ko) 터보 차저 인터쿨러 엔진의 에어 바이패스 밸브 시스템
US4498429A (en) Fuel intake system for supercharged engine
US4534173A (en) Means for supplying a secondary air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hich is provided with a turbo charger
KR840002466B1 (ko) 엔진의 흡기장치
KR0149361B1 (ko) 자동차의 흡기 시스템
US4365600A (en) Diesel throttle valve control system
US4354465A (en) Diesel throttle valve control system
KR0149360B1 (ko) 자동차의 흡기 시스템
KR200310864Y1 (ko) 모터구동형 슈퍼차져
KR19990041131A (ko) 터보 차져 장착 차량의 흡기 역류 방지장치
US20060112939A1 (en) Auxiliary intake device for engine
US4111167A (en) Carburetor by-pass
KR200191651Y1 (ko) 자동차의 가변용 흡기장치
KR200380580Y1 (ko) 엔진용 보조 흡기 장치
JPH0240272Y2 (ko)
KR19990062248A (ko) 자동차용 터버차저
KR200310863Y1 (ko) 차량용 슈퍼차져
KR100312645B1 (ko) 자동차엔진용출력증강장치
RU2145675C1 (ru) Способ, улучшающий однородность состава горючей смеси карбюраторного двигателя на нагрузочных режимах
KR100211359B1 (ko) 자동차용 흡기 장치
GB2081378A (en) Diesel engine throttle valve control system
RU201098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ключения подачи топлива в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100271098B1 (ko) 차량의 연비저감장치
JPS5999028A (ja) タ−ボ過給機付きデイ−ゼル機関における不足空気の吹込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