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493B1 - 기어식 유압기계 - Google Patents

기어식 유압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493B1
KR0148493B1 KR1019920017368A KR920017368A KR0148493B1 KR 0148493 B1 KR0148493 B1 KR 0148493B1 KR 1019920017368 A KR1019920017368 A KR 1019920017368A KR 920017368 A KR920017368 A KR 920017368A KR 0148493 B1 KR0148493 B1 KR 0148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flanges
hydraulic machine
shaft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7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6326A (ko
Inventor
뢰몽 로저
Original Assignee
뢰몽 로저
하이드로퍼펙트인터내셔날-에이치피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뢰몽 로저, 하이드로퍼펙트인터내셔날-에이치피아이 filed Critical 뢰몽 로저
Publication of KR930006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4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04C15/0003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15/0023Axial sealings for working fluid
    • F04C15/0026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ealing of the lateral face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machines or pumps, e.g. gear machines or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04C15/0003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15/0007Radial sealings for working fluid
    • F04C15/0019Radial seal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ntermeshing-engagement type machines or pumps, e.g. gear machines or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Lubricants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Hydraulic Motors (AREA)

Abstract

기계는 전방과 후방덮개에 의해 두 반대된 측부에 닫혀진 중간 케이싱에 갖춰진 공동에서 병진적으로 움직이는 두 움직이는 베어링 플랜지 사이에서 회전하는 두 협동하는 피니온의 최소한 한세트를 포함한다. 이두 베어링의 각각은 베어링 플랜지의 인접덮개 사이에 배열된 알맞은 봉합체재에 의해 압력이 같아진다. 피니온을 지지하는 베어링 플랜지는 중간케이싱 내부에 떠있게 장착되고 중간표면에 대해 베어링 플랜지를 누르고 피니온의 측부면에 대해 베어링 플랜지를 누르는 압력차를 유발하도록 압력수단이 갖춰진다.

Description

기어식 유압기계
제1도는 본 발명을 따르는 기계의 실시예에 관한 종방향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Ⅱ-Ⅱ를 따라본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선 Ⅲ-Ⅲ를 따라본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선 Ⅳ-Ⅳ를 따라본 부분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선 Va-Va와 제1도의 선 V-V를 따라본 단면도.
제6도는 제1도의 선 Ⅵ-Ⅵ를 따라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방케이싱 2 : 후방케이싱
3 : 중간케이싱 4 : 부유체
5 : 핀(pin) 6 : 볼트
7, 8, 49 : 씰링가스켓 10 : 베어링
11 : 제1축 12 : 하우징
14, 15 : 플랜지 16 : 제2축
18, 18a, 19, 19a : 부싱 20 : 윤활요홈
22, 23 : 원형공동 27, 28 : 로브(lobe)
29, 30 : 절단부 33, 34 : 스터드
37 : 전면 38 : 후면
39, 40 : 원형 세그먼트 41, 42 : 기어이
43, 44 : 판 50 : 지지슈
54, 55 : 채널
본 발명은 펌프(pump)또는 모터(motor)로서 이용되는 기어식 유압기계에 관련된다.
고성능 기어식 유압장치 분야에 있어서, 두 개의 플랜지(flange)들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도록 장착되고 두 개의 기어휠이 상호작용하는 기어휠 세트를 포함하는 형태의 장치가 이미 공개되어 있다. 중앙몸체(central body)내에 제공되고, 중앙몸체에 대해 밀착되게 고정되고, 마주보는 두 개의 케이싱(casing) 또는 커버(cover)에 의해 형성되는 해당요홈 내에서 병진운동을 하도록 장착되고, 베어링(bearing)을 형성하는 두 개의 플랜지들이 제공된다. 사실상 플랜지들과 인접한 케이싱 사이에 구성된 적합한 씰링시스템(sealing system)에 의해 각각의 두 개의 플랜지들은 압력평형을 이룬다.
전형적으로 미국특허 제3,909,165호에 공개된 상기 장치에 의해, 성능을 고려한 제조비용에 대한 기계효율(mechanical efficiency) 및 체적효율(volumetric efficiency)이 만족스러운 정도로 얻어진다.
그러나 상기 공지된 장치는 작동온도(working temperature)의 함수로서 동일한 효율을 갖지 못한다. 이것은 여러 가지 구성부품들 즉 알루미늄제의 펌프몸체 및 강(steel)제의 피니온(pinion)들과 같은 부품들 사이 즉 고정부품들과 운동부품들 사이에 존재하는 서로다른 팽창작용(expansion) 및 작업유체가 가지는 점도(viscosity)의 변화(variation)에 기인한 결점이 상기 장치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동부품들의 작동온도 및 회전속도에 상관없이, 모든 운동부품들이 고정부품들에 대하여 부유(floating)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유압기계를 제공하여 상기 결점을 제거하는데 있다. 추가로 차동압력(differential pressure)을 형성하는 보상압력(compensation pressure)에 의해 유극(play)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보상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동하는 두 개의 플랜지들 사이에서 회전하고 상호 작용하는 두 개의 기어들로 구성된 적어도 한 세트의 기어가 기어식 유압기계에 구성된다. 전방케이싱 및 후방케이싱에 의해 두 개의 마주보는 측면에서 밀폐구조를 이루는 중간케이싱내에 공동(cavity)이 제공되고,상기 공동들내에서 기어들은 병진(translation)운동을 한다. 사실상 플랜지들 및 인접한 케이싱사이에 구성된 적합한 씰링시스템(sealing system)에 의해 각각의 두 개의 플랜지들은 압력평형이 이루어진다. 기어들을 지지하는 플랜지들은 중간케이싱내에서 부유(floating)되게 장착되고, 압력수단(pressuremeans)에 의해 플랜지가 중간케이싱에 압축되고, 기어들의 측면에 대해 차동압력이 플랜지들을 압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이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분명해진다.
다음 설명에서 실시예로서 도시된 기계는 압력을 가진 액체를 공급하는 펌프(pump)이다.
그러나 기어식 유압모터나 유압펌프에 관한 기술에서 알려진 것처럼, 상기 기계의 구성요소는 역회전이 가능하므로 상기 기계는 모터(motor)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음 설명에 있어서, 유압기계(hydranlic machine)는 단일 세트(set)의 기어를 가진 기계를 참고로하여 기술되나, 유사한 방법으로 상기 유압기계는 여러세트의 기어 특히 한 세트에서 다른 세트까지 기어이배열오프섹(toothing offset)를 가지는 두 세트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유압기계는 중간케이싱(3)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전방케이싱(anterior casing)(1) 및 후방케이싱(posterior casing)(2)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케이싱(3) 내부에 다음에 설명되는 기어 및 축을 지지하기 위한 두 개의 플랜지로 형성되는 부유체(floating body)(4)가 본 발명에 따라 배치된다.
중간케이싱(3)은 핀(5)에 의해 전방케이싱(1)과 후방케이싱(2)에 대해 중심이 잡혀진다. 더욱이 전방케이싱(1)과 후방케이싱(2)은 볼트(6)에 의해 중간케이싱(3)에 고정된다.
씰링가스켓(sealing gasket)(7, 8)은 전방케이싱(1)과 중간케이싱(3)사이의 위치 및 후빙케이싱(2)과 중간 케이싱(3)사이의 위치에 각각 끼워진다(제1도).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케이싱(1)은 씰링가스켓(7) 및 베어링(10)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10)내에서 커플링(coupling)(21)에 의해 제1축(11)에 연결된 입력축(11a)이 장착되고 상기 제1축은 중간케이싱(3)내에서 후방케이싱(2)의 하우징(12)까지 연장구성된다.
전방에 위치한 플랜지(14)와 후방에 위치한 플랜지(15)사이에 놓이며 부유체(4)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기어(13)를 상기 제1축(11)이 지지 및 구동한다.
제1기어(13)와 치접상태를 이루는 제2기어(17)가 제2축(16)에 고정되고, 상기 제2축(16)이 플랜지(14, 15)에 의해 지지된다.
제1축(11)과 제2축(16)은 부싱(bushing)(18, 18a, 19, 19a)에 의해 플랜지(14, 15)로 지지되며 부싱들의 폭은 플랜지(14, 15)의 폭보다 약간 작고, 제1축(11)과 제2축(16)은 상기 부싱들 내에서 미끄럼을 하는 동시에 회전운동을 한다.
상기 부싱(18, 18a, 19, 19a)들이 매그러운 링(ring)들로 제조될 때, 상기 부싱들은 프랑스특허 제1 554 858호에 공개된 방법으로 제조되는 윤활요홈(lubrication groove)(20)을 포함하는 것이 선호된다.
부싱(18, 18a)에 의해 지지되는 제1축(11)과 부싱(19, 19a)에 의해 지지되는 제2축(16)이 동일한 휨응력(flexural stress)을 받도록 커플링(21)이 구성되어, 제1축(11) 및 제2축(16)은 등가한 작동모드(mode of operation)를 가지게 된다.
제1축(11)과 제2축(16)에 장착된 제1기어(13)와 제2기어(17)는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이 가능하다.
플랜지(14) 및 플랜지(15)는 숫자 8의 모양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중간케이싱(3)의 내부는 원형의 중앙공동(24)을 통해 서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두 개의 원형공동(22, 23)을 형성한다.
원형공동(22, 23)의 곡률반경(radius of curvature)은 서로 치접상태를 이루는 제1기어(13)와 제2기어(17)의 곡률반경과 같다.
중앙공동(24)은 한쪽에서 펌핑(pumping)되는 유체의 유입덕트(input duct)(25)와 상호작용하고, 다른한쪽에서 동일유체의 유출덕트(26)와 상호작용한다(제2도와 제5도 참조).
선호적으로, 유입덕트(25)의 단면적은 유출덕트(26)의 단면적보다 크다.
두 개의 각각의 원형공동(22, 23)에 구성된 각각의 벽을 지지하기 위하여, 원형공동(22, 23)의 반경과 동일한 반경을 가지는 로브(lobe)(27, 28)가 각각의 플랜지(14, 15)에 구성된다.
도시된 것처럼 유출덕트(14)와 상호작용하는 공간(31, 32)을 제공하기 위해, 로브(27, 28)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절단부(cut off portion)(29, 30)가 전방에 위치한 플랜지(14)와 후방에 위치한 플랜지(15)의 외벽에 제공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펌프(pump)가 작동되는 경우와 같이, 유출덕트(26)의 압력이 유입덕트(25)의 압력보다 클 때, 유출덕트(26)내의 유체압력이 플랜지(31, 32)의 주변부에 위치하는 공간(31, 32)내에 가해져서, 로브(27, 28)가 원형공동(22, 23)의 벽을 밀게된다.
공간(31, 32)내부로 돌출되도록 스터드(stud)(33, 34)가 플랜지(14, 15)내에 배치된다.
공간(31, 32)과 상호작용하는 스터드(33, 34)가 하우징(35)내에 장착되어 상기 공간(31, 32)내의 압력이 스프링(33a, 34a)에 의해 압축되는 스터드(33, 34)의 양쪽측부에 가해진다. 스프링(33a, 34a)은 약간의 응력(stress)을 받아서, 스프링은 원형공동(22, 23)의 벽에 대해 플랜지의 로브(27, 28)를 지지하게만하는 하중을 가한다.
공간(31, 32)내에서 발생된 압력이 스터드(33, 34)의 양쪽 측부에 가해지므로, 스터드(33, 34)는 항상 평형을 이루어, 중간케이싱(3)의 공동벽에 스터드(33, 34)가 가하는 응력은 스프링(32e, 34a)의 조정(calibration)으로부터 증가시킬수 있다.
제1도를 참조할 때, 제1기어(13)와 제2기어(17)을 향하는 전면(37)과, 플랜지(15)에 대해 후방케이싱(2)를 향하고 플랜지(14)에 대해 전방케이싱(1)을 향하는 후면(38)이 각각의 플랜지(14, 15)에 구성된다.
설명을 간단히 하기위해, 플랜지(14, 15)에 대해 단지 한 개의 전면(37)과 한 개의 후면(38)만이 설명된다.
부싱(18) 또는 부싱(18a)을 포함하는 구멍으로부터 제1기어(13)와 제2기어(17)의 기어이(41, 42)의 기저부까지 연장구성되는 원형세그먼트(annular segment)(39, 40)(제2도와 제5도)가 전면(37)에 구성된다.
원형세그먼트(39, 40)는 제1기어(13) 및 제2기어(17)의 평면부분들의 지지면을 형성한다.
한쪽단부에서, 원형세그먼트(39, 40)는 사다리꼴 모양의 판(43, 44)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단부에서, 유출덕트(26)와 유입덕트(25)를 분리하는 격벽(partition wall)(45)에 서로 연결된다.
제5도에 있어서 격벽(45)은 마름모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제2도에 있어서, 제1기어(13) 및 제2기어(17)에 구성되는 적어도 한 개의 기어이로 형성되는 공간과 일치하도록 상기 격벽(45)의 크기 및 형상이 결정된다. 따라서 제1기어(13) 및 제2기어(17)가 회전할 때 유입덕트(25)와 유출덕트(26)사이의 직접유동은 불가능하다.
상기 이유로, 제1기어(13) 및 제2기어(17)를 영구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원형세그먼트(39, 40) 및 각각의 플랜지에 구성된 격벽(45)이 공면(coplanar)을 이룬다.
상기 설명에 따르면, 판(43, 44)에 의해 고압영역 및 저압영역이 분리된다.
제1기어(13) 및 제2기어(17)의 양쪽측면에 챔버(46) 및 챔버(47)를 형성하고, 상기 기어들의 측면이 플랜지들과 분리되도록 전면(37)의 일부가 밀링(milling)가공된다.
챔버(46, 47)는 원형공동(22, 23)과 상호유동하며, 상기 챔버(46, 47)는 유출덕트(26)의 압력과 동일 압력의 유체를 포함한다.
상기 설명에 따르면, 원형세그먼트(39, 40), 판(43, 44) 및 격벽(45)과 비구속 상태를 이루는 플랜지(14, 15)의 측면에 대해 챔버(46, 47)의 압력이 가해진다.
상기 챔버(46, 47)의 압력이 제1기어(13)와 제2기어(17)의 측벽으로부터 플랜지(14, 15)에 작용한다.
제6도에 있어서, W자 모양의 W 자형요홈(48)이 후면(38)에 형성되고, 상기 W 자형요홈(48)은 양쪽단부에서 지지슈(retaining shoe)(50, 51)에서 의해 구성이 끝나고, 상기 W 자형요홈(48)내에 씰링가스켓(49)이 놓여진다. 공지된 방법에 따라, 씰링가스켓(49)에는 반입출라이닝(anti-extrusion lining)이 구성된다.
원형공동(22, 23)내에 위치하고, 각각의 플랜지에 구성된 후면(38)으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전방케이싱(1) 및 후방케이싱(2)에 대해 씰링가스켓(49)이 압축되고, 각각의 플랜지의 후면이 압축될 수 있으며, 또한 노치(53a)를 형성하도록, 씰링가스켓(49)에 작은보쓰(boss)(53)가 구성된다.
W 자형요홈(48)의 지지슈(50)가 로브(27, 28)내에 배치될 때, 유출덕트(26)의 유체압력이 가해지는 표면은 유출덕트(26)의 압력이 가해지는 각각의 플랜지에형성된 전면의 표면보다 크도록, W 자형요홈(48) 및 씰링가스켓(49)의 크기가 결정된다.
따라서 기어들이 압축되는 방향으로 차동압력(differential pressure)이 플랜지들에 가해진다.
더욱이 각각의 플랜지의 후면(38)내에 있는 씰링가스켓(49)은 그자체에 약간의 압력이 가해져 펌프가 작동하지 않을 때 기어의 측면에서 플랜지가 지지되며, 그리고 유출덕트(26)내의 압력이 유입덕트(25)내의 압력과 동일하게 되는 특성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서로다른 팽창작용으로부터 발생되는 응력에 의해 부유체(4)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플랜지(14,15) 및 제1기어(13) 및 제2기어(17)의 폭의 합은 중간케이싱(3)의 폭보다 약간 작다.
다음에 제1기어(13)와 제2기어(17)가 측면에 대해 플랜지(14, 15)들을 서로 압축시키는 차동압력에 의해서 그리고 씰링가스켓(49)에 의해서 부유체(4)의 중심잡기(centering)가 보장된다.
로브(27, 28)가 90℃ 보다 작은 원호(arc)상에 위로 연장구성되며, 상기 플랜지(14, 15)들의 요동현상이 스터드(33, 34)에 의해 방지되고, 원형공동(22, 23)의 벽에 대해 상기 플랜지(14, 15)들의 로브(27, 28)가 지지되며, 상기 구성에 의해 플랜지(14, 15) 및 중간케이싱(3) 사이에서 발생되는 서로다른 팽창작용이 보상된다.
제6도에 있어서, 중앙공동(24)을 통해 부싱(18, 18a, 19, 19a)에 구성된 윤활요홈(20)의 한쪽 단부와 유입덕트(25)를 상호유동시키기 위한 채널(54, 55)이 플랜지(14, 15)의 후면(38)에 구성된다. 반면에 제5도에 있어서, 플랜지(14, 15)의 전면(37)내에 그리고 판(43, 44)과 격벽(45)사이에 요홈(56)이 제공된다.
제1축(1) 및 제2축(16)의 회전방향에 따라, 요홈(56)으로부터 채널(54, 55)로 또는 채널(54, 55)로부터 요홈(56)으로 유압을 가진 유체가 윤활요홈(20)내에서 유동하도록, 요홈(56)에 의해 저압상태의 중앙공동(24)이 윤활요홈(20)과 상호유동된다. 또한 각각의 요홈(56)에 의해 기어들의 마찰면적이 감소된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저압의 유체가 부싱(18, 18a, 19, 19a)내에 유입되고, 공간(31)의 내부 및 상기 부싱(18, 18a, 19, 19a)의 상부위치에서 상기 저압의 유체가 제1축(11) 및 제2축(16)에 의하여 자유로운 상태에 있게된다.
그러므로 펌프가 작동할 때 고압상태의 유출덕트(26)와 상호유동이 이루어지는 공간(31)들을 제외하고, 펌프의 내부공간들은 저압의 유체로 채워진다.
전방케이싱(1), 후방케이싱(2) 및 중간케이싱(3)의 내부에서 제1축(11) 및 제2축(16)에 의해 자유로운 상태에 있는 내부공간들이 저압유체로 채워지므로, 파손을 일으킬 수 있는 고압이 씰링가스켓(7, 8, 49)에 가해지는 것이 방지되며, 씰링가스켓(7, 8, 49)에 의해 펌프의 내부가 대기와 격리된다.
상기 설명에 의하면, 유출덕트(26)의 압력이 가해지는 플랜지들에 형성된 후면(38)의 면적은 유출덕트(26)의 압력이 가해지는 플랜지들에 형성된 전면(37)들의 면적보다 크고, 따라서 씰링가스켓(49)은 고압을 받게 된다.
제5도 및 제6도에 있어서, 차동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축(X1) 및 축(X2)으로부터 각각의 판(43, 44)까지 형성되는 각각의 각도(α)가 축(X1) 및 축(X2)으로부터 W 자형요홈(48)의 단부들을 분리하는 각각의 각도(β)보다 크다.
따라서 플랜지들의 전면(37)보다 더 큰 개구부를 가지는 플랜지의 후면(38)에 유출덕트(26)내의 압력이 가해진다.
다양한 수정예가 다음의 청구범위에 나타나듯이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적용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

Claims (15)

  1. 베어링 기능의 두 개의 플랜지들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치접상태를 이루며 상호작용하는 제1기어 및 제2기어로 구성된 한 개이상의 기어세트들로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들은 중간케이싱내에 위치한 원형공동내의 상기 한 개이상의 기어세트들이 장착된 제1축 및 제2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중간케이싱은 중간케이싱의 마주보는 두 개의 측면상에서 전방케이싱 및 후방케이싱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두 개의 플랜지들과 인접한 전방케이싱 및 후방케이싱사이에 각각 구성되는 씰링시스템에 의해 각각의 상기 플랜지가 압력평형상태에 있게되는 기어식 유압기계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13) 및 제2기어(17)를 지지하는 상기 플랜지(14, 15)에 의해 로브(27, 28)의 경계가 형성되고, 상기 로브(27, 28)의 곡률반경은 상기 플랜지(14, 15)를 포함하는 상기 중간케이싱(3)의 상기 원형공동(22, 23)의 곡률반경과 동일하며, 상기 플랜지(14, 15)들은 상기 중간케이싱(3)내에서 부분적으로 이격되고 부유상태로 장착되며, 유출덕트(26)의 고압으로부터 형성되는 차동압력에 의해 상기 플랜지(14, 15)의 상기 로브(27, 28)가 상기 중간케이싱(3)에 대해 하중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식 유압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4, 15)의 후면(38)과 전면(37)에 제공된 상기 차동압력을 통해 상기 로브(27, 28)가 상기 중간케이싱(3)에 하중을 가하고, W 자형요홈(48)을 가진 상기 플랜지(14, 15)의 후면(38)의 일부들과 상호유동하고 상기 제1기어(13) 및 상기 제2기어(17)를 향하는 상기 전면(37)위에 챔버(46, 47)를 제공하여 상기 차동압력이 얻어지고, 고압이 발생되는 유출덕트(26)와 상기 챔버(46, 47) 및 상기 후면(38)의 일부분들이 상호유동하여 상기 차동압력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식 유압기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4, 15)는 상기 로브(27, 28)넘어로 절단부(29, 30)를 구성하고, 상기 절단부(29, 30)는 플랜지(14, 15)의 후면(38)들과 챔버(46, 47)사이에서 상호유동이 이루어지는 공간(31, 3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식 유압기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브(27, 28)는 90°도보다 작은 원호를 따라 연장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식 유압기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브(27, 28)를 원형공동(22, 23)의 일부에 지지시켜 상기 로브(27, 28)가 상기 원형공동(22, 23)의 벽들에 지지되도록, 상기 플랜지(14, 15)내에 삽입되는 스터드(33, 34)가 스프링(33a, 34a)에 의해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식 유압기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4, 15)의 각각의 후면(38)내에 위치한 상기 W 자형요홈(48)은 상기 유출덕트(26)로부터 유출하는 유체의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보쓰(53) 및 노치(53a)로 구성된 씰링가스켓(4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식 유압기계.
  7.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씰링가스켓(49)은 씰링가스켓(49)과 마주보는 전방케이싱(1) 및 후방케이싱(2)에 탄성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식 유압기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4, 15)의 전면(37)은 원형세그먼트(39, 40)를 형성하고, 상기 원형세그먼트(39, 40)는 판(43, 44)에 의해 연장구성 되고 격벽(45)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공면상에 놓이는 상기 격벽(45), 원형세그먼트(39, 40) 및 판(43, 44)은 상기 제1기어(13) 및 제2기어(17)의 측면에 대한 지지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식 유압기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13) 및 제2기어(17)는 기저부를 가진 기어이(41, 42)로 구성되고, 상기 원형세그먼트(39, 40)가 상기 기저부까지 연장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식 유압기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45)은 상기 제1기어(13) 및 제2기어(17)에 구성된 한 개 이상의 기어이(41, 42)로 형성되는 공간과 일치하는 형상을 가져서, 유입덕트(25)와 유출덕트(26)사이의 직접적인 상호유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식 유압기계.
  11. 제1항에 있어서, 제1축(11) 및 제2축(16)이 상기 제1기어(13) 및 제2기어(17)를 지지하기 위해 제공되고, 상기 제1축(11) 및 제2축(16)은 상기 플랜지(14, 15)내에서 상기 플랜지(14, 15)들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부싱(18, 18a, 19, 19a)를 통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식 유압기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4, 15)의 후면(38)에 채널(54, 55)이 제공되고, 상기 부싱(18, 18a, 19, 19a)은 윤활요홈(20)을 가지며, 상기 윤활요홈(20)을 통해 상기 채널(54, 55)과 유입덕트(25)가 상호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식 유압기계.
  13. 제11항에 있어서, 제1축(11) 및 제2축(16)중의 제1축(11)은 커플링(21)을 통해 입력축(11a)에 연결되어, 휨응력을 받는 제1축(11)과 제2축(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식 유압기계.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11) 및 제2축(16)은 상기 플랜지(14, 15)들 내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식 유압기계.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18, 18a, 19, 19a)에 구성된 상기 윤활요홈(20)을 통해 상기 채널(54, 55) 및 상기 요홈(56)사이의 순환을 형성하고, 상기 제1기어(13) 및 제2기어(17)의 마찰표면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격벽(45)과 각각의 상기 판(43, 44)사이의 위치 및 상기 플랜지(14, 15)의 전면(37)내부의 위치에 요홈(56)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식 유압기계.
KR1019920017368A 1991-09-24 1992-09-24 기어식 유압기계 KR0148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111745A FR2681647B1 (fr) 1991-09-24 1991-09-24 Machine hydraulique du type a engrenage a corps flottant.
FR91-11745 1991-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326A KR930006326A (ko) 1993-04-21
KR0148493B1 true KR0148493B1 (ko) 1999-01-15

Family

ID=9417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7368A KR0148493B1 (ko) 1991-09-24 1992-09-24 기어식 유압기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240393A (ko)
EP (1) EP0534836B1 (ko)
JP (1) JP2660139B2 (ko)
KR (1) KR0148493B1 (ko)
AT (1) ATE131255T1 (ko)
CA (1) CA2078956C (ko)
DE (1) DE69206564T2 (ko)
ES (1) ES2081591T3 (ko)
FR (1) FR26816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4251A (en) * 1994-07-14 1997-04-29 Casappa S.P.A. Gear pump
US5961309A (en) * 1997-04-24 1999-10-05 Trw Inc. Gear pump with noise attenuation
US6158983A (en) * 1997-04-24 2000-12-12 Trw Inc. Pump having muffler for attenuating noise
DE10024884A1 (de) * 2000-05-19 2001-11-22 Bosch Gmbh Robert Zahnradförderpumpe
JP4606842B2 (ja) * 2004-11-01 2011-01-05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ギアポンプ・モータ
KR101032691B1 (ko) * 2009-04-17 2011-05-06 (주)디지탈옵틱 신속한 혈구분리가 가능한 질병진단용 바이오센서
CN105889060A (zh) * 2016-06-16 2016-08-24 江苏国瑞液压机械有限公司 一种两开式轴向间隙补偿高压齿轮泵
KR102325671B1 (ko) 2019-11-08 2021-11-12 박기민 공압조향수단을 구비한 자주형 농기계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91945A (en) * 1950-08-30 1954-10-19 Borg Warner Pressure loaded gear pump
GB853550A (en) * 1956-06-30 1960-11-09 Bosch Gmbh Robert Improvements in machines for example pumps or motors, with hydraulic pressure areas
US3376824A (en) * 1965-07-01 1968-04-09 Turolla Marco Gear pump
AT260030B (de) * 1966-02-08 1968-02-12 Naradi Narodni Podnik Hochdruckzahnrad-Pumpe oder -Motor mit kompensiertem Stirn- und Radialspiel der Zahnräder
GB1311868A (en) * 1969-10-30 1973-03-28 Dewandre Co Ltd C Gear pumps
JPS551286B2 (ko) * 1971-11-30 1980-01-12
FR2215103A5 (ko) * 1973-01-23 1974-08-19 Hydroperfect Int
JPS5234763A (en) * 1975-09-12 1977-03-16 Oki Electric Ind Co Ltd Process for the fabrication of a compound type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 ceiving waves
GB1565684A (en) * 1975-10-17 1980-04-23 Kayaba Industry Co Ltd Pressure loaded gear pump
DE2855567A1 (de) * 1978-12-22 1980-06-26 Duesterloh Gmbh Nachstelleinrichtung fuer eine sperrfluegel- oder zahnradmaschine
JPS55100612A (en) * 1979-01-29 1980-07-31 Furukawa Electric Co Ltd Laminated paper for electric insulation
DE3404959A1 (de) * 1984-02-11 1985-08-14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Zahnradmaschine (pumpe oder motor)
CN1007369B (zh) * 1987-04-18 1990-03-28 程安强 浮动轴式齿轮泵,齿轮马达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296156A (ja) 1993-11-09
KR930006326A (ko) 1993-04-21
CA2078956C (en) 1997-12-09
EP0534836A1 (fr) 1993-03-31
FR2681647B1 (fr) 1995-05-12
EP0534836B1 (fr) 1995-12-06
CA2078956A1 (en) 1993-03-25
DE69206564D1 (de) 1996-01-18
US5240393A (en) 1993-08-31
ES2081591T3 (es) 1996-03-16
DE69206564T2 (de) 1996-06-05
JP2660139B2 (ja) 1997-10-08
FR2681647A1 (fr) 1993-03-26
ATE131255T1 (de) 1995-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72170A (en) High pressure gear pump or motor with compensation for play and wear
US2842066A (en) Gear pump
US4087215A (en) Gerotor gearset device
EP0070888A1 (en) Spiral rotary type positive displacement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alant for such device.
KR0148493B1 (ko) 기어식 유압기계
US3473476A (en) Gear pump seal
US3887310A (en) Hydraulic pump/motor with hydrostatically balanced rotors
US3131643A (en) Engine
US3547565A (en) Rotary device
US3830602A (en) Rotary pumps and motors
US4177025A (en) High-pressure rotary fluid-displacing machine
US3416459A (en) Rotary pump or motor
US3416458A (en) Motor or pump operating machine
EP1291526A2 (en) Gear pump
KR860000960B1 (ko) 기어타입의 수력모우터 및 기어펌프의 유체정압 보상장치
US3173374A (en) Bearing for pumps and motors
US3188969A (en) Hydraulic pump or motor
US2808785A (en) Rotary pumps or compressors
US4449898A (en) Power transmission
US3296977A (en) Pressure loaded pump
US3280757A (en) Rotary machine
US3512906A (en) Gear machine
US3653790A (en) Liquid pump or motor
US3563679A (en) Pressure-compensated gear-rotor hydraulic motor or pump
US3280754A (en)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