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992B1 - 와류 안내날개를 갖는 흡음방 - Google Patents
와류 안내날개를 갖는 흡음방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48992B1 KR0148992B1 KR1019950050189A KR19950050189A KR0148992B1 KR 0148992 B1 KR0148992 B1 KR 0148992B1 KR 1019950050189 A KR1019950050189 A KR 1019950050189A KR 19950050189 A KR19950050189 A KR 19950050189A KR 0148992 B1 KR0148992 B1 KR 01489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tor
- vortex
- dust collecting
- collecting chamber
- sound absorb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흡음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집진실에서 모터로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을 나선형의 와류흐름으로 회전시키는 와류 발생 가이드 베인(Guide Vane)을 장착하여 모터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모터에서 발생된 고주파 소음이 집진실을 통하여 외부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흡음효과를 높일수 있는 와류 가이드베인(Guide Vane)을 갖는 흡음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내부에서 집진실의 후방측에 연이어 배치되고, 모터를 내장하는 중공형의 케이스를 갖추며, 상기 모터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외부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흡음방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전방측에 연결되어 집진실에서 모터로 유입되는 공기흐름을 직선형의 흐름에서 나선형의 와류흐름으로 변환시키는 와류생성부;와, 상기 와류생성부의 전방측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집진실에서 모터로 유입되는 공기흐름의 저항을 최소화하고, 상기 모터에서 집진실측으로 유출되는 고주파소음을 차단시키는 소음차단부;를 포함하는 와류 가이드베인(Guide Vane)을 갖는 흡음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제1도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외관구성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음방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외류 안내날개를 갖능 흡음방의 일부절개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방향에서 본 정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흡음방을 장착한 진공청소기의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와류 안내날개 15 : 와류 생성부
20 : 유도관 22 : 경사구멍
30 : 소음 차단부 32 : 반구형 몸체
136 : 흡음방 137 : 전방수용구
138 : 모터 140 : 배기공
P1 : 직선형 흐름 P2 : 와류 흐름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흡음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집진실에서 모터로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을 나선형의 와류흐름으로 회전시키는 와류 안내날개를 장착하여 모터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모터에서 발생된 고주파 소음이 집진실을 통하여 외부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흡음효과를 높일 수 있는 와류 안내날개를 갖는 흡음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강력한 흡음력으로 먼지등을 흡입하여 자동으로 제거하는 것으로서 그 대표적인 구조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는, 내부 칸막이벽에 의해 구획되어진 집진실 및 구동실(미도시)을 가지며, 바퀴(102)에 의해 이동이 자유로운 본체부(103)와, 일단부에 먼지등을 흡입하는 흡입 브러쉬(brush)(104)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고, 타끝단부에는 흡입력 조절스위치부(105)를 갖는 손잡이(106)가 장착되며, 다단으로 연결 접속되는 연장관(107)들과, 상기 연장관(107)에 연결되어 공기 통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부(103)내의 집진실로 착탈이 자유롭도록 끝단부에 연결구(108)와 결합되는 가용성 도관(109)을 갖추고 있다.
상기와 같은 진공청소기(100)는 집안의 창틀이나 구석진 곳 또는 자동차 내부바닥등에 끼어있는 모래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연장관(107)의 일단부에 끼워져서 사용가능한 여러 종류의 보조브러쉬(110)를 갖추며, 이러한 보조 브러쉬(110)들은 상기 본체부(103)에 마련된 별도의 보조 브러쉬 수납함(111)에 보관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진공청소기(100)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3)의 내부에 분리벽(117)을 매개로 하여 그 내부가 집진실(122)과 모터수납실(124)로 분리된다. 상기 집진실(122)은 먼지등의 이물질이 함유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관(126)과 연결되고, 내부에는 상기 흡입관(126)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를 걸러 보관하기 위한 먼지봉투(128)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분리벽(117)은 상기 집진실(112)과 모터 수납실(124)과의 사이에 공기가 서로 통할 수 있도록 관통공(117a)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모터 수납실(124)은 지지날개(130)등에 의해서 지지되는 흡음방(136)을 가지며, 상기 흡음방(136)은 내부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적정한 공기흐름공간을 형성하여 모터(138)를 수납하고 전방측에 상기 분리벽(117)의 관통공(117a)과 연결되는 흡기공(136a)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모터 수납실(124)의 중앙측 하부로는 배기공(140)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진공청소기(100)에서 모터(138)가 구동되면 상기 모터(138)에 의해 강력한 흡입력이 발생하고, 따라서 먼지등의 이물질이 함유된 공기가 흡입관(126)을 통하여 집진실(122)의 내부로 들어오고 그 공기는 상기 집진실(122)의 먼지봉투(128)에 의하여 먼지등의 이물질이 걸러지며 계속하여 분리벽(117)의 관통공(117a)과 흡음방(136)의 흡기공(136a) 및 배기공(140)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소제작동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종래의 흡음방(136)을 갖는 진공청소기(100)에서는 집진실(122)의 먼지봉투(128)를 통과하여 모터(138)로 진입되는 공기흐름(P1)이 직선적으로 유입되고, 연속하여 모터(138)를 통과하면서 나선형의 와류(P2)로 바뀌어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모터(138)는 유입되는 직선형의 공기 흐름(P1)을 와류형의 공기 흐름(P1)로 변환시키는 과정에서 동력손실을 초래하고 그에 따른 공기흐름의 효율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그리고, 종래의 흡음방(136)구조는 집진실(122)과의 사이에 아무런 소음차음부재를 갖지 못하는 것이어서 모터(138)의 작동도중에 발생되는 고주파소음은 상기 분리벽(117)의 관통공(117a)을 통과하여 집진실(122)로 유입되고, 외부로 직접 배출됨으로서 사용자는 모터(138)의 고주파소음으로 인한 심한 불쾌감을 느끼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집진실에서 모터로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을 나선형의 와류흐름으로 회전전환시킴으로서 모터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모터에서 발생된 고주파 소음이 집진실을 통하여 외부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흡음효과를 높임으로서 사용자가 정숙한 상태의 소제작동을 이룰 수 있는 와류 안내날개를 갖는 흡음방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내부에서 집진실의 후방측에 연이어 배치되고, 모터를 내장하는 중공형의 전방수용구를 갖추며, 상기 모터에서 집진실측으로 유출되는 고주파소음을 차단하는 소음차단부를 갖춘 흡음방에 있어서, 진공청소기의 내부에서 집진실의 후방측에 연이어 배치되고, 모터를 내장하는 중공형의 전방수용구를 갖추며, 상기 모터에서 집진실측으로 유출되는 고주파소음을 차단하는 소음차단부를 갖춘 흡음방에 있어서, 상기 전방수용구의 전방에 경사구멍을 복수개 형성한 원통형의 연결관을 착탈가능하도록 갖추어 상기 모터로 유입되는 공기흐름을 직선형의 흐름에서 나선형의 와류흐름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모터로 유입되는 공기흐름의 저항을 최소화하는 와류생성부를 갖추고, 상기 소음차단부는 반구형 단면의 몸체로 갖추어져 상기 유도관의 전단부에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 안내날개를 갖는 흡음방을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와류 안내날개를 갖는 흡음방(1)이 부분 절개되어 전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흡음방(1)은 모터(138)를 내장하고 흡음방(136)의 중공형 전방수용구(137)의 전방측에 와류 안내날개(10)를 장착하고 있는 바, 상기 와류 안내날개(10)는 전방수용구(137)의 전면에서 집진실(122)로부터 모터(138)로 유입되는 공기흐름을 직선형의 흐름(P1)에서 나선형의 와류흐름(P2)으로 변환시키는 와류생성부(15)가 갖춰지고, 상기 와류생성부(15)는 다수개의 스크류부재(17)를 통하여 상기 전방 수용구(137)에 장착되는 원통형의 유도관(20)과, 상기 유도관(20)에 형성된 다수개의 경사구멍(2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경사구멍(22)은 원통형 유도관(20)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되고, 제4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관(20)의 중심축선(X)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나선형상을 유지하도록 경사면(22a)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다수개의 경사구멍(22)이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유로면적(Az)은 적어도 상기 전방수용구(137)의 흡기공(136a) 유로면적(Am)에 비하여 크거나 같다.
또한, 상기 와류생성부(15)의 전방측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소음차단부(30)는 반구형의 단면을 갖는 몸체(32)을 갖추고, 상기 반구형의 몸체(32)의 후단부가 유도관(20)의 전단부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서 집진실(122)에서 모터(138)로 유입되는 공기흐름의 저항을 최소화하고, 상기 모터(138)에서 집진실(122)측으로 유출되는 고주파소음을 차단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와류 안내날개를 부착한 흡음방(1)은 모터(138)의 작동으로 집진실(122)의 공기가 먼지봉투(128)를 통하여 모터(138)로 흡입되는 경우, 상기 집진실(122)내의 직선형의 공기흐름(P1)은 와류 생성부(15)의 각 경사구멍(22)을 통과하면서 일정한 나선방향의 회전성이 부여되어 와류흐름(P2)로 자연스럽게 변환된다. 이러한 작동은 공기흐름이 모터(138)의 내부로 진입하기전에 모터(138)의 구동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와 같은 회전관성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공기흐름이 모터(138)의 내부로 진입하므로서 모터(138)의 공기흐름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와류형 공기흐름(P2)은 모터(138)의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모터(138)의 작동으로 회전형 와류 공기흐름(P2)이 발생하면, 동시에 모터(138)의 고주파 소음도 발생하는 바, 이러한 고주파소음은 제5도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공(136a)을 통하여 집진실(122)로 직선적으로 유출되는 과정에서 소음차단부(30)의 반구형 몸체(32)의 내측면에 부딪치게 되어 집진실(122)로 향한 유출이 차단되는 것이다. 따라서, 모터(138)의 고주파 소음은 집진실(122)로의 유출이 현저히 차단되어 외부로 직접 배출되지 않음으로서 진공청소기는 정숙한 상태로 운전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소음차단부(30)의 반구형 몸체(35)는 먼지봉투(128)에 마주하는 전방 외주면(32a) 이 구형을 이룸으로서 집진실(122)내에서 유도관(20)측으로 흐르는 직선형의 공기흐름(P1)에 접촉되는 경우에는 상기 공기흐름(P1)의 유동저항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반구형 몸체(32)의 전방외주면(32a)은 먼지봉투(128)에 접촉하여 먼지봉투(128) 후방중앙부분(128a)에 밀착됨으로서 상기 중앙부분(128a)을 제외한 먼지봉투(128)의 측방 모서리부분(128b)이 넓게 확대되기 때문에 상기 먼지봉투(128)의 포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류 안내날개를 갖는 흡음방(1)에 의하면, 전방수용구(137)의 전방측에 부착된 와류 안내날개(10)가 집진실(122)에서 모터(138)로 유입되는 공기의 직선형 흐름(P1)을 나선형 와류흐름(P2)으로 자연스럽게 회전전환시킴으로서 모터(138)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모터(138)에서 발생된 고주파 소음이 집진실(122)을 통하여 외부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흡음효과를 높임으로서 사용자는 정숙한 느낌으로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Claims (2)
- 진공청소기(100)의 내부에서 집진실(122)의 후방측에 연이어 배치되고, 모터(138)를 내장하는 중공형의 전방수용구(137)를 갖추며, 상기 모터(138)에서 집진실(122)측으로 유출되는 고주파소음을 차단하는 소음차단부(30)를 갖춘 흡음방에 있어서, 상기 전방수용구(137)의 전방에 경사구멍(22)을 복수개 형성한 원통형의 연결관(20)을 착탈가능하도록 갖추어 상기 모터(138)로 유입되는 공기흐름을 직선형의 흐름(P1)에서 나선형의 와류흐름(P2)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모터(138)로 유입되는 공기흐름의 저항을 최소화하는 와류생성부(15)를 갖추고, 상기 소음차단부(30)는 반구형 단면의 몸체(32)로 갖추어져 상기 유도관(20)의 전단부에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 안내날개를 갖는 흡음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구멍(22)은 원통형 유도관(20)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되고, 상기 유도관(20)의 중심축선(X)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나선형상을 유지하도록 경사면(22a)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 안내날개를 갖는 흡음방.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50189A KR0148992B1 (ko) | 1995-12-15 | 1995-12-15 | 와류 안내날개를 갖는 흡음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50189A KR0148992B1 (ko) | 1995-12-15 | 1995-12-15 | 와류 안내날개를 갖는 흡음방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32664A KR970032664A (ko) | 1997-07-22 |
KR0148992B1 true KR0148992B1 (ko) | 1998-10-15 |
Family
ID=19440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50189A KR0148992B1 (ko) | 1995-12-15 | 1995-12-15 | 와류 안내날개를 갖는 흡음방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4899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5651B1 (ko) * | 2002-01-09 | 2004-08-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사이클론식 진공청소기 |
-
1995
- 1995-12-15 KR KR1019950050189A patent/KR014899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32664A (ko) | 1997-07-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172132C1 (ru) | Вакуумный пылесос | |
KR100654393B1 (ko) | 진공 청소기 | |
JP2934598B2 (ja) | 騒音減少システムを備えた真空掃除機 | |
US5134752A (en) | Vacuum cleaner | |
JPH10192204A (ja) | 真空掃除機のブラシヘッド組立体 | |
CA2254569C (en) | Vacuum cleaner including ventilation fan for forming air current flow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rotary brush to suction member | |
KR20050100912A (ko) |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청소기 | |
JPH11346964A (ja) | 電気掃除機 | |
KR0148992B1 (ko) | 와류 안내날개를 갖는 흡음방 | |
JP2003204903A (ja) | 電気掃除機 | |
KR20050019270A (ko) |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 | |
KR20060122521A (ko) | 진공청소기 | |
KR20060117711A (ko) | 모터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 |
JP3187346B2 (ja) | 電気掃除機用吸口体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 |
KR100437370B1 (ko) |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 |
KR100199933B1 (ko) | 진공청소기용 브러쉬 | |
KR950012122B1 (ko) | 저소음 진공청소기 | |
KR19980017825A (ko) | 진공청소기의 모터 장착구조 | |
KR101044829B1 (ko) | 진공청소기의 모터체임버 | |
KR102570849B1 (ko) | 차량용 청소장치 | |
KR950008620B1 (ko) | 진공청소기의 회전브러쉬 흡입구 | |
KR20000000627U (ko) |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배기부구조 | |
SU1743579A1 (ru) | Пылесос | |
KR200220648Y1 (ko) | 진공청소기의 배출덕트 | |
KR100539745B1 (ko) | 업라이트 청소기의 유동발생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