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266B1 - 기재에 접착될 수 있는 성형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기재에 접착될 수 있는 성형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266B1
KR0148266B1 KR1019900005022A KR900005022A KR0148266B1 KR 0148266 B1 KR0148266 B1 KR 0148266B1 KR 1019900005022 A KR1019900005022 A KR 1019900005022A KR 900005022 A KR900005022 A KR 900005022A KR 0148266 B1 KR0148266 B1 KR 0148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film
product
tie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5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5910A (ko
Inventor
로버트 잔센 제프레이
안 힐 바바라
Original Assignee
도날드 밀러 셀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날드 밀러 셀,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filed Critical 도날드 밀러 셀
Publication of KR900015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5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53Moulding 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e.g. ribs, high pol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2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1/22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2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2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 C08J5/124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s based on a macromolecular component
    • C08J5/128Adhesives without dil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72Cured, e.g. vulcanised, cross-lin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75/00Polyureas;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재에 접착될 수 있는 성형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
제1a도는 본 발명 성형 제품의 한가지 구체예로서 제품 단면을 도시한 도면.
제1b도는 경화체에 결합된 일체형 필름을 포함하는 본 발명 성형 제품의 다른 구체예로서 제품 단면을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제1a도에 도시된 성형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의 중간 단계를 도시한 도면.
제3-5도는 제1b도에 도시된 일체형 필름을 갖는 성형 제품을 제조하는 본 발명 방법의 구체예로서 다양한 단계들을 도시한 도면.
제6도는 임의의 트리밍, 장식용 상의 임의의 프린팅, 임의의 투명한 코팅물을 가한 후의 본 발명의 다수 제품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제7도는 임의의 도포 테이프를 부착시킨 후의 박리 캐리어 상에서의 본 발명의 다수 제품 단면을 도시한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방법 수행시에 주형면을 따라 성형된 일체형 필름 구체예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제9도는 경화체가 평면이 아닌 고정면을 갖고 있는 본 발명 제품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 방법의 한 구체예에서 사출 성형 단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기재에 접착될 수 있는 장식용으로서 유용한 입체형 성형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입체형 제품(예, 장식용 제품)들은 2가지 수단, 즉, 접착체 또는 기계적 패스너등의 어느 하나에 의해 기재(예, 자동차체 패널)에 접착된다. 기재를 관통하는 기계적 패스너(예, 클립, 스크루우 또는 핀)등이 사용될 경우, 이러한 것에는 비용이 많이 든다. 이것은 패스너의 비용 및 부착되는 제품 및 기재 모두에 기계적 패스너의 부착 및 기재의 정확한 관통에 요구되는 노동에 대한 비용 때문이다. 기재를 관통하는 행위는 기재에 손상(예, 녹)을 준다. 또한, 매우 얇은 제품이 필요하거나 또는 상기 제품들이 세밀한 작업을 요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패스너를 사용하기란 매우 어렵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액상 접착체를 제품상에 사용할때, 기재에 대한 제품의 정확한 배치와 제품 그 자체 및 제품 주변의 기재 부위에 접착체가 스며 나오는 것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접착체가 스며 나오는 것은 보기 흉하며, 제품의 장식적 특성 또는 기타 기능적 특성을 방해하고, 기재 및/또는 제품에 손상을 주지 않고 제거하기란 매우 어렵다.
또 다른 형태의 접착체를 사용할 경우, 감압 접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체는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언급된 접착체가 스며 나오는 것에 대한 염려는 없는 반면, 뜻하지 않은 낮은 하중하에서 부착을 실패하거나 소정의 기재에 충분히 강한 결합을 제공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자동차상의 팬더면에 부착된 크기가 큰 장식용 차체측 성형물은 중력에 대해 일정한 응력이 작용하여 결합의 실패 및 기재로 부터 장식용 제품이 분리된다.
기재에 입체형 제품을 부착하는 또 다른 수단은 발포 접착 테이프이다. 그러나, 발포 접착 테이프는 몇몇 제품과는 상용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우레탄 제품 및 아크릴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포 접착 테이프 사이에서는 고강력의 결합을 산출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제품은 상기 접착 테이프로 부터 바람직하지 못하게 분산되는 경향이 있어 제품을 부착시킬 수 없으며, 따라서 필요로 하는 접착 테이프 및 제품 사이의 고강력 결합을 제공할 수 없게 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3,501,564호(Snoeyenbos등)는 수지 제품(예, 폴리우레탄 제품)의 표면상에 결합층을 형성하는 것에 대해 기술하고 있는 바, 상기 특허에서의 결합층은 접착체 물질과 잘 화합하는 성질을 제공한다. 상기 특허는 주형에 물질 층을 부착시키고 거기에 경화성 조성물을 가한 후 경화시킴으로써 결합층이 형성된다고 교시하고 있다. 그후 제품을 주형으로 부터 떼어 결합층을 이형제로 세정하고, 이후의 처리에서 결합층을 접착체 수단에 결합시킬 수 있다.
장식품 또는 인식물을 제공하기 위해 입체형 장식용 제품 또는 평면형 그래픽등을 기재에 부착시키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열쇠 고리 및 커피잔과 같은 장신구, 진공 청소기와 같은 전기 제품, 운동 기구 및 자동차등의 무수한 아이템의 외부 또는 내부에 부착된다. 이러한 제품들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또는 플라스틱-금속 합성체로 형성되며, 순수한 장식품이거나 제조업자 또는 아이템의 종류(예를 들면 자동차의 TURBO)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입체형 제품은 표시물을 포함한 기재를 제공하고, 표시물을 포함한 기재상에 배치된 투명 중합체 렌즈를 제공함으로써 제조된다. 경화성 액상 수지는 전형적으로 표시물을 포함한 기재상에 도포되어 경화시 투명한 중합체 렌즈가 되는 투명한 메니스커스를 형성한다. 이러한 것에 대해서는 미합중국 특허 제4,100,010호(Waugh), 제4,139,654호(Reed) 및 제4,332,074호(Auld등)에 기술되어 있다.
장식품 또는 인식물을 제공하기 위한 종래의 시도들로서 또한 플라스틱, 아연, 알루미늄 등으로 제조된 사출-성형 또는 다이-캐스트 제품등이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금속 도금, 스퍼터링 및/또는 페인팅에 사용에 의해 빈번하게 장식된다. 이러한 여러 분리 단계는 생성된 제품을 적절한 가격의 제품에 부착시키기에는 너무나 많은 비용이 들게 된다.
평면형 그래픽들이 전술된 바의 입체형 제품 대신으로 종종 사용된다. 이러한 것들은 소정의 형상(예, 전사 도안)으로 절삭된 평면형 중합체 필름 형태로 제공되어 접착체로 기재에 부착된다. 이러한 평면형 그래픽들은 몇몇 용도로서는 적합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요구되는 장점 또는 입체형 외형을 제공하지 못하는 바, 예를 들면 전사 도안 등은 밝은 층의 밑바탕에 의해서도 쉽게 불투명해진다.
본 발명은 기재에 부착시킬 수 있는 신규의 입체형 성형 처리된 폴리우레탄 제품 및 이러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신규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몇몇 구체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제품들은 요구되고 있는 바와 같은 여러 심미적 외형을 지니고, 또한 여러가지의 소저의 형상 또는 윤곽으로 제조될 수 있는 장식용 제품으로서 유용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체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품들은 특정 성능 특성을 지닌 접착체(adhesive body)로 기재에 결합시킬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입체형 제품은 하기 1) 내지 3)을 포함한다:
1)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를 함유하며, 주표면(이하, 본 명세서에서 고정면이라 지칭됨)을 지닌 폴리우레탄 경화체;
2) 상부 및 하부 주표면을 지니며, 아민 작용성을 갖는 타이(tie)층(상부 주표면이 경화체의 고정면에 접착됨); 및
3) 타이층의 하부 주표면에 접착되고, 적어도 그 상부층은 산 작용기를 갖는 접착체(경화체는 타이층 및 접착체와 함께 동일계에서 경화됨).
타이층의 하부 주표면은 소정의 수행 특성을 제공하는 접착체를 선택함으로써 여러 접착체와 부합되는 표면을 지닌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타이층은 폴리우레탄 경화체에 접착체를 완전하게 결합시키는데, 특히 경화체에 직접 부착시키기에 부적절한 접착체를 결합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타이층은 바람직하지 못한 접촉을 지니게 되는 각각의 체 성분에 의한 불리한 효과로 부터 경화체, 접착체 및 이들 사이의 결합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임의의 경우에 있어서, 접착체 및 경화체의 잔류성 단량체 또는 기타 성분들은 서로 반응하여 이산화탄소와 같은 기체를 형성한다. 또한, 많은 접착체들은 반응 성분상에 잔류하거나 대기로 부터 흡수된 물을 함유하여, 경화동안 또는 경화후에 우레탄 몸체에서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와 바람직하지 못하게 반응하여 기체 방출을 일으킨다. 이러한 기체 방출은 경화체와 접착체 사이의 직접 결합을 약화시키거나 심지어 결합을 형성하지 못하게 하거나, 경화된 몸체의 형상이 비틀리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이러한 기체 방출은 접착체내에 또는 접착체와 기재 사이에서 기포를 형성시키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있어서, 타이층은 경화체와 접착체 사이에서 배리어로서 작용한다.
이후 기술되는 바와 같이, 접착체는 선택된 접착체(예, 감압 접착체)의 단일 층일 수 있거나, 또는 특별한 수행 능력을 제공하는 더욱 복잡한 시스템(예, 발포 테이프 부착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타이층은 효과적인 결합이 쉽게 달성되지 않거나 또는 바람직하지 못한 상호 작용 때문에 폴리우레탄 경화체에 부적절한 특정 고강력 접착체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해준다.
여러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입체형 제품은 또한 경화된 몸체의 표면중 적어도 일부를 덮어 그에 결합된 임의의 필름(이후, 일체형 필름으로서 지칭됨)을 포함한다. 일체형 필름은 선택된 심미적인 소정의 외형, 예를 들면, 소정의 색상 또는 색상 패턴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입체형이란 본 명세서에서 제공된 그래픽이 3가지 공간축(즉, X,Y 및 Z축)에서 인지가능한 정도의 크기 및 재료를 지닌 사실을 의미한다. 몇몇 구체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품은 단지 수 밀의 두께 또는 깊이를 가질 정도로 매우 얄븐 외형을 지니지만, 이러한 제품들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입체형으로서 간주된다. 입체형 본 발명 제품의 형상 및 윤곽을 선택하고 제한하는 능력은 심미적으로 바람직한 효과를 달성하게 해준다.
본 발명의 입체형 제품은 성형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여러 가지 소정의 형상 및 윤곽을 지닌 제품을 형성할 수 있게 하고, 고 접착 수행력을 달성할 수 있는 신규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신규 방법은 하기를 포함한다:
1) 성형 표면에 의해 한정된 소정의 윤곽을 갖는 주형을 준비하고;
2)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를 갖는 경화성 우레탄 조성물을 상기 주형에 부어 상기 조성물이 흘러서 상기 성형 표면에 의해 한정된 윤곽을 형성하도록 하고;
3) 상기 도포된 경화성 조성물에 아민 작용기를 함유한 상부 및 하부 주표면을 지닌 타이층을 배치시켜 타이층의 상부 주표면을 상기 경화성 조성물과 접촉하게 되며;
4) 접착체를 상기 타이층의 하부 주표면과 직접 접촉되도록 배치하되, 이때 상기 접착체의 상부층이 산 작용기를 함유하며;
5) 상기 조성물을 타이층 및 접착체와 함께 동일계내에서 경화시켜 타이층 및 접착체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폴리우레탄 경화체를 포함하는 제품을 성형하고;
6) 제품을 탈형시킨다.
필요에 따라, 경화성 조성물을 도포하기 전에 필름을 성혀 표면을 따라 성형시켜 필름이 입체형 제품의 일체형 부재(즉, 전술된 바의 일체형 필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일체형 필름은 여러 심미적 목적 및 작용 목적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규 방법은 상기 주형으로 부터 제품을 탈형시킨 후, 하기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임의 단게를 포함할 수 있다:
a) 일체형 필름 또는 경화체의 정면에 투명한 피복 조성물을 도포하고;
b) 일체형 필름 또는 경화체의 정면에 장식용 상을 경화하고;
c) 일체형 필름 또는 경화체의 정면에 고온 스템프 처리하고;
d) 소정의 크기 또는 형상으로 제품을 트리밍하고;
e) 제품의 하부면에 박리 라이너를 부착시키고, 및/또는
f) 제품의 정면에 도포 테이프를 부착한다.
본 발명의 신규 제품 및 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또 다른 장점은, 접착체가 제품의 경화체와 거의 함께 결합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더욱 심미적인 외형을 제공하는 것 이외에, 접착체가 경화체와 함께 결합하기 때문에 상기 제품은 접착체와의 결합이 더욱 작은 제품보다 기재로 부터 제거되는 캐치화 또는 픽업화가 적어지고, 바람직하지 못한 외견 또는 해가 되는 이 물질이 덜 수취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장점은 다수의 분리된(즉, 접촉되지 않는) 제품들이 배위 위치에서 기재에 편리하게 형서 및 부착되어, 즉, 이름 또는 단어의 문자들이 소정의 방식으로 이격되며, 스크립 형태의 사용에 의해 또는 하부 문자에 의해 서로 연결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서술하는데 본 도면은 단순히 구체예에 목적만 있을 뿐아지,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받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품의 한 구체예는 제1a도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는 제품(100)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 제품은 전면(102)와 고정면(116)을 지닌 경화체(112)와 상부 주표면(20)과 하부 주표면(22)를 갖는 타이층(18)을 포함하며, 상부 주표면(20)은 경화체(112)의 고정면(116)에 접착되어 있다. 접착체(24)는 하부 주표면(22)에 접착되어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접착체(24)의 하부는 임의의 박리 라이너(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가 제1b도에 나타나는데, 여기에는 제품(10)이 도시되어 있으며, 제품(10)은 경화체(12); 일체형 필름(14)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혀져 있는 전면(2); 일체형 필름(14)에 의해 덮혀져 있지 않는 고정면(16); 상부 주표면(20)과 하부 주표면(22)를 지니고 있는 타이층(18)을 포함하며, 상부 주표면(20)은 경화체(12)의 고정면(16)에 접착되어 있다. 접착체(24)는 타이층(18)의 하부 주표면(22)에 접착되어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접착체(24)는 기재(도시되어 있지 않은)를 도포하기 전에 임의의 박리 라이너(26)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제3도에서, 소정의 형태와 윤곽을 갖는 성형 표면(32)이 갖추어진 주형(30)이 제공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주형(30)은 본 도면에 테이블(36)로 칭한 비교적 높은 부위에 의해 둘러싸인 하나 이상의 함몰부(34)를 지닌 형태로 존재한다. 주형(3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함몰부(34), 테이블(36) 및/또는 전체를 형성하는 경계면 즉, 댐 형태 또는 기타 경계 수단(도시되어 있지 않음)은 소정의 형태, 예를 들면, 평면형 구획을 갖는 원형 윤곽, 이의 조합형이며, 이는 주형(30)의 성형 표면(32)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도시되어 있지 않음), 주형내 다수 함모부는 T-U-R-B-O 같은 개개의 문자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데, 이 형태들은 타원형 형태의 외부 경계면을 갖는 테이블로 둘러 싸여져 타원형 형태를 띠며, 또렷이 돌출되어 있는 범례 T-U-R-B-O 형태를 갖는 장식용 문구를 형성한다. 주형의 테이블 및/또는 주형의 함몰부는 높이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둥글거나 날카로운 모서리를 지닐 수 있으며, 경사져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장식용 문구에 요구되는 형태에 따라 기타 다른 윤곽을 지닐 수 있다.
열성형 가능한 일체형 필름(14)은 적절한 가열과 함께 압력 또는 진공하의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주형(30)에 적합한 소정의 형태를 따라 성형될 수 있다. 일체형 필름(14)의 상부면(13)은 성형 표면(32)와 친밀하게 접촉하며, 일체형 필름(14)의 후면(15)은 경화성 조성물을 도포하기 위해 근접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일체형 필름(14)의 상부면(13)은 주형(30)의 성형 표면(32)의 표면 특성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주형(30)의 성형 표면(32)는 소정의 표면 특성, 예를 들면, 고 광택 또는 매트 피니쉬와 같은 표면 특성을 갖거나 상부면(13)에 부여된 패턴을 갖고 있다.
후술되는 것처럼, 본 발명 제품을 제조하는 특성 단계를 수행한 후 제품을 주형으로 부터 떼어낸다. 따라서, 성형 표면(32)은 동일한 손상 없이 일체형 필름(14)의 상부면(13)으로 부터 박리되어야 하며, 일체형 필름(14)은 점성이 없어 일체형 필름(14) 또는 제품이 응집력을 지니지 않게 되거나 상부면(13)을 손상하게 된다. 주형(30) 또는 이의 적어도 일부 성형 표면(32)은 테플론 피복이 유리한 경우, 소저의 박리 특성을 나타내는 물질 또는 물질들로 제조되는 것이 유용하다. 종래 기술에 공지된 것처럼, 몇몇의 경우(도시되지 않음), 일체형 필름(14)의 상부면(13) 및/또는 성형 표면(32)는 실리콘 조성물 또는 오일 같은 박리제 도포와 같이 처리되어 소정의 박리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체형 필름(14) 또는 적어도 상부면(13)은 일반적으로 소정의 색상을 가지고 있다. 일체형 필름(14)는 열과 압력하에 충분한 신장성 및 가요성을 갖는 신축성의 형태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균열 또는 응력 표백에 의해 분해시키지 않고 소정의 형태가 산출될 수 있도록 필름은 충분한 순응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신장율과 가요성 정도는 형성되는 윤곽에 의해 부분적으로 다르다. 몇몇 경우에 있어서, 약 15% 이하의 신장율을 갖는 필름이 유용한 반면, 200% 이상의 신장율을 갖는 다른 구체예의 필름이 필요할 경우도 있다. 특정 윤곽에 따라 형성될 수 있는 적합한 신장율 및 가요성을 갖는 필름의 선택은 실험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일체형 필름은 다른 공지된 수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용액으로 부터 캐스팅하거나 압출시킬 수 있다. 하지만, 비배향 캐스트 필름 또는 저배향된 캐스트 필름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것은 고배향 필름보다 가열시 수축이 덜 일어나며, 덜 응력을 받기 때문이다. 몇가지 압출 필름이 필름 제조시에 충분히 신장되어 수축되는 경향이 있다.
얇은 일체형 필름은 일반적으로는 가요성이 있으므로 두꺼운 필름보다는 더 섬세하고 날카로운 모양으로 성형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에 사용된 일체형 피름은 두께가 약 0.5-10밀(12-250미크론)이다. 하지만, 이 범위 밖의 두께의 필름이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몇몇 경우에 있어서, 일체형 필름은 부분적으로 가교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필름은 가교되지 않은 필름보다는 어느 정도 부드러운 윤곽을 갖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가교된 일체형 필름은 필름의 상부면이 제한된 신장율을 갖는 피복 또는 피복층(은 표면 또는 크롬 표면을 제공하기 위한 금속 박막 피복)을 갖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은 필름의 가교 특성이 필름 피복물을 보호하기 때문이다. 제8도는 일체형 필름(214)가 필름 베이스(260)과 피복층(262)를 포함하고 있는 본 발명 구체예 제품의 일부(210)을 도시한 것이다. 필름 베이스(260)는 상기 일체형 필름과 비슷한 기타 특성을 갖는 부분적으로 가교된 중합 필름이다. 피복층(262)은 금속, 예를 들면, 은 또는 주석 또는 기타 제한된 범위내의 신장력, 예를 들면, 약 10% 이하의 신장율을 갖는 기타 장식용 물질이다.
일체형 필름(14)는 산출 제품이 노출되는 조건 및 손상을 입히는 반응제에 저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자동차 용도로는 가솔린, 세정 용제 및 물 같은 유체에 의한 손상 또는 분해, 그리고 상온에 노출시, 실외 용도, 자외선 조사시 저항성이 있으며, 저온, 특히 0℉(-20℃)에서 저항성이 있다. 몇몇의 경우, 이 필름들은 산출 제품이 고온 및 저온의 사이클에 노출됨에 따라 반복된 팽창 및 수축을 견딜 수 있다. 일체형 필름(14)는 필름이 노출되는 조건과, 산출 필름 및 제품의 소정 특성에 따라 부분적으로 선택 제조된다.
본 발명의 일체형 필름으로서 유용한 필름의 예는 가소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 열가소성 고무 필름, 특정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비닐 적층물,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필름, 예를 들면 SURLYN, 시리즈(이.아이.듀퐁 드 네모아즈 앤드 컴패니)이다.
일체형 필름(14)는 소정의 특성을 증진 또는 제공하기 위한 유용한 반응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제의 예는 제한된 것은 아니다. 가소제; 보호제, 예컨대, UV흡수체, 산화방지제, 안정화제; 착색제, 예컨대, 색소, 염료등; 강화제; 충전제; 발화 지연제 등이 있다. 또한, 접착 개선 프라임이나 다른 유용한 반응제가 필름(14)의 뒷면(15)에 도포될 수 있거나, 또는 박리제 또는 기타 유용한 반응제가 필름(14)의 전면(13)에 도포될 수 있다.
일체형 필름(14)가 주형(32)에 가해진 후, 경화성 우레탄 조성물(12)는 일체형 필름(14)의 뒷면(15)에 도포된다. 일체형 필름(14)의 뒷면(15)는 후술되는 것처럼 경화성 조성물(12)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 몸체와 강력한 결합을 한다. 몇몇의 일체형 필름(14)는 소정의 상용성을 보이며, 기타의 것들은 하나 이상의 프라이밍 반응제를 도포하는 프라이밍 처리를 필요로 한다. 제3도는 일체형 필름(14)의 뒷면(15)상에 있는 프라임 층(35)를 도시한다. 상술된 것처럼, 프라임 처리의 선택은 사용된 특정 일체형 필름 및 경화성 조성물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많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 폴리비닐 클로라이드/폴리비닐(PVC/PVA) 아세테이트 수지, 예컨대, 유니온 카바이드의 VAGH등이 유용한 프라이밍 수지이다. 기타 프라임의 예로는 DESMOLAC 4125(모베이 케미칼 컴패니) 및 VMCH, 및 히드록시-말단 PVC/PVA(유니온 카바이드)를 포함한다. 제4도는 프라임 층을 사용하지 않고 경화체(12)에 대한 바람직한 결합을 제공하는 일체형 필름(14)를 도시한다.
제1a도에서 본 발명의 성형 제품과 같은 구체예에서, 일체형 필름없이 만들어질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있어서, 상기 성형 제품은 주형에 직접 경화 조성물을 가하여 성형될 수 있다. 하지만, 몇몇 경우에 있어서, 주형으로 부터 경화체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경화 조성물에 박리 증진 물질을 혼입하거나 또는 이형제를 가하거나 또는 주형에 박리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2도에서 처럼 주형(30)의 성형 표면(32)에 박리체(114)를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체(114)는 경화체(112)로 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제3도를 다시 살펴보면, 일체형 필름(14)가 주형(30)내에서 소정의 윤곽을 따라 성형되며, 경화성 조성물(12)을 이의 후면(15)에 가한다. 자동차 외부상에 사용되는 장식용 제품과 같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바람직한 접착체는 발포 부착 시스템이다. 상기 구체예에서, 경화성 우레탄 조성물은 경화되어 약 60 듀로미터 이상의 쇼어 D 경도를 지닌 비교적 단단한 장식 제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우레탄 몸체는 일반적으로는 차 세척시 발생할 수 있는 마모력 같은 것에 의해 기재로 부터 말리고 박리되는 것에 대한 최적의 저항성을 지닌다. 통상 접착체, 예를 들면, 비 발포형 접착체 구체예의 접착체 1 이상의 층을 사용하면, 경화성 조성물은 어느 정도 부드럽고(즉, 약 45 듀로미터의 쇼어 D 경도를 지님), 장식용 제품이 기재를 따라 성형될 수 있도록 덜 단단한 물질을 생성한다.
일체형 필름(14)을 지닌 제품에 있어서, 경화성 조성물(12)는 일체형 필름(14)의 후면(15)과 상용성을 가져서, 강력한 결합을 형성한다. 상술된 것처럼, 일체형 필름(14)의 후면(15)은 경화성 조성물(12)의 상용성을 개량시키기 위해 프라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프라임 처리의 필요성은 일체형 필름(14)의 후면(15)의 특성과 선택된 경화성 조성물(12)의 특성에 의해 좌우된다. 또한, 일체형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경화체를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경화체가 주형으로 부터 박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박리체(114)는 탈형 도중에 또는 후에 경화체(112)의 전면(102)이 후면(115)으로 부터 용이하게 박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상적으로 박리체(114)의 전면(113)이 성형 표면(32)으로 부터 박리되어 그로 부터 주형(30)의 재사용을 촉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경화성 조성물은 경화되어 잘 숙성되는 물질을 형성하여야 하며, 예상되는 온도 및 노출 조건들하에서 예컨대 세정용매, 물, 가솔린 등과 같은 제제들에 대하여 안정하고 분해에 대한 내성을 지녀야 한다.
많은 구체예에 있어서, 예를 들면, 성형품을 자동차 측면 트림과 같은 장식품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경화체가 기후-, 온도- 및 충격- 저항성을 갖는 열경화성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체형 필름(14)이 자외선(UV)을 거의 통과시키지 않는 것일 경우, 즉, 발명에서 사용되는 보다 얇은 필름인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경화체가 햇빛을 받아 UV선에 노출될 경우에 대비하여 그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다수의 플라스틱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술한 요건들은 모두 만족시킨다는 측면에서 특히 유리한 것으로서, 내충격성 폴리우레탄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폴리우레탄은 폴리프로필렌 글리콜과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생성물이다. 한 구체예로서, 일반적으로 약 45 내지 약 65, 바람직하게는 약 45 내지 약 55범위내의 쇼어 D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교적 부드럽고, 가요성을 지니는 내후성 폴리우레탄이 사용된다. 그와 같은 물질들은 공지되어 있으며, 각종 다양한 물질들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유용한 것으로서는 (A) 폴리에스테르 글리콜과 저 분자량 내지 중간 분자량을 갖는 폴리프로필렌트리올의 혼합물 및 (B)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폴리프로필렌트리올 부가물의 반응 생성물이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성형품에 사용되는 경화성 조성물이, 예컨대 약 50미크론의 평균 직경을 갖는 유리 기포와 같은 충전제, 또는 섬유질과 같은 다른 보가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경화성 조성물내에 혼합될 수 있는 기타 다른 유용한 물질은 제한되지는 않았으나, 1종 이상의 착색제, 예를 들면, 안료 또는 염료(구체적으로는 일체형 필름을 포함하지 않는 성형품의 예에서 사용됨); 보호제, 예를 들면, UV 흡수제, 산화방지제, 안정화제; 발화지연제; 및 점도 조절제이다.
제3도를 다시 참고하면, 경화성 조성물(12)을 통상적으로 일체형 필름(14)의 후면(15) 거의 모두가 피복될 수 있도록 테이블(36) 위를 흘러내리도록 일체형 필름(14)의 후면(15)에 도포하고, 함몰부(34) 내부를 채운다. 경화성 조성물은 성형품의 제조시에 취급에 적당한 점도를 지녀야 한다. 약 3000 내지 약 5000센티포이즈(cp)의 브룩필드 점도를 갖는 경화성 조성물이 통상적으로 작업하기에 편리한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상술한 범위밖의 점도를 갖는 조성물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는 있으나, 주로 보다 높은 점도를 갖는 것들은 점도가 커서 편리하게 취급할 수 없는 경향이 있고, 반면에 주로 보다 낮은 점도를 갖는 것들은 흘러내려서 작업 조건을 복잡하게 하는 경향이 있다.
경화성 조성물(12)을 도포시킨 후, 일체형 필름(14)의 후면(15)을 적셔서 틈이 없이 후면에 강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바람직한 습윤 효과를 얻기 위해서, 조성물에 전체 표면을 적실 수 있도록 충분히 낮은 점도를 갖도록 하거나, 또는 닥터 블레이드와 같은 채널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는, 타이층(18)을 도포하여 경화성 조성물이 필름 후면의 전체 표면에 적실 수 있다. 많은 경우에 있어서, 경화체의 경화 두께가 3밀(75미크론) 이상인 성형품들이 모든 곳에서 유용한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경화체의 가장 얇은 부위는 통상적으로 주형의 테이블 부위 위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테이블 위에서 측정되는 것보다 얇은 부위들을 경화체내에서 생성시키는 바람직한 윤곽의 다른 특성들이 있을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경화체(12)의 고정면(16)이 거의 평면을 이루어 생성된 성형품과 소정의 기질과의 결합이 극대화되어 특히 최종 마무리 제품이 거의 평면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장식용 물품인 경우에는, 경화체들이 거의 평면형 고정면들을 갖는 성형품들이 통상적으로 미학적으로 가장 만족스러운 프로필을 제공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그와 같은 바람직한 표면 프로필은 일부 경우에 있어서는, 경화되기 전에 거의 평면형 표면 상태가 되도록 흐르는 경화성 조성물(12)의 고유한 유동 경향에 의해 수득되기도 한다. 또한, 적당한 가압에 롤링 처리하여 타이층(18)을 도포하거나, 또는 타이층(18)의 도포후, 경화성 조성물이 경화되기 전에, 롤러 또는 평면형 플레이트로 적당한 압력을 타이층(18)의 바닥면에 가할 경웅, 생성된 경화체(12)의 고정면(16)의 평면성이 통상적으로 증대된다.
제2도는 일체형 필름(114)을 주형(30)내에서 성형시키고 이어서 경화성 조성물(112)을 그 내부에 가하는 중간 조립 물질을 예시하는 것이다.
제3도는 일체형 필름(14)을 주형(30)내에서 셩형?고, 경화성 조성물(12)를 그 내부에 가하고, 일시적인 박리 라이너(37)위에 타이층(18)을 도포한 중간 조립 물질을 예시하는 것이다. 제4도에서는, 박리 라이너(37)를 떼어내고, 조성물(12)을 경화시키기 전에 접착체(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음)를 부착시키기 위한 준비 상태로 타이층(18)을 노출시킨다.
접착체(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음)를 타이층(18)의 바닥면에 도포시킨 후, 또는 접착체와 타이층(18)을 소정의 조립방식으로 경화성 조성물(12)에 가한 후, 이어서 경화성 조성물(12)을 타이층(18) 및 접착체와 현장에서 즉시 경화시킨다. 본 발명의 장점중 한가지는 경화성 조성물(12)과 타이층(18)이 상용성을 지녀 예외적으로 강력하고, 몇몇 경우에 있어서는 거의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결합이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장점들로서는 경화 및 기질과의 접착 수단 제공이 단일 공정내에서 수행된다는 것을 들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있어서는, 성형품의 고정면이 평면이 아닌 본 발명의 성형품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위와 같은 기질 표면의 평평하지 않은 일부 특정 부위위에 성형품을 부착시키고자 하는 용도에 있어서는 보다 안전하거나 또는 미학적으로 보다 눈길을 끄는 결합이 형성되로고 성형품의 고정면이 상응하는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제9도는 성형품(70)이 기질에 단단히 결합될 수 있도록, 예컨대 융기선(62)을 갖는 자동차 펜더(60)가 자체부위 위에서 거의 수평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타이층(18)과 접착체(24)가 성형되도록 평평하지 않은 고정면(16)을 갖는 성형품(70)을 예시한다.
비평면형 고정면을 갖는 성형품으로 제조되는 한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0도는 일체형 필름(14)이 주형(30)의 성형 표면(32) 윤곽을 따라 성형되도록 하고, 타이층(18)과 접착체(24)가 성형 장치(66)의 제2성형 표면 윤곽을 따라 성형되도록 하는 사출 성형 형태의 공정을 예시한다. 제2성형 표면(64)과 성형 장치(66)는 생성된 성형품이 최종 기재 윤곽을 따라 성형되도록 하는 형태를 지닌다. 일체형 필름(14), 및 타이층(18)과 접착체(24)를 각각의 성형 표면 윤곽을 따라 성형시킨 후, 주형(30)과 성형 장치(66)를 접촉시켜 목적하는 형태의 경화체가 형성도도록 함몰부(68)를 생성시킨다. 이어서 경화성 우레탄 조성물(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음)을 함몰부(68)내로 도포하고, 경화시킨다. 탈형시킨 후, 생성된 성형품을 기재에 도포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타이층(18)은 경화성 조성물(12)과, 생성된 경화체가 일체형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상용성을 지닌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타이층으로서는 아민 작용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이츠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 경화체 및 산 작용기들을 함유하는 많은 접착체, 예컨대, 이하에 기술하는 많은 산-함유 아크릴계 접착체 모두가 강력한 결합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타이층들은 주로 아민-말단 이량체 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중합체들을 함유하거나, 또는 주로 그들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폴리아미드가 5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의 아민값을 가질 경우, 우레탄체내의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들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충분한 아민 작용기가 필요하다. 본 명세서에 기술하는 아민값은 아메리칸 스탠다드 테스팅 메쏘드(American Standard Testing Method:ASTM) D2073에 따라 측정되며, 이 값은 목적하는 아민 물질 시료 1g이 갖는 염기도와 동등한 수산화칼륨의 mg수를 나타낸다. 약 25 또는 30 이상의 아민값을 갖는 폴리아미드는 실온에서 보다 물렁물렁하거나 또는 다소 액체 특성을 띠는 경향이 있으므로, 배리어로서의 효능 저하 측면에서 본 발명의 타이층내에 사용하기에는 덜 적합하다. 상기 폴리아미드를 본 발명에 따른 타이층내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이들을 보다 큰 필름-형태의 응집력을 갖는 폴리아미드와 병용하거나 및/또는 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필름-형성 중합체들과 혼합하여 사용한다. 타이층이 경화 우레탄과 반응하여 최적 반응 속도로 목적하는 결합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차 또는 이차 아민이 바람직한 것으로 추론된다.
본 발명의 타이층내에서 사용가능한 시판중인 폴리아미드 중합체의 구체예들로서는 약 14의 아민값을 갖는 것으로 추론되는 MACROMELT 6228, 약 5 내지 10의 아민값을 갖는 것으로 추론되는 MACROMELT 6239, 및 약 10의 아민값을 갖는 것으로 추론되는 MACROMELT 6239을 들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헨켈 코오포레이숀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이층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폴리아미드 중합체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폴리아미드 수지가 특정한 기타 성분들을 포함할지라도 3개의 주성분, 즉 이량체 산 성분, 단쇄 산 성분 및 디아민이 사용된다.
적당한 이량체 산 물질들은 다음과 같이 수득할 수 있다. 나무, 대두 및 기타 다른 식물성 물질로부터 수득되는 것들과 같은 지방산들을 이량체화하고, 이어서 일련의 세가지 분획들로 증류시킨다. 첫번째 또는 가장 가벼운 분획은 통상적으로 고농도의 단량체 산을 함유한다. 다음으로 가벼운 분획은 고 농도, 예컨대 90중량%를 능가하는 이량체 산과 소량의 단량체 산 및 삼량체 산을 함유한다. 세번째 분획은 통상적으로 고농도의 삼량체 산을 함유한다. 두번째, 높은 이량체 산 분획을 사용하여 타이층 제제를 제조한다. 상기 이량체 산은 생성된 폴리아미드 수지에 가요성 골격을 제공한다. 높은 농도의 이량체 산과 소량의 단량체 및 삼량체 산을 함유하는 분획들은 급격한 융점 및 높은 내부 강도를 갖는 폴리아미드를 생성시키는 경향이 있으므로 보다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생성된 타이층에 보다 높은 응집 특성을 부여한다. 실제적인 함량의 삼량체 산이 존재할 경우, 생성된 폴리아미드는 통상적으로 보다 넓고, 보다 덜 정확한 융점과 비교적 보다 낮은 내부 강도를 갖는 경향이 있다.
두번째 주성분은 단쇄 산이다. 상기 단쇄 산은 지방산 골격의 특성들을 변형시켜 생성된 수지의 융점을 증가시키고, 보다 큰 강성을 부여한다. 적절한 단쇄 산의 구체예는 말론산 HOOC-(CH2)-COOH, 숙신산 HOOC-(CH2)2-COOH, 글루타르산 HOOC-(CH2)3-COOH, 아디프산 HOOC-(CH2)4-COOH, 세바신산 HOOC-(CH2)8-COOH을 들 수 있다. 1 이상의 단쇄 산들을 사용하여 폴리아미드를 제조할 수 있다.
세번째 주성분인 디아민 성분은 통상적으로 단쇄 아민 및 보다 긴 사슬을 갖는 아민의 조합체로 구성된다. 그리하여 단쇄 아민은 강력한 교차 결합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고, 장쇄 아민은 보다 큰 가요성을 수지에 부여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단쇄 아민의 구체예는 에틸렌 디아민 및 피페라진이다. 장쇄 아민의 구체예로서는 아미노에틸 피페라진 및 1,3-디-4-피페리딜프로판을 들 수 있다.
동량의 이량체 산과 단쇄 산 성분들을 바능 케틀내에 넣고, 인산 촉매와 산화 방지제를 첨가한다. 이어서 반응 케틀을 밀봉하고, 교반하여 예컨대 약 150℃로 가열하여 상기 성분들을 반응시킨다. 잔류 수분을 증류 제거시키면서, 산 성분들을 다시 케틀내로 응축시킨다. 수분을 제거한 후, 케틀을 질소 대기중에서 약 200℃로 가열하고, 이어서 생성된 폴리아미드가 소정의 아민값을 갖도록 화학양론적 이론치의 산과 동등한 양 및 그에 합하여 상기 양을 초과하는 충분한 과량으로 아민을 첨가한다. 상기 혼합물을 3시간동안 중합시켜 아민-말단 이량체 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아미드를 생성했다.
타이층과 경화체간의 결합 강도 및 타이층과 접착체간의 결합 강도는 접착체의 응집력 파괴 정도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형 접착체의 경우, 응집력 파괴는 흔히 발포 분열로 언급되며, 접착체의 사용법은 후술된다. 대부분의 경우에, 타이층/경화체 결합은 실온에서 약 10파운드/인치-폭이상(17.5N/cm) 정도의 90° 박리력을 견딜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25파운드/인치-폭이상(45N/cm-폭) 정도를 견딜 수 있다.
타이층(18)은 본 발명의 제품내에 응집력 파괴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일층이 바람직하며, 경화체(12)와 접착체(24)에 바람직한 결합을 제공할 수 있는 작용기를 포함한다. 아민 작용기를 포함하는 타이층은 상술된 바와 같이 경화성 우레탄 조성물과 함께 사용시 유용하며, 산 함유 아크릴레이트 접착체 시스템은 같은 산 작용기를 포함하는 접착체와 사용시 유용하다. 타이층은 약 0.1 내지 1.0밀(2.5 내지 25미크론) 두께 사이일 때 바람직하다. 몇몇 경우에 있어서, 상기 범위밖의 두께를 갖는 타이층이 사용될 수도 있으나, 실질상 타이층이 얇으면 비 상용성 경화체와 접착체간에 불충분한 장벽을 제공하며, 반면에 타이층이 너무 두꺼우면 응집력 파괴가 더 용이하며, 성형된 전체 제품의 두께가 바람직하지 못한 정도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타이층은 부재들을 조립하고 제품을 형성하기 위해 경화되는 동안 경화성 조성물과 접착체간에 연속 장벽으로 남아 있을 수 있도록 충분한 응집력 단일성과 두께를 갖고 있어야만 한다.
경화성 조성물에 타이층을 도포하는 취급 과정 또는 접착체와의 예비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타이층을 캐리어 시이트에 박리 가능한 정도로 접착시킬 수 있다. 실리콘 처리된 종이같은 캐리어 시이트는 그 표면을 적절한 조성물로 피복하거나 압출시켜 타이층을 형성하는 부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3도는 임의의 캐리어 시이트를 제거하고, 접착체(24)를 도포한 뒤 경화시키는 이전 단계에서의 타이층(18)의 하부 주표면(22)상에 있는 임의의 캐리어 시이트(37)를 도시하고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타이층과 접착체는 함께 적층되는 등의 방법으로 예비 조립될 수도 있으며, 그후 경화성 조성물의 고정면에 도포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성형 제품내에 사용된 접착체는 단순히 단일층의 접착체일 수 있으며, 이를테면 열-활성 접착체 또는 감압 접착체 또는 더 복잡한 접착체가 사용될 수 있다. 접착체의 선택 및 그 특성은 제조되는 성형품의 특정 용도에 따라 대부분 결정된다. 본 발명은 장점은 타이층이 다수의 경화된 폴리우레탄체와 다양한 접착체를 사용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바람직한 접착체는 전술된 타이층에 강력한 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수지 100부당 아크릴산 약 5 내지 15부에 상당하는 산 등가물을 포함한다. 몇몇 경우에 있어서, 상기 범위밖의 산 등가물을 갖는 접착체를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성형제품의 접착체내에서 사용이 적절한 압감 접착체의 예로는 아크릴 감압 접착체가 있다. 상기 접착체는 우수한 고온 실행능 및 높은 내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 제품 부재의 접착체내에 유용한 아크릴 중합체는 하나이상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바람직하게는 비 3차 알킬 알콜의 단일작용성 불포화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가 해당되며, 이 분자들은 약 C4-C14를 갖는다. 상기 단량체의 예는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이-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아크릴레이트, 데실 아크릴레이트, 도데실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와 헥실 아크릴레이트가 있다. 아크릴 중합체는 약 60부 이상, 특히 80부 이상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단독 중합체로 사용되거나 하나 이상의 극성 공중합 단량체와 함께 중합될 수 있다. 극성 공중합 단량체의 예는 아크릴산, 이타콘산 또는 히드록시알킬 아크릴레이트 같은 강한 극성 단량체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중합성 단량체의 혼합물은 단량체의 중합을 유도하기 위해 광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유용한 광개시제의 예는 벤조인 메틸에테르 또는 벤조인 이소프로필 에테르 같은 벤조인 에테르, 아니솔 메틸 에테르 같은 치환된 벤조인 에테르, 2,2-디에틸옥시아세토페논 및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같은 치환된 아세토페논, 2-메틸-2-히드록시 프로피오페논 같은 치환된 α-케톨, 2-나프탈렌 설포닐 클로라이드 같은 방향족 설포닐 클로라이드 및 1-페닐-1,1-프로판디온-2-(0-에톡시카르보닐)-옥심 같은 광활성 옥심이다. 상기 광개시제는 아크릴 단량체의 아크릴 단량체 수지 100부당 약 0.01 내지 1부의 양(phr)으로 존재한다.
접착체가 증가된 내부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 가교제를 단량체 혼합물에 가할 수 있다. 유용한 아크릴레이트 가교제의 예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 미합중국 특허 제4,379,201호(하일만 등)에 기술된 다작용성 아크릴레이트 및,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이며,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1,2-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1,2-도데칸디올 디아크릴레이트가 있다. 다른 유용한 가교제의 예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 미합중국 특허 제4,329,384호(베슬리 등)과 제4,330,590호(베슬리)에 기술된 것과 같은 치환된 트리아진이며, 예를 들면,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3,4-메톡시페닐-s-트리아진) 및 기타 발색단 및 할로메틸-5-트리아진이 있다. 가교제가 사용될 경우, 약 0.01 내지 약 1phr 정도의 함량으로 사용된다.
가장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압감 접착체는 발포층, 예를 들면, 미소 구형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미소 구형체는 유리 또는 중합체이다. 상기 미소 구형체는 약 10 내지 200μm의 평균 직경을 가지며, 약 5 내지 65부피%의 코어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품내의 발포층 두께는 약 0.15 내지 3.0mm이며, 본 발명 구체예의 측면에서 발포층의 두께는 약 0.15 내지 약 0.75mm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범위밖의 두께를 갖는 발포층이 바람직하다. 발포형 접착체 시스템은 높은 전단 강도와 접착체 결합을 손상시키지 않고 불규칙한 표면에 접착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하는 우수한 접착체 실행능을 제공한다.
중합체 미소 구형체의 예는 미합중국 특허 제3,615,972호(모어 하우스 등) 및 제4,287,308호(나카얌 등)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미소 구형체는 EXPANCEL이라는 상품명하에 케마 노드 플라스틱의 제품과 MICROPEARL이라는 상품명하에 마쯔모토 유시 세이야쿠의 제품이 있다.
바람직한 유리 미소 구형체는 약 50μm의 평균 직경을 갖는다. 유리 미소 구형체가 사용될 때, 압감 접착체 층은 그들 직경보다 3배 이상 더 두꺼워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7배 이상 더 두꺼워야 한다.
착색 제품이 요구될 경우, 유리 미소 구형체는 미합중국 특허 제4,612,242호(베슬리 등), 제4,618,525호(챔버랜 등)에 기술된 것과 같은 유기 박막 코팅층으로 피복하거나, 미합중국 특허 제4,666,771호(베슬리 등) 및 제4,780,491호(베슬리 등)에 기술된 것과 같은 염색 유리로부터 유리 미소 기포를 형성하거나, 또는 제품을 미합중국 특허 제4,748,061호(베슬리)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기타 유용한 구체예에서는, 압감 접착체가 미합중국 특허 제4,415,615호(에스메이 등)에 기술된 것과 같은 약 15 내지 약 85%의 공극을 포함하는 세포형 압감 접착체 막이다. 전형적인 세포형 압감 접착체 막은 우수한 유연성과 불규칙한 표면에 대한 우수한 접착력을 갖는다.
접착체 층내에 혼합될 수 있는 기타 유용한 물질의 예는 제한된 것은 아니나, 충전제, 안료, 가소제, 점착부여제, 섬유 보강제, 발포제, 산화방지제, 안정화제, 발화 지연제 및 점도 조절제이다.
경화타 유용한 충전 물질로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 미합중국 특허 제4,710,536호(클링겐 등)과 제4,749,590호(클링겐 등)에 기술된 것과 같은 소수성 실리카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압감 접착체 층은 10m2/g 이상의 표면적을 갖는 소수성 실리카 약 2 내지 약 15phr을 포함한다.
몇몇 구체예에서, 접착체는 열활성화 특성을 나타낸다. 상기 접착체를 사용할때는, 제품의 몇몇 다른 부재, 즉, 일체형 필름같은 것은 접착체가 가열될때 손상되지 않도록 취급해 주위가 필요하다. 상기 제품을 접착시키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접착체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이를 가열하기에 충분한 온도로 기재를 가열하는 방법이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접착체는 활성화를 위해 가열된 기재로부터 대류에 의해 충분히 가열될 수 있으나, 열은 제품내의 다른 부재를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분산된다.
용액 주조 접착체가 본 발명의 몇몇 구체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약 20중량% 이하의 산-작용기를 포함하는 전통적인 용액 주조 기법으로 제조된 아크릴레이트 압감 접착체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의 실례로는 애쉬랜드 케미칼 컴패니의 AROSET 1845와 1930 접착체 및 내셔날 스타치 코포레이션의 DUROTACK 80-1077이 있다. 본 발명의 제품에 대한 몇몇 용도에서는 용액 주조 접착체에 의해 제공되는 것보다 더 높은 정적 전단 실행능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최종 제품이 기재상에 장착되는 방법 및 제품자체의 형태에 따라, 접착체의 일부분은 제품이 기재에 접착된 후 쉽게 육안 관찰이 가능하다. 만일 제품이 장식 용도로 사용된다면, 상기 접착체의 가시화 부분은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접착체를 중성 색상 또는 기재의 색상 또는 제품의 외관과 조화를 이루는 색상으로 착색시킬 수 있다. 접착체의 가시화 부분에 바람직한 색상을 부여하는 방법에는 안료, 염료 등과 같은 착색제를 혼입하고, 전술된 미소 구형체와 같은 접착체의 다른 부재를 착색 또는 선별 착색하는 방법이 있다.
제5도에서, 접착체(24)의 특성에 따라 보호 박리 라이너(26)를 그들의 노출된 측면 또는 작용성 측면(27)을 보호하기 위해 도포하는데, 이를테면 자동차 몸체 패널과 같은 기재(도시되지 않음)에 접촉되어 접착되는 측면 보호용으로 도포한다.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의 장식용 제품에 또다른 특징이 부가될 수 있다. 일체형 필름의 정면을 주어진 용도에 바람직한 심미적 특성을 제공하기 위한 여러 방법으로 장식할 수 있다. 제6도는 장식용 상(40)을 일체형 필름(14)의 전면(13)에 도포한 본 발명의 장식용 성형제품을 도시하고 있는데, 즉 상기 필름의 정면에 하나 이상의 착색 잉크를 스크린 프린팅시켜 제조한다. 일반적으로 전면(13)에 안정한 결합을 이룰 수 있는 잉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장식용 상(40)은 제한된 것은 아니다. 기타의 방법, 즉 전기평판법, 페인팅, 스퍼터링, 증기 피복 등과 같은 방법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피복층(42)를 일체형 필름(14)의 전면(13)에 도포할 수 있다. 투명한 피복층(4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용 상(40)위에 도포하거나, 몇몇 구체예에서는(도시하지 않았음) 그위에 장식용 상을 갖지 않은 상태로 전면(13)에 도포될 수 있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몇몇 구체예에서 임의의 다른 특성은 본 발명에서 제조된 장식용 제품이 다이 절단 또는 키스 절단 같은 방법으로 트리밍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일군의 문자들을 단일 일체형 필름 및 우레탄체로부터 바람직한 정합을 유지하도록 관련된 형태를 만든뒤, 개별적인 부재들을 제공할 수 있도록 트리밍 처리한다. 만일 얻어진 부재들이 서로 일정한 정합 상태로 배열되어 있다면, 소정의 배열로 부재들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라이너(26)같은 캐리어상에서 트리밍 처리가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식용 상은 먼저 주형내에 장식용 부재를 위치시켜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체형 필름을 성형시키기 전에 일체형 필름에 접착시키기에 적합한 문자를 주형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장식품(10)을 기재에 도포시키는 한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장식품(10)은 캐리어 라이너(26)상에 바람직한 정합 상태로 유지된다. 도포 테이프(50)은 캐리어 라이너(26)로부터 부재(10)들을 들어 올리고, 이들을 바람직한 정합 상태로 바람직한 기재(도시하지 않았음), 예를 들면 자동차 몸체 패널에 도포시키는데 사용된다.
또다른 임의의 특지은 하나 이상의 측면 및 보다 두꺼운 중간 부분상에 얇은 신장부분 또는 플랩을 지닌 제품과 같이 다양한 두께를 지닌 우레탄체를 제조하는데 있다. 몇몇 실례의 경우, 중간 부분은 이 지점에서 우레탄체의 두께로 인해 경질인 반면, 플랩은 가용성을 지녀서 장식용 및/또는 장착용 기재의 선반 또는 구조적 부재의 주위로 둘러싸는 것을 가능케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얇은 부분은 몸체의 중간 근처에 있어 더욱 성형 가능하게 만든다. 상기 제품은 일체형 필름으로(또는 필름없이) 제조할 수 있다.
그외의 또다른 임의의 특징은 일체형 필름없이 제조된 입체형 제품의 경화성 조성물에 미끄러짐-저항성 입자를 첨가하는데 있다. 생성된 입체형 제품은 견인력 및 안전성을 개량시키기 위한 발판 또는 문지방 마루 성형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을 제한시키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한, 모든 함량은 중량부로 표시된다. 각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서 이들 시험의 결과치는 하기 표 Ⅰ에 도식화하였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한 다음의 시험 방법이 사용된다.
90° 박리 접착력-단기간
폭이 약 1.2cm인 시험 샘플을 하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제조하고, 5cm×15cm×0.16cm 크기의 양극산화된 알루미늄 시험 패널에 손으로 부착시킨 후, 12in/분(30cm/분)의 속도로 15파운드(6.8kg)의 롤러를 굴린다. 이어서 제조한 샘플을 실온 및 30 내지 70%의 상대습도(RH)로 20분간 상태 조절시킨다. 이어서, 인스트론 모델 1122와 같은 일정한 신장 속도를 갖는 인장력 시험기로 약 12in/분(30cm/분)의 박리속도로 박리시켜 90° 박리 강도를 측정했다. 박리 강도를 1.2cm 폭당 파운드로 기록하고, 가능한 실패 양식을 기록한다. 이들 결과치를 90° 박리력-ST(단기간)로서 기록한다.
90° 박리 접착력-장기간
양극 산화된 알루미늄 시험 패널에 시험 샘플을 부착한 후, 접착력을 측정하기 전에 제조한 샘플을 조절하지 않는 습도에서 약 158℉(70℃)의 온도에서 1주간 상태 조절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90° 박리 접착력-단기간 시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 샘플을 측정한다. 박리 강도를 1.2cm 폭당 파운드로 기록하며, 가능한 실패 양식을 기록한다. 이들 결과치를 90° 박리력-LT(장기간)로서 기록한다.
정적 전단력
폭이 1.2cm인 본 발명 제품의 샘플을 전술한 90° 박리력 시험에서 기술한 것과 같은 양극 산화된 알루미늄 시험 패널에 접착시켰다. 3M에서 시판하는 에폭시 접착체인 상표명 SCOTCHWELD 에폭시 번호 B/A 1838을 일체형 필름과 같은 제품의 전면에 부착시키고, 시험 패널과 접촉시켜 샘플을 접착시켰다. 복합재를 1kg의 하중하에 밤새 두어 이들 사이에 강한 결합을 형성시켰다. 제품의 접착체 면을 제2시험 패널에 접촉시킨 후, 1kg의 하중을 20분간 가하여 1.2cm×2.5cm의 접착체 결합 크기를 제공했다. 이어서, 어셈블리를 70℃의 오븐에 수직면으로 장착한 뒤, 하나의 패널의 상부 가장자리에 매단 후, 0.5kg의 추를 연장된 테이프 가장자리에 부착시켰다. 추가 떨어지는 시간을 실패값으로서, 분으로 나타낸다. 10,000분이 경과한 후에도 샘플이 떨어지지 않으면 시험을 끝마친다.
[실시예 1]
약 1.2cm×30.5cm×0.13cm 크기의 직사각형 형태의 성형 표면을 갖는 진공 주형을 제조했다.
하기의 조성으로 필름을 성형했다.
Figure kpo00002
상기 조성물을 샌드밀로 약 5분간 분쇄하여 PC 눈금으로 6.0의 연마 분말도로 만든뒤, 박리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캐스팅 라이너상에서 약 100미크론의 습윤 두께로 도포했다. 약 95℃에서 약 120초 가열한 뒤, 약 140℃에서 약 40초간 가열하여 용매를 제거했다. 이어서, 수지를 약 190℃에서 약 30초간 가열 용해하여 2밀(50미크론) 두께의 PVC 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VAGH, 폴리비닐 클로라이드/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동일 중량부의 시클로헥사논 및 메틸 에틸 케톤으로 구성된 15중량%의 용액을 필름 표면상에 나이프 코팅시켜 필름의 후면을 프라임 처리시켰다. 피복물을 약 150℃에서 약 2분동안 건조시켜 거의 모든 용매를 제거하고, 약 10미크론의 무수 피복물 두께를 산출하였다.
캐스팅 라이너를 제거한 후에, 프라임 처리된 필름을 약 60℃의 온도로 가열시킨 주형의 성형 표면에 긴밀하게 성형시키면서, 필름의 전면 또는 필름의 프라임 처리되지 않은 면을 주형과 접촉시켰다. 또한, 필름을 수정 램프로 가열시켰다. 주형에 진공을 가하여 필름이 긴밀하게 주형에 성형되도록 했다.
경화성 2부 폴리우레탄 조성물은 1.0부의 (A) [이놀렉스 케미칼 컴패니에서 시판하는 99.7부의 5901-300 폴리올, 디프로필렌 글리콜 프탈레이트 아디페이트와 가교되고, 히드록실기가 305인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0.3부의 디부틸 주석 디라우레이트 촉매] 및 1.15부의 (B)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당량이 191이며, 모베이 케미칼 컴패니에서 시판하는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인 100부의 DESMODURN-100]로 제조된다.
성형된 필름중의 함몰부는 경화성 조성물로 충전되며, 종이 라이너상의 타이층을 그위에 도포시켰다. 타이층은 헨켈에서 시판하는 아민-말단 이량체 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아미드인 MACROMELT 6239의 박막으로서 톨루엔/이소프로판올 혼합물중의 30중량% 용액중에서 약 3밀(75미크론)의 습윤 두께로 코팅시킨 후, 약 0.9밀(22미크론)의 무수 두께로 건조시켰다.
발포 접착체는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자외선(UV)광 주합성 혼합물을 UV 방지하에 불활성 분위기중에서 부분 중합하여 브룩필드 점도가 약 3000cp인 경화성 시럽을 제공했다.
Figure kpo00003
상기 시럽에 하기 성분을 첨가했다.
Figure kpo00004
[표 3a]
Figure kpo00005
조성물을 0.05mm 두께의 2축-배향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에 코팅한 후, 제2PET 필름으로 도포하고, 저 접착력을 갖는 박리 피복물을 지니는 필름의 한면을 UV 램프하에 놓고, 약 400mJ/cm2의 총 에너지에서 PET 필름을 통하여 노출시켰다.
약 10밀(250미크론)의 최종 두께를 갖는 접착체를 타이층위에 도포했다.
이어서, 우레탄 조성물을 약 130℉(55℃)에서 약 3분간 경화시켰다.
탈형시킨 후, 생성된 제품을 시험한 결과, 10,000분 이상의 정적 전단력이 제공되었다는 것을 알았다. 90°박리력-ST는 약 13.7파운드/1.2cm 폭이며, 90°박리력-LT는 약 10.3파운드/1.2cm 폭으로, 양쪽 경우에서 실패는 접착체내에서 결합 실패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접착체가 100부의 아크릴 수지당 약 0.1부의 가교제인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페닐-s-트리아진) 및 개시제로서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을 함유하는 UV-중합된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90/10 중량비)이고, 약 5mils(125미크론)의 두께를 약 130mJ/cm2의 총 에너지에 노출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제조했다.
탈형시킨 후, 생성된 제품을 시험한 결과, 10,000분 이상의 정적 전단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90°박리력-ST는 약 11.6파운드/1.2cm 폭이며, 90°박리력-LT는 약 9.4파운드/cm 폭으로 양쪽 경우에서의 실패는 접착체내에서 결합 실패가 되었다.
[실시예 3]
타이층을 MACROMELT 6239 대신에 MACROMELT 6228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제품을 제조했다.
탈형시킨 후, 생성된 제품을 시험한 결과 10,000분 이상의 정적 전단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90°박리력-ST는 약 11.3파운드/1.2cm 폭이었으며, 90°박리력-LT는 약 9.0파운드/1.2cm 폭으로, 양쪽 경우에서 실패는 접착체내에서 결합 실패를 가져왔다.
[실시예 4]
타이층을 MACROMELT 6239 대신에 MACROMELT 6240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제품을 제조한다.
탈형시킨 후, 생성된 제품을 시험한 결과, 10,000분 이상의 정적 전단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90°박리력-ST는 약 11.2파운드/1.2cm 폭이며, 90°박리력-LT는 약 9.2파운드/1.2cm 폭으로, 양쪽 경우에서 실패는 접착체중에서 결합 실패가 되었다.
[실시예 5]
타이층을 MACROMELT 6239 대신에 MACROMELT 6301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제품을 제조한다.
탈형시킨 후, 생성된 제품을 시험한 결과, 10,000분 이상의 정적 전단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90°박리력-ST는 약 12.9파운드/1.2cm 폭이며, 90°박리력-LT는 약 11.9파운드/1.2cm 폭이며, 양쪽 경우에서 실패는 접착체중에서 결합 실패를 가져왔다.
[비교 실시예 A]
타이층을 MACROMELT 6239 대신에 산 말단 이량체 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아미드인 MACROMELT 6238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제품을 제조한다.
탈형시킨 후, 생성된 제품을 시험한 결과, 약 1,000분의 정적 전단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90°박리력-ST는 약 11.3파운드/1.2cm 폭이며, 90°박리력-LT는 약 8.1파운드/1.2cm 폭으로, 양쪽 경우에서 실패는 접착체 및 타이층 사이에서 탈적층되었다.
[비교 실시예 B]
타이층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제품을 제조한다.
탈형시킨 후, 생성된 제품을 관찰한 결과, 접착체와 우레탄 경화체 사이에 포획된 기체의 기포 면적이 존재함이 관찰됐다. 실시예 1-5 또는 비교 실시예 A에서는 기체 방출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시험용 샘플 제조시, 샘플을 시험용 패널상에서 굴리면 기체가 방출된다. 시험시, 제품은 10,000분 이상의 정적 전단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90°박리력-ST는 약 4.7파운드/1.2cm 폭이며, 90°박리력-LT는 약 4.5파운드/1.2cm 폭으로, 양쪽 경우에서 실패는 우레탄 경화체와 접착체 사이에서 탈적층되었다.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본 발명의 여러가지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주 및 정신을 벗어남이 없이 해당 기술 분야에서 종사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하다.

Claims (11)

1) 고정면을 지니며,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를 갖는 폴리우레탄 경화체; 2) 상부 및 하부 주표면을 지니며, 아민 작용기를 갖는 아민 말단화 이량체 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타이(tie)층(상기 상부 주표면이 상기 경화체의 상기 고정면에 접착됨); 3) 적어도 상부층이 산 작용기를 갖고, 상기 타이층의 하부 주표면에 접착되는 접착체를 포함하고; 상기 경화체가 타이층 및 접착체와 함께 동일계에서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에 접착될 수 있는 입체형 제품.
제1항에 있어서, 1) 상기 접착체가 하나 이상의 압감 접착체 층, 열 활성화 접착체 층, 또는 발포 접착체 층을 포함하거나; 2) 상기 접착체가 하나 이상의 착색제, 충전제, 가소제, 점착부여제, 섬유보강제, 발포제, 산화 방지제, 안정화제, 난연제 또는 점도 조절제를 함유하거나; 3) 상기 접착체가 약 0.15 내지 약 0.75mm의 두께를 갖는 발포 접착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이 전면 및 후면을 지니는 일체형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필름의 상기 후면이 상기 경화체의 적어도 일부분에 긴밀하게 결합되며, 상기 필름이 상기 경화체의 고정면을 거의 덮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제3항에 있어서, 1) 상기 제품이 일체형 필름의 적어도 일부분의 전면에 투명한 피복물을 포함하거나; 2) 상기 제품이 상기 일체형 필름의 전면에 장식용 상을 포함하거나; 3) 상기 일체형 필름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올레핀, 열가소성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비닐 적층물 또는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중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거나, 4) 상기 일체형 필름이 하나 이상의 가소제, 보호제, 착색제, 보강제, 충전제 또는 난연제를 함유하거나, 5) 상기 일체형 필름이 부분적으로 가교되며 필름의 상부면에 금속 피복물을 포함하는 것 중 하나 이상에 해당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체가 균일한 두께를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 성형 표면에 의해 한정된 소정의 윤곽을 갖는 주형을 준비하고; 2) 이소시아네이트 작용기를 갖는 경화성 우레탄 조성물을 상기 주형에 부어 상기 조성물이 흘러서 상기 성형 표면에 의해 한정된 윤곽을 형성하도록 하고; 3) 상기 도포된 경화서 조성물에 상부 및 하부 주표면을 지닌 타이층을 배치시켜 타이층의 상부 주표면을 상기 경화성 조성물과 접촉시키되, 이때 상기 타이층은 두께가 약 0.1 내지 약 1.0미크론이며, 아민 작용기를 갖는 아민 말단화 이량체 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열가소성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며; 4) 접착체를 상기 타이층의 하부 주표면과 직접 접촉되도록 배치하되, 이때 상기 접착체의 적어도 상부층이 산 작용기를 함유하며; 5) 상기 조성물을 타이층 및 접착체와 함께 동일계에서 경화시켜 폴리우레탄 경화체, 타이층 및 접착체를 포함하며 기재에 접착시킬 수 있는 제품을 성형하고; 6) 상기 제품을 탈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에 접착되는 입체형 제품의 형성 방법.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표면과 접하게 되는 상기 필름의 전면 및, 상기 조성물이 경화되어 상기 필름이 일체형 필름이 될때 상기 경화 조성물과 결합하게 되는 상기 필름의 후면을 갖는 필름을 상기 주형의 성형 표면을 따라 성형시킨 후, 상기 경화성 조성물을 이에 도포하는 것을 부가로 포함하는 방법.
제7항에 있어서, 1) 상기 필름이 하나 이상의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올레핀, 열가소성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비닐 적층물, 또는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를 포함하거나; 또는 2) 상기 필름이 하나 이상의 가소제, 보호제, 착색제, 보강제, 충전제 또는 난연제를 포함하는 것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6항에 있어서, 1) 상기 접착체가 하나 이상의 압감 접착체 층, 열 활성화 접착체 층, 또는 발포 접착체 시스템을 포함하거나; 또는 2) 상기 접착체가 하나 이상의 착색제, 충전제, 가소제, 점착부여제, 섬유보강제, 발포제, 산화 방지제, 안정화제, 난연제 또는 점도 조절제를 포함하는 것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6항에 있어서, 1) 상기 장식용 제품을 트리밍하거나; 또는 2) 장식용 부재를 상기 주형에 배치시킨 후 이에 상기 경화성 조성물을 가하거나; 또는 3) 상기 제품을 탈형시킨 후 상기 경화체 전면의 적어도 일부분 또는 일체형 필름의 전면에 투명한 코팅물을 배치하는 단계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6항에 있어서, 1) 상기 타이층층의 상부 주표면이 배치되는 상기 경화성 조성물의 고정면이 평면이 아니거나; 2) 상기 우레탄체의 두께가 균일하지 않은 것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00005022A 1989-04-12 1990-04-12 기재에 접착될 수 있는 성형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01482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3685589A 1989-04-12 1989-04-12
US336855 1989-04-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910A KR900015910A (ko) 1990-11-10
KR0148266B1 true KR0148266B1 (ko) 1998-11-02

Family

ID=2331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5022A KR0148266B1 (ko) 1989-04-12 1990-04-12 기재에 접착될 수 있는 성형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392847B1 (ko)
JP (1) JP2831091B2 (ko)
KR (1) KR0148266B1 (ko)
CA (1) CA2014335C (ko)
DE (1) DE69020778T2 (ko)
ES (1) ES2074123T3 (ko)
HK (1) HK10068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210B1 (ko) * 2010-03-26 2015-02-24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01657C2 (nl) * 1995-11-15 1997-05-21 Avery Dennison Corp Zelfklevende film.
US5964979A (en) * 1997-08-15 1999-10-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ealing method and article
US6258918B1 (en) 1998-04-22 2001-07-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exible polyurethane material
US6607831B2 (en) 2000-12-28 2003-08-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article
JP2005507796A (ja) 2001-10-31 2005-03-2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非自立性高分子フィルムの熱成形方法およびそれから作製される物品
AU2002363242A1 (en) 2001-10-31 2003-05-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ross-linked primer composition and use thereof in thermoformable films
US7534494B2 (en) 2002-12-02 2009-05-19 Daicel-Evonik Ltd. Composite formed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8088480B2 (en) 2003-09-29 2012-01-03 Shieldmark, Inc. Adhesive tape
EP1671785B1 (en) 2003-10-03 2019-04-24 Daicel-Evonik Ltd. Composite formed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resin for bonding
KR100755234B1 (ko) * 2006-07-25 2007-09-04 김완수 난연성 합성수지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8525402B2 (en) 2006-09-11 2013-09-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llumin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BRPI0909077A2 (pt) 2008-03-25 2015-08-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Artigos multicamadas e métodos de preparo e uso dos mesmos
KR101627875B1 (ko) 2008-03-25 2016-06-0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페인트 필름 복합체와 그의 제조 및 사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1564A (en) * 1966-12-16 1970-03-17 Malleable Research & Dev Found Method for bonding polyurethane to other materials
US4612249A (en) * 1984-12-21 1986-09-16 Rca Corporation Bonding polyurethanes to polyolefins
GB8605997D0 (en) * 1986-03-11 1986-04-16 Edeco Holdings Ltd Plastics fil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210B1 (ko) * 2010-03-26 2015-02-24 코오롱플라스틱 주식회사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910A (ko) 1990-11-10
EP0392847B1 (en) 1995-07-12
ES2074123T3 (es) 1995-09-01
HK1006829A1 (en) 1999-03-19
JP2831091B2 (ja) 1998-12-02
DE69020778D1 (de) 1995-08-17
JPH02293145A (ja) 1990-12-04
DE69020778T2 (de) 1996-04-04
EP0392847A3 (en) 1991-08-21
CA2014335C (en) 1999-10-19
EP0392847A2 (en) 1990-10-17
CA2014335A1 (en) 199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30364B2 (en) Composite useful for paint transfer and method of use and preparation thereof
KR0148266B1 (ko) 기재에 접착될 수 있는 성형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
EP1358078B1 (en) Conformable multi-layer sheet materials
JP5933940B2 (ja) 積層シート、積層シートを貼り付けた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AU697898B2 (en) Topographical method
JP2018171708A (ja) 加飾シート用保護フィルム
JP2005507800A (ja) 架橋プライマー組成物および熱成形性フィルムにおけるその使用
US7473453B2 (en) Heat-resistant, paintable two-sided acrylic-based adhesive tape
EP0690896B1 (en) Topographical sheet material and method for using same
JP2572106B2 (ja) 熱硬化性被覆用シート
EP2027986B1 (en) Method of decorating parts of motor vehicles
WO2009026147A2 (en) Method of thermoforming a printed sheet having an adhesive layer
JP2636886B2 (ja) 熱硬化性被覆用シート
EP0319155B1 (en) High integrity composites
JP2642257B2 (ja) 被覆用シート
JP2023080776A (ja) 塗装代替フィルム
CA2007314A1 (en) Three-dimensional self-adherent articles
MXPA00003042A (en) Sealant composition, article including same, and method of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