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321B1 - 의약품 투여용 피부 흠집 형성구 - Google Patents

의약품 투여용 피부 흠집 형성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321B1
KR0148321B1 KR1019950026101A KR19950026101A KR0148321B1 KR 0148321 B1 KR0148321 B1 KR 0148321B1 KR 1019950026101 A KR1019950026101 A KR 1019950026101A KR 19950026101 A KR19950026101 A KR 19950026101A KR 0148321 B1 KR0148321 B1 KR 0148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needle
drug administration
disc
skin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6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822A (ko
Inventor
장광균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50026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8321B1/ko
Publication of KR970009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3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61K9/0021Intradermal administration, e.g. through microneedle arrays, needleless in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46Solid micro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피부 흠집을 형성하기 위한 의약품 투여용 피부 흠집 형성구가 개시되는바, 이는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피부침이 형성된 피부침 원판을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피부침 원판의 중심축 방향으로 적층한 다음, 양끝 피부침 원판의 외측에는 피부의 흠집깊이를 일정하게 하기 위한 보강판을 설치하여, 양끝단 피부침 원판에 의한 처리깊이가 균일하게 되어 통증이 없으며 발적현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피부침의 끝부분을 거칠게 하여 피부와의 접촉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피부에 흠집을 용이하게 낼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의약품 투여용 피부 흠집 형성구
제1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인슐린 경피투여기구의 측단면도.
제2도는 이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투여용 피부흠집 형성구를 나타낸 조립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요부 분해사시도.
제4도는 제2도의 요부 확대사시도.
제5도는 제2도의 요부 확대도.
제6도는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투여용 피부 흠집 형성구를 타나낸 조립정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요부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피부침 원판 12: 피부침
14: 축홀 16: 고정홀
20: 이격부재 30: 중심축
34: 보강부재
이 발명은 사람의 신체에 액체 또는 겔 상태의 의약품을 투여하기 위해 피부에 수천개의 피부 흠집들을 형성하기 위한 피부 흠집 형성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침 조립체의 양단에 간극을 유지하기 위한 중간재를 위치시켜 피부침의 전폭에 걸쳐 전처리 깊이가 균일하게 되도록 하여 피부처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의약품 투여용 피부 흠집 형성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슐린과 같은 의약품은 당뇨병 환자들에게 특히 유용한 것으로서, 이 인슐린은 분자량이 6,000이상의 거대 분자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화학적 용매를 사용하여 피부의 성질을 변화시켜준다 하더라도 표피층의 투과가 불가능하며, 아미노산의 펩타이드 결합체로서 친수성이 강한 약물이므로 소수성인 표피층과는 친화성이 양호하지 못하다. 따라서 인슐린 자체는 표피층을 투과할 수 없어 피부내로 전달되지 못하는 것으로서 잘 알려져 있다.
인체의 피부는, 표피층, 경피층 및 진피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구성요소중에서 약물 전달이 가장 어려운 표피층은 20%의 지질과 40%의 단백질로 구성되고, 그 두께는 0.1mm이상이다.
또한, 표피층은 단백질의 각 세그먼트를 지질이 둘러싸고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표피의 성질은 소수성을 가지고 있으며, 진피층이나 경피층에서는 함수율이 70% 이상인데 비해 표피층의 함수율은 40% 정도로 적기 때문에 표피층은 전기적 저항이 크고 열적 자극이나 기타의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진피층을 보호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피부를 통해 인슐린을 투여하는 경피 투여방법으로는 연고형, 패취형 및 스프레이형이 통용되고 있는 바, 이들중에서 근래에는 패취형을 이용한 경피 투여방법이 활발히 연구개발되고 있다.
경피 투여방법에 의한 종래의 인슐린 패취용 경피 투여장치는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92-2264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패취 몸체의 주요부를 이루는 인슐린 용매 저장조(1)와, 인슐린이 분말상으로 분산되어 있으면서, 수팽윤성을 갖는 고분자 지지체(2)와, 피부에의 접착후 용매의 방출에 따라 팽윤성을 나타내는 피부침 지지체(3)와, 이 피부침 지지체(3)에 수직으로 고정 분포되어 피부와 접촉하게 되는 다수의 피부침(4) 및 인슐린 용매 저장조(1)와 피부에 전기를 통전시킬 수 있도록 인슐린 용매 저장조(1)의 상단내부에 설치된 전극(5)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인슐린 패취용 경피 투여장치는 피부에 피부침 지지체(3)의 피부침(4)이 접촉되게 부착되면, 피부침(4)에 의해 형성된 통로는 피부의 팽윤에 의해 일시적으로 닫혀지고, 인슐린 용매 저장조(1) 상단 내부의 전극(5)에 직류 또는 맥류를 인가하게 되면, 이온화된 인슐린과 용매들이 반대편 전극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때 피부의 친수성 단백질과 폴리펩타이드는 양극을 향하여 평행하게 배열되어 수축이 일어남으로써 표피층의 통로가 열려지게 되고, 통로속의 인슐린은 진피층을 통과하게 된다.
여기에서 다수의 피부침(4)을 사용하는 이유는 두께가 0.1mm이상인 피부의 표피층 부분만을 관통시켜 인슐린이 표피층으로부터 경피층, 진피층을 통해 모세혈관내로 용이하게 이동되어 인슐린의 전달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피부침 지지체에 있어서는, 수십여개 내지 수백여개의 피부침이 인슐린 용매의 방출에 따라 팽윤거동을 나타내는 피부침 지지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써 피부침(4)을 50∼400㎛의 직경을 갖도록 가공하기가 어렵고, 피부침 지지체가 인슐린 용매의 방출에 따라 팽윤거동을 나타내는 재료로 이루어져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된다.
또한, 피부침이 고정된 피부침 지지체가 인슐린 용매 저장조와 하나의 셋트로 구성됨에 따라 1회만 사용하고 폐기 처분해야만 하므로 손실이 크고 수요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피부침 지지체에 고정된 피부침의 개수가 수십 내지 수백여개로서 보다 빠른 인슐린의 전달을 위해 수천여개의 피부침이 필요로 하지만, 피부침의 개수가 작기 때문에 피부의 표피층을 통해 전달되는 인슐린 용매의 량이 너무 적기 때문에 당뇨병 환자는 장시간동안 인슐린 패취를 부착하고 있어야만 하므로 피부침에 의한 통증이 유발될 뿐만 아니라, 거동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서, 본 출원인에 의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3-21511, 21512 및 21513호에는 피부침판상에 사방으로 균일한 등간격을 갖도록 수천여개의 피부침이 형성된 피부 전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바, 이는 별도의 구동장치가 필요없이 피부침판을 일정한 압력으로 눌렀다가 떼면 수천여개의 피부흠집을 얻을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인슐린 패치용 피부침판에 있어서는 소형의 피부침판상에 수천여개의 피부침을 배열하여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현재의 생산기술로는 피부침을 배열형성함이 매우 어렵고 곤란하여 이에 따라서 작업능률 및 생산성을 꾀할 수 없음은 물론 실용가능성이 희박한 것이었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목적은 원통형의 피부침판사이에 중간재를 둔 상태에서 피부침판과 중간재를 다수 적층하고, 피부침판의 양끝단에는 중간재보다 직경이 큰 보강재를 위치시켜 양끝단 피부침판에 의한 피부전처리 깊이의 불균일로 인한 통증과 발적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의약품 투여용 피부 흠집 형성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의약품 투여용 피부 흠집 형성구의 특징은, 의약품을 피부에 투여하도록 피부에 다수의 흠집을 내는 의약품 투여용 피부 흠집 형성구에 있어서;
끝부분에 피부침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원형박판과;
상기 원형박판이 다수개 조립되는 중심축으로 구성된 점에 있다.
이발명이 있어서, 피부침의 형상은 대략 삼각형의 형상으로 하되, 피부침의 외주연을 거칠게 요철 형사으로 성형하여 피부침과 피부와의 접촉면적을 넓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발명에 있어서, 원형박판의 끝단에 형성된 피부침 사이의 간격은 등간격으로 형성하되, 피부침 원판들과 바로 인접한 원판의 피부침을 서로 어긋나게 하여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이 발명에 따른 의약품 투여용 피부 흠집 형성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 내지 제5도는 이 발명에 따른 피부침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다. 여기에서, 피부침 원판(10)은 원형박판재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수십 수백여개의 피부침(12)이 에칭이나 프레스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에는 중심축(30)이 관통되는 축홀(14)이 형성되어 있고, 축홀(14) 주위에는 고정봉(32)이 관통고정되는 고정홀(16)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피부침 원판(10)에 부착되는 이격부재(20)는 피부침 원판(10)을 일정한 폭으로 이격시키는 원형판재이며, 이격부재(20)에는 피부침원판(10)의 축홀(14) 및 고정홀(16)과 동일한 축홀(22) 및 고정홀(24)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피부침 원판(10)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피부침 원판(10)과 이격부재(20)의 양단에는, 피부침 원판(10) 및 이격부재(20)의 고정홀(16),(24)로 고정봉(32)이 관통고정되되 양측단에 보강부재(34)가 밀착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고, 피부침원판(10) 및 이격부재(20)의 축홀(14), (22)에는 피부침 원판(10)이 회전가능케 중심축(30)이 관통되어 있다.
중심축(30)에는, 양단에 베어링(36)이 삽입되어 있고, 베어링(36) 부위에 손잡이 도시하지 않았음)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피부침 조립체는 피부침 원판(10)에 이격부재(20)를 부착하되 축홀(14),(22) 및 고정흘(16), (24)이 일치되도록 피부침 원판(10)의 중심축 방향으로 수십여개를 적층한 다음 고정홀(16),(24)에 고정봉(32)을 각각 삽입하여 일체화하고 축홀(14), (22)에 중심축(30)을 관통되게 조립한다. 이때, 상기 중심축(30)은 피부침 원판(10)에 코킹되어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중심축(30)의 양단에 손잡이를 조립하여 피부 전처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피부 흠집 형성구를 참조하여 피부 흠집 형성방법을 설명하면,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피부 흠집을 형성하고자 하는 위치에 피부침 원판(10)의 피부침(12)을 대고 일정한 압력으로 누른 상태에서 밀어준다.
손잡이를 밀게되면, 피부침 원판(10)이 회전됨에 따라 피부침 원판(10) 외주면의 피부침(12)에 의해 피부에는 필요한 수만큼의 피부흠집이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게 되며 피부 흠집이 형성된 위치에 인슐린 패취를 부착하면 인슐린이 피부를 통해 용이하게 투약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피부침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양끝단의 피부침 원판(10) 다음에 보강부재(34)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끝단 피부침에 의해 처리되는 피부깊이가 깊게되므로 통증을 수반하거나 발적(發赤)현상이 유발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이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해결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해 설명한다.
제6도 및 제7도에 있어서, 제1도 내지 제5도와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부품들을 표시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피부침 원판(10)과 이격부재(20)는 번갈아서 부착되고, 피부침 원판(10)의 양끝단에는 보강부재(100)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보강부재(100)의 직경은 중간재인 이격부재(20)의 직경보다 크게 만든다. 따라서, 피부 흠집 형성시 가장 외측에 있는 피부침 원판(10)에 의한 피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가장 외측에 있는 피부침 원판(10)이 피부위를 구르게 될 경우, 보강부재(100)가 피부에 대한 가이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흠집의 깊이는 균일하게 될 수가 있다. 따라서 끝단 피부침 원판에 의한 흠집 형성 깊이가 균일하게 되므로 종래에서와 같은 처리깊이의 불균일에 의한 통증이 없을 뿐만 아니라 발적이 생기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투여용 피부 흠집 형성구에 의하면, 양끝단 피부침에 의한 피부처리깊이를 균일하게 하므로 처리깊이가 커지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통증이 전혀 없으며 발적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제2 실시예에 도시된 피부 흠집 형성구는 그의 끝부분이 단순히 대략 삼각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침이 피부 깊숙히 침투되지 못할 수도 있는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피부침판의 형상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의약품 투여용 피부 흠집형성구에 의하면, 양끝단 피부침에 의한 피부처리깊이를 균일하게 하므로 처리깊이가 커지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통증이 전혀 없으며 발적현상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피부침의 외주연에 삼각형의 홈을 다수개 형성함으로써 피부에 많은 흠집이 생겨 이를 통해 인슐린이 인체의 피부에 용이하게 투약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의약품을 피부에 투여하도록 피부에 다수에 흠집을 내는 의약품 투여용 피부흠집 장치에 있어서; 끝부분에 피부침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원형박판과; 상기 원형박판이 다수개 조립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양끝 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보강부재로 되는 의약품 투여용 피부 흠집 형성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가 각각 바로 인접한 피부침 원판과 간격을 가지는 의약품 투여용 피부 흠집 형성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와 피부침 원판 사이의 간격이 상기 원판들 사이의 간격과 등간격인 의약품 투여용 피부 흠집 형성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의 오주면이 대략 피부침 끝단과 일치하도록 구성한 의약품 투여용 피부 흠집 형성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의 외경이 피부침 뿌리로 이루어지는 원의 직경보다 큰 의약품 투여용 피부 흠집 형성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의 좌우에 고정부재가 더 형성되는 의약품 투여용 피부 흠집 형성구.
KR1019950026101A 1995-08-23 1995-08-23 의약품 투여용 피부 흠집 형성구 KR0148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6101A KR0148321B1 (ko) 1995-08-23 1995-08-23 의약품 투여용 피부 흠집 형성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6101A KR0148321B1 (ko) 1995-08-23 1995-08-23 의약품 투여용 피부 흠집 형성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822A KR970009822A (ko) 1997-03-27
KR0148321B1 true KR0148321B1 (ko) 1998-10-15

Family

ID=19424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6101A KR0148321B1 (ko) 1995-08-23 1995-08-23 의약품 투여용 피부 흠집 형성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832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822A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51742B2 (ja) 医薬品投与用皮膚傷形成装置
US6835184B1 (en) Method and device for abrading skin
EP1109594B1 (en) Electrotransport device comprising blades
Prausnitz Microneedles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KR100870345B1 (ko) 침투제한수단을 구비한 물질의 피부내 전달용 바늘
DE60124917T2 (de) Mikro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US10737081B2 (en) Painless and patchless shooting microstructure
EP2878330B1 (en) Devices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US20100305473A1 (en) Tissue conforming microneedle device for drug delivery or biological fluid collection
US20070161964A1 (en) Microneedle array, patch, and applicator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KR20050084493A (ko) 구성 부재를 갖는 활성제 전달 장치
WO1996037155A1 (en) Micromechanical device and method for enhancing delivery of compounds through the skin
US20160207253A9 (en) Device for Withdrawing or Administering a Subst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evice
KR20210082138A (ko) 마이크로 니들 어플리케이터
KR0115807Y1 (ko) 의약품 투여용 피부 흠집 형성구
KR0148321B1 (ko) 의약품 투여용 피부 흠집 형성구
JP2009527275A (ja) 神経毒の送達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0148276B1 (ko) 의약품 투여용 피부 흠집 형성방법 및 피부 흠집 형성구
KR0148323B1 (ko) 인슐린 패치용 피부 처리기
KR0134150B1 (ko) 인슐린 패치용 피부 처리기
KR20210151529A (ko) 피부 미용 니들 디스크
KR0134153B1 (ko) 인슐린 패치용 피부 처리기
Todo et al. The synergistic effect of iontophoresis or electroporation and microneedles on the skin permea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compounds
KR0148320B1 (ko) 인슐린 패치용 피부 처리기
Gupta Microneedles for transdermal drug delivery in human sub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